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장 확대 교육 내용의 다층성 연구

        조진수 ( Jinsu J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3

        이 논문은 ‘문장 확대’가 ‘구조-기능-장르 및 이데올로기’의 층위에 존재하는 다층적 현상임을 규명함으로써 문장 확대 교육 내용을 다층적 차원에서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은 주로 구조 층위에 국한되어 있었고 최근 기능 층위까지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교육 내용은 불분명하며, 사회적 실천 행위 층위에서의 교육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체계기능 언어학과 정보 구조 이론을 바탕으로 기능 층위의 문장 확대에 대해 논의하고, 사회적 실천 행위로서의 장르 개념을 바탕으로 장르 층위의 문장 확대에 대해, 비판적 담화 분석의 관점에서 이데올로기 층위의 문장 확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장 확대’가 문장 내부의 구조 분석 층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능 층위, 장르 및 이데올로기 층위에까지 관여하는 문법적 자원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하기 위해서는 ‘문장 확대’의 다층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multilayered sentence-extension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efunction- genre and ideology’ layers of sentence-extension. Sentenceextension education at present is problematic because it is limited to the structure layer and it is obscure on the function layer. Moreover on thegenre and ideology layers no educational content exists. We therefore focus first on sentence-extension education for the function layer from the viewpoints of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and theory of information structure. Then we discuss the genre and ideology layers from the viewpoints of genre as a social practice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Last, we suggest that further study on and description of these phenomena should be done in order to enrich the content of multilayered sentence-extension education.

      • KCI등재

        문법 개념의 ‘교육 내용 합의성’에 대한 고찰 ― 문법 요소를 중심으로

        조진수 ( Jo Jinsu ),오현아 ( Oh Hyeonah ) 국어교육학회 2019 國語敎育學硏究 Vol.54 No.1

        본 연구는 교과서별로 다루어지는 문법 개념의 범위에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이를 ‘교육 내용의 합의성’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 내용 합의 지수’를 수식으로 정련화하여, 문법 요소 중 시간 표현, 높임 표현, 피동·사동 표현, 부정 표현 관련 내용의 합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과서 차원에서 문법교육적 위상이 높은 내용과 낮은 내용, 쟁점적인 내용을 구분하였다. 또한,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관례성이 문법 개념의 교과서 제시 여부의 관여 요인 중 하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위상이 쟁점적인 항목들은 ‘관례적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문법교육적 가치가 의심받고 있는 유형’과 ‘문법교육적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유형’으로 다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합의성’ 개념을 정련화하여 문법 개념의 교재론적 위상을 분석할 수 있는 관점을 마련하고, ‘교육 내용 합의 지수’의 활용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grammar concepts in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consensus as an educational content”. For this purpose, we first refine the “educational content consensus index” and analyze grammatical elements. As a result, the grammar concep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sensus. Moreover, using the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conventionality i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resentation of grammar concepts in textboo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ines the concept of “consensus” and explores various ways of using the “educational content consensus index”.

      • KCI등재

        문법 오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조진수 ( Jo Jinsu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4

        본 연구는 문법 오개념의 ‘오(誤)’를 ‘참/거짓’ 차원이 아니라 ‘인식론적 정당화’ 차원에서 이해하는 관점이 문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정당화 방식을 가상적으로 구성한 후 각 사례에 내재한 인식론적 문제를 검토하는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최소 토대론과 정합론의 관점이 문법 오개념 논의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의 두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문법 오개념 논의에서 학습자의 언어적 직관에 주목하고 언어적 경험 제공이 필요한 경우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현적으로 드러난 문법 오개념만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 되고, 문법 개념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오개념을 새롭게 발견하고 자각하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법 오개념 논의의 인식론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앞으로 현대 인식론과 교육적 인식론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법 오개념의 인식론적 문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grammar education in comprehending grammar misconceptions in terms of “epistemic justification” rather than “true/false” dimensions. To achieve this, we employed a research method to construct learners’ justification cases and review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inherent in each c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minimal foundationalism it is necessary to examine learners’ linguistic intuition and identify cases wherein linguistic experience is required.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coherence theory learners should be enabled to realize misconceptions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connection between grammatical concep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the epistemological basis for grammar misconception discussions. Based on contemporary and educational epistemology, studies on the epistemological problems of grammar misconceptions should be sustained.

      • KCI등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문법 탐구의 구인 탐색-고등학교 학습자의 자기 인식을 중심으로-

        조진수 ( Jo Jinsu ),박진희 ( Bak Jinhui ),이주영 ( Lee Juyoung ),강효경 ( Kang Hyoky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7 국어교육 Vol.0 No.157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nstructs of grammar inquiry. For this purpose, the self-awareness of learner about grammar inquiry ability has been survey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problem finding` could be established as one factor, but `establishing a hypothesis`, `verifying a hypothesis`, `drawing a conclusion` are combined into one factor, and `generalization`, `monitoring and regulation` are also combined into one factor. The result implies that `analytical ability` could exist on the base of `establishing a hypothesis`, `verifying a hypothesis`, and `drawing a conclusion`. Also, `metacognitive monitoring of the inquiry process` could be established as one factor, because metacognitive ability could exist on the base of `generalization` and `monitoring and regulation`.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while the sort of grammatical knowledge is involved in grammar inquiry process, but whether the knowledge is about structure or about semantic function is irrelevant to the factor.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more researches on constructs of grammar inquiry should be conducted by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ecause constructs of grammar inquiry can not be determined through just one study.

      • KCI등재

        ‘문장의 주성분’ 개념망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문법서에 나타난 문법 개념망을 중심으로 -

        조진수 ( Jo Jinsu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8 문법 교육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ammar concept networks on major sentence constituents and to find out what grammar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results have. To do this, we constructed the relational data with the concepts that appeared in each sentence of the grammar books, indirectly and partially implemented the grammar concept networks of the expert, and analyzed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status difference among grammatical concepts in the grammar concept networks. And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proposed the concept of ‘hub grammar concept’.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 of grammar concept composing the concept network can be more detailed than the existing discus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s should be broadened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diversified.

      • 주의기반 실시간 물체추적 시스템

        조진수(Jinsu Jo),이일병(Yil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선택적 주의선택 알고리즘 중 색상과 밝기 지도를 만드는 부분을 실시간 처리에 적용하고, 저주파수가 주로 분포하는 영역과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된 영역을 입력 영상에서 찾아내어 가중치별로 합산함으로서 실시간으로 선택적 주의를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 KCI등재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 유형화 연구

        조진수 ( Jo Jinsu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1

        본 연구는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을 유형화하고 각 문법 용어에 복수의 표상 유형이 상호 결합하는 양상을 확인하여 문법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표상의 전형성과 투명성을 기준으로 문법 용어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국어학과 달리 문법교육학에서는 단일한 기준으로 문법 용어를 평가할 수 없다. 문법교육에서는 문법 용어에 존재하는 다양한 표상성을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방식으로 다루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문법 용어의 표상 유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편수 자료에 제시된 학교 문법 용어를 대상으로 질적 분석 실시하여 표상 방식을 유형화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표상 유형의 상호 결합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학교 문법 용어의 표상 방식을 `직접성/간접성`, `관계성`, `중층성` 차원에서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존재하는 하위 유형을 상세화하였으며, 표상 유형의 결합 방식에 따라 총 6개의 군집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문법 용어의 표상 유형과 표상 유형의 결합 양상을 규명함으로써 문법 용어가 갖는 교육적 기능을 체계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grammar educational implications by typifying the way school grammar terms are represented and verifying the mutual combination pattern of multiple representation types in each grammar term. Unlike Korean linguistics, which evaluates the appropriateness of grammatical terms based on the typicality and transparency of representation, grammar terms cannot be evaluated on a single standard in grammar education. Since it is important to address the various representations in a grammar term in an educationally meaningful way in gramma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ypes of representations of grammar ter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ypified the representation method by conducting a qualitative analysis of school grammar terms in the editing material of textbook and confirmed the mutual binding pattern of the representation types through cluster analysis. As a result, representation methods of school grammar terms were typified at the levels of `directness/indirectness`, `relationship` and `multi-layer`. Furthermore, the subtypes that exist in each type were specified. A total of 6 clusters were found in accordance with the combination method of representational typ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systematizing and expanding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grammar terms by identifying `the representation types` and `the combination pattern of the representation type of grammar terms`.

      • KCI등재

        초점화의 문학교육 내용화를 위한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 연구

        정진석 ( Jung Jinseok ),조진수 ( Jo Jins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이 연구의 목표는 초점화 중심 소설 읽기를 학습하고 수행하는 데 있어 학습자가 당면하는 어려움 중 하나가 초점자를 확정하는 문제라는 점을 전제로, 초점자를 추론하고 초점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는 언어적 표지를 유형화하고 형식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초점화를 다룬 주요 연구를 살펴 초점자의 위치나 교체를 지시하는 언어적 표지의 목록과 특성을 정리하고, 둘째, 이렇게 정리된 표지를 작품들에 적용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검증하고 이론적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사론에서는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로 인칭, 심리 표현, 명명, 직시 표현, 어휘 등에 주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이를 초점화 학습의 주요 제재인 「삼대」(염상섭),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소나기」(황순원)에 적용함으로써 품사, 어휘 의미, 논항구조, 어미, 양태, 직시, 지칭 등을 범주로 하는 12개의 언어적 표지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에 관한 유형과 형식을 체계화할 가능성을 제시한 점, 초점자의 추론이 언어적 표지로만 확정될 수 없는 해석적 성격 또한 강하다는 점을 확인한 점, 언어적 표지와 함께 초점화 양상의 흐름, 서술 상황, 장르 등 그 맥락을 함께 고려해야 초점자 추론의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ypifies and formalizes linguistic markers that can be used to infer the focalizer and analyze focalization aspects. To this end, we first reviewed some major studies to compile a list of linguistic marker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at indicate the position or replacement of a focalizer. Then we applied these markers to some works to verify their usefulness and enhance their theoretical relev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arrative theory pays attention to personification, psychological expression, naming, deixis, and vocabulary as linguistic markers of the focalizer. Second, By applying these markers to some main texts for focalization learning, the study presented 12 linguistic markers in the following categories: part of speech, lexical meaning, argument structure, ending, modality, deixis, and refer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ystematizing the types and forms of linguistic markers of focalizer, confirms that inferences have a strong interpretive character that cannot be confirmed by linguistic markers alone, and shows that the validity of such inferences can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ir context along with linguistic markers.

      • 유효한 소실점을 이용한 단안영상의 상대적 깊이지도 생성

        한종원(Jongwon Han),조진수(Jinsu Jo),이일병(Yillbyo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B

        사람은 실내나 인공구조물을 가진 실외 환경에서 깊이를 지각하는데 소실점이라는 강력한 깊이 지각 단서를 활용한다. 소실점은 관찰자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지점에 대응된다. 인간은 단안영상이 가지는 기하학적 성분을 이용해서 소실점을 추정하고, 소실점의 위치와 관찰자의 시점을 기준으로 상대적 깊이지각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소실점을 가진 2차원 단안영상에서 유효한 소실점을 추정하고, 입력영상에 대한 소실점의 위치 관계를 이용한 상대적 깊이지도의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 깊이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주의 처리 기법

        홍혜민(Hyemin Hong),조진수(Jinsu Jo),이일병(Yillby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논문은 사람이나 로봇이 자율보행을 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한 곳을 집중적으로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논문이다. 동물들이 효율적인 시각 정보 수집을 위해 사용하는 선택적 주의 처리 기법을 기본으로, 깊이정보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주의시선 중 한 곳을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험 결과 깊이정보를 이용한 선택적 주의 처리 기법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과제는 보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한 번의 계산으로 깊이에 따라 차례대로 정할 수 있는 3차원 맵을 만드는 것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