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에서 획득한 Helicobacter pylori의 CagA에 존재하는 SHP-2 binding site의 분석

        조지윤,정진용,강호영,김군도,변정식,명승재,정훈용,양석균,홍원선,김진호,이진혁,Jo Ji-Yun,Jeong Jin-Yong,Kang Ho Young,Kim Gun-Do,Byeon Jeong-Sik,Myung Seung-Jae,Jung Hwoon-Yong,Yang Suk-Kyun,Hong Weon-Seon,Kim Jin-Ho,Lee Gin Hyug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6

        최근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pylori CagA내에 존재하는 SHP-2 binding site의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한 후, 특정 서열이 위선암의 발병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CagA 내 에 존재하는 SHP-2 binding site아미노산 서열의 특성을 밝힌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획득한 H. pylori의 CagA SHP-2 binding site에 대해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62 균주의 H. pylori 를 분석한 결과 환자의 질환과 관계없이 모든 H. pylori 균주에서 East Asian (A-B상 혹은 A-B-B-D)을 보여주었다. 일본과 더불어 한국은 위선암 유병률이 높은 나라이므로, 연구 대상의 모든 한국인에서 East Asian type CagA를 가진 H. pylori가 발견된 것이 위선암 유병률과 연관될 가능이 높아 보인다. 그러나 H. pylori의 발병 기전을 보다 더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국가와 지역을 대상으로 이러한 유전형 조사가 필요할 것 같다. Recently the pathological actions of CagA of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on gastric epithelial cells have been reported. CagA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host cytoplasm and undergoes tyrosine phosphorylation in the cells. In addition, translocated CagA forms a physical complex with SHP-2. There are two major CagA subtypes according to the amino acid sequence in the 3'region of CagA; i) the East Asian type (A-B-D of EPIYA motifs) and ii) the Western type (A-B-C of EPIYA motifs). Repeated EPIYA motifs in the 3'region of CagA are involved in the interaction with SHP-2. The East Asian type conferred stronger SHP-2 binding activity than the Westrrn type of CagA. Here we analyzed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SHP-2 binding site of cagA gene in H. pyzori,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my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ties of cagA and the disease out-come in Korea. Most of Korean H. pylori strains showed A-B-D motifs(the East Asian type), and only one strain showed A-B-B-D motifs. In Korea, the incidence of atrophic gastritis and gastric cancer is significantly high compared with Western countries. The high frequency of the East Asian type CagA among Korean H. pylori strains would be involved in increasing the risk of gastric cancer in Korean populations.

      • KCI등재

        소장 병변 진단에서 이중풍선소장내시경과 소장조영술의 비교

        조지윤 ( Ji Yun Jo ),변정식 ( Jeong Sik Byeon ),최기돈 ( Kee Don Choi ),박혜원 ( Hye Won Park ),이진혁 ( Gin Hyug Lee ),명승재 ( Seung Jae Myung ),정훈용 ( Hwoon Yong Jung ),양석균 ( Suk Kyun Yang ),홍원선 ( Weon Seon Hong ),김진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1

        목적: 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이중풍선소장내시경의 역할은 아직 정립되어 있지 않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소장조영술과 이중풍선소장내시경의 진단 가치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소장 병변이 의심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환자들에 대해 이중풍선소장내시경과 소장조영술을 모두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모두 18명(남:여=12:6, 14-82세)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이중풍선소장내시경과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적응증은 원인 불명 위장관 출혈 10예, 원인 불명 복부 통증 5예, 만성 설사 2예,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장벽 비후가 있었던 1예였다. 원인 불명 위장관 출혈 10예 중 소장조영술에서 정상이었던 4예에서 이중풍선소장내시경을 통해 궤양이나 미란과 같은 의미 있는 병변을 찾을 수 있었다. 나머지 6예는 두 검사에서 진단의 차이가 없었다. 원인 불명 복통이 있었던 5예 중 3예는 림프종, 공장 협착, 베체트 병으로 두 검사에서 같은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한편, 2예에서는 서로 다른 소견을 보였는데, 소장조영술에서 크론병을 의심하였던 1예는 이중풍선소장내시경에서 정상으로 확인하였고, 소장조영술에서 악성 병변으로 생각하였던 1예는 이중풍선소장내시경에서 원인 미상의 만성 양성 궤양으로 추정되었으나 확진하지는 못했다. 만성 설사가 있었던 2예 중 1예는 두 검사에서 모두 크론병으로 진단하였고, 나머지 1예는 소장조영술에서 장결핵이 의심되었으나 이중풍선소장내시경을 통해 림프관확장증으로 확진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던 1예는 두 검사 모두 정상이었다. 결론: 이중풍선소장내시경은 소장 질환의 진단에서 소장조영술보다 우수하였으며 향후 소장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role of double balloon enteroscopy (DBE) is still evolv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agnostic yield of DBE with that of small bowel series (SBS). Methods: We enrolled patients with suspected small bowel disease consecutively, and performed both DBE and SBS in all patients. Results: Eighteen patients (M:F=12:6, 14-82 years) were included. Indications for small bowel evaluation were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10), abdominal pain (5), diarrhea (2) and abnormal CT finding (1). Of 10 obscure gastrointestinal bleeding patients, 6 showed the same findings in both studies. However, 4 showed negative findings in SBS while DBE detected erosions or ulcerations. Of 5 abdominal pain patients, 3 showed the same results in both studies. However, 2 demonstrated different results. One was suspected of early Crohn`s disease in SBS, but proved to be normal in DBE, and the other was suspected of malignancy in SBS but was suspected of benign ulcers in DBE. Of 2 chronic diarrhea patients, one was diagnosed as Crohn`s disease in both studies. The other was suspected of tuberculosis in SBS but diagnosed as lymphangiectasia by DBE with biopsy. One patient with jejunal wall thickening in CT proved to be normal in both DBE and SBS. There were no serious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BE and SBS. Conclusions: DBE is better than SBS in terms of diagnostic accuracy. DBE may become an important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small bowel diseases.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25-31)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베체트 장염의 임상 양상과 경과: 진단 아형에 따른 분석

        김대겸 ( Dae Kyoum Kim ),양석균 ( Suk Kyun Yang ),변정식 ( Jeong Sik Byeon ),명승재 ( Seung Jae Myung ),조지윤 ( Ji Yun Jo ),최기돈 ( Kee Don Choi ),이진혁 ( Gin Hyug Lee ),정훈용 ( Hwoon Yong Jung ),홍원선 ( Weon Seon Hong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1

        목적: 베체트 장염은 치료에 대한 반응이 나쁘며 장천공, 출혈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하므로 베체트병의 중요한 유병 및 사망의 원인이 된다. 하지만 베체트 장염의 역학, 치료방법, 장기적 임상경과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으며 진단기준 또한 매우 다양하다. 이에 저자들은 일본 베체트병 연구회의 진단 기준에 의한 베체트 장염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장기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의심형 베체트 장염 환자들의 임상양상이 완전형 및 불완전형 베체트 장염 환자들과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6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1987년 일본 베체트병 연구회의 베체트병 진단기준에 부합하면서 대장내시경을 통해 베체트 장염을 확인한 87명을 대상으로 전신증상, 소화기증상, 대장내시경소견, 누적수술률 등의 임상양상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의심형 베체트 장염 환자들의 임상양상을 완전형 및 불완전형 베체트 장염 환자들과 비교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2:1이었으며 진단 당시의 평균 나이는 38.4세(14-66)였다. 베체트병의 전신증상으로 구강궤양 87예(100%), 음부궤양 64예(73.6%), 피부병변 52예(59.8%), pathergy 검사 양성률 14/60 (23.3%), 안구병변 7예(8.0%)였다. 소화기 증상으로는 복통 77예(88.5%), 체중감소 36예(41.4%), 설사 35예(40.2%), 복부압통 20예(23.0%), 장관출혈 18예(20.6%), 구역, 구토 16예(18.4%)의 순이었다. 대장내시경소견상 회맹부에 국한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일궤양이 가장 흔한 소견이었다. 24명의 환자가 베체트 장염과 연관되어 한 차례이상의 수술을 시행 받았으며 누적수술률은 1년 20.7%, 2년 25.6%, 5년 27.2%, 10년 30.9%였고 누적 재수술률은 1년 9.0%, 2년 13.8%, 5년 29.3%, 10년 38.2%였다. 의심형 베체트 장염 환자의 임상양상을 완전형 및 불완전형 베체트 장염 환자의 비교하였을 때 베체트병 전신증상을 제외한 소화기증상, 대장내시경소견, 검사실 소견, 누적수술률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베체트 장염 환자는 10년 내에 30.9%의 환자가 수술을 경험하며 이 중 38.2%는 재수술을 경험하므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요구된다. 의심형 베체트 장염 환자는 국제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지만 완전형 및 불완전형 베체트 장염 환자와 베체트병 전신증상을 제외한 임상양상에 차이가 없으므로 베체트 장염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Background/Aims: Intestinal Behcet`s disease (BD)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of BD because it frequently results in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and bleeding. But clinical course of intestinal BD is not well-know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linical manifestations of intestinal BD, and to compare clinical findings of complete and incomplete types with those of suspected type. Methods: From June 1989 to January 2005, 87 patients who had colonoscopic evidence of intestinal BD and met the criteria proposed by BD Research Committee of Japa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Results: Mean age at diagnosis was 38.4 years (14-66) and sex ratio was 2:1. Abdominal pain wa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ymptom. A single, round ulcer localized at the ileocecal area was the most common colonoscopic finding. Cumulative incidence of first and second operation in 10 years was 30.9% and 38.2%, respectively. Clinical manifestations of suspected type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complete and incomplete types. Conclusions: Long-term follow up and close observation is needed for patients with intestinal BD. Although suspected type does not meet the criteria proposed by International Study Group for BD, it should be considered as BD. (Intest Res 2005; 3:48-54)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치루의 발생 빈도와 자연 경과

        김자영 ( Ja Young Kim ),양석균 ( Suk Kyun Yang ),변정식 ( Jeong Sik Byeon ),명승재 ( Seung Jae Myung ),최재원 ( Jae Won Choe ),조지윤 ( Ji Yun Jo ),양동훈 ( Dong Hoon Yang ),조윤경 ( Yun Kyung Cho ),김진호 ( Jin Ho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6 Intestinal Research Vol.4 No.1

        목적: 치루는 크론병의 흔한 합병증으로서 서양의 연구에서는 발생빈도가 13-38%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치루의 발생빈도와 자연경과를 밝히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1989년 6월부터 2005년 2월 사이에 서울아산병원 염증성 장질환 클리닉에서 진료받은 613명의 환자들 중 2개월 미만의 추적관찰을 한 경우를 제외한 총 546명을 대상으로 치루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전체 546명의 환자(남자 355명, 여자 191명) 중 265명(48.5%)에서 355회의 치루가 발생하였다. 크론병의 다른 증상 없이 첫 증상으로 치루가 나타난 환자는 82명(15.0%)이었고, 치루가 발생한 265명 중 205명(77.4%)은 크론병 진단 이전 또는 진단 당시 치루가 있었다. 치루의 누적 발생률은 1년에 40.7%, 5년에 48.2%, 10년에 55.3%, 20년에 62.1%였다. 치루의 치료에 있어서 내과적 치료는 첫 번째 발생한 치루의 경우는 22.6%에서, 재발한 치루도 포함하여 계산할 경우는 30.7%에서 행해졌다. 또한 첫 번째 발생한 치루에 대한 수술률은 87.5%였으며, 재발한 치루도 포함하여 계산할 경우 수술률은 80.8%였다. 치료 성공률은 내과적 치료의 경우 첫 번째 발생한 치루의 경우는 21.7%, 재발한 치루까지 포함한 경우는 23.9%였고, 외과적 치료의 경우는 각각 84.5%, 83.6%였다. 265명의 치루 환자 중 77명(29.1%)에서 2회 이상 치루가 발생하였으며, 치루의 누적 재발률은 1년에 10.1%, 5년에 26.9%, 10년에 42.4%, 20년에 68.8%였다. 결론: 한국인 크론병 환자에서 치루의 발생률은 서양의 보고에 비해 높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크론병의 진단에 앞서 치루가 나타나는 빈도가 매우 높으므로 치루 환자에서 크론병의 가능성을 염두에 둔다면 크론병 진단까지의 기간을 줄일 수 있겠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항문협착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의 발생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natural history of perianal fistulas in Korea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CD). Methods: A total of 546 patients diagnosed with CD at Asan Medical Center were included. Results: Perianal fistulas occurred in 265 patients (48.5%), with 355 episodes. Eighty-two patients (15.0%) initially presented with perianal fistulas in the absence of other symptoms suggestive of CD. Out of 265 patients who developed perianal fistulas, 205 (77.4%) presented with perianal fistulas before, or at the time of, the diagnosis of CD. The cumulative incidence of perianal fistulas at 1, 5, 10, 20 years was 40.7%, 48.2%, 55.3% and 62.1%, respectively. Medical treatment was done in 30.7%, and surgery in 80.8% of perianal fistulas. The remission rate was 23.9% with medical treatment, and 83.6% with surgery. At least 1 recurrent fistula occurred in 77 patients (29.1%). The cumulative recurrence rate of perianal fistulas at 1, 5, 10, 20 years was 10.1%, 26.9%, 42.4% and 68.8%,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perianal fistulas in Korean patients with CD appears to be higher than that of Western patients. Also,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develop perianal fistulas before the diagnosis of CD is very high.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D in patients with perianal fistulas to manage them properly, and thereby to reduce there complications. (Intestinal Research 2006;4:22-3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