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윤리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환경 요인에 대한 심리학 연구 고찰

        조은별 ( Cho¸ Eunbyul )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 2021 스포츠와 윤리 Vol.1 No.1

        본 연구는 심리학 연구가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요인들을 탐구한 주요 결과들을 고찰하여 스포츠윤리 및 스포츠윤리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심리학 연구의 접근방식에 따라 개인 요인, 환경 요인, 개인 요인과 환경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구분하여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개인요인으로 인지 부조화, 자기조절, 자아고갈을 주제로 한 연구를 살펴보았고, 환경 요인으로는 모델링, 동조효과, 윤리적 풍토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심리학 연구에서 논의하는 윤리적 행동의 발현 기제에 대한 관점을 적용하여, 스포츠 맥락에서 윤리적 행동을 강화하고 비윤리적 행동을 감소하기 위한 스포츠윤리 연구 및 스포츠윤리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sychological factors effecting on ethical behavior and to propos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sport ethics domain and sport ethics education by reviewing academic researches of psychology. Psychological studies, which focus on ethical behavior and its predictors, have been divided into three dimension based; individu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raction factors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tudies on cognitive dissonance , self-regulation, and ego depletion as individual factors were explored, and studies on modeling, conformity effects, and ethical climate were summarized as environmental factors. Applying the perspective on the mechanism of ethical behavior discussed in psychological research, specific methods and strategies of sports ethics research and sports ethics education could be developed to strengthen ethical behavior and reduce unethical behavior in sports contexts. Based on the findings, I propos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경혈학실습 체제적 교수설계를 위한 RPISD 모형 적용 연구

        조은별,김재효,홍지성,Cho, Eunbyul,Kim, Jae-Hyo,Hong, Jiseong 경락경혈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9 No.3

        Objectives : Instructional design is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We aimed to apply the rapid prototyping to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RPISD) in meridianology laboratory, a subject in which students train acupuncture to develop lesson plan. Methods : The needs of the stakeholders including client, subject matter expert and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erformance needs analysis model. Task analysis was implement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First prototype was drafted and implemented in meridianology laboratory class once. The second prototype was modified from the first, by usability evaluation of the stakeholders. Results : The client requested an electronically documented manual to improve the quality of acupuncture training. The learner requested an extension of practice time and detailed practice guidelines. The main problems of students' performance were some cases of violation of clean needle technique,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operator and recipient in direct, and lack of confidence in their own performance. Stakehold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posed first prototype. Second prototype of lesson plan was produced by modifying some contents. Conclusions : A lesson plan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systematic RPISD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instructional design may contribute to the quality improvement of meridianology laboratory education.

      • KCI등재

        학술연구와 소셜 빅데이터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비교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주제어 분석을 중심으로

        조은별(Cho, Eunbyul),민지연(Min, Jiyeon),박수원(Park, Soo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0 창의력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학술연구를 중심으로 구축된 형식지와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형성된 암묵지를 비교하여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창의성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제어 ‘창의성’으로 검색되는 학술연구와 웹페이지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에 관한 학술연구의 형식지와 소셜 빅데이터의 암묵지는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빈도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단어가, 소셜 빅데이터에서는 인지적 능력으로서 창의성 및 창의성이 적용되는 다양한 분야와 관련된 단어가 높은 빈도를 보였다. 유사도 분석 결과, 학술연구에서는 창의성이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며 기존의 정렬 방식에서 벗어나 이루어지는 의사결정력과 유사한 의미로 인식되었고, 소셜 빅데이터에서는 문제의 근본적 쟁점을 집념을 가지고 다루는 능력, 지식을 표상하는 능력과 유사하게 인식되었다. 토픽 모델링 결과, 학술연구는 창의성 발현 기제 및 교육과 관련된 5개 주제로 정리되었고, 소셜 빅데이터는 기업 및 정부 주도 사업과 같이 구체적인 해결 과제가 부여된 맥락에서의 창의성과 관련된 7개 주제로 정리되었다. 창의성에 대한 형식지와 암묵지의 차이는 우리 사회의 창의성에 대한 지식 구축과 활용에 제약이 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창의성에 대한 형식지와 암묵지 간의 순조로운 변환을 통해 창의성과 관련된 지식 구축과 활용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by comparing explicit knowledge built around academic articles and tacit knowledge (or explicit knowledge) formed around social big data and to seek the future direction of creativity research. Using text-mining techniques, we analyzed text of academic articles and web-sites about ‘creativity’.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keywords about creativity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cademic article whereas ‘creativity as cognitive ability’ and ‘kinds of field or domain to be needed creativity’. To find the meaning of ‘creativity’ in the context of each dataset, words with the highest similarities with ‘creativit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similarity analysis revealed that ‘various perspectives’, ‘rearrange’, and ‘decision making’ showed the highest similarity in academic articles, whereas ‘representation’ and ‘commitment’ emerged as the highest similarity in social big data. The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keywords of academic articles could be categorized into ‘direction of creativity development’,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development of creativity program’, ‘mechanisms of creativity’, and ‘social impact of creativity’, whereas the main topics in social big data were ‘competition for creative ideas’, ‘support system’, ‘government-level project’, ‘creative environment’, ‘corporate recruitment’, ‘government s direction of policy of creativity’, and ‘ability to cope with corporate crisis’. Finally, we suggested that the future theories and principles about creativity need to be identified and developed in through conversion between explicit and tacit knowledge of creativity.

      • KCI등재

        경골 고평부 골절 수술 후 관절가동추나의 적용 : 증례보고 2례

        조은별(Eunbyul Cho),조남근(Nam geun Cho) 척추신경추나의학회 2020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joint mobilizing chuna, by reporting two cases after tibial plateau fracture surgery. Methods Two patients with tibial plateau fractures were treated using joint mobilizing chuna, myofascial chuna, acupuncture, and herbal medication. The effect of the treatments was evaluated using the range of motion, manual muscle test, numeric rating scale, and Korean Knee Injury and Osteoarthritis Outcome Score. Results In both cases, the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 and pai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particular, the range of motion for knee joint flexion increased by 47° in case 1 and 30° (right) and 42° (left) in case 2.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especially joint mobilizing chuna, ma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habilitation after tibial plateau fracture surgery.

      • KCI등재

        청소년의 예술경험과 창의성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조은별(Cho, Eunbyul)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9 창의력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예술경험과 창의성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해 확인하고, 두 변인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성차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교육종단연구 자료 중 초4 패널을 활용하여 4차년(중학교 1학년)에서 8차년(고등학교 2학년)의 총 3,585명(남학생: 1,844명, 여자: 1,741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고등학교 시기의 예술경험과 창의성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이전 시점의 변인이 다음 시점의 변인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예술경험은 다음 년도의 창의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창의 성 역시 다음 년도의 예술경험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예술경험과 창의성의 자기회귀교차 지연 모형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술경험과 창의성이 상호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한 것이며, 창의성 교육의 방안으로서 예술 경험의 활용 가능성과 교육적 의미를 보여준 것이다. 마지막을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artistic experience and creativity. Using the dataset taken from the 4th to 8th waves of the 4th-panel data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artistic experience and creativity featured stable autoregressive paths significantly. Also, the previous artistic experienc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ater period creativity, as well as the previous creativity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later period artistic experience.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 between artistic experience. and creativity, which shows the two variable’s reciprocal 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rt experience as a method for creativity education and educational meaning. Finally, further directions for creativity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문사회 융합교육의 특성에 대한 교사 인식

        조은별(Eunbyul Cho),강미라(Mira K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8 영재와 영재교육 Vol.17 No.1

        본 연구는 다년간의 인문사회 융합교육 경험을 가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인문사회 융합교육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STEAM과 비교한 공통점과 차별점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융합교육의 특성들을 정리하였다. 교사들이 인식한 인문사회 융합교육과 STEAM의 공통점은 학습자의 흥미 증진을 목표로 하며, 학습자 참여식 교육 방법을 강조한다는 것이었다. 반면, 교사들은 STEAM이 주로 수학, 과학 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과 흥미 증진을 위해 ‘문제’를 중심으로 교과들을 연계하는 것과 비교하여, 인문사회 융합교육은 ‘주제 중심으로 교과를 연계’하고, ‘지식의 골격을 개인의 삶과 연계하여 성찰’하는 활동을 설계하며, ‘자신만의 관점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창의성’을 평가’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 STEAM과 차별화 되는 인문사회 융합교육만의 고유한 특성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실천에 적용할 수 있는 인문사회 융합교육의 발전 방안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qualitative study of teacher’s perception explored som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education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y by comparing to STEAM. First, teachers considered that both of them showed a common interest in enhancing learner s interest and learner-directed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perceived that educational goals and design strategy of them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irst, the core goals of humanities and social study 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r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hinking skill and realization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humanities and social study centered convergence education apply three main strategies in instructional design: 1) Contents design strategy to utilize a theme-centered subject integration 2) Learning activity design strategy to connects the core structure of knowledge with an individual’s life and 3) Evaluation strategy to assess the creativity of meaning making. We have identifie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y convergence education differentiated from STEAM. Based on this, we suggest the directions to be included in the educational model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공최(LU6)를 활용한 치질치료의 근거에 대한 문헌고찰

        조은별 ( Eunbyul Cho ),김청수 ( Cheoung Su Kim ),남연경 ( Yeonkyeong Nam ),권오상 ( O Sang Kwon ),양승범 ( Seung Bum Yang ),김재효 ( Jae-hyo Kim ) 경락경혈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38 No.4

        Objectives : Acupoint LU6 (Gongchoe) is known as an acupoint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bleeding caused by hemorrhoi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review acupoint LU6 for treating hemorrhoids. Methods : We searched both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using keywords “Gongchoe” and “hemorrhoids”. We further performed an online ancient literature search for crosscheck. The searched literature was stratified by country (Korea, China, and Japan), and data were organized chronologically. Concerning literature related to hemorrhoids, data based on acupuncture treatment were compiled. Results : The bone proportional measurement of the forearm had been 12.5 cun until the Qing Dynasty but was recorded as 10 cun in “Shinkyushinzui,” and the majority of modern Japanese and Korean literature indicated it as 10 cun. Gongchoe for treating hemorrhoids has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Shinkyushinzui” (Japan, 1941), “Shiyoungzongguo-zhenjiujingxuexue” (Taiwan, 1963), “Gyeonghyeolhak” (Korea, 1971), and “Jinzhenmeihuashichao” (China, late Qing dynasty), but except “Jinzhenmeihuashichao”, the location is different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standard acupoint location as it is 7 cun from the wrist out of 10 cun of the forearm bone proportional measurement. In addition, classical guides published until the Qing Dynasty did not report acupoint LU6 for the treatment of hemorrhoids.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Gongchoe in “Shinkyushinzui” and LU6 in WHO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Gongchoe (LU6)’s primary treatment for hemorrhoids has not been described in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further clinical evidence is needed to support it. When using Gongchoe for hemorrhoids, we should consider that the location of Gongchoe is closer to the LU5 than the standard acupuncture point locations and it is meaningful not only for treatment but also for diagnosis.

      • KCI등재

        참여자의 창의성을 발현하는 예술 감상교육 연구 : 뇌과학 연구와의 학제적 접근

        현혜연 ( Hyun Hyeyeon ),조은별 ( Cho Eunbyul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그동안 문화예술교육은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누구나 자신의 삶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이 다양한 활동영역 중에서도 주로 체험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감상교육에 대한 논의와 실천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의 뇌과학 연구들은 예술 감상이 단순한 지식과 시각정보 습득이 아니라, 창의적 과정임을 증명하고 있다. 감상은 관람자의 지각, 감정이 참여하는 과정이고, 개인적 방식으로 재창조하는 것임이 규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감상교육에 대한 관점의 전환이 필요하며, 논의와 실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뇌과학 논의에 기반하여 감상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참여자가 주도하고, 참여자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감상교육의 모색을 목표로, 감상경험의 정의, 속성, 뇌 처리 과정, 뇌과학의 모형들과 이들이 주는 통찰과 함의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참여자의 창의성 발현을 위한 감상교육 방향과 교육프로그램에서 적용할 요소들을 고찰하였다. 뇌과학 연구 결과들은, 감상경험의 참여자들이 자신의 기존 경험을 포함한 개인 특성과 맥락적 특성들을 복합적으로 반영하여 시각적 정보를 뇌의 전 영역에서 처리하며, 그 결과로 자신만의 고유한 정서 반응과 미적 평가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감상교육 모형은 참여자의 감상경험과 이를 촉진하는 교육 지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참여자의 감상경험은 감상교육이 감상 준비-감상 중-감상 마무리라는 일련의 인지적 정보처리 과정을 포괄한다. 따라서 각 과정마다 적절한 참여자 경험과 이를 촉진하는 교육 지원이 요구되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Creativity is an important capability not only for future talent but also for everyone living their daily lives. Until now,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played a role in helping anyone exercise creativity in their lives through continuous expansion. However, as art education was centered on process and experience, art-appreciation education was relatively lacking in discussion and practice. Recent neuroscience studies prove that appreciation of art is not just a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visual information, but a creative process. Art-appreciation is a process in which viewers' perception and emotions participate, and it is being re-created in a personal way. In this regard, a shift of perspective on appreciation education is nee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finition, necessity, process of art-appreciation education and to practice it in educational way. The study aims to seek art-appreciation education led by participants and expressed by participants' creativity. To that end, describes the definitions, attributes, brain processing, models of neuroscience, and the insights and implications they give.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art-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factors to be applied in the education program were considered. Neuroscience studies report that participants in the art-appreciation experience deal with visual information in all areas of the brain by combining person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own existing experiences, resulting in their own unique emotional responses and aesthetic evaluations. The model of art-appreciation education is divided into participants' appreci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 support that promotes it. Participants' appreciation experience encompasses a series of cognitive processing processes, such as preparation for appreciation, appreciation, and completion of appreciation.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that each course should require appropriate participant experience and educational support to facilitate it.

      • KCI등재

        대학생의 생애목표 유형 분석과 진로의식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탐색

        윤영 ( Yoon¸ Young ),조은별 ( Cho¸ Eunbyu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라 어떠한 잠재집단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잠재집단별로 대학생의 진로의식과 대학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의 7차년도 3,68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1) 출세중도형 집단, (2) 출세중도-명예지향형 집단, (3) 출세약세형 집단, (4) 출세우세형 집단의 네 개 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ANOVA를 이용하여 각 집단별로 진로의식과 대학생활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을 한 결과, 출세우세형 집단이 진로의식의 구체성, 자기이해, 자기결정성이 가장 높았고, 대학생활적응에서도 대인관계 만족도와 학습과정 수준이 가장 높아 전반적으로 적응적 특성들을 가장 높게 나타냈다. 반면, 출세중도형 집단은 진로의식 수동성이 가장 높았고, 자기결정성, 학습과정은 가장 낮아 전반적으로 가장 부적응적 특성들을 보여주는 잠재집단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출세중도-명예지향형 집단과 출세약세형 집단은 중간 수준의 진로의식과 대학생활적응이 혼재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애목표 유형을 다중 속성을 바탕으로 분석한 것으로, 바람직한 진로의식과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내재적 목표를 중심으로 다양한 목표 유형을 균형적으로 향상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atent classes that exist among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ife goal typ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f any, in their sense of caree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Data for the seventh year of the Korea Education Longitude Study were analyzed. The analysis identified four groups : (1) the middle-level success-oriented group, (2) the middle-level successand honor-oriented group, (3) the weak success-oriented group, and (4) the strong success-oriented group. Next, ANOVA was used to explore each group’s sense of caree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e strong success-oriented group had the highest specificity, self-understanding,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sense of career, and the highest level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learning process. Conversely , the middle success-oriented group had the highest passivity and self-determination in the sense of career, and its level of learning process was the lowest. The middle success- and honor-oriented group and the weak success-oriented group showed middle-level sense of caree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analyzed college students' life goal types based on multiple attributes, and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s to balance various life goal types around intrinsic goals are needed for a desirable sense of career and college life adaptation.

      • KCI등재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

        신종호(Jongho Shin),조은별(Eunbyul Cho),부은주(Eunjoo Boo),백아롱(Ahrong Beik),조수연(Suyeon Jo),강미라(Mira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 학습자 경험의 특성을 분석하여, 미래교육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A대학에서 한 학기 동안 개설된 ``통합창의디자인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 및 수강생과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융합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경험은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 경험``,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으로 정리되었다. ``융합의 조건 보기 경험``은 학습자가 융합 실현을 위한 기본 조건을 확인하고 융합의 개념과 방향성을 수립하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전문 영역들의 차이와 각 영역의 고유한 가치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융합 실현의 최소한의 기준임을 알게 되었다. ``개인의 한계 넘어서기``는 학습자들이 도전적인 프로젝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에 직면하고 이를 극복해가는 경험이었다. 학습자들은 자신감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면서 이 수업에서의 경험을 성장경험으로 인식하였다. ``결과물 중심의 융합 완결하기 경험``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전문 영역의 관점과 평가를 균형적으로 반영한 최종 결과물을 산출해냈다. 결과물을 완결하는 경험은 학습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융합교육에서만 가능한 ``하나의 경험``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에서의 학습자 경험이 기존 영역의 전문성을 중심으로 개인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융합 결과물을 산출하는 총체적인 경험이라는 점에서 융합교육의 고유한 특성을 드러낸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build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essential features of converg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of learner experience. The study`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and several in-depth interviews during a semester-long course titled Integrated Creative Design Project of "A" University, which were then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earner experience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nfirming the requisites of convergence", "going beyond one`s limits", and "completing convergence by developing the final products." First, the learners established their own concepts and directions on convergence. In this step, they comprehended the minimum standard to participate in the convergence program, which was to learn the distinctiveness and values of the separate domains. Second, the learners confronted challenges and overcame their limitations. In other words,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confidence and potentials while committing themselves to the project which aimed to produce outputs. Third, the learners finished their products by reflecting on various evaluations based on the different domains. This experience helped them to recognize that they had acquired ``an experience`` that was only possible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arner experience in convergence education has uniqueness in that it is regarded as a holistic experience while learners are challenging their limits of expert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