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경』 의 여래장적 해석과 성불론

        조윤호(Cho Yoon-Ho)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7 No.1

        이 글은 중국에서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을 통한 수용 과정에 보이는 성불론의 형성과 변용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화엄경』에는 여래장설이 직접적으로 설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의 『화엄경』연구자들은 자신이 이미 수용하고 있던 여래장사상을 토대로 이경을 해석한다. 따라서 여기에는 당연히 둘 사이의 거리가 발생할 것이 예상되며 해석의 정당성과 근거가 문제로 등장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와는 별개로 이 둘의 만남은 중국의 화엄교학 및 여래장설의 사상형성과 전개에 큰 흔적을 남기는 것으로 보인다. 우선 화엄교학 해탈·성불론의 형성과 관련해서는 화엄불교가 현실계와의 접점을 강화하는 한 계기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화엄불교가 여래의 진실계를 배경으로 하는 것에 반해 여래장설은 기본적으로 중생에 대한 주목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화엄의 불지·불신이 일체중생에 내재된 성불의 근거인 불성으로 해석될 경우 불지·불신이 보다 주체화되고, 나아가 실천주체의 설정이 여래에서 중생 자신으로 중심 이동하게 되어 주체적 실천이 강조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여래장설의 성불론과 관련해서는 여래장설은 『화엄경』의 중심 이념인 여래의 공덕·위신력이라는 외적 요인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성불의 조건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는 일체중생의 성불에 대한 강력한 담보를 포함해 전체적으로 여래장설의 성불 이념을 강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동시에 여래장설은 『화엄경』의 여래지·법신 등 중생 성불의 내적 근거 및 그것의 활동성을 확고하게 담보하게 되며, 여래의 위신력은 중생성불의 외적 조건을 적극적으로 담보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사실은 『화엄경』사상의 여래장적 해석과 전개과정에 드러나는 중국여래장설의 한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며, 동시에 여래장설의 중국적 전개과정에서 드러나는 화엄교학의 역할과 사상사적 의의를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이처럼 중국 화엄교학 및 여래장설의 해탈·성불론 형성과 전개에는 『화엄경』의 여래장적 해석과 수용이라는 사상사적 계기가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의 여래장설 및 이의 수용 위에 형성된 화엄교학에서는 불성이라는 이념적 근거를 토대로 해탈·성불론이 강화된 듯 보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이념적 층위의 전개일 뿐, 실제에 있어서는 해탈·성불에 대한 관심과 추구 노력은 도리어 약화되는 역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This treatise is to consider how the theory of Buddhahood by the Buddha-nature was transform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in China. Certain thoughts are made based on a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products i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ought. Chinese annotators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interpret it based on the Buddha-nature thought which was already accepted to themselves. Therefore, it is foreseen that there occur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By the way, its interpretational legitimacy and ground comes into question. The Buddha-nature thought of China involves a change of content by accepting the Gaṇḍa-vyūha-sūtra with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Buddha-nature. Especially, with concerns about the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in the Buddha-nature theory, it can be said that the Buddha-nature position and the truth body ensure solidly internal grounds and its activities for humankind to attain Buddhahood, and Buddha-nature's dignity power of good deeds and merciful actions 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Gaṇḍa-vyūha-sūtra ensures actively the absolute of external conditions for humankind to attain Buddhahood. It means that the Buddha-nature thought is recreated as the powerful theory of attaining Buddhahood with accepting the thought of the Gaṇḍa-vyūha-sūtra in China.

      • KCI등재

        중국화엄사상의 한국적 전개 (관념성과 실천성의 사이에서)

        조윤호 ( Yoon Ho C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이 글에서는 중국과 한국에서 화엄사상의 수용양태와 사상적 특징을 세계관과 인간관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 결과 중국의 화엄사상에서는 세계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 해명에 논의가 집중되며, 그 과정에서 근원ㆍ궁극ㆍ절대의 상정과 그것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통일적 이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한국의 화엄사상가들은 중국화엄의 중심 이념을 수용하면서도 특히 인간의 실존적 상황 극복에 대한 노력을 강조함으로써,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서 그 실천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수용 태도의 배경에는 중국화엄사상가들의 경우 거시적 관점에서 세계의 본질에 대한 해명에의 관심이 작용하고 있으며, 한국화엄사상가들의 경우 성불을 위한 실천 의지와 희망 의식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다만 세계에 대한 거대담론이건 성불을 향한 실천론이건 동아시아인들에게 그것이 갖는 관념성은 여전히 한계로 남았으며, 결국 그 해결은 선불교에 위임된다. This paper analyzed how Chinese and Korean accepted the Avatamska thought and what features they made centering on the view of the world and human beings.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Chinese understanding of the Avatamska thought emphasized theoretical clarifications of the essence of the world and humans, and in the process supposed the origin, ultimate and absolute, and focused on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On the contrary, Korea Avatamska thinkers accepted major ideas of the Chinese version, but stressed our efforts to overcome existent circumstances and accordingly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he thought as a way to solve problems in our lives. Chinese Avatamska thinkers had interest in clarifying the essence of the world from a broad point of view. However, Korean thinkers approached the Avatamska thought out of their will and hope to attain Buddhahood. This difference resulted in two dissimilar developments of the Avatamska thought in two countries. Still there is a limitation in East Asian Avatamska thoughts whether its aspect of a meta-discourse about the world or its practicality to be a Buddha is emphasized, that is, its ideality. The solution to the limitation is later placed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Zen Buddhism.

      • KCI등재

        현공 윤주일의 불교사상

        조윤호(Cho Yoon-Ho)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59 No.1

        이 글은 해방 후 불교학 연구와 대중 불교운동을 적극 전개한 윤주일(尹柱逸, 1895-1969)의 불교사상을 조명하는 것을 중심내용으로 한다. 윤주일은 개화기의 불교 개혁과 대중화 이념을 계승함과 동시에 해방 후 전개된 새로운 시대상황과 요청에 부응해 불전 국역, 국역불교성전 편찬, 대중 불교 입문서 저술, 포교사 양성, 생활불교 실천, 참선 수행 등 활발한 연구와 교육을 통해 한국불교의 미래를 개척하기 위해 노력한다. 윤주일은 불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불식을 위해 불교의 합리성, 현대성, 유용성, 평화주의 등에 주목함으로써 불교를 단순한 종교를 넘어 철학과 과학으로 재해석한다. 동시에 우주론으로서의 불교해석, 3천년 불기연대론의 주장, 삼교의 회통적 해석, 화엄과 선불교 중심의 불교이해, 일본불교에의 의존 등은 불교연구를 단순한 학문적 차원을 넘어 스스로의 삶과 우주의 궁극적 진리 탐구 작업으로 수행하는 그에게 그것은 한계라기보다는 그의 불교이해가 갖는 특징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윤주일의 불교이해는 해방 전후 한국 불교계 사상지평의 한 모습을 보여줌과 동시에 이후 한국불교계에 있어 불교이해의 기본적인 흐름을 선취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현대 불교사에서 세대 구분을 설정한다면 윤주일은 그 형성의 주역으로서 제1세대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writing focuses on inspecting the thought on Buddhism of Yun Ju-Il(1895-1969)who studies the science of Buddhism and does positively the public movement of Buddhism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He succeeds Buddhism reformation and a popularization idea of the enlightment season, and with doing many activities, that is, translating a Buddhist text into Korean, editing Korean-Buddhist Bible, writing a guide book for the public Buddhism, training a person teaching Buddhism, practicing Buddhism in daily life, the Seon-Buddhist meditation practicing etc., makes an effort to open up the future of Korean Buddhism. Yun Ju-Il reinterprets Buddhism, not only as a religion, as a philosophy and science with paying attention to rationality, modernity, availability, pacifism of Buddhism to remove a negative understanding on Buddhism. At the same time, he interprets Buddhism as cosmology, suggests that Buddha Era begins from 3thousands years ago, takes a position of three thoughts' unification, understands Buddhism focused on Hwa-Eom and Seon Buddhism, and depends on Japan Buddhism. But these facts can be valued as the distinctive quality his understanding Buddhism rather than his limitation. Because he studies Buddhism not simply as a science ,but as a work to pursuit the ultimate truth of universe and his life. His understanding on Buddhism shows one aspect of Buddhism world in Korea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it preoccupies the basic current of understanding Buddhism in Korean Buddhism world. If it sets up a division of gener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Buddhism, Yun Ju-Il has a position of the 1st generation as the leading thinker founding Korean modern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종밀의 원각경주석서에서 교와 선의 관계론

        조윤호(Cho, Yoon-ho)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57 No.-

        이 연구는 8~9세기 동아시아에서 전개된 소위 교와 선, 이론불교와 실천불교의 관계론을 둘러싼 거대담론의 전개 과정에서, 둘의 ‘和會’라는 방향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내용을 구축해 제시하고 있는 하나의 사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종밀의 초기 저작이라 판단되는 그의 『원각경』 주석서들을 조사하여, 그가 교와 선의 접점을 어디에서 찾고 있는가, 그리고 그 융합의 방식은 어떤 것인가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확인된 중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밀의 경우 『선원제전집도서』에서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후에 널리 그의 사상적 특징이라고 일컬어지는 교선일치와 같은 이념은 이미 『원각경』 주석서들에서 기본적인 틀이 형성되었다. 이 둘에 대한 회통적 해석의 구체적 방법과 내용은 禪개념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통해 불교의 수행론 특히 중국 선종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인하고, 이에 의해 신회 사상의 진리성 확신을 토대로 모든 불교의 수행론을 재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종밀에게 『원각경』은 교와 선의 화회가 구현된 최고의 매개체로 해석되며, 결과적으로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그의 결론은 『원각경』 교설과 神會사상의 일체화였다. ‘화엄선’ 등에 의해 교와 선의 관계론에 대한 종밀의 사유지평을 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지점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is commentaries on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hich are considered relatively early works of Tsungmi. Through this work, the question of where does Tsungmi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nd what is the method of fusion was examined. The confirmed central conten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Tsungmi, the idea of unit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presented in the Ch’an-yüan-chü-ch’üan-chi Tu-hsü has already formed a basic framework in his commentaries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The method and content of the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of both is carried out through a new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Ch’an. He also confirms the Buddhist practice theory, especially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Chinese Ch’an sect. Through this, it was to reinterpret all Buddhist practices since Indian Buddhism, based on the conviction of the truthfulness of Shenhui thought. In this process, for Tsungmi,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is interpreted as the best medium in which the synthesis of teaching and practice is embodied and, consequently, his conclusion on the relational theory of teaching and practice was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 of The Complete Enlightenment Sūtra with Shenhui’s thoughts. Re-discussion is needed on defining Tsungmi’s thoughts on the relational theory between teaching and practice as “Huá yuàn-Ch’an”.

      • KCI등재
      • KCI등재

        혜원의 신체 중심적 인간 이해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8

        4~5세기 중국사상계는 중국과 인도, 대승과 소승이라는 이질적 문화와 세계관의 각축의 장이었다. 중국의 불교도로서 혜원은 이같은 사상적 상황 속에서 한편으로는 불교비판에 대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상적 지반을 확보해야만 했다. 윤회보응, 법신 등은 중국전통에서 매우 낯선 사유였으며, 이들 문제의 이해 과정에서 혜원에게는 중국의 현상 실재론과 설일체유부의 법실재론적 사유가 혼재된 상태로 드러난다. 『명보응론』에서 혜원은 윤회보응의 발생과 전개를 설일체유부의 삼세양중 업감연기설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동시에 그는 생명체의 탄생과 전개를 중국고유의 사유전통에 의해서 이해한다. 『구마라집법사대의』에서도 혜원은 반야, 공의 사유로 온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인간 이해에는 색법의 실재 및 유,무의 이분법적 사고가 전제되어 있으며, 몸을 기본적으로 연장성, 형상성을 본질로 하는 것으로 봄으로써, 법신의 이해에서도 신체의 토대성에 주목한다. 혜원의 이같은 이해에는 그의 『아비담심론』과 『삼법도론』번역 및 학습이 직접적인 배경으로 추측되며, 또 현실 중시의 중국적 사유전통 역시 주목된다. 아울러 이같은 혜원의 이해는 구마라집의 무자성, 공론의 세계관에 의해 비판되고 극복된다. The world of Chinese thought was the arena of struggle among the different cultures and world views based n China and India, Mahayana and Hinayana in the time of 4th and 5th centuries. Hye-Won, one of the Buddhists in China, had to reply to criticism of Buddhism, and have the base of his own thought wired in this situation. The notions of sansara, nemesis, Dharma-body were very different from Chinese traditional thought, and it is found in Hye-won's understanding on these notions that the phenomenon existence thought of China and the Dharma existence thought of Sarvastivadins were mixed. Hye-Won understood samsara and nemesis with viewpoint of the three times and two level of cause and effect from Karma in his the explanation on nemesis. He also understood the birth and change of life wih viewpoint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His understanding did not shift to the thought of prajna-sunyata in the meaning of Mahayana by Kumarajiva Dharma-preacher. His understanding on Human beings premise the thought of material being existence and dichotomy of being or nonbeing, and he thought the essence of body was extensity and shape. In may be said that Hye-Won's understanding was directly caused by translation and learning of the theory on heart of the Abhidharma and the three key theory, and also Chinese traditional realism. His understanding was criticized and overcome by the world view of prajna and asvabhava and sunyata of Madhyamaka school conveyed by Kumarajiva.

      • 창의성 연구의 흐름과 관점에 따른 기초디자인 교육 방향 -산업디자인 영역을 중심으로-

        조윤호 ( Yoon Ho Cho ) 경기대학교 부설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조형논총 Vol.12 No.-

        창의성 연구는 현재에도 관점의 차이에 따라 정의에 대한 문제가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길지는 않으나 창의성 연구 대상에 대한 시대적 흐름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들 연구 내용들의 공통적인 두가지 핵심요소는 ``새로움``과 ‘적절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최근의 창의성 연구는 개인의 선천적능력이 아닌 학습과, 동기부여 등의 외적 요인 관계 등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소비 및 기술 진보에 따라 디자이너 역량을 창의성에 대한 기존 연구 관점을 바탕으로 심리학 관점이 아닌 디자인 교육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칙센트미하이의 창의성 연구를 중심으로 각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즉, 교수자의 경험을 기반으로하는 조력자의 역할 강조와 학습자의 능동적 동기부여에 대한 이론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