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신 연구 소개 :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 Amitriptyline의 효과

        조윤주 ( Yunju Jo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6 No.4

        기능성 위장질환에서 항우울제 등은 흔히 처방되는 약제이지만, 기능성 소화불량증(functiona dyspepsia, FD)에서는 이러한 약제들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FD 환자에서 증상, 위배출능, 식이에 의한 포만감 등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1 2006년 10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환자가 등록되었으며, Rome criteria II에 합당한 FD 환자를 대상으로, 8개의 북아메리카 다기관에서 진행되어 총 292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등록된 환자는 무작위 배정되어 위약, 50 mg amitriptyline, 10 mg escitalopram을 각각 10주 동안 복용하였다. 약제의 투약 방법은 야간 취침 전 1회 복용이었다. 이 연구의 일차 유효성 평가항목은 지난 10주 투약 기간 동안 적어도 50% 증상의 완화(self report, yes/no) 였으며, 첫 2주의 결과는 제외하였다. 이차 유효성 평가 항목은 10주 투약 전후 의 위배출시간, 유동식 부하 포만감 검사(nutrient drink test) 에서 maximal tolerated volume, 삶의 질의 변화였다. 이번 연구 결과, 여성이 FD 환자의 75%, 백인이 86%를 차지하였으며 14%에서 Helicobacter pylori 항체가 양성이었다. 등록된 FD 환자의 70%는 dysmotiltiy-like FD였으며, 30%는 ulcer-like FD였다. Dysmotility-like FD 환자 204명 중, 22% (44명)에서 위배출능이 지연되었고, 57% (116명)에서 비정상적인 조기 포만감을 보였다. 292명 중 75%에서 12 주 투약을 완료하였으며, 각각 placebo, amitriptyline, escitalopram 77%, 80%, 67%에서 투약이 완료되었다. Intent-to treat 분석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인 정도는 위약군의 40%, escitalopram군의 38%, amitriptyline군에서 53%였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특히 ulcer-like FD 환자 에서, 위약군이나 escitalopram에 비하여(각각 39%, 27%) amitriptyline 투약군에서 67% 호전을 보였고, 이는 위약군에 비해 amitriptyline 투약군에서 교차비 3.1 (95% 신뢰구간: 1.1-9.0) 이상의 증상 호전을 보였다. 그러나 amitriptyline이나 escitalopram 어느 군에서도 투약 전후로 위배출 기능이나 maximal tolerated volume, 삶의 질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FD에서는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계열인 amitriptyline이 증상 호전에 유의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s) 계열에 포함되는 escitalopram에서는 그 러한 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TCA 항우울제는 ulcer- like FD에서 통증 조절에 더 효과적이며, 지연된 위배출기능을 호전시키지는 못했다. Effect of Amitriptyline and Escitalopram on Functional Dyspepsia: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y (Gastroenterology 2015;149:340-349.e2)

      • SCOPUSKCI등재

        이물질에 의해 발생한 십이지장 게실염의 소장내시경적 진단 및 치료 증례

        강승모 ( Seung Mo Kang ),조윤주 ( Yunju Jo ),조영관 ( Young Kwan Cho ),안상봉 ( Sang Bong Ahn ),김성환 ( Seong Hwan Kim ),박영숙 ( Young Sook Park ) 대한장연구학회 2011 Intestinal Research Vol.9 No.3

        Duodenal diverticulitis is a rare complication of the duodenal diverticulum. Its rarity is due to the relatively large diameter of the duodenum, which makes the intraluminal flow of sterile liquid duodenal contents fluent. Additionally, nonspecific signs and symptoms of duodenal diverticulitis make it very difficult to diagnose properly. We describe a patient presenting with abdominal pain, nausea, and leukocytosis, with diverticulitis of the third portion of the duodenum caused by the impaction of a foreign body, who was diagnosed and treated with enteroscopy. (Intest Res 2011;9:243-246)

      • KCI등재

        만성 기능성 변비의 진단과 치료 임상 진료지침 개정안 2015

        신정은 ( Jeong Eun Shin ),정혜경 ( Hye-kyung Jung ),이태희 ( Tae Hee Lee ),조윤주 ( Yunju Jo ),이혁 ( Hyuk Lee ),송경호 ( Kyung Ho Song ),홍성노 ( Sung Noh Hong ),임현철 ( Hyun Chul Lim ),이순진 ( Soon Jin Lee ),정순섭 ( Soon Sup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1 No.2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first published guidelines for chronic constipation in 2005 and was updated in 2011. Although the guidelines were updated using evidence-based process, they lacked multidisciplinary participation and did not include a diagnostic approach for chronic constipation. This study includes guideline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to realistically fit the situation in Korea and to be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The guideline development was based upon the adaptation method because research evidence was limited in Korea, and an organized multidisciplinary group carried out systematical literature review and series of evidence-based evaluations. Six guidelines were selected using the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 Evaluation II process. A total 37 recommendations were adopted, including 4 concerning the definition and risk factors of chronic constipation, 8 regarding diagnoses, and 25 regarding treatments. The guidelines are intended to help primary physicians and general health professionals in clinical practice in Korea, to provide the principles of medical treatment to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to help patients for choosing medical services based on the information. These guidelines will be updated and revised periodically to reflect new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thods. (Korean J Med 2016;91:114-130)

      • KCI등재

        An Analysis on Serious Games and Stakeholders’ Needs for Vocal Training Game Development

        Xiaopeng Yang(양샤오펑),Edwina Dwi Sadika(에드위나 사디카),Gradiyan Budi Pratama(그라디안 프라타),Younggeun Choi(최영근),Yu-Kyung Kim(김유경),Ji-Yun Lee(이지윤),Yunju Jo(조윤주),Giwook Kim(김기욱),Jin-Kook Lee(이진국),Min-Jung Yu(유민정),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발성훈련에 대한 언어치료 환자의 치료 동기와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성 게임에 대한 요구사항과 개발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문헌조사, 이해당사자 요구조사, 기존 3가지 발성훈련 게임(Visi Pitch, Dr. Speech, Vox System)의 벤치마킹 분석이 수행되었다. 결과: 문헌조사를 통해 13가지 게임 사용자 경험 척도들(유용성, 서사성, 몰입, 즐거움, 창의성, 오디오 심미성, 개인적 충족감, 사회적 연결성, 시각적 심미성, 정확성, 개인 맞춤형 분석, 게임 분석, 치료 연속성)이 파악되었다. 사용자 경험 척도들 중 기존 언어치료게임에서 일반적으로 미흡한 속성들로는 창의성(평균 만족도=2.5-4.3; Likert 7점 척도 사용), 사회적 연결성(2.4-4.4), 치료 연속성(1.7-4.7), 그리고 개인 맞춤형(2.5-5.0)이 파악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사용자 경험 척도들은 발성훈련 기능성 게임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게임들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사용성 경험 척도를 보완하는 새로운 기능성 게임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need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a serious vocal training game for better motivation and commitment of patients with voice disorder to voice therap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 survey of stakeholders’ needs, and a benchmarking analysis of three vocal training games (Visi Pitch, Dr. Speech, and Vox System) was conducted. Result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irteen game user experience scales (usability, narratives, play engrossment, enjoyment, creative freedom, audio aesthetics, personal gratification, social connectivity, visual aesthetics, accuracy, customization, game analytics, and therapy continuity) were identified for vocal training games and then applied to evaluation of the existing games. From the user experience scales, features not commonly implemented in the existing games include creative freedom (average satisfaction score, 2.5 to 4.3 out of 7), social connectivity (2.4 to 4.4), therapy continuity (1.7 to 4.7), and customization (2.5 to 5.0). Conclusion: The user experience scales would be of use to assess vocal training games, and new serious games need to be developed to complement the existing games in terms of the four scales found relatively lac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