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Rat Liver

        조운복(Un-Bock Jo),김성로(Sung-Ro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3

        흰쥐의 간조직에 미치는 gramoxone 독성과 비타민 C의 완화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Gramoxone처리군에서 간세포의 혼탁종창과 지방변화가 사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하고 혼탁종창보다는 지방변화가 더 현저하였으며, 특히 간소엽의 문맥야주변대 간세포에서 지방변화가 심하였다. Kupffer세포의 수도 증가하여 4주 사육군에서 제일 많이 증가하였다. Gramoxone-비타민 C 처리군에서 간세포의 혼탁종창과 지방변화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세포의 glycogen 함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해 gramoxone처리군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지방변화가 많이 일어난 간세포에서 glycogen 함량이 더 많았다. Gramoxone-비타민 C 처리군에서 gramoxone처리군에 비해 간세포의 glycogen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behaviour of glycogen and histological changes of hepatic tissues in the liver of rats, aged 6 to 7 weeks, fed 18% casein diet under control, gramoxone and gramoxone+vitamin C(Vt. C) diets has been investigated in a combined histopathological and histochemical studies. Cloudy swelling and fat changes of hepatic cells were observed in the gramoxone group with the duration of feeding time. Fat changes of hepatic cells were observed more obviously than cloudy swelling, especially in the hepatic cells of periportal area. The number of Kupffer's cell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amoxone group fed for 4 weeks. The cloudy swelling and fat changes decreased obviously in the gramoxone+Vt. C group. Glycogen content of hepatic cells tended to increase slightly in the gramoxone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Moreover, glycogen depositions were higher in the hepatic cells where fat changes were obvious. Glycogen content appeared to decrease in the gramoxone+Vt. C group as compared with the gramoxone group. It seems to be that Vt. C has alleviating effects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patterns of glycogen distribution and histological structure of hepatic tissues.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Total Lipid Contents,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Patterns of Rat Liver

        조운복(Un-Bock Jo),김성로(Sung-Ro Kim),최병태(Byung-Tae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6

        흰쥐의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간지질함량, 간내 과산화지질 및 단백질양사에 미치는 gramoxone독성과 비타민C의 완화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및 간무게는 gramoxone처리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에서 gramoxone처리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의 지질함량과 TBA가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gramoxone처리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에서 gramoxone처리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간단백질 양상은 gramoxone처리군과 정상대조군에서 별 변화가 없었고 gramoxone처리군의 2주 사육군에서 정상대조군에 비해 단백질량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에서 단백질양상에 변화가 왔으며 고분자량의 단백질량은 감소하고 저분자량의 단백질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made to determine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Vt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rats with respect to the growth gain, feed efficiency ratio, total lipid contents, lipid peroxidation and protein patterns in rat liver. Growth gain, feed efficiency ratio and liver weight in the gramoxone group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ile those values obtained in the gramoxone-Vt C group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gramoxone group. Lipid contents and TBA value of rat liver of the gramoxone group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ose values of the gramoxone+Vt C group wer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gramoxon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liver protein patterns between the gramoxone and the control group. The contents of liver protein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amoxone group fed for 2 week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changes of the liver protein patterns, such as the decrease of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and the increase of low molecular weight protein were observed in the gramoxone + Vt C group.

      • SCOPUSKCI등재

        Alleviating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Mucosubstances of Rat Duodenum

        조운복(Un-Bock Jo),김성로(Sung-Ro Kim),최병태(Byung-Tae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3 No.3

        식이속의 비타민 C가 피리딘계 제초제인 gramoxone의 독성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위해 6~7주령의 Wistar계 흰쥐 숫놈 32마리를 정상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어 자유급식법으로 4주간 사육하였다. 정상대조군은 2, 3 및 4주 사육군으로 나누고 18% casein식이로 사육하였고 실험군 중 gramoxone처리군도 2, 3 및 4주 사육군으로 나누고 18% casein식이에 0.04% gramoxone을 첨가하여 사육하였으며,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은 2주 사육군의 gramoxone처리군의 흰쥐에다 18% casein식이에 0.04% gramoxone과 3% 비타민 C를 첨가하여 1주 및 2주 사육하여 3 및 4주 사육군으로 하였다. 십이지장의 조직학적 구조 및 배상세포의 형태변화는 hematoxylin-eosin염색으로, 배상세포내 점액질양과 성상변화는 PAS, alcian blue pH 2.5 및 1.0, alcian blue pH 2.5-PAS염색, alcian blue pH 1.0-PAS염색 및 alden blue pH 1.0-PAS염색 및 aldehyde fuchsin pH 1.7-alcian blue pH 2.5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정상대조군의 십이지장 융모 및 은와에는 강 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와 non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의 분비하는 배상세포가 섞여 있었으며 융모 배상세포내 점액질양이 은와 배상세포내 점액질양보다 많았으며 사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액질양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ramoxone처리군의 경우 십이지장의 산성점액질 및 중성점액질양이 다 같이 감소되며 사육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 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수는 감소하는 반면에 non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는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의 경우 감소된 산성점액질과 중성점액질양이 다시 증가하고 감소 되었던 강 sulfomucin과 중성점액질을 분비하는 배상세포가 다시 증가하였다. 십이지장 배상세포의 형태변화는 gramoxone처리군의 경우 커진 세포, 공포변성된 세포, 세포막이 파괴된 세포 및 미성숙세포가 많이 관찰되었으나 gramoxone-비타민 C처리군의 경우 그 수가 감소되었다. 위의 사실로 보아 비타민 C는 흰쥐 십이지장의 배상 세포형태 및 점액질에 미치는 gramoxone의 독성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vitamin C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the duodenal goblet cells of rats were investigated using histochemical methods. Rats in control, gramoxone and gramoxone+vitamin C(Vt. C) group, aged 6 to 7 weeks, were fed 18% casein diet. In the gramoxone group, neutral and acid mucins of the goblet cells in villi and crypts of duodenum tended to decrea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goblet cells secreting nonsulphated mucins tended to increase in number, being usually accompanied by a decrease of the goblet cells secreting sulphated mucins which are prominent in the duodenal mucosa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goblet cells secreting nonsulphated mucins tended to increase in the gramoxone+Vt. C group.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goblet cells in the gramoxone group were noted vacuolation and demolition of goblet cells, while thos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in the gramoxone+Vt. C group. It seems to be that Vt. C has alleviating effects on the gramoxone toxicity in secretion and production of the duodenal goblet cells.

      • KCI등재

        N-Nitrosodimethylamine이 흰쥐 혀침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조운복(Un Bock Jo),최윤주(Yun Ju Choi),조기진(Gi Jin Jo),박숙미(Suk Mi Par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2

        발암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NDMA) 17 mg/kg을 경구 투여했을 때 흰쥐 혀 von Ebner 샘과 혀 점액 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 -1, sWGA, RCA-1, UEA-l, Con A 및 LCA)을 사용하려 조직화학적으로 연구하였다. 혀 von Ebner 샘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의 결합양상은 NDMA투여 군에서 DBA, PNA, BSL-l 및 sWGA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PNA 은 NDMA투여 후 12시간 군과 24시간 군에서, DBA는 NDMA투여 후 96시간 군에서, BSL-l은 NDMA투여 후 72시간 군에서 그리고 sWGA는 NDMA투여 후 3시간 군이었으며 가장 현저한 감소는 BSL-1 와 sWGA에서 NDMA 투여 후 12시간 군이었다. PNA 와 sWGA는 NDMA투여후 72시간 군 이후에, BSL-l과 DBA는 NDMA투여 후 120시간 군 이후에 각각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SBA, RCA-1는 NDMA 투여 군에 NDMA 투여 후 3시간 군에서 감소되었으나 그 이외 NDMA 투여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BA 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RCA-1은 현저하지 않았다. UEA-1, LCA 및 Con A는 NDMA투여 군에서 감소와 증가의 변화가 다소 있었으나 현저하지 않았다. 혀 점액샘의 glycoconjugates에 대한 lectin의 결합양상은 NDMA투여군에서 SBA, sWGA 및 UEA-1은 대조 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가장 현저한 감소는 SBA와 sWGA의 경우 NDMA투여후 3시간 군에서 , UEA-1은 NDMA투여후 3시간군과 24시간군이었으며, 현저한 감소는 SBA경우 NDMA투여후 24시간군과 48시간군에서, sWGA경우 NDMA 투여후 48시간군, 72시간군 및 96시간군에서 UEA-1경우 NDMA투여후 48시간군이었다. SBA 와 UEA-l은 NDMA투여후 96시간군 이후에, sWGA는 NDMA투여후 120시간군 이후에 회복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NA와 Con A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였으나 현저하지 않았으며 LCA는 다소 증가되었다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였다. DBA는 NDMA투여후 12시간군과 24시간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으나 그 외군에서 증가되었으며 NDMA투역후 96시간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NDMA 독성은 혀의 발 암원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파괴된 침샘꽈리의 수복에 glycoconjugates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흡연이 흰쥐 복부 피지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lectin 조직화학

        조운복(Un Bock Jo),정길남(Gil Nam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실내 환경 오염원으로 각종 암 발병과 관련이 있는 흡연이 피부 피지샘의 glycoconjugates에 미치는 영향을 lectin 조직화학으로 연구하였다.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에 1일 1회 10분간 1일군, 2일군, 3일군 및 5일군으로 나누어 직ㆍ간접 흡연 방법으로 폭로시켜 피지샘 형태는 PAS 염색, 피지샘의 glycoconjugates 양상을 9종의 biotinylated lectin (DBA, SBA, PNA, BSL-1, WGA, RCA-1, UEA-1, Con A 및 LCA)으로 연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흡연군에서는 피지샘꽈리의 크기 감소, 피지샘꽈리 상부의 파괴, 중앙부 피지세포의 공포화 및 미성숙 피지샘꽈리가 관찰되었다. 대조군에서 피지샘 glycoconjugates에는 염색성에 차이가 있으나 기저세포는 BSL-1, PNA 및 WGA에만 반응하고 BSL-1의 반응이 더 강하며, 피지세포는 PNA, WGA, Con A, BSL-1 및 SBA에만 반응하고 PNA 및 Con A의 반응이 더 강했다. 흡연군의 렉틴 반응에서 특이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흡연군의 피지샘 기저세포의 PNA 반응은 증가되었고, BSL-1는 감소되었다가 회복되었으며, WGA는 소실되었다. 피지세포의 Con A는 증가하였으나 PNA, BSL-1, WGA 및 SBA는 감소 또는 소실되었다. 대조군에 관찰되지 않던 흡연군의 미성숙 샘꽈리 PNA, Con A 및 BSL-1이 반응하였으며 PNA 및 Con A의 반응이 더 현저하였다. 결론적으로 흡연은 피지샘의 형태 및 glycoconjugates 대사에 심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We studied the effects of smoking, which is one of indoor-environmental pollutants and related to various cancers, on glycoconjugates of rat sebaceous glands with the lectin histochemistr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oking on glycoconjugate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exposed to tabacco smoke for 10 minutes per day in an inhalation chamber for 1, 2, 3, and 5 days with active and passive exposure. For the structure of sebaceous glands we used PAS reaction, and for the glycoconjugates binding pattern 9 biotinylated lectins (DBA, SBA, PNA, BSL-1, WGA, RCA-1, UEA-1, Con A, and LCA) were used. Some remarkable changes, such as the decrease in the size of sebaceous glandular acini, the destruction of upper portion of sebaceous glands, vacuolation of central portion of sebocytes, and the immature sebaceous glandular acini were seen in the smoke-exposed rats. In the control rats, basal cells were stained with BSL-1, PNA and WGA, but the stronger reaction was founded in BSL-1 binding. Also, sebocytes were stained with PNA, WGA, Con A, BSL-1 and SBA, but stronger reactions were founded in PNA and Con A stainings. Specific changes in the lectin binding patterns were also observed in the smoke-exposed rats. In the basal cells of exposed rats, PNA binding increased, BSL-1 decreased but returned to control level, and WGA disappeared. Plus, immature glandular acini, which were not found in the control rats, were stained PNA, Con A and BSL-1, but the stronger reaction were founded in PNA and Con A binding. In conclusion, it was assumed that the tabacco smoke seriously effected on the structure and glycoconjugates metabolism of sebaceous glands.

      • KCI등재

        발생기 흰쥐 대뇌 피질의 복합당질에 미치는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의 영향

        이응희,조운복,Lee, Eung-Hee,Jo, Un-Bock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6

        발생기 흰쥐 대뇌피질 발생에 따른 복합당질의 발현 양상 및 이에 미치는 EGEE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태생 14일, 태생 18일, 생후 수유기 및 이유기와 성제 대뇌를 각 부위로 나누어 복합당질의 당잔기 변화 양상을 9종의 biotinylated lectin(DBA, SBA, PNA, BSL-1, sWGA, RCA-1, UEA-1 Con A 및 LCA)으로 관찰하였다. EGEE 투여시 발생기에 따라 대뇌피질층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렉틴은 Con A 와 LCA 이었고, PNA와 RCA-1은 피질 부위에 따라 부분적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결합반응을 보인 렉틴의 수가 감소하였고 DBA, SBA, BSL-1, RCA-1 및 UEA-1은 나타나지 않았다. EGEE 투여시 전 시기에 걸쳐 Con A는 대조군과 유사한 반응을, LCA는 대조군에 비해 태생기, 수유기 및 이유기 때에 반응성이 증가되어 나타났다. 태생기 때 SBA와 sWGA에는 반응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PNA는 전두엽피질과 후두엽피질에서 감소하였으며, 두정엽피질과 측두엽피질에서는 반응이 없었다. 수유기 때 PNA는 대조군에 비해 반응이 감소되었고, sWGA에는 반응이 없었으며, 이유기 때에는 sWGA와 PNA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성체기 때에는 PNA와 sWGA에 반응이 없었고, Con A에 대해 반응이 감소되었으며, LCA는 전두엽피질와 후두엽피질에서 반응이 감소되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환경 호르몬인 EGEE가 대뇌피질의 각 부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있지만, 대뇌피질 분화와 성장에 조직병리학적으로 심한 영향을 마치고, 특히 수유기에서 제일 심하였고, 대뇌피질의 $galactosyl-({\beta}-1,3)-N-acetyl-D-galactosamine$, ${\beta}-N-acetyl-D-galactosamine$, ${\beta}-N-acetyl-D-glucosamine$은 감소하고, ${\alpha}-D-mannose$와 ${\alpha}-D-glucose$가 증가하여 이들 당대사에 심한 영향을 미치며, 태생기, 수유기에서 제일 심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lterations of the cerebral cortex. The effects of EGEE on the developmental cerebral cortex in the prenatal, postnatal and adults were examined by lectin histochemical method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ugar residues of glycoconjugates, biotinylated lectins(DBA, SBA, PNA, BSL-1, RCA-1, sWGA, UEA-1, Con A and LCA) were detected with by IHC using ABC kit. In the case of injection of EGEE, the reactions to Con A and LCA were shown in binding phase in the cerebral cortex commonly, and the reactions to PNA, RCA-1 and LCA were shown partially, the number of lectins to be shown reaction were decreased, and there were no reactions to DBA, SBA, BSL-1, RCA-1 and UEA-1. The reaction to Con A was similar to control group during developmental phases. The reaction to LCA was increased in the fetal, suckling, and weanning phase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reactions to SBA and sWGA, the reaction to PNA was decreased in the frontal and occipital cortex and no reaction to sWGA in the fetal phase. There were no reactions to sWGA and PNA in the suckling phase and, no reaction to PNA and sWGA. The reaction to Con A was decreased in the frontal, parietal and occipital cortexes and, the reaction to LCA was decreased in the frontal and occipital cortexes in adult phase. As the results, the effects of EGEE, environmental hormone on the each part of cerebral cortex have shown differences. But, It had deep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and growth in the cerebral cortex pathologically. In particular, the effect was severe in suckling phase. $Galactosyl-({\beta}-1,3)-N-acetyl-D-galactosamine$,${\beta}-N-acetyl-D-galactosamine$ and ${\beta}-N-acetyl-D-glucosamine$ were decreased while ${\alpha}-D-mannose$ and ${\alpha}-D-glucose$ were increased. It affected the sugar metabloism, and it was severe in fetal and suckling phases.

      • KCI등재
      • KCI등재

        발생기 흰쥐 대뇌 피질의 형태 구조에 미치는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의 영향

        이응희,정길남,조기진,조운복,Lee Eung-Hee,Jeong Gil-Nam,Jo Gi-Jin,Jo Un-Bock 한국생명과학회 2004 생명과학회지 Vol.14 No.6

        발생기 횐쥐 대뇌피질 발생의 형태적 변화와 이에 미치는 ECEE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태생 14일, 태생 18일, 생후 수유기 및 이유기와 성체 대뇌를 각 부위로 나누어 H-E 염색으로 관찰하였다. EGEE 투여시 태생 14일에 대뇌피질의 두께는 두정엽피질이 제일 두꺼웠으나$(95{\pm}12.7\;{\mu}m)$, 대조군$(102{\pm}14.0\;{\mu}m)$에 비해 얇았고, 다른 피질에 비해 후두엽피질$(57{\pm}10.5\;{\mu}m)$이 제일 얇았다. 각 엽의 두께는 수유기 때에 급성장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이유기 이후 성장이 둔화되어 성체기 때와 유사했으며, 성체기 때는 두정엽피질$(93.4{\pm}21.6\;{\mu}m)$에서 가장 많이 성장하였다. EGEE 투여시 대뇌피질내 신경모세포의 수는 태생 14일 두정엽피질의 외투층에서 제일 많았으나$(207.7{\pm}11.4/10^{-2}\;mm$,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고$(224.2{\pm}13.8/10^{-2}\;mm$, 크기는 출생후 3일 후두엽피질의 뇌실막세포층에서 제일 크게 나타났으나$(7.5{\pm}1.3\;{\mu}m)$), 대조군$(9.0{\pm}1.2\;{\mu}m)$에 비해 감소되었다. 대조군과 같이 과립세포와 추체세포의 수는 두정엽피질의 II층과 III층에서 가장 많았으나,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크기는 후두엽피질의 IV층과 V층에서 가장 컸으나,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EGEE 투여시 대조군과 같이 태생기와 출생후 3일까지의 대뇌피질은 뇌실막세포층, 외투층, 연변층의 3층으로 분화되나, 조직내 빈 강소와 공포가 나타나고, 신경모세포가 합착된 양상이 나타났다. 출생후 5일이후 수유기 때 대뇌피질층은 대조군과 동일하게 4층으로 나눌 수 있으나, 과립세포와 추체세포 내에 빈 강소나 공포가 나타났고, 신경세포의 수는 감소하였다. 이유기와 성체기 때는 대뇌피질의 세포층 구분이 뚜렷하지 않고, 외과립세포, 외추체세포들이 섞여 조직내 빈 강소나 공포가 형성되며, 신경세포 주위 혈관의 내강이 확대되거나 합착되어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alterations of rat cerebral cortex, and the effects of EGEE on the developmental cerebral cortex in the prenatal, postnatal and adults were examined by morphological methods and H-E staining was used for th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case of injection of EGEE, at 14 day of fetal phase, parietal cortex was thickest $(95{\pm}12.7\;{\mu}m)$ but, it was thinner than in the control group $(102{\pm}14.0\;{\mu}m)$ and, occipital cortex $(57{\pm}10.5\;{\mu}m)$ compared with other cortexes was the thinnest in fetal phase. In the suckling phase, each cortex grew thick quickly but, after weanning phase, the growth of the cortex slowed and the thickness of cortex was similar to that of cortex in the adult phase. At 105 day after birth, the parietal cortex was thickest $(934{\pm}21.6\;{\mu}m)$ bu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113{\pm}19.0\;{\mu}m)$. When EGEE was injected in intraperitoneal of rat, the number of neuroblasts per unit area was largest $(207.7{\pm}11.4/10^{-2}\;mm$ at the mantle layer of parietal cortex at 14 day of fetal phase bu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224.2{\pm}13.8/10^{-2}\;mm$ , and the size was largest $(7.5{\pm}1.3\;{\mu}m)$ at the ependymal cell layer of occipital cortex at 3 day after birth bu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9.0{\pm}1.2\;{\mu}m)$. Simillar to control group, the number of granular cells and pyramidal cells were largest at the II and III layer of parietal cortex, but decreased during developmental phase. The size was largest at the IV and V layer of occipital cortex but it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hen EGEE was injected in intraperitoneal of rat, the cerebral cortex from fetal phase to 3 day after birth has differentiated into the 3 layers; ependymal, mantle and marginal layer, but empty cisternaes or vacoules in the cerebral cortexes and the condensed phases of neuroblasts were appeared. From 5 day after birth, it has differentiated into the 4 layers; molecular, external granular, mixed layer of internal granular, external and internal pyramidal cells and multiformal layer but, empty cisternaes or vacoules in the granular and pyramidal cell layers were appeared and the number per unit area of neuron was decreas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weaning and adult phases, division of cell layers was not clear and empty cisternae was formed in the cortex with the cells in external granular and pyramidal cell layers, was magnified or condensed around blood vessels of neur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