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전 치환술 후 심부 정맥 현전증의 발생에 대해 D-dimer 검사의 유용성

        김영진(Young-Jin Kim),허창익(Chang-Ich Hur),송은규(Eun-Kyoo Song),선종근(Jong-Keun Seon),박상진(Sang-Jin Park),조성범(Seong-Beom Cho),조용진(Yong Ji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4

        목적: 슬관절 전 치환술 후에 발생하는 증상이 있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빈도를 알아보고 D-dimer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 치환술을 시행한 140명의 환자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알려진 위험인자들에 대해 평가하였으며, D-dimer 검사는 술 전 및 술 후 1, 7, 14일째 시행하였다. 술 후 7일째 CT 정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혈전증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48명 (34%)에서 심부 정맥 혈전증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증상을 호소한 경우는 5명(10.4%)이었다. 위험인자들 중 심부 정맥 혈전증이 발생한 군과 발생하지 않은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비만도 뿐이었으며, D-dimer 검사상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는 술 후 7일째였으며 각각 평균 4.90 ㎎/L와 3.12 ㎎/L였다. 결론: 증상을 보이는 심부 정맥 혈전증의 빈도는 높지 않았다. 비만도, 임상증상 및 술 후 7일째 측정한 D-dimer 검사를 심부 정맥 혈전증의 선별검사로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ep vein thrombosis (DVT)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D-dimer test for the diagnosis of DVT after TKA. Materials and Methods: From April 2006 to July 2006, 140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degenerative osteoarthritic knees and underwent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General and hematological risk factors were compared between DVT 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D-dimer level was checked preoperatively, and at 1, 7 and 14 days after surgery. A diagnosis of DVT was established by computed tomography venography. Results: DVT was found in 48 (34%) patients and only 5 (10.4%) showed symptoms of DVT. Regarding the risk factors, only obes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incidence of DVT (p=0.049). Seven days after surgery, the average D-dimer level in the DVT positive and negative patients was 4.90 mg/L and 3.12 mg/L, respectively (p=0.000). Conclusion: In our study patients, the incidence of symptomatic DVT was lower than in the Western population. We recommend obesity, clinical symptoms and D-dimer value at 7 days after surgery as a valuable screening tests for detecting DVT.

      • KCI등재

        가변제어 포기장치를 이용한 산소의 물질전달특성 연구

        조용진 ( Yong-jin Cho ),최영익 ( Young-ik Choi ),정병길 ( Byung-gil Ju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하폐수처리공정의 적용을 위한 방안으로 개발된 가변제어 포기장치의 산소전달효율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표준상태(20℃, 1 atm) 하에서 가변제어 포기장치를 이용한 O-2C 지점의 총괄물질전달계수(KLa), 단위시간당 산소용해량(N) 및 용적산소전달률(VOTR)의 값은 각각 19.58 h<sup>-1</sup>, 0.419~0.533 kg O<sub>2</sub>/hr 및 23.2~29.6%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가변제어 포기장치는 하폐수처리장 내 포기조의 산소전달효율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of the oxygen transfer characterization with a variable control aerator for application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The overall oxygen transfer coefficient (KLa), standard oxygen transfer rate (N) and volumetric oxygen transfer rate (VOTR) values on the measurement point (O-2C) with a variable control aerator under standard conditions (20℃, 1 atm) were 19.58 h<sup>-1</sup>, 0.419~0.533 kg O<sub>2</sub>/hr and 23.2~29.6%, respectively. Therefore, a variable control aerator is expected to be effective technology for dissolved oxygen transfer of aeration tank in the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 KCI등재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천정 골절에서 비골 고정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

        조용진 ( Yong Jin Cho ),이준영 ( Jun Young Lee ),임재환 ( Jae Hwan Lim ),류제홍 ( Je Hong Ryu ),이정호 ( Jung Ho Lee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3

        목적: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천정 골절에서 비골 고정 방법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경골 천정 골절 환자 124명 중 비골 골절을 동반한 환자는 50명이었고, 비골 고정 방법에 따라 A군(25명, plate)과 B군(25명, Rush pin)으로 분류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방사선학적 검사로 골절 양상(Rüedi-Allgöwer 분류, AO/OTA 분류) 및 정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AOFAS를 시행하였고 감염, 불유합, 관절염 등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두 군은 성별, 나이, 손상기전, 평균 추시 기간, Rüedi-Allgöwer 분류, 개방성 골절에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비골 골절을 단순, 쐐기, 분쇄, 분절로 분류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비골 골절 및 경골 천정 골절 정복에서는 두 군 모두 적절한 정복을 얻어 차이가 없었으며, AOFAS, 합병증 발생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골 골절을 동반한 경골 천정 골절 치료 시 비골 단축 위험이 적은 비골 골절에서 비골에 대한 고정 방법으로 금속판과 골수강내 금속정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적절한 치료법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plating and intramedullary nailing for ipsilateral fibular fractures in pil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124 patients with pilon fractures from November 2008 to March 2019, 50 patients with a fibular fracture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using a plate and Group B using a Rush pin. The radiological tests confirmed the fracture patterns (Rüedi-Allgöwer classification, AO/OTA classification) and evaluated the degree of reduction of fibular and tibial fractures after surgery.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 Ankle Society (AOFAS) was examined for a clinical evaluation, and the complications were checked. Results: The two groups showed similar distributions in gender, age, injury mechanism, diabetes, smoking, mean follow-up period, Rüedi-Allgöwer classification, AO/OTA classification, and open fracture. The fibular fractures were classified as simple, wedge, multiple, and segmental,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0.0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alocrural angle, Shenton line, and Dime sign. In the reduction of pilon fractures, the appropriate reduction was obtained in 22 cases (88.0%) for both groups. The AOFAS averaged 83.24 in Group A and 80.44 points in Group B,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ications (nonunion, malunion, infection, and arthritis). Conclusion: Regardless of how the fibular fracture was fixed, the reduction of pilon fractures in both groups showed good results. Both intramedullary nail and plate fixation could be a suitable fixation method for ipsilateral fibular fractures with a low risk of shortening in pilon fractures.

      • 고구마 기계화 표준재배모델 개발을 위한 농가 실태조사 - 정식, 제초, 방제 -

        원진호 ( Jin Ho Won ),한준영 ( June Young Han ),조용진 ( Yongjin Cho ),김대철 ( Dae Cheol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고구마는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식량작물로써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작물 중 하나이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고구마는 최근 5년간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21년 기준 경기·충남·전북·전남 지역에서 우리나라 고구마 생산량의 약 75%를 점유하고 있다. 한편 물가 상승으로 인한 인건비의 상승과 농업인구의 감소 및 고령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고구마 농업에도 큰 문제로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구마 기계화의 가속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기계화 가속화를 위한 정식, 제초, 방제 과정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정식과정 전에는 본 밭 준비과정을 수행하는데, 본 밭 준비의 경우 트랙터에 로터베이터를 장착하여 경운작업과 트랙터 부착형 시비기를 이용한 시비를 수행한다. 시비 후 토양경운을 재수행하여 토양 교반을 실시하며, 경우에 따라 토양 진압을 수행한다. 그 후 트랙터에 두둑성형기를 장착하여 두둑 성형을 실시하고 고구마 정식을 수행하게 된다. 고구마 정식의 경우 고구마의 수확량을 늘리기 위해 고구마 순을 눕혀서 정식하는 개량수평심기의 형태로 정식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계화가 어려워 대부분 인력으로 수행하게 된다. 정식 후 비닐 멀칭기를 이용하여 비닐 멀칭을 수행하며, 배토기를 이용하여 비닐 멀칭 고정 작업을 수행한다. 비닐 멀칭 3 ~ 4일 후 정식 된 고구마 순의 뿌리가 안정화되면 멀칭 비닐을 뜯고 고구마 순 꺼내기 작업을 수행한다. 정식 후 관리는 제초 및 방제로, 제초제 및 인력을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하고, 방제기를 이용하여 방제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고구마 기계화 표준재배모델 개발 전농가 현황조사자료로써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정식 단계까지의 건의 및 애로사항을 취합하여 고구마 기계화의 가속화에 활용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안진환(Jin Hwan Ahn),박준식(Jun Sic Park),조용진(Young Jin Cho),정의석(Yi Sack Jo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4가닥의 자가 슬괵건의 대퇴부에 2개의 생흡수성 cross pins을 이용한 고정 방법으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 후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9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생흡수성 cross pin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97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21.9개월(범위: 18-32개월)이었다. 임상적 평가는 재건술 전후의 Lysholm 점수,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DKC) 평가 기준, KT-1000 관절 계측 검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49예에서 2차 관절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수술 전 Lysholm 점수는 72.3점(범위: 51-83점에서 수술 후 93.1점(범위: 71-99점), IKDC 평가 기준에 의한 최종 평가상 정상(A) 59예, 거의 정상(B) 36예, 비정상(C) 2예이었으며, 심한 비정상(D)은 없었다. 최종 추시상 KT-1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상 건측과의 차이는 평균 1.3 ㎜ (범위: 1-6 ㎜)이었다. 2차 관절경을 시행한 49예에서 이식건의 긴장도는 정상 31예, 약간 느슨함이 18예이었으며, 이식건의 파열이나 소실된 예는 없었다. 결론: 생흡수성 cross pin을 이용하여 이중 고리의 4가닥의 자가 슬괵건의 대퇴부를 고정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수술 후 평균 21.9개월의 추시 관찰상 97.9%의 환자에서 전방 불안정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after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autograft with 2 femoral bioabsorbable cross pins fixations.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he results of 97 knees in 97 patients who had arthroscopic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autograft fixed with 2 femoral bioabsorbable cross pins from September 2001 to September 2002. Average follow up was 21.9 months (range: 18-32 months). Patients were evaluated by KT 1000 arthrometer test, Lysholm score, IDKC score at preoperative and follow-up examination. Second-look arthroscopy was performed in 49 knees. Results: Average Lysholm score was 72.3 (range: 51-83) preoperatively and 93.1 (range: 71-99) postoperatively. At final IKDC evaluation, 59 knees were normal (A), 36 knees nearly normal (B), 2 knees abnormal (C), and severe abnormal (D) none. Mean side-to-side difference on maximum manual evaluation using KT-1000 was at 1.3 ㎜ (range: 1-6 ㎜) at follow-up. 49 knees underwent arthroscopic 2nd look evaluation, of which 31 knees preserved good tension, 18 knees some laxity, graft failure or rupture is none. Conclusion: ACL reconstruction using four strands hamstring autograft fixed with 2 bioabsorbable cross pins on the femoral side showed good stability in 97.9% patients at mean 21.9 months follow-up, and can be considered clinically safe and useful method.

      • KCI등재

        압출성형 공정에 의한 인삼의 수용성 성분 증대

        지호균,조용진,김종태,장영상,김철진,Jee, Ho-Kyun,Cho, Young-Jin,Kim, Chong-Tai,Jang, Young-Sang,Kim, Chul-Jin 한국식품과학회 200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8 No.3

        압출조건 즉, screw speed, screw configuration, 압출온도 및 원료투입량 등을 고정하고, 가수량을 조절하여 압출미삼을 제조하여 냉수 및 열수에서의 추출율, 총당, 우론산 및 비전분 탄수화물의 함량과 당 조성을 분석하였다. 가수량이 감소될수록 압출온도와 SME는 증가하고, 고형분, 총당 및 우론산의 추출율도 증가하였다. 추출율 증가는 열수추출에서 보다 상온추출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최적조건인 압출온도 $155^{\circ}C$에서 처리한 미삼 분말의 비전분 탄수화물의 추출율이 증가하였고, 추출된 NSP의 분자량은 냉수추출에서는 압출처리 미삼이 열수추출에서는 대조구에서 큰 분자량이 추출되었다. NSP의 당 조성은 미삼의 비전분 다당체의 주된 구성당은 arabinose와 galactose였고, 상온에서 추출된 압출 미삼의 경우 높은 함량의 glucose가 측정되었으며, 열수에서 추출된 미삼의 비전분 다당체는 대조구와 압출미삼 모두에서 glucose 및 xylose가 측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구연산이 첨가된 미삼과 첨가되지 않은 미삼을 이용하여 $155^{\circ}C$에서 압출성형 하는 것이 최적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압출성형 된 압출미삼의 냉수추출의 경우 사포닌 추추율은 대조구에 비해 약 2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압출처리에 의해 사포닌의 구성 성분 중 Rg3가 생성되었다. Extruded ginseng was manufactured using twin-screw extruder under 300 rpm screw speed, 21 kg/hr feed rate, $80-150^{\circ}C$ extrusion temperature, and by addition of water (12.1-30.6%). Extraction yield and contents of total carbohydrate and uronic acid in extruded ginseng at room temperature extraction (RT) increased with increasing extrusion temperature, whereas those of boiling temperature extracts (BT) were not affected by increasing extrusion temperature. Contents of nonstarch polysaccharide (NSP) in RT and BT extracts increased 340 and 142%, respectively, compared to that of raw ginseng. Main sugar compositions of NSP in RT and BT extracts were arabinose, galactose, and glucose. Extraction yields of total and crude saponins in extruded ginseng at optimize extrusion condi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raw ginseng. In RT extracts, molecular weights of polysaccharides from raw were higher than that of extruded ginseng polymer, whereas in BT extracts molecular weights of polysaccharides from extruded ginseng were higher than those of raw ginseng polysaccharides.

      • KCI등재

        족관절 개방성 삼과골절의 즉각적인 수술의 결과

        이준영,조용진,강신욱,조영민,최현배,Lee, Jun-Young,Cho, Yong-Jin,Kang, Sin-Wook,Cho, Yung-Min,Choi, Hyun-Bai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0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4 No.1

        Purpose: Generally, the treatment of ankle trimalleolar open fractures is divided into two stages: external fixation and debridement; and secondary internal fixation. On the other hand, this two-stage operation takes considerable treatment time and is challenging in procedures requiring re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results of an immediate one-stage internal fixation operation considering the wound conditions to overcome two stage operation disadvantag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09 to January 2018, 24 cases of ankle trimalleolar open fractures, who underwent immediate internal fixation and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e open wound was divided into the Gustilo-Anderson classificatio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ere performed on every medial and lateral malleolar fracture. On the other hand, with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surgical or conservative treatment was performed depending on the fragment size. The radiologic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Burwell and Charnley criteria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s, and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and posttraumatic arthritis, were used for the clinical evaluation. Results: The wound was classified into eight cases (33.3%) of type I, 11 cases (45.8%) of type II, and five cases (20.8%) of type IIIa. The degree of reduction was anatomical, fair, and poor in 16 cases (66.7%), six cases (25.0%), and two cases (8.3%), respectively. The mean AOFAS score was 79 points, and there were complications, such as infection in three cases (12.5%) and post-traumatic arthritis in two cases (8.3%).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immediate surgical treatment in ankle trimalleolar open fractures of types I, II, and IIIa.

      • 논 토양 특성 파악을 위한 토양 성분 지도 작성

        한준영 ( June Young Han ),신주원 ( Ju Won Shin ),김성민 ( Seung Min Kim ),김대철 ( Dae Cheol Kim ),조용진 ( Yong Jin Ch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작물의 안정적인 생산과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토양 관리가 필수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토양 성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토양 성분 분석 방법은 현장에서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으며, 이로 인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토양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활용한 토양 분석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토양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농지 내 토양 성분의 변이를 측정하고, 측정된 토양의 변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논 토양 성분지도를 작성하였다.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4곳의 논 필지에서 토양 성분을 측정하였으며, 측정한 토양 성분 데이터는 지구통계학 함수 베리오그램을 활용하여 일정 거리에 따른 토양 성분 간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양 성분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토양 성분 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농지 내 토양을 관리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 관리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