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구개발 형상관리체계 구축모형

        조용선(Yongsun Cho),정기원(Kiwon Chong)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A

        본 논문에서는 제품생산을 위한 연구개발의 전 과정의 자동화를 지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 형상관리체계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CALS와 PDM의 개념을 적용한 제안된 모델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곳의 자료를 포함한 연구개발 과정의 모든 자료들의 관리는 물론 업무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한 작업흐름의 관리와 기술자료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형상관리 기능, 자료들의 효율적인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의사결정지원 기능, 전자시제품을 제작 및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제안된 모델을 통하여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곳과의 자료교환과 동시공학은 물론, 자료와 업무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 KCI등재

        학교조직 진단 모형 구안

        조용선(Cho, Yongsun),정동욱(Jung Dong 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학교조직 진단 모형을 구안하고 구안한 모형을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일반조직과 차별되는 학교조직의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학교조직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조직 진단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일반조직 진단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조직 진단 모형을 고찰하였다. 일반조직을 진단하는 모형들 중 Weisbord의 Six-Box 모형은 조직을 6가지 요소들을 중심으로 공식조직과 비공식 조직에 대해서 도 진단한다. 학교조직의 특성을 구조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진단한다는 측면에서 이 모형은 학교조직 진단 모형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학교조직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조직 진단의 세부 영역과 내용을 선정하였다. 이상의 문헌연구와 전문가의 검토를 통해 구안된 학교조직 진단 모형은 교육적 성장(Growth), 학교 구조(Organization), 교육 활동(Activity), 학교 자원(Resource), 외부 환경(Environment), 학교 문화(Culture)를 포함한 6가지 영역(GOAREC)으로 학교를 진단한다. 이 모형은 Weisbord가 제시한 Six-Box 모형의 구성 원리에 근거하여 구조적 관점에서의 공식체제와 문화적 관점에서의 비공식 체제를 동시에 진단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는 학교조직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에서의 종합적 진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이 연구는 학교조직을 구조적, 혹은 문화적 관점에서 독립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던 기존의 입장에서 벗어나 학교조직의 구조적 차원과 문화적 차원을 동시에 진단하고 두 차원의 괴리와 융합을 함께 진단할 수 있는 모형을 구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model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inciples of construction a model was established by reviewing literatures about characteristics of school organization, general organization diagnosis models and school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principles, a provisional model was constructed, and through experts’ consultation, a final model was constructed. The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onsists of six domains(GOAREC) ; G(educational Growth), O(school Organization), A(educational Activity), R(school Resources), E(outside Environment), C(school Culture). The constructed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model has characteristics that it able to diagnosis a school organization from a organizational perspective and a cultural perspective according to Weisbord’s Six-Box model. The constructed school organization diagnosis model is expected to diagnosis not only two perspectives but also differences and fusions of two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웹 응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업무모델 기반의 분석방법

        조용선(Yongsun Cho),정기원(Kiwon Chong) 한국정보과학회 2003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0 No.11·12

        여러 분야에서 인터넷의 사용이 대중화되면서 다양한 웹 용용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체계척인 분석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개발에 뛰어들거나, 대규모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빠르고 효과적인 개발을 위하여 업무모델로부터 웹 응용을 위한 분석 모델들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들과 기법들을 제시한다. UML 활동도의 표기법을 활용한 업무 모델로부터 사용사례도와 웹 페이지 리스트를 생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웹 페이지들의 흐름과 구조를 표현하는 페이지 다이어그램과 논리적, 물리적 데이타베이스 모델들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분석모델들은 상세설계 단계를 거쳐 정제된다. 제안한 분석방법과 기업들을 웹 기반의 경정 비조합 지원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Various web applications are developed as the Internet is popularized in many fields. However, in most cases of web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atic analysis is omitted and developers jump into the implementation. Therefore developers have difficulties with applying the development methods for a large scale project. The approach of creating an analysis models of a web application from a business model is proposed for the rapid and efficient development. The analysis process, tasks and techniques are proposed for this approach. The use case diagram and web page list are created from business modes that is depicted using the notation of m1L activity diagram. The page diagram and logical! physical database models are created using the use case diagram and the web page list These analysis models are refined during the detailed design phase. The efficiency of proposed method has been shown using a practical case study which reflects the development project of the web application for supporting the association of auto repair shops.

      • KCI등재

        경기 안성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연구

        조용선(Yongsun Cho) 호서고고학회 2022 호서고고학 Vol.- No.53

        본고에서는 안성 마정리 황골 유적에서 확인된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안성 마정리 황골 유적에서 조선시대 주거지는 총 29기가 확인되었으며, 구릉남사면과 서사면 전역에 분포해 있다. 주거지는 경사면 하단부가 유실된 상태로 평면형태는 장방형·(말각)방형·부정형·‘呂’자형·(타)원형 등 다양하게 확인된다. 주거지 내부시설로는 아궁이시설과 구들시설이 있으며, 그 외에 수혈과 주공 등이 확인된다. 주거지에서 아궁이시설은 총 13기가 확인되었다. 아궁이시설은 조성형태에 따라 A·B형으로 구분된다. A형은 주거지의 벽면을‘∩’자형으로 돌출시켜 조성하였으며, 주거지 벽면에 잇대어 조성된 B형에 비하여 규모가 크다. 아궁이시설은 규모가 작고 취사와 관련된 구조나 유물이 확인되지 않은 점 등을 미루어 볼 때 취사보다는 조명이나 난방 등의 기능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구들시설이 확인된 주거지는 총 6기이고, 이중 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주거지는 3기이다. 구들시설이 설치된 주거지는 평면‘呂’자형과 부정형으로 구분된다. ‘呂’자형 주거지의 경우 아궁이를 중심으로 난방시설의 설치 유무에 따른 공간분리가 이루어져 있다. 구들시설은 아궁이와 고래부·배연부로 구분되며, 고래부는 1열의 고래가 주거지의 벽면을 따라 원형 또는 방형으로 돌아서 배연부와 연결되는 형태를 띤다. 평면 부정형 주거지는 서사면에서 1기가 확인되었다. 구들시설은 아궁이와 고래부가 잔존하며, 고래열은 아궁이에서 등고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곧게 뻗은 줄고래의 형태로 3열이 잔존한다. 주거지의 분류는 주거지 내부의 난방 및 취사시설을 기준으로 분류를 실시하였다. 난방 및 취사시설이 확인되지 않은 주거지(Ⅰ형)와 아궁이만 설치된 주거지(Ⅱ형), 구들이 설치된 주거지(Ⅲ형)로 분류하였다. 아궁이만 설치된 Ⅱ형의 주거지는 다시 배연부가 주거지 외부로 돌출된 주거지(Ⅱ-1형)과 돌출되지 않은 주거지(Ⅱ-2형)으로 세분하였다. 구들이 설치된 주거지는 상하단이 분리되어 가운데가 아궁이로 연결되는 여자형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구들의 형식(Ⅲ-1형)과, 주거지 내부에 줄고래가 확인되는 형식(Ⅲ-2형)으로 세분하였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조성시기는 출토유물상으로 볼 때 분청사기와 죽절굽+태토받침 백자를 중심으로 하는 주거지와 분청사기가 출토되지 않고 모래받침 백자가 확인되는 주거지로 구분할 수 있다. 분청사기는 15세기 후반∼16세기에 유행하였으며, 죽절굽+태토받침은 15세기 전반∼16세기 후반까지 유행하였다. 또한 모래받침은 17세기 이후에 등장하는 제작기법임을 토대로 볼 때 주거지의 연대는 17세기를 기준으로 전과 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이 편년 시기에 따른 주거지의 변화상을 보면 장방형의 대형 주거지에서 (말각)방형 등의 소형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성 마정리 황골 유적은 주거지를 중심으로 건물지·소성유구·배수로 등 조선시대 생활유적이 주가 되는 유적으로 유적은 15세기~17세기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과 폐기가 이루어지면 생활이 영유되었던 유적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is an analytical research of semi-subterranean houses in the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temporal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artifacts. Total 29 dwellings of the Joseon period were unearthed at Hwanggol site of Majeong-ri in Anseong. The floor plans of the houses were rectangular, square, circular, oval, unclear, and 呂-shaped. Along with pits and postholes, there were fireplaces and floor heating systems as internal facilities of the houses. Total 13 fireplaces were classified into A type and B ty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Type A, being built with protruding the house wall in a reversed U-shape, was larger than type B being built on the house wall. Considering its quite small size and absence of cooking-related facilities and tools, the fireplace seemed to have performed function of lighting or heating rather than that of cooking. The structure of only 3 was recognizable out of the 6 floor heating systems uncovered at Hangul site. The floor heating systems were reported from only unclear and 呂- shaped floor plan houses. The space of the 呂-shaped floor plan house was separated by heating facility centering on the fireplace. In the flue system consisting of a fireplace, a flue system part, and a smoke control part, a line of flue system was connected to the smoke control part by turning in a circular or square way along the house wall. The floor heating system of unclear floor plan house at the west slope of the site consisted of a fireplace and a flue system part, and the 3 lines of flue system extended to the direction of the contour. Classification of these houses based on heating and cooking facilities yielded 3 main types and 4 subtypes as following: TypeⅠ with no facilities, TypeⅡ only with a fireplace, TypeⅢ only with a floor heating system; TypeⅡ was again subdivided intoTypeⅡ-1 and Ⅱ-2 to the projection of smoke control part or not; TypeⅢ was also subdivided into TypeⅢ-1 and Ⅲ-2 to the structure of floor heating system. Consideration on uncovered artifacts helped to divided houses into two groups. While one group of houses yielded buncheong ware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 bamboo - joint foots, and white porcelains with clay support , the other group yielded white porcelains with sand support without buncheong ware. Buncheong ware was popular from the late 15C to 16C, bamboo-joint foot and white porcelain with clay support were popular from the early 15C to the late 16C. Considering the emergence of the sand support technique in the 17C, the date of houses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17C. Hwanggol site of Majeong-ri in Anseong, yielding archaeological features including pit houses, sites of buildings, firing features, and drainage facilities can be understood as residential sites occupied from the 15C to 17C and after.

      • KCI등재

        부모지지 및 부모와의 친밀도가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조용선(Cho, Y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이 연구에서는 부모지지 및 부모와의 친밀도가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여대생 258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학년에 따른 여대생의 부모지지, 부모와의 친밀도, 진로결정수준 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부모지지와 부모와의 친밀도가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대해 갖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지지는 학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부모와의 친밀도는 하위영역인 정서 상호공유 행동적 친밀도에서 1학년 학생의 점수가 2, 3학년 학생의 점수보다 높았다. 그리고 진로결정수준은 4학년 학생의 점수가 1, 3학년 학생의 점수보다 높았다. 다음으로,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하위변인인 진로관련 모델링이 진로결정수준을 의미 있게 설명하였다. 또한 부모와의 친밀도와 진로결정수준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하위변인 인부와의 상호공유적 친밀도가 진로결정수준을 의미 있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여대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관련 변인들 중 부모 지지와 부모와의 친밀성의 영향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parents support, intimacy with parents on career decision-making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were 258 women’s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 D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upport scores according to each university year,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imacy with parents score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intimacy with parents scores of fresh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sophomores and junior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seniors were higher than those of freshmen and juniors. The correlation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in parents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there was also a positive relationship in intimacy with par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is study was meaningful becaus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influences of parents support and intimacy with parents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of women’s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The Effects of Classroom Simulation On Pre-service Teachers Career Maturity

        Yongsun-Cho(조용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교실 시뮬레이션이 예비 교사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교실 시뮬레이션이 예비 교사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시뮬레이션이 예비교사의 진로 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특히, 진로성숙도의 하위 요인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둘째, 예비교사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주는 교실 시뮬레이션의 주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대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을 구성하고 실험집단에게는 12주간 교실 시뮬레이션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일반적인 학교 현장실습 준비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연구결과, 교실 시뮬레이션이 예비교사의 진로성숙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에 참가한 예비교사들의 소감문을 통해 교실시뮬레이션의 주요한 특징인 수업상황에서의 다양한 의사결정연습이 이들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는 교실 시뮬레이션이 예비교사의 수업능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그들의 진로성숙도 역시 향상됨을 증명한 연구로써 지금까지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 활용되었던 교실 시뮬레이션이 예비교사의 진로성숙도를 높여주기 위한 효과적인 도구임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classroom simulation affects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career maturity and whether it improved the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s who are taking the course of classroom simulation.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irst, how do pre-service teachers develop their career maturities through classroom simulation? Especially how does classroom simulation affect subcategories of career maturity, which are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main factors of the classroom simulation that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teachers? To answer these questions abo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classe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o classes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from the third grade of K University located in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12-week in which classroom simulation was applied in the class.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classes by an inexperienced traditional preparation program in the clas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out that classroom simulation would improv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it would affect their career maturities, especially, their career self-efficac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lso, we could discover the main factors of the classroom simulation that influence on their career maturities.

      • KCI등재

        교권침해 유형별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의 차이 분석

        조용선(Cho, Y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교권침해 유형에 따른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654명을 대상 으로 이들이 최근 3년 이내에 경험한 교권침해 유형과 심리적 소진 및 정신건강 상태를 살펴보았다. 교권침해 유형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학교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유형 5가지를 선정하였다. 검사도구로는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교사소진척도와 Derogatis(1977)의 정신건강진단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교권침해 유형별 교사의 심리적 소진은 학교행정가와 교육청의 부당한 인사조치가 학생과 학부모의 폭언․폭력행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심리적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고갈은 학부모의 부당한 요구 및 명예훼손이 폭언․폭력 행사, 수업진행방해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비정화는 부당한 인사조치가 수업 진행방해, 부당한 요구와 명예훼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다음으로 교권침해 유형별 교사의 정신건강과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우울과 불안은 학생의 성희롱, 학교 행정가와 교육청의 부당한 인사조치, 학부모의 부당한 요구와 명예훼손이 학생의 수업진행방해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적대감은 부당한 인사조치가 수업 진행방해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교권침해 관련 연구가 교권침해 실태조사와 심리적 어려움 관련 변인 탐색에 머물렀던 한계에서 벗어나, 교권침해 유형별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권침해 피해 교사들의 심리치료와 심리적 회복을 위한 침해 유형별 차별적인 개입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sychological difficulty based on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65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ervice in the capital area.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questions to ask the their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the degree of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ir condition of mental health. The study result wa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sychological difficulty based on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Psychological burnout score of teachers experienced unreasonable a personal action from school administrator and education office was identified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at of teachers experienced abuse and violence from students and their parents. And mental health score of teachers experienced a sexual harrassment from students, an excessive demand and defamation from parents, and a personal action from school administrator and education office was identified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at of teachers experienced a class interrup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regar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sychological difficulty based on types of infringement of teacher right.

      • KCI등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엄기란(Um, Giran),조용선(Cho, Y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시 S고등학교 1학년 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와 진로탄력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우선, 연구대상자의 기초통계량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조사도구의 신뢰도 분석과 변인들의 정규분포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진로탄력성 간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진로탄력성 및 진로탄력성 하위변인 모두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관계 활용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진로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진로탄력성을 3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와 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진로탄력성의 하위변인 자기신뢰. 성취열망, 진로자립, 변화대처, 관계활용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특이한 점은, 부와의 의사소통이 모와의 의사소통에 비해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나, 부의 영향력이 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진로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청소년의 진로탄력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개입에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중요한 변인임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areer resilience of adolescent. Methods For this purpose, 304 first-year students at S High School in Seoul were tested for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for career resilien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rrelate Pearson s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areer resilie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areer resilience. Results Parent-child communicat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both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resilience sub-variants. In particular, it showed the greatest correlation with relationship utiliz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s career resilience. Parent-child communication accounts for 32.3% of teenagers career resilience. Specifically, open communication between wealth and mock is self-trust, a sub-variant of career resilience. It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both aspirations for achievement, career independence, change response and relationship utilization. What is unusual is that communication with father is more explanatory than that of mother, indicating that father has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ver mother.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various interventions to improve adolescent’s career resilience by verifying that parent-child communication affects adolescent’s career resilience.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최지은(Choi, Jieun),조용선(Cho, Y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진로탄력성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국의 대학생을 임의로 표집 하여 315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3일부터 7월 18일까지 자기주도성과 진로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하위변인 간 관련성과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기주도성과 진로탄력성의 하위변인 모두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기주도성의 하위변인인 목표지향성과 자기확신은 진로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성취열망, 진로자립, 변화대처에, 독창성과 책임감은 변화대처에, 독립성은 자기신뢰, 성취열망, 진로자립에, 개방성은 관계활용에, 도전정신은 진로탄력성의 모든 변인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주도성이 대학생의 자기신뢰를 바탕으로 한 진로자립과 변화하는 직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변화대처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이들이 직업 세계에 진출한 후에도 기업 내에서 성취열망과 관계활용을 통한 조직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이들의 진로탄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 프로그램, 특히 진로탄력성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에 자기주도성 강화가 필요한 요소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areer resilience for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15 studen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bles. In addi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areer resilience. Goal orientation and self-confidence as a proactive personality affected desire accomplishment, career self-reliant and cope with change. and originality and responsibility affected cope with change. also, independency affected self-confidence, desire accomplishment, career self-reliant. end, openness affected utilize one’s relationship and change spirit affected all the variable. This study proved empirically that proactive personality of students affected career resilience. and for graduates, proactive personality is significant not only in overcoming difficulties they face while preparing for employment, but also in they can enhance their adaptability in the companies and organizations even after entering the world of jobs in the future. In addition, regarding career preparation for graduates, the treatment career resilience can be applied as a development direction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enhance proactive personality of students.

      • KCI등재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동향 분석

        최지은(Choi, Jieun),조용선(Cho, Yong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이 연구는 최근, 진로 영역에서 주목받고 있는 심리요인인 ‘자기주도성’에 주목하여,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기주도성이 진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연구 정보 데이터베이스(RISS, KISS, DBpia, Eric, JSTOR 등)에 수록된 진로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문헌 743편을 대상으로, PRISMA 가이드라인(문헌확인→문헌선별→선정기준 검토→최종선정)을 적용하여 총 60편의 연구문헌을 연구대상으로 확보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국내⋅외 진로 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는 1999년부터 2020년까지 총 60건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특히, 2010년 이후 해외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79개의 진로 관련 변인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진로 관련 변인은 진로유지와 개선(30.4%), 진로인식(18.9%), 경력성공(16.5%), 진로결정(11.4%), 직무만족(8.9%), 진로계획(6.3%), 진로준비(3.8%), 진로탐색(2.5%), 진로교육지도(1.3%)였다. 또한, 변인별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자기주도성이 진로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진로 관련 자기주도성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대상의 진로발달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에 자기주도성이 필수적 심리 변인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nalyzed career-related proactive personality research trends to verify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areer, noting the psychological factor ‘proactive personality’ tha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in the career field. Methods To this end, the literature in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database was collected according to the PRISMA guidelines, and a total of 60 subjec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60 domestic and foreign career related proactive personality studies were conducted from 1999 to 2020, and 78 career related variables were extracted. These extracted career related variables included career maintenance and improvement(30.4%), career awareness(18.9%), career success(16.5%), career decision(11.4%), career satisfaction(8.9%), career planning(6.3%), career preparation(3.8%), career exploration(2.5%) and career education guidance(1.3%). In addition, we validated the influence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areer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each career category.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proactive personality research is an essential psychological variable to intervention for career development by analyzing career related proactive personality research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