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조생식술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산과적 결과에 대한 고찰

        조연경 ( Yeon Kyung Cho ),허걸 ( Kuol Hur ),김선희 ( Sun Hee Kim ),차승희 ( Seung Hee Cha ),조준형 ( Jun Hyung Cho ),김진영 ( Jin Yeong Kim ),양광문 ( Kwang Moon Yang ),전종영 ( Jong Young Jun ),궁미경 ( Mi Kyoung Koong ),강인수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본 연구는 원인불명 불임환자가 보조생식술 시행 후 임신된 경우 자연임신과 산과적 예후 및 주산기 예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제일병원에 내원하여 최종적으로 진단복강경으로 원인불명불임으로 진단받고 보조생식술 시행 후 임신된 단태임신 79예와 연령과 산과력을 고려한 동일 기간의 172예의 자연임신군간에 산과적, 주산기 합병증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Chi-square test 및 t-test를 시행하였고 p<0.05인 경우를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 보조생식술을 시행받은 원인불명 불임환자군이 자연임신군에 비해 분만시 제태연령 (38.2±0.5주 vs. 39.4±0.1주, p>0.001)이 유의하게 낮고, 임신성 당뇨병 (7.6% vs. 1.2%,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자간전증, 임신주수대비 저체중아, 양수과소증, 주산기 사망률, 제왕절개술의 빈도, 조기진통, 신생아의 1분, 5분 아프가 점수 등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자연임신인 경우와 비교하여 보조생식술에 의한 원인불명 불임환자의 임신은 분만시 제태연령이 낮았지만 조산은 증가하지 않았으며, 임신성 당뇨병 이외의 주산기 합병증은 증가하지 않았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follow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Methods : From January 1999 to February 2002, a total of seventy-nine singleton pregnancies which progressed beyond 20 weeks gestation following embryo transfer in women finally diagnosed as unexplained infertility by diagnostic laparoscop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matched control was spontaneously conceived 172 singleton pregnancies. Retrospectively, we analyzed the obstetric outcome and compared gestational age at delivery, birth weight, Apgar score, and the incidence of perinatal mortality, preterm labor, preeclampsi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oligohydramnios between two groups. Results : The mean gestational duration of study group was shorter than control group (38.2±0.5 vs. 39.4±0.1 weeks, p=0.001).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udy group (7.6% vs. 1.2%,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birth weight (3088.1±86.1 g vs. 3243.8±37.2 g), the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10.1% vs. 11.6%), preeclampsia (3.8% vs. 2.3%), oligohydramnios (3.8% vs. 5.8%), preterm labor (7.6% vs. 5.2%), cesarean delivery (45.6% vs. 41.3%), and perinatal mortality (1.3% vs. 0.6%)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gestational duration of women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after IVF-ET was shorter, but the incidence of preterm birth was not increased. And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of stud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ies.

      • KCI등재

        미술관 전시물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문제행동, 미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조연경 ( Cho Yeon-kyung ),정여주 ( Jung Yeo-ju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미술관 전시물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초등 학령기 중·고학년 아동의 문제행동, 미술에 대한 태도, 미술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H미술관의 예술치유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아동 12명이었다. 2017년 6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120분씩 총 8회기 집단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양적분석의 척도로 문제행동척도(SDQ-Kr)와 미술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t-검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으로는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미술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 전시물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문제행동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관 전시물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미술에 대한 태도 향상에 일부 효과가 있었다. 셋째, 미술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술관 전시물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 미술에 대한 긍정적 태도 증진, 그리고 미술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진에 효과가 있었음을 증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museum exhibit-based group art therapy on intermediate-and upper-grade school-ag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rt attitude, and perceptions of art museums. The subjects included 12 children that voluntary took part in the art therapy program of H Art Museum in Seoul. A total of eight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each session being 120-minutes per week between June~November, 2017.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Korea(SDQ-Kr) was employed in the study as a quantitative analysis scale along with an art attitude sca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For qualitative analysis,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to the children's perceptions of art museums.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rt museum exhibit-based group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secondly, art museum exhibit-based group art therapy had partial effects on their improved art attitude; finally, there were positive changes to their perceptions of art museum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art museum exhibit-base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improvi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promoting their positive art attitude, and increasing their positive perceptions of art museum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행동지원의 매개효과

        함현진(Ham, Hyun Jin),조미영(Cho, Mi Young),조연경(Cho, Ye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189명이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검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 긍정적 행동지원과 문제행동지도전 략의 각 변인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적 행동지원은 문제행동지도전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문제행동지도전략의 관계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셀프리더 십과 긍정적 행동지원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이루어지길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upon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n the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18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Collected date are analyz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re performed. The mediated effec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verified through 3-step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 Kenny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 care teacher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child care teacher’s self-leadership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s. Thir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eaching strategy for problem behavior was find to do partial medi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various programs to improve self-leadership and positive behavior of child care teachers support should be developed, and effects of those programs should be verified.

      • KCI등재

        임신과 관련된 감염성 심내막염의 증례

        차승희 ( Seung Hee Cha ),허걸 ( Kuol Hur ),조연경 ( Yeon Kyung Cho ),유승연 ( Seung Youn You ),류소라 ( So Ra Ryu ),박수현 ( Su Hyun Park ),최현아 ( Hyoun Ah Choi ),박정배 ( Jeong Bae Park ),궁미경 ( Mi Kyung Koong ),강인수 ( In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9

        The heart disease during gestation complicates approximately 0.5-1.5% of pregnancies. The common cause of heart disease during gestation is acquired rheumatic valvular lesions and congenital heart defects. In contrast, infective endocarditis during pregna

      • KCI등재

        임상 ; 산전에 진단한 태아 난소 낭종의 임상적 경과

        강진희 ( Jin Hee Kang ),박희진 ( Hee Jin Park ),김지연 ( Ji Youn Kim ),조연경 ( Yeon Kyung Cho ),박상원 ( Sang Won Park ),한원보 ( Won Bo Hahn ),권태희 ( Tae Hee Kwon ),이경진 ( Kyoung Jin Lee ),신중식 ( Joong Sik Shin ),김화영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4

        목적: 산전에 진단된 태아 난소 낭종의 초음파 소견과 임상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7년 9월까지 9년 동안 본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상 난소 낭종을 진단받고,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한 11명의 산모와 이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산모의 산전기록과 분만기록, 신생아 기록, 소아과 진료 기록, 수술 기록 및 해부병리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산모의 평균연령은 30.3세(28~34세), 평균 제태연령 34주 1일(31주 6일~36주 6일)에 태아의 난소 낭종을 진단하였고, 평균 제태연령 39주 4일(37주 5일~41주)에 모두 만삭 분만하였다. 11예 중 7예가 자연분만을 하였고 4예는 산과적 적응증으로 제왕절개 분만을 하였다. 11예의 태아 난소 낭종은 모두 일측성 단순 낭종으로, 크기는 평균 29.7 mm (17~52 mm)였으며, 추적 초음파상에 6예는 낭종의 양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예에서는 단순 낭종에서 복합 낭종으로 변해 출혈이나 염전의 합병증을 의심되었다. 11예 중 1예는 분만 후 난소 낭종 염전으로 수술하였고, 1예는 산전에, 9예는 출생 후 자연 소멸되었다. 결론: 산전에 진단된 태아의 난소 낭종은 지속적인 산전과 산후의 추적 초음파를 통하여 변화하는 양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ltrasonographic finding and clinical course of fetal ovarian cysts.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of 11 cases of fetal ovarian cysts, evaluated by prenatal and postnatal ultrasonographic studies was conducted. We analyzed the demographic factors, the ultrasonographic findings, the change of ultrasonographic parameters, the mode of delivery, the management of ovarian cysts and pathologic finding. Results: In all cases, fetal ovarian cysts were unilateral simple cysts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mean sizes of the ovarian cysts were 29.7 mm on prenatal and 19.8 mm on postnatal studies. In four of the 11 cases, the ultrasonographic patterns of cysts changed from simple to complicated cysts on serial monitorng, and one of them required postnatal surgery. Ten of 11 cases were spontaneously resolved during perinatal follow-up ultrasound. Conclusion: We recommend continuous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ovarian cysts, which is helpful to predict the outcome of cysts and decide on the management.

      • KCI등재

        정규 제왕절개술시 항생제 사용에 있어서 제대 결찰후 예방적 1회 투여요법과 기존의 수술 후 다회 투여 요법과의 술후 합병증 발생에 대한 비교연구

        백준길 ( Jun Kil Baek ),이원식 ( Won Sik Lee ),김주명 ( Joo Myung Kim ),이인호 ( In Ho Lee ),조연경 ( Yeon Kyung Cho ),양재혁 ( Jae Hyug Ya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0

        목적 : 정규 제왕절개술 후 감염을 예방하는 데 있어서 제대결찰 후 Cefazolin을 1회 투여한 군과 수술 후 Cefazolin 다회요법을 시행한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유무를 비교하였다. 연구 방법 : 총 9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1g의 Cefazolin을 제대결찰 후 1회 투여한 실험군과 수술 후 2일간 4회의 1g Cefazolin을 투여 받고 이후 경험적으로 경구항생제를 5일간 투여 받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열성이환을 알아 Objective : To compare single-dose prophylactic antibiotics after cord clamping with multi-dose postoperative antibiotics in 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elective cesarean section. Methods : Forty-five women undergo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had 1g ce

      • KCI등재

        복강경보조질자궁절제술과 복강경전자궁절제술의 수술결과 비교

        박현 ( Hyun Park ),최민철 ( Min Chul Choi ),윤보성 ( Bo Sung Yoon ),성석주 ( Seok Ju Seong ),조연경 ( Yeon Kyung Cho ),신중식 ( Joong Sik Shin ),전혜선 ( Hye Sun Jun ),심정연 ( Jeong Yun Shim ),김인현 ( In Hyun Kim ),박종택 (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7

        목적: 복강경보조질자궁절제술 (LAVH)과 복강경전자궁절제술 (TLH)의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병원기록을 바탕으로 2006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복강경자궁절제술을 받았고 병리소견이 자궁근종 혹은 샘근육증인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여 LAVH를 받은 93명과 TLH를 받은 142명을 선정하였다. 수술방법에 따라서 환자의 인구학적 특징과 수술결과를 비교하였다. 여러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나이 및 체질량지수, 수술력, 병리소견은 차이가 없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LAVH의 수술시간 (129.0±34.5분, 123.6±40.8분)과 실혈량 (385.5±296.1 mL, 294.7±285.4 mL)이 증가하였다 (P<0.050). 검체무게는 LAVH에서 무거운 경향이 있었으며 (378.7±211.7 g, 316.9±170.1 g, P=0.060), 입원기간 (5.63±1.61일, 5.71±1.61일)과 부작용 발생률 (10.8%, 14.0%)은 차이가 없었다 (LAVH, TLH, P>0.050). 다변량 분석에서 실혈량은 수술시간 및 검체무게과 관련이 있었으며 (P=0.000), 수술방법과는 관련이 적었다 (P=0.213). 결론: TLH에 비하여 LAVH가 시행된 경우에는 자궁이 무겁고 수술시간이 길며 실혈량이 많은 경향이 있었다. 다변량 분석을 통하여 복강경자궁절제술에서 실혈량은 수술방법과는 관련이 없으며 검체무게 및 수술시간과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between laparoscopy-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and total laparoscopic hysterectomy (TLH).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hospital records. Between September 2006 and August 2007, Patients undergone with LAVH (93 cases) and TLH (142 cases) with pathologic reports of leiomyoma or adenomyosis were enrolled. The characteristics and surgical result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ype. Th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Between two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ere similar such as age, body mass index, surgical history, and pathologic findings.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differences of operation duration and blood loss between LAVH (129.0±34.5 min, 385.5±296.1 mL) and TLH (123.6±40.8 min, 294.7±285.4 mL) were significant (P<0.050). Specimen weight was slightly heavier in LAVH (378.7±211.7 g vs. 316.9±170.1 g, P=0.060), Admission duration (5.63±1.61 day vs. 5.71±1.61 day) and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10.8% vs. 14.0%) were indifferent to the groups (LAVH vs. TLH, P>0.050). In multivariate analysis, blood loss was correlated with operation duration and specimen weight (P=0.000) but not with operation type (P=0.213). Conclusions: LAVH tends to be selected in larger uteri and results in more blood loss and longer operation duration. Operation type (LAVH or TLH) does not affect blood loss which is related with operation duration and uterine weight.

      • KCI등재

        임신성 고혈압의 중증도에 따른 임상적 고찰

        김선희 ( Sun Hee Kim ),류현미 ( Hyun Mee Ryu ),김연주 ( Yon Joo Kim ),정진훈 ( Jin Hoon Chung ),임하정 ( Ha Jung Lim ),우혁준 ( Hyuk Jun Woo ),조연경 ( Yeon Kyung Cho ),유승연 ( Seung Youn Yu ),최준식 ( Jun Seek Choi ),안현경 ( Hy 대한주산의학회 2004 Perinatology Vol.15 No.2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된 산모의 임상적 자료를 분석하여 임신성 고혈압 연구에 기초를 삼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0년 11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1년 동안 삼성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진찰을 받고 분만하여 임신결과가 확인된 8,159예의 산모 중 임신성 고혈압으로 진단 된 212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빈도와 다태임신 및 임신성 당뇨와 임신성 고혈압과의 관계 및 모체와 신생아 합병증의 분포 등을 경증과 중증 임신성 고혈압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 중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율은 2.6%였고, 경증이 53.3%, 중증이 46.7%, 자간증은 한 예도 없었다. 중증도에 따른 임신성 고혈압의 발생 빈도는 임신부의 나이, 분만 횟수, 쌍태 임신 여부, 임신성 당뇨 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분만 주수 21~28주 군과 33~36주 군에서는 중증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가 경증에 비해 의미 있게 많았고 (p<0.05), 신생아 체중이 5 백분위수 미만인 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중증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가 경중에 비해 많았다 (p<0.05). 모성 합병증은 중증 임신성 고혈압에서 산모 빈혈과 조기진통의 합병증이 경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p<0.05). 태아 및 신생아 합병증은 자궁내 발육 지연이 중증 임신성 고혈압에서 의미 있게 증가 된 것( p<0.05)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합병증은 임신성 고혈압의 중증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the baseline data for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From November 2000 through October 2001, a total of 212 women diagnosed as PIH and delivered at Samsung Cheil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obstetric and neonatal records, then analyzed the incidence, maternal complications, and neonatal outcome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PIH. The incidence of PIH was 2.6% (mild and severe form was 59% and 41%, respectively). In maternal age, parity, number of fetus (singletone or multiple pregnancy), and gestational diabet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cidence between mild and severe form of PIH. But, the women with severe PIH delivered more frequently at 21~28 and 33~36 gestational weeks than in mild form (p<0.05). Among fetuses with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a group with birth weight below the population 5 percentile was more frequent in severe than in mild form of PIH (p<0.05). As to maternal, fetal and neonatal complications of PIH, maternal anemia, preterm labor, and IUGR were more frequently founded in severe form of PIH than in mild. We could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t frequency in other complication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abruptio placenta, pulmonary edema, low apgar score, meconium stain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d intracranial hemorrhage) between mild and severe form of PI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