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중 판매중인 Fresh-Cut 채소 제품의 품질평가

        조순덕,박주연,김은정,김동만,김건희,Cho, Sun-Duk,Park, Joo-Youn,Kim, Eun-Jeong,Kim, Dong-Man,Kim, Gun-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5

        Most fresh-cut agri-food products are less stable than unprocessed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control system for fresh-cut agri-food products. In this study, vitamin C, minerals, residual heavy metals, and pesticides of various fresh-cut agri-food products were analysed.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less than expected in most products since fresh-cut products are likely to cause browning and easily lose their freshness. Therefore, the postharvest technologies that can maintain the quality, freshness and appearance must be supplied. Although vitamin C and minerals are main nutrients that can be supplied from salads, the results showed that vitamin C and mineral contents were very small and extremely small compared with the values from the food composition tables. It is possible that vitamin C and most minerals that are easily destroyed were lost through minimal processes like peeling and cutting. In safety side, the remaining heavy metal contents of fresh-cut agri-food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pper and lead existed in some products because only cadmium in agricultural produce is controlled by the minimum standard of heavy metal contents in Korea. No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all products. Fresh-cut 채소 제품이 소비자에 의해 선택되어 소비되려면 이의 친환경적 원료생산과 가공, 포장, 서빙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갈변제어, 연화제어 및 미생물적 제어 등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중 유통 판매되고 있는 fresh-cut 채소제품의 품질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현재 유통되고 있는 9개사 제품을 선정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포함하여 vitamin C, 무기질, 중금속 함량, 잔류농약 및 미생물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갈변 등 품질변화로 인해 전반적인 기호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 채소류에서 중요 영양성분인 vitamin C 함량은 9개사 모든 제품의 주재료인 양상추에서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다른 채소류의 vitamin C 함량 역시 식품성분표보다 소량이었다. 무기질 함량 역시 극히 소량이었는데, 이는 박피, 절단 등의 최소 가공 공정을 거치면서 파괴되기 쉬운 vitamin C와 무기질이 대부분 손실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안전성측면에서 평가한 잔류 중금속 함량의 경우 몇 개의 제품에서 구리와 납이 소량 검출되었으며 잔류농약은 검출되지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포도의 관능적 품질과 객관적 품질인자 상호간의 상관성

        조순덕(Sun-Duk Cho),장민선(Min-Sun Chang),김동만(Dong-Man Kim),김건희(Gun-Hee Kim) 한국원예학회 2010 원예과학기술지 Vol.28 No.4

        포도의 저장 중 소비자 관능평가와 실험에 의한 객관적품질인자간의 상관성을 통하여 포도 생산의 객관적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포도를 3부위로 나누어 동일부위 절반은 관능검사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여 품질요소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저장 기간 중 포도의 이 화학적 품질특성 변화를 보면 가용성 고형물함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저온저장보다 상온저장에서 더 많은 증가를 보였고, pH 및 적정산도는 저장 중 약간 감소하였으나 처리구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포도의 객관적 품질평가인자 상호간에는 낮은 상관성을 보여 pH-가용성 고형물함량 간에는 정(+)의 상관을, 적정산도-가용성 고형물함량 및 pH-적정산도 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포도에 대한 관능평가 항목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신맛과 신맛을 포함한 단맛의 상관성이 0.933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외관과 단맛과의 상관성이 0.619로 가장 낮았다. 전체적 기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요인은 조직감(r²=0.890)으로 조사되었고, 그 다음이 신맛을 포함한 단맛(r²=0.860)이었다. 또한, 관능적인 품질평가 인자와 객관적인 품질인자 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으나 그 중 전체적 기호도에 대한 가용성 고형물함량의 상관성이 다소 높게 나타나, 소비자 관능평가 지표로써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In order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in ‘Campbell Early’ grape, grap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One-half parts were used for the sensory evaluation and the other half were used as samples for instrumental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were studied through correlation study using 48-paired data set obtained during storage. Soluble solid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creased along the passage of storage tim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pH and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slightly at lower storage temperatures. Correlations between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 grapes were found to be very low.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H and soluble solid cont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H and titratable acidity. The relation of sourness and sweetness to sourness was higher than other sensory evaluation factors, and the shape of the grapes was found to have little relation to their sweetness. Texture (r²=0.890)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ference, followed next by sweetness with sourness (r²=0.860).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were found to be very low, with overall acceptability given to a relatively high content of soluble solid content. Correlations between pH and titratable acidity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were found to be very low.

      • KCI등재

        누룩치의 기능성 식품재료화를 위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조순덕(Sun-Duk Cho),최돈하(Don-Ha Choi),김건희(Gun-H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7

        최근 방향성 식용 임산자원의 생리 활성 규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누룩치의 섬유소, 무기질, tannin, texture 등 품질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누룩치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만들어 이에 대한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생채로써의 이용화 극대를 위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기능성 제품에 대한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lor는 신선한 누룩치 잎을 살짝 데칠 경우 L값과 b값이 대체로 감소하였으며, 누룩치를 동결건조 한 후 섬유소와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섬유소는 잎과 줄기에 각각 0.57%, 0.54%이었고, 무기질은 K 함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tannin은 누룩치 잎을 동결건조했을 때 33487.0 ㎍/mL이었고, 신선한 누룩치 줄기에는 함량이 20.9 ㎍/mL이었다. Texture는 누룩치 줄기를 데칠 경우 7.59 ㎏이었으며, 누룩치 잎을 동결건조했을 때 1.41 ㎏으로 나타났다. 누룩치의 항산화활성을 DPPH 프리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여 조사한 결과, 100 ㎍/mL의 농도에서 누룩치는 43.5%의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과산화물가에 의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누룩치는 500 ㎍/mL의 농도에서 항산화지수 1.09를 나타내었다. 누룩치 분말을 첨가해 가공식품을 제조하였다. 이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 hardness는 rolling snack의 경우 0.87 ㎏, garlic bread는 1.83 ㎏이었으며, 조단백질은 약 9%, 조지방은 약 26%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누룩치에 대한 기호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나이대가 높을수록 선호도가 더 좋았으며, 가공제품의 관능검사결과 누룩치를 자연상태 그대로 실시했을 때보다 좋은 기호도를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to increase the value of functional food resources. To examin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various factors such as color, texture, fiber, minerals, tannin, crude proteins, crude lipids and sensory quality, were determined using physicochemical methods. The contents of dietary fiber were 0.57% and 0.54% in each 100 g of leaf and stem parts (freeze drying base). In mineral content, potassium was the highest value in both of leaf and stem parts (freeze drying base). The contents of tannin were 108.1 ㎍/mL and 20.9 ㎍/mL in leaf and stem parts (fresh base) respectively. Blanching stem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hardness from freeze-drying leaves.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ethanol extracts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was investigated using peroxide valu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ethanol extracts of Pleurospermum kamtschaticum was 43.5% in a 100 ㎍/mL level, and the antioxidative index was 1.09 in a 500 ㎍/mL level. For functional food using Pleurospermum kamtschaticum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s and lipids were about 9% and 26%, respectively. The results from sensory evaluation of each treatment older age showed a better acceptability.

      • KCI등재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소비자 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효과 조사

        조순덕(Sun-Duk Cho),강은진(Eun-Jin Kang),김미혜(Meehye Kim),박성국(Sung-Kug Park),백옥진(Ock-Jin Paek),김건희(Gun-H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0

        식품은 인간의 건강과 생존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건전하고 안전한 식품을 섭취하는 것은 인간의 삶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최근에는 기후변화 등 식품 안전과 관련한 주위 환경이 더욱 열악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차원에서도 다양한 방법으로 식품안전에 관한 소비자 교육?홍보 방법을 개발하고, 홈페이지, 리플렛 등 교육 자료를 통해 유해물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관련 정보 분석을 통해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제조가공 과정 중 생성물질과 환경유래오염물질을 대상물질로 선정하였고, 이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이에 대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여대생 120명을 대상으로 인식의 변화, 태도의 변화, 행동의 변화 등 교육효과를 확인하였다. 조사결과,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인식도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98.8% 이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불안감에 대해서는 교육 전 77.8%에서 교육 후에는 막연한 불안감이 52.8%로 약 25.0% 포인트 감소하였다. 정부에서 식품 중 유해물질에 대한 저감화 방안을 홍보할 때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 지를 질문했을 때 교육 전에는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2.3%, 노력한다는 응답자가 73.5%이었으나, 교육 후에는 56.1%가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이라고 응답함에 따라, 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겠다는 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냈다. 식품 중 유해물질정보를 알았을 때의 소비 행동 조사결과, 관련 정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결정한다는 응답자가 교육 전 49.6%에서 교육 후에는 77.4%로 27.8% 포인트 증가하였고, 관련 식품은 무조건 구매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경우는 교육 전 45.4%에서 교육 후 20.9%로 24.5% 포인트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유해물질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정보제공을 통해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소비자와의 식품안전 소통채널 확대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소비자 대상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교육?홍보를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Domestic and overseas information with regard to harmful substances are analyzed. From the results, environmental-derived hazard chemicals, which show relatively low recognition, and hazard chemicals that occur unavoidably in food manufacturing process are selected as target harmful substances. Thus, educational leaflet conten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se substances. To find the effects of education with the above contents, this study surveyed 120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The purpose of the survey is to analyze the change in re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on hazard chemicals in foods. The survey found that the recognition on harmful substance in foods increased; from 31.5~78.0% before education to 98.8% after education. It also indicates that vague anxiety in which the harmful substances may damage their health decreased by approx. 25.0%; from 77.8% before education to 52.8% after education. For the question of what they would do when government promotes to reduce harmful substances in foods, 12.3%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actively follow the suggestions and 73.5%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do their best before an education. However, 56.1%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actively follow the suggestions after the education. It indicates that the ability to recognize harmful substances changed after the education. With regard to consumer behavior, when they knew about the harmful substances in foods, 49.6%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select foods after investigating relevant information before the education, while 77.4% of them said that after the education; which is an increase of 27.8%. Further, 45.4%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not purchase relevant foods before the education, while 20.9% of them said that after the education; which is a decrease of 24.5%.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vague anxiety of consumers can be eliminated by providing persuasive information on harmful substances. To expand on the communication channel with consumers for food safety, contents development and educational promotion should be enhanced for providing food safety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계절에 따른 시판 신선 편이 샐러드 제품의 품질 평가

        조순덕 ( Sun Duk Cho ),윤수진 ( Soo Jin Youn ),김동만 ( Dong Man Kim ),김건희 ( Gun Hee Kim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0 No.3

        As a result of life-style changes, consumer`s concerns of food have shifted from calories and nutrition to health and convenience. Fresh-cut products are one such new direction for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this study, the vitamin C, mineral, and pesticide contents of various fresh-cut produc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ensory evaluations, the key reason for a lower than expected overall acceptability of many fresh-cut products is that they are likely to have browning and can easily lose their freshness. Also,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shriveling, the degree of browning, softening around the cut edge, and off-flavors were the primary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fresh-cut products. As a nutritional factor of quality, vitamin C content was not practical with regard to fresh-cut lettuce because the level was very low. For product safety,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the fresh-cut products, but the results showed that all items were under permitted levels and considered safe. In evaluation of the microbial levels of the fresh-cut market products, the levels of viable cells, mold, yeast, coliform bacteria, and enterobacteriacea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summer and winter seasons. The levels of S. aureus and Listeria spp. in the products were higher during the summer season than the wi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