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서복사구장고려관경서분변상도(西福寺舊藏高麗觀經序分變相圖) -고려 관경서분변상도 도상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조수연 ( Su Youn J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7 No.-

        西福寺舊藏高麗<觀經序分變相圖>는 ``淨土三部經`` 중 『觀無量壽經』서분의 내용을 도해한 것으로, 서분의 化前序에서 欣淨緣까지의 내용을 禁父緣, 禁母緣, 爲王說法, 厭苦緣으로 구분하고 크게 4~5장면으로 1폭에 묘사하고 있다. 그리고 佛이 보낸 존자가 왕을 위해 설법하는 장면을 2번반복 표현하는 특징을 보인다. 화폭의 건물과 인물에서는 중국의 宋또는 元등의 건축과 복식에 영향을 받은 흔적이 여러 곳에서 확인되는데, 이는 당시의 중국화풍 영향 또는 송과 원의 문화를 받은 당시 고려사회의 반영일 것이다. 매우 정밀하며 정확하게 그려진 서복사구장 <관경서분변상도>는 건축사는 물론이거니와 복식사에 있어서도 귀중한 자료가 될 만큼 표현 대상물에 대한 정확성은 매우 높다.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서복사구장 <관경서분변상도>는 현존하는 기년명의 고려불화와 일본의 13C 관경서분변상도와 비교해 볼 때 일본의 관경서분변상도보다는 이후에, 大恩寺藏<관경서분변상도>(1321년) 보다는 이른 시기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기년명이 있는 고려불화가 몇 점되지 못해 정확한 양식비교가 어려우나 대략 1300년 전후의 시기로 추정된다. 이 같은 서복사구장 <관경서분변상도>는 중국 당의 관경변상도 및 13C추정의 일본 관경변상도 그리고 현존하는 일본 관경서분변상도와 그 형식 및 양식에 차이를 가지는데, 그것은 복합적인원인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즉 서복사구장 <관경서분변상도>는 十六觀想(定善義圖)을 정토변상으로 재구성한 宋의 관경변상도 영향 아래 고려후기에 성행한 禪觀念佛로 인해서 정종분에서 분리된 것으로 보이며, 민간포교적 성격을 갖는 당시의 정토종 경향과 忠烈王과 忠宣王의 왕권쟁탈이라는 시대적 상황이 그 독립과 그 형식에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송의 영향을 받은 일본에 현존하는 관경서분변상도와 같은 형식이 고려에 들어와 이후에 점차 高慮化되며 발전변모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서복사구장 <관경서분변상도>는 대상에 대한 정확한 묘사력을 보이며 여러 방면에서 그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그리고 표현력 또한 매우 뛰어나 고려불화의 진모를 보인다. 앞으로 중국은 물론 일본의 관경변상도와 한국의 관경변상도 비교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에 관한 연구는 이후의 과제로 삼고자 한다. The painting of Prefatory part of Amitayur-dhyana-sutra in the Saifuku-ji (西福寺舊藏觀經 序分變相圖) is illustrated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ory part of Amitayur-dhyana-sutra(觀無 量壽經) and is based on Amitabha Buddha`s belief in the Pure Land. Different from Chinese and Japanese painting of Amitayur-dhyana-sutra, this painting show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ontents of the introductory part are expressed faithfully in one canvas. That is, it divided the contents from Hwajeonseo(化前序) to Heunjeonyeon(欣淨 緣) and described the contents with 4-5scenes in one canvas. This painting is different in its form and style from Chinese painting of Amitayur-dhyana-sutra from the Tang(唐) Dynasty, Japanese painting of Amitayur-dhyana-sutra, and Japanese painting of Prefatory part of Amitayur-dhyana-sutra extant. Such differences of the painting in the Saifuku-ji from Japanese painting of Prefatory part of Amitayur-dhyana-sutra estimated to be painted in the 13th century might come from several causes. That is, this painting seems to have been separated from the main part by Zen (禪觀念佛) popular in the late Goryeo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painting of Amitayur-dhyana-sutra from the Sung Dynasty, which restructured Sixteen visions(十六觀想) into Paradise visions (淨土變相), and its independence and form are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much by the historical situation of contest for sovereign power between King Chungryeol(忠烈王) and King Chungseon(忠宣王). That is, it is believed that the same form as painting of Amitayur-dhyana-sutra extant in Japan, which was influenced by Sung, was imported to Goryeo and changed gradually through localization.

      • 지하 매설용 센서 노드의 Cost인지 라우팅 프로토콜

        조수연(Cho Su Youn),조인휘(Jo In Whee) 한국통신학회 2009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6

        본 논문은 지하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매설용 센서 노드들의 Cost 인지 라우팅 프로토콜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써 UCAR(Underground Cost Aware Routing)라 표현하겠다. UCAR은 소스 노드에서 목적지 노드까지의 전송 홉을 고려함을 기본으로 하나, 전송 홉 이외에도 전송간의 Cost값과 배터리의 잔량을 인지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가 제안하는 효율적인 지하 환경 라우팅 방법은 기존의 GPSR방식에 비해 패킷 전송간의 목적지 까지의 경로와 전송 노드등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다음 노드를 결정함으로써 PER을 최대 50%이상 향상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배터리 사용량을 단축 시키는 장점등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淨甁) 표현 연구

        조수연 ( Su Youn J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3 강좌미술사 Vol.40 No.-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관음상의 상징물인 정병 또는 정병과 승반(承盤)이 함께 묘사된다. 그리고 그 외 고려후기 불화의 관음보살상과 조선초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수반(水盤, 淨水碗)이 정병을 대신하여 묘사되기도 한다. 정병은 관음보살의 상징물로 인도석굴 조각상에서부터 일찍이 보이기 시작하며 수월관음보살도에 있어서는 초기 도상인 돈황석굴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부터 확인된다. 淨甁은 범어로 Kundika이며 水甁을 의미하는데, 본래 아열대 기후인 인도의 기후에 따라 신도들과 출가한 승려가 항시 지니는 생활필수품이었다. 그러나 이후 불교에서 身心을 淨化한다는 의미가 부여되어 수용되며 대승비구의 十八物의 하나가 되었고, 淨水를 공양하는 供養具로도 사용되었다. 그리고 이후 관음보살을 비롯한 여러 존상의 지물로 나타나게 되었는데, 수월관음보살도 도상에 있어서는 10세기경의 돈황석굴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부터 확인된다. 돈황석굴 출토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정병이 보살상의 손바닥에 올려져있거나 또는 손에 쥐고 있는 모습이며 소형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하라호토(탕구트(西夏:982∼1227))출토 불화 가운데 12세기∼13세기 추정의 러시아 에르미타주박물관소장 수월관음보살도 2점에서의 정병은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 묘사와 연관성을 보인다. 그리고 그 외에 12세기경의 楡林窟 2굴(西夏)의 수월관음보살도, 돈황 237굴(中唐期創建, 西夏重修의 堀) 전실 입구문 위의 좌우 수월관음보살도(西夏)에서의 정병묘사 또한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정병묘사와 깊은 연관성을 보인다.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대부분의 정병이 군지형의 정병으로, 胴?에 귀때가 달렸으며, 긴 목위에 管狀 혹은 注狀의 첨태가 있는 형태이거나 또는 동체에 注口部가 없어지고 胴? 상부에 테를 붙여 頸部와 胴部를 구분 짓는 형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2점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특징적으로 굽이 있는 계란형 혹은 물방울형의 胴?에, 잘죽하게 좁혀진 頸部와 밖으로 잦혀진 口緣部를 갖춘 형식을 보인다. 이같은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상에서 보이는 정병은 대부분이 녹색계의 정병으로 묘사되었는데, 단 1점의 수월관음보살도에서는 백자를 연상시키는 백색의 정병을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정병에는 다양한 문양이 금선으로 새겨져 화려함을 더한다.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에서 보이는 정병은 사실적인 형태 묘사 등을 보이며 고려 정병 연구에도 그 의미가 크며, 고려후기 수월관음보살도의 편년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모티브로 앞으로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bottles, a symbol of Avalokieshvara, or bottles and saucer(承盤) are depicted together. Bottles as Avalokiteshvara`s symbol began to be seen early from India`s stone cave sculptures, and were found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in Tunhuang, an icon in the early period. In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a small bottle was depicted as placed on Avalokiteshvara`s palm or as held in Avalokiteshvara`s hand. And, the bottles in the two water-moon Avalokieshvara paintings, among others found in Khara Khoto (982∼1227) and possessed by the State Hermitage Museum in Russia, which are assumed to be works in the 12th∼13thcenturies, show relatedness with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addition to this, the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 in the second cave of 楡林窟 toward the 12th century and thos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ver the antechamber`s entrance of the 237th cave in Tunhuang also show deep relatedness with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most bottles are in the form of Kundika, have a spout on their body, and have a rim in the form of tube or distinguish between their neck and body with a rim attached on the upper part of its body without a spou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that have unique bottles with an egg-form or waterdrop-form body, a narrow neck, and externally bent bottle neck Most of these bottles shown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are depicted in green, but only one painting shows a white bottle, which reminds us of white porcelain. And, splendor is added to bottles with various patterns carved in golden line. Bottles i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show realistic depiction,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Goryeo`s bottles, and are an important motive for chronological research on water-moon Avalokiteshvara paintings in the Late Goryeo period. I would like to more profound work in future.

      • KCI등재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의 표현기법 연구

        조수연(Jo, Su-you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 글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도상을 전래받았으나, 고려만의 독자적인 화풍을 이룬 고려 수월관음도의 표현기법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했다. 먼저 표현기법의 분석에 앞서서 도상의 전래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았고, 또 고려 불화의 표현기법이 지니는 의의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표현기법은 구도, 형태, 필선, 채색, 문양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고려 수월관음도의 도상은 관련 사료 및 당시 불교 문화교류사를 바탕으로 고찰해 볼 때, 고려보다 훨씬 이전에 전래되어 초기에는 고려만의 일정한 형식이 만들어 졌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송과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면 구도는 크게 사선 또는 대칭구도를 기본으로 하는데, 암석과 수면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수직 · 수평의 안정적인 구도를 만들어 내었고, 이와 같은 딱딱한 구도는 수월관음의 신광과 두광의 圓으로 와해시키는 효과를 자아냈다. 형태는 입체감과 공간감을 고려하고 리듬감을 더하는 형태로 묘사되었다. 그리고 최대한 사실적으로 대상을 묘사하고자 하였다. 필법에 있어서는 표현대상에 따라서 묘법과 준법을 달리하였고 다양한 필법은 각 대상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살려내었다. 채색에서는 크게 3가지의 특징적 기법을 볼 수 있다. 첫째는 흰색과 금색으로 색의 대비를 완화시키는 기법, 둘째는 섬세한 문양을 활용하여 강한 색감을 약화시켜 미묘한 색으로 만드는 기법, 셋째는 은은한 바림기법이다. 마지막으로 문양은 표현 대상물에 따라 일정한 법칙이 적용된 것처럼 특정 문양만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문양 표현에서도 특징적인 면이 나타난다. 첫째는 주름선에 중점을 두고 선 옆으로는 문양을 넣지 않는 것이고, 둘째는 문양에 중점을 두고서 주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문양의 형태를 유지하며 새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려의 수월관음도는 뛰어난 표현력으로, 불교 회화사의 발전은 물론이고 일반 회화사 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상세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특징은 미술사 연구뿐만 아니라 고려문화사 연구에도 큰 의미를 지닌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technique of Goryeo Water 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which had received the iconographies from China, but which had their own unique style of Goryeo. Prior to the analysis of expression techniques, this study intended to briefly examine the origin of iconographies, and then try to point out the implications of expressive technique in Goryeo. For analysis, expression techniques were divided into composition, shape, brush line, color, and pattern. With reference to several works as for the iconographies of Goryeo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based on various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and the Buddhism culture exchange history of the time, they seem to have been introduced much earlier than the Goryeo era, and it seems that Goryeo"s original form had already been made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interaffected and developed with Song. The composition is basically based on oblique or symmetrical composition. Using rocks and water, it naturally created a stable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si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igid composition was broken into rings (圓) of Shingwang and Dugwang. The shape was described as adding rhythm, taking into account the depth and space, and tried to portray the object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In brushing methods, myobeop and junbeop were differently used for different o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expression, and various brushing methods have been used to mak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bject more effective. There are three distinctive features in coloring. The first is a technique to relax the contrast of the colors in white and gold, the second is a technique to make subtle colors by weakening the strong colors by using delicate patterns, and the third is the gentle Barim technique. Finally, the pattern is engraved with a specific pattern just as a certain rule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bjects to be expressed. And there was a characteristic aspect in the expression of the pattern. The first is to emphasize the pleat line, not to insert the pattern next to the line, and the second is to emphasize the pattern and to engrave it with the shape of the pattern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pleat. As such, Goryeo"s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would have shown great expression and have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painting histor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general painting history. And detailed and accurate realistic depic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Goryeo cultural history as well as art history research.

      • KCI등재

        고려시대 불교회화에 나타난 버들가지 도상의 고찰

        조수연(Jo, Su-Yo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7 미술문화연구 Vol.10 No.10

        본 글에서는 관음보살의 지물 가운데 버들가지가 언제 어떻게 관음보살의 대표적인 지물로 정립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이유로 고려시대 수월관음보살도에서 지물로 묘사되는지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불어서 고려시대 관음보살도에서의 버들가지 도상을 분석하고, 그 유형을 분류함과 동시에 버들가지 지물이 갖는 의의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버들가지는 서아시아 방면의 종교 신앙을 배경으로 생명력을 상징하며 발생된 것으로 보이고, 이후 밀교 경전을 바탕으로 주술적인 의식 · 의례의 영향과 버들가지를 중시했던 중국 민간신앙의 영향 속에서 점차 관음보살의 지물로 정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수월관음보살도를 포함하여 중국의 도상에 영향을 받은 고려의 관음보살도 역시 고려 관음신앙의 유행과 밀교가 성행으로 버들가지의 상징적 의미가 중요시되면서 버들가지 지물의 관음보살도가 활발하게 제작된 것으로 고려된다. 고려의 관음보살도에서 보이는 버들가지 도상은 전체 관음보살도에서 작은 세부도상에 불과하지만, 관음보살의 성격을 정하는 중요한 도상으로 고려시대 불교회화사 연구에는 물론이고 일반 회화사 연구, 넓게는 고려시대 문화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도상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willow branches among the artifacts(持物)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觀音菩薩圖) were established as the representative artifact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why the willow branches are described as artifacts of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水月觀音菩薩圖) in Goryeo era.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willow branch iconographies of Avalokitesvara Paintings in Goryeo era, classify the types,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willow branch artifacts. The willow branch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religious beliefs in the West Asia, symbolizing the vitality of life. Afterwards, the willow branch gradually appears to have been established as the artifact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the influences of the ordinances and rituals based on the esoteric(密敎) scriptures and the influence of China"s folklore faith, which emphasized the willow branch. And along with the epidemic of Avalokitesvara faith in Goryeo and the prevalence of esoteric Buddhism, a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willow branch became important, Avalokitesvara Paintings in Goryeo influenced by China"s iconography, including Water-Moon Avalokitesvara Paintings and the Avalokitesvara Paintings of willow branch artifacts were actively produced. The willow branch iconography seen in Avalokitesvara Paintings of Goryeo is only a small detail iconography in the entire Avalokitesvara Paintings, but is an important iconography that characterizes Avalokitesvara Bodhisattva for studying Buddhist paintings in Goryeo era as well as for studies of the general painting history and broadly the cultural history in Goryeo era.

      • KCI등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어려움 및 해결방안

        손연아(Yeon-A Son),윤순재(Soon-Jae Yoon),김은미(Eun-Mi Kim),박지현(Ji-Hyun Park),유한나(Han-Na Yoo),조수연(Su-Youn Jo),김동렬(Dong-Ryeul Kim)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敎科敎育硏究 Vol.34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when teaching high school convergence-type science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ho have ever taught convergence-type science,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attempted to consider practical solutions as well. This study classified their difficulties in teaching convergence-type science into a total of 5 domains (knowledge about contents, students knowledge,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knowledge about evaluation), designed a questionnaire to find out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in teaching convergence-type science and proper solutions and conducted e-mail interviews after the survey. Most of the science teachers who had ever taught convergence-type science were aware of the intent and objective of convergence-type science, and they responded that convergence-type science is needed for students to have an integrative view on science and apply it to an actual society. Out of the 5 domains of difficulties science teachers have in teaching convergence-type science, their difficulties related to knowledge about contents and students knowledge were found to be greatest. As a solution to their overall difficulties in teaching convergence-type science, they mostly responded that a solution should be provided to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As for teaching methods, they mostly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provide data related to major knowledge through teachers training or educational institutions. Besides, as for the curriculum, since the present high school convergence-type scienceis too vast in contents for 10th graders, who don t have enough basic scientific knowledge, and its levels are too high for them as well, they suggested some solutions that the level of convergence-type science should be lowered a little bit or that the range of contents should be reduc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evels of scientific knowledge.

      • KCI등재

        학술조사(學術調査) 연구(硏究) : 고려 관경변상도의 계승과 1435년 지은사(知恩寺) 장(藏)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의 연구

        문명대 ( Myung Dae Moon ),조수연 ( Su Youn Jo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경도(京都) 지은사장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16관변상도는 조선 세종(世宗 1418-1450)17년,1435년 6월에 조성된 현존하는 조선 최고의 관경변상도로 크게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고려 관경변상도처럼 좌우대칭의 치밀한 구도, 정교하고 세밀한 형태, 아름다운 채색은 물론 금선을 많이 사용하여 고귀하고 찬란하게 보이고 있는 뛰어난 수작이어서 조선불화연구에 크게 중요시된다. 이 그림의 화기 판독과 도상연구를 통하여 1435년 세종 17년에 세종의 이복형제이자 태종의 아들 온령군의 부인 익산군 부인(益山君 夫人)이 대시주가 되어 조성한 왕실조성 불화이며 왕실의 왕권투쟁과 연관성이 짙은 관경변상도라는 역사적 배경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8, 9, 10, 11, 12관이 9관 중심의 아미타불회도로 통합된 독특한 형식의 관경변상도로 16관 가운데 묘사된 각 관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으며, 고려 관경변상도의 양식이 잘 계승되었으면서도 아미타불회도를 집중적으로 강조한 새로운 조선식 관경변상도 양식이 정립되는 1465년 관경변상도와는 다른 개성있는 과도기적 불화양식이 잘 표현되고 있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The painting of sixteen visions of Amitaur-dhyaa-sura at Chion temple(知恩寺) in Kyoto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s one of the best currently available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which was created in June in 1435, the seventeenth reign of King Sejong (世宗1418-1450). Like Goryeo paintings of the paradise of Amitabha, it is a magnificent and splendid masterpiece with the use of golden lines as well as has the elaborate composition with bilateral symmetry, delicate and detailed shape and beautiful colors, and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the study of Buddhist painting in Chosu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time of the painting and the study of the iconography, it was found that Madam Iksangun (益山君 夫人), wife of Onryeonggun who is son of King Taejong and half-brother of King Sejong donated money to draw this painting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It is a pa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closely related with the struggle for the royal authority in the royal family. It is the pa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with the views of 8, 9, 10, 11, and 12 integrated with the 9th view centered Amitabha Buddha pai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16 views can be observed in details, succeeding to the Goryeo pa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and at the same time highlighting the Amitabha Buddha painting, which is the new generation Chosun style painting of the paradise of Amitabha. It shows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in 1465 when new style is being established in Buddhist pain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