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조미림 ( Mi Lim Cho ),박보라 ( Bo Ra Park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1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일반적 특성 및 업무관련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011년 6월 1일에서 6월 30일까지 현재 국내 대학병원, 종합병원, 복지관, 재활 관련 기관 등에서 근무경력이6개월 이상인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우편,온라인 등을 통한 설문지 94부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실시하였다.MAL과 SS-QOL의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사의 심리안녕감은 192.5±28.5점이었고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6가지 차원은 개인적 성장,긍정적 대인관계,자아수용,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 자율성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분석 결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었고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관한 분석 결과,동료 수는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6가지 차원 중 자아수용,긍정적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환경통제력은 매우 유의미한차이를 보여주었다.치료대상은 심리적 안녕감의6가지 차원 중, 삶의 목적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근무 중 휴식시간은 심리적 안녕감의6가지 차원 중 개인적 성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결론: 심리적 안녕감은 동료수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으며 작업치료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및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를 통한 질적인 의료서비스 제공이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look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and work characteristic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 Methods :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occupational therapists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in occupational therapy at the places like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welfare houses and rehabilitation facilities through on-line and mail service from June 1, 2011 to June 30, 2011. The 9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 The average score of occupational therapist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192.5±28.5 and the personal growth showed highest score followed by positive relations, self-acceptance,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utonomy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tud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any numb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environmental master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ject of investigation and purpose in life. The break tim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sonal growth. Conclusion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between company numb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ould provide better medical service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 분석: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권, 중부권, 호남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 전공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388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하여 보통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매안심센터로의 취업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전체 학생의 80%이상이었다. 둘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중요하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사업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학년, 지역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 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매안심센터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활성화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January 2020, 400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sang, Joongbu and Jeonra areas. With the exception of 12 missing response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rst,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had a normal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willing to work at a dementia care center.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importan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most important i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ject. Third, students were all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grade and reg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re was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Conclusion :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valu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These findings could used as a useful basi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조미림(Mi-Lim Cho),신중일(Joong-Il Shi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이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글을 활용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36부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3.63±0.91), 전공몰입도(3.57±0.86), 학업적 자기효능감(3.42±0.81)은 모두 ‘보통 이상’의 평균 점수대를 보였으며, 학과만족도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거리(거주지~대학)에 따라 학과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또한,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과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몰입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1). 결론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들이 우수한 작업치료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nalyze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 Methods :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23,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A total of 136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showing average “above normal” scores in satisfaction on department(3.63±0.91), commitment of major(3.57±0.86), and academic self-efficacy(3.42±0.8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commitment of major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ccording to distance(residence to university)(p<.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commitment of major,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commitment of major and academic self-efficacy(p<.01).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we should discus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o tha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can be produced as excellent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 조사

        조미림(Mi-Lim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기능에 대한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인식 수준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수준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별 기능에 대한 인식 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안심센터의 7개 사업유형 중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다.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에 따라 7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 모두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년의 경우, 방문형 모델을 제외한 6개의 치매안심센터 사업유형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은 치매환자쉼터 운영사업과 치매가족 지원사업에 대한 인식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이용경험 유무에 따라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 여부에 따라 상담 및 등록관리사업, 치매가족 지원사업, 치매안심마을 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작업치료 전공 관련 교육기반 마련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levels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on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study included 357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mong the types of project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nsult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scored the high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7 projects of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6 projects except ‘a visiting model’ according to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rest area business for dementia’ and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according to ‘reg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dementia care villa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using dementia care cent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levels of ‘consultation and registration management’, ‘support for families with dementia’, ‘dementia care village’ according to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and help to establish the curriculum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과 공감능력, 대처행동과의 관계

        조미림(Mi-Lim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0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과 공감능력, 대처행동을 알아보고 그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년 5월부터 8월까지 장애아동 어머니 94명을 대상으로 놀이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공감능력, 대처행동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는 놀이유형 중 자녀와의 신체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정서적 공감능력이 인지적 공감능력에 비해 높으며, 자녀를 위해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대처행동을 보였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 자녀가 치료받은 기간이 1년 이상~2년 미만일 때 놀이참여 수준과 대처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자녀가 치료받은 기간이 길수록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높았다. 또한,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 참여 수준과 공감능력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공감능력과 대처행동은 강한 양적 선형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종합해 보면 장애아동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놀이참여 수준, 공감능력, 대처행동에는 차이가 있으며, 장애아동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이 높을수록 공감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개별화된 중재가 제공될 때 장애아동 어머니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empathy ability and coping behavior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94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2018 to August 2018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empathy ability and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study,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tively participate in physical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have a higher emotional empathy compared to cognitive empathy, and have acted to actively solve the problems for their children. When children have been treated for more than 1 to 2 years,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and the coping behavior were the highest. The longer their children’s treatment period, the higher the mothers’ empathy. The correlation between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and coping behavior were significant. And empathy and coping behavior had a strong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level of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empathy and coping behavior depending o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higher level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the more empathetic they have. When individualized intervention is provided, we look forward to providing professional service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한 연구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전국 작업치료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응답이 누락된 6부를 제외한 258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과 관련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 및 치매질환, 인지, 일상생활활동, 조기검진팀 검진사업, 조기검진팀 서비스 연계 5개 영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작업치료사가 해당 영역에 대한 역량을 갖춘 전문가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에 관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작업치료사 포함에 대한 당위성, 인지와 인지평가 및 중재 전문가를 통한 인지검사 수행, 노인과 치매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 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의 필요성에 대한 4개 문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전문가가 관련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기검진팀 사업 관련 작업치료사의 역량과 당위성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사업 참여 당위성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justifi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a dementia care center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Methods : A survey of 264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20 to August 2020.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258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and 6 copies with missing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of their own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projects of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ave themselves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in five areas: the elderly and dementia,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amination project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nd connection with the early examination team’s services. Therefor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ive themselves as experts with competencies in the relevant area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y got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for the four quest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 inclus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gni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of cognition testing through intervention experts;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dementia and follow-up consultation;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ollow-up consultation. In this way, it determined that they think the experts for the relevant areas must carry out the relevant servi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for the justif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arly examination project by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조미림(Cho, Mi-Lim)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수행되는 작업치료 직무 관련 기초연구를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방법을 사용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의 직무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9년 9월 선정기준에 부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6명을 전문가로 섭외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 전문가 선정, 2단계 사전준비, 3단계 포커스그룹 인터뷰, 4단계 자료전사, 5단계 자료분석, 6단계 결과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통합적 분석 결과, 총 6개의 주제, 34개의 범주, 120개의 세부범주와 22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직무에 대한 주제별 내용 분석 결과, ‘상담’ 책무는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며, 초기상담보다는 중기 및 후기상담(관리상담)의 실시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 책무의 경우 프로그램과 사례관리 전⋅후 작업치료사 자체적으로 내담자별 필요한 평가에 대해 실시하고 있었으며,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모두 작업치료사가 평가의 전문가로서의 조기검진팀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재계획’ 책무의 경우 작업요소적인 측면보다 는 활동 및 참여와 관련된 부분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며 이용대상자에게 필요한 부분에 대한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작업치료사는 ‘중재’ 책무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진행 외에도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수정, 필요한 관련 서비스 연계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 및 관리’책무와 관련하여 환자 및 보호자, 종사자, 자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연구활동 참여, 대학 및 대학원 진학 등의 ‘자기계발’ 책무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결론 : 치매안심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 및 전문 인력의 역할 정립 및 강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명확히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전문성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by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for basic research on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y conducted at the dementia care centers. Methods : In order to find out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six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dementia care centers, as exper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invited in September 2019 to conduct a focus group interview. This study was conducted in 6 steps: 1st step of selecting experts, 2nd step of making preliminary preparation, 3rd step of interviewing the focus group, 4th step of transcribing data, 5th step of analyzing data, and 6th step of deriving the result. Results : As a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job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the dementia care centers, a total of 6 topics, 34 categories, 120 subcategories and 222 concep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each topic regarding the jobs, it was found that the duty of “consultation” is carried out on a regular basis, and the proportion of providing consultation (management consultation) in the mid and the last period is higher than that of initial consultation. In the case of the duty of “evaluatio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onducting the necessary evaluation for each client before and after program and case management and all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ought tha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included as an evaluation expert in the early examination team. In the case of the duty of “plan of intervention”, the priority was given to the parts related to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the aspect of occupational elements and a plan of interven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arts needed by the subjects.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arrying out tasks such as training for daily life activities, changing the home environment, and linking to the required services concerned in addition to conducting programs in relation to the duty of “intervention”. In relation to the duty of “education & management”, they carried out programs for patients, guardians, workers, and volunteers, and strenthened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duty of “self-development” such as participation in research activities and going to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for study. Conclusion :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s,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roles of experts are essential.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larify the job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helping to understand their jobs and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 KCI등재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조미림(Mi-Lim Ch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8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년 6월부터 9월까지 장애아동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성격유형과 대처행동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성격유형은 에니어그램을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대처행동은 한국판 장애아부모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은 장형이 가장 많았다. 대처능력은 장애자녀를 위한 적극적 문제해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을 분석한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대처능력과 부부협력 강화, 사회적-정서적 지지추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 결과 대처능력과 부부협력강화, 사회적-정서적 지지추구 모두 가슴형과 장형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가슴형이 장형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중재 개입 시, 장애아동 어머니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처행동을 예측하고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제시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102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to september in 2020 based on the questionnaire about the personality type and coping behavior. Personality types were evaluated using Enneagram, and coping behavior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Coping Behavior Scale for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belly type was the most common personality type of mothers with disabilities. As for coping behavior, active problem-solv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ping behavior, strengthening marital cooperation, and pursuing social-emotional support. As a result of post-verifi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art type and belly type in coping behavior, strengthening marital cooperation, and pursuing social-emotional support, and heart type scored higher than belly type. When conducting interventions for families of disabled children,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more effective services by predicting cop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and presenting individualized programs.

      • KCI등재후보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연구 동향

        조미림(Cho, Mi-Lim)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문헌 검토를 통하여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연구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와 DBpia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작업치료’, ‘주거환경’, ‘가정환경’, ‘생활환경’, ‘환경수정’을 키워드로 하여 국내학회지를 전자 검색하였다. 2007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2편이 선정되었다. 2007년에서 2017년까지 매년 3편 이하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작업치료 분야 연구가 발행되었으며, 총 5개의 학회에서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를 발행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분야 연구주제로 주거환경 관련 평가도구, 주거환경에 대한 디자인 선호도, 주거환경개선 효과, 주거환경 개선 요구도, 유니버설 디자인이 있었으며, 이 중, 주거환경개선 요구도와 관련된 논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 관련 작업치료 연구 대상으로 장애인과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 방법별 분석에 따르면 조사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주거환경과 관련된 국내 작업치료 분야의 연구동향 파악은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작업치료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published in Korea for the last 10 years. Method : Through the database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provided by KERIS and database of DBpia, the keywords occupational therapy , residential environment , home environment , living environment , environment modification to search for articles. A total of 12 articles were selected from 2007 to 2017. Result : From 2007 to 2017, research on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less than 3 residential environments was conducted every year, and a total of five conferences published residential environment related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There were research items such as evaluation tool, design preferenc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and universal design. Most of articles were about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method, researches were the most common.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rend of domestic occupational therapy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be utilized as basic data of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 for improvement of residential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