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 Parents Characteristic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on Reading Achievement in Sweden

        조규판(Cho Gyu-P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04 比較敎育硏究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해서 가정환경 및 부모특성, 학생의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의 읽기 성취도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형을 만드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해 국제학업성취도평가협회(IEA)가 2001년에 실시한 국제읽기능력향상연구(PIRLS) 35개국의 자료 중 Sweden 5,052명의 학생과 그들의 부모들에게 실시했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세 변인을 설명해주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가정환경 및 부모특성은 아동의 읽기성취도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심리적 특성인 읽기태도 및 읽기자아개념도 그들의 읽기성취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의 읽기성취도 향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s between and among the home environment and parents characteristics, student attitudes toward reading and reading self-concept, and reading achievement. The database of 5,052 students and their parents from Sweden in the PIRL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provide a model fit among three variables. It shows that the variable of the home environment and parents characteristics effect directly and indirectly on reading achievement. Student attitudes toward reading and reading self-concept is a variable that effects on reading achievement. The results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to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improving student reading achievement.

      • KCI등재

        중학생의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조규판(Cho Gyu Pan),송근혜(Song Geun He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 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들에게 기질, 원가족의 정서 적 건강성, 그리고 자아분화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고,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 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 기질의 정서성과 자아분화 간에는 유 의미한 부적상관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의 정서성과 자아분화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 아본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인 정서성, 활동성과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의 하위요 인인 자율성이 중학생의 자아분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독립변인으로 나타났으 며, 이들 세 변인이 자아분화의 약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선천적인 경향을 가지는 기질의 하위요인들은 정서적 감정과 지적인 사고의 조화로운 성숙 을 내포하는 자아분화 수준에 부적 관계를 가지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및 타인에 대한 이해심과 신뢰감을 내포하고 있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중학생 의 자아분화 수준에 정적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중학생의 자아분화 성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질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한 가족 프로그램 및 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mperament and the emotional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on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135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of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EAS), Family-of-Origin Scale(FOS), and the Scale of Self-Differentia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result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ity of tempera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We have to consider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empera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emotionality of the family of origi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differenti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develop and keep balance of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ity and activity from temperament and autonomy and intimacy from the healthiness of the family of origin significantly explain the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that have an inborn tendency had negative relations with the self-differentiation that implies a harmonized maturity between emotional feelings and intellectual thinking, while the emotional healthiness of the family of origin that implies the responsibility for one s own behavior and the understanding and trust toward other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differences ba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temperament nee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family programs and other approaches customized for them.

      • KCI등재

        일반논문 : 고등학생용 눈치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규판 ( Gyu Pan Cho ),권태우 ( Tae Woo Kwon ),김경원 ( Kyung Wo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용 눈치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눈치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정서적 눈치, 행동적 눈치를 설정한 후 이들 구성요인에부합되는 197문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문항 중 내용이 유사한 문항을 수정하거나 삭제하여 95 문항을 1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한 다음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정서적 눈치 15문항, 행동적 눈치10문항 총 25문항을 선정하였다. 이들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를 173명의 고등학생에게 실시하여문항과 구성요인간의 상관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 눈치 7문항, 행동적 눈치 6문항의 2개요인 13개 문항이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눈치척도는 두 구성요인과 척도의 총점간의 상관이 높아 구인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가 높아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눈치척도는 고등학생들의 눈치를 측정하는 도구로써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ense of Wit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wo factors of sense of wit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emotional sense of wit and behavioral sense of wit. 197 items that represented the two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95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original questionnaire by researchers. 25 items, which are 15 items for emotional sense of wit factor and 10 items for behavioral sense of wit factor, were selected from 95 items based on review of a professional. 173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or the stud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wo factors with 13 items that are 7 items for emotional sense of wit factor 6 items for behavioral sense of wit factor.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test was computed. Each facto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otal score of the test. The Sense of Wit Scale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Therefore, the Sense of Wit Scale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to measure sense of wit for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조규판(Cho, Gyu-Pan),주희진(Ju, Hee-Jin),최진아(Choi, Jin-A),방희원(Bang, Hui-Wo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Six factors of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expertise, character, creativity, challenge, glocal, and communication. Each factor consists of four subfactors. Subfactors of expertise competency are knowledge exploring ability, information literacy, learning strategy, and major literacy. Subfactors of character competency are conscientiousness, sence of consideration, human being understanding, and social responsibility. Subfactors of creativity competency are problem solving ability, analysis & inference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technology acceptance & literacy. Subfactors of challenge competency are leadership,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management, and goal setting & practical ability. Subfactors of glocal competency are cultural inclusiveness, global citizenship, ability of foreign language, and local symbiosis. Subfactor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conflict management ability, and teamwork. 348 items from six factors, which consist of four subfactors, were developed. 701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606 students’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it is examined by a test professional from department of education and a professor from department of Korean. Factor analysis for each factor confirmed each sub-factor. To examine the reliability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for each factor was computed. Based on these process 240 items were decided as items of the Core Competency Diagnostic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Each factor has high construct validity, each items are represented the each factors, and each facotr has internal consistency.

      • KCI등재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규판(Cho, Gyu-Pan),방희원(Bang, Hui-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용 학습몰입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론 및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습몰입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인지적 몰입, 정의적 몰입, 행동적 몰입의 세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구성요인에 부합하는 80문항을 제 작하였다. 측정하는 내용이 유사한 문항은 수정 또는 삭제하여 60문항을 1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1차 예비문항에 대해 전문가 2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아 인지적 몰입 13문항, 정의적 몰입 13문항, 행동적 몰입 14문항의 40문항을 본 조사를 위한 2차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부산시 중·고등학생 401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한 뒤 타당화 과정을 거쳐 인지적 몰입 9문항, 정의적 몰입 9문항, 행동적 몰입 8문항의 3개 요인 총 26문항이 학습몰입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학습 몰입척도는 세 구성요인간의 상관이 높아 구인타당성이 입증되었으며, 문항내적합치도가 높아 신뢰도가 입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습몰입척도는 청소년들의 학습몰입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ment the Learning Flow Scale for adolescent and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Three sub-factors of learning flow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which are cognitive flow,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80 items that represented the three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60 items were selected as the first preliminary survey by modifying or deleting similar sentences, and then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two expert. As a result, 40 items were selected as 13 cognitive, 13 emotional, 14 behavioral learning flow. 401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were sampled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three factors with 26 items that are 9 items for the cognitive learning flow, 9 items for emotional learning flow, and 8 items for behavioral learning flow.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correlation coefficient among three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scale was computed and they were highly correlated each other. The scale also ha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Therefore, the Learning Flow Scale has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so that it can be used to measure learning flow for adolescents.

      • KCI등재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행복감과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조은유(Cho Eun Yu),조규판(Cho Gyu Pan),김종운(Kim Jong 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가 노인의 행복감과 사회성 및 자아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017년 10월 13일에서 11월 21일까지 P 노인대학에 참가하고 있는 72∼78세 노인 24명을 선정하였고, 12명은 실험집 단 나머지 12명은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 집단이었다. 실험집단의 제공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노래 부르기, 악기 활동, 음악 감상 활동, 지휘 활동을 포함한 12회기 집단 음악 치료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실험 전 대상자들에게 행복감 척도, 사회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으며,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둔 시점에서 노인들의 긍정적 심리 증진을 위해 다양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노인들의 행복감과 사회성 및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해 하나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on happiness,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senior citize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music therapy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senior citizen happiness? Second, does the music therapy program have a positive effect on old people’s sociality? Third, does the music therapy have a positive effect on senior citizen’s self-efficacy?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24 people aged from 72 to 78 in Busan were sampled. 12 people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2 people were placed in the control group. The music therapy is only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see the influence it has.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usic therapy program positively affects senior citizen’s happiness. It can improve the level of happiness of senior citizen. Second,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a great influence on senior citizen’s sociality. It can boost senior citizen’s ability to socialize with others. Third,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senior citizen’s self-efficacy. It can enhance senior citizen’s self-efficacy. In conclusion,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in happiness, sociality and self-efficacy of senior citizen. Therefore, it is needed for therapists to practice a variety of music therapy program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senior citizen’s happiness, sociality, and self-efficacy.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우수희(Woo, Su Hee),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간의 구조관계와 직·간접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10개 유치원 만 3세, 4세, 5세의 어머니 1,0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양육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2.0과 AMOS Ver. 22.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으로 가족건강성,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사회적 지지가 가족건강성 및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변인으로 해서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변인들 모두를 포함하는 이 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하여 유치원 현장에서는 부모양육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부모의 심리적 안녕감,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등의 부모교육 및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of young children’s mothers and its direct and indirect effectiveness. 1,000 mothers of 3∼5 year-old children from 10 kindergartens in Kyungnam were selected and surveyed for the study, and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llected data was identified through structure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2.0. This study measured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ith method of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for the model estimation, and conducted the structur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As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kindergartens to provide parental education and program to increase parenting efficacy by consider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well-being, family strength,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 KCI등재

        MBTI와 Holland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숙영(Lee, Sook-Young),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MBTI와 Holland를 활용한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B광역시에 위치한 대학교 학생 12명을 선정하여 6명은 실험집단에 나머지 6명은 통제집단 에 배치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MBTI와 Holland를 활용하여 재구성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진로정체감 전체와 진로준비, 자기이해의 영역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체와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인 반면,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이 낮더라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확실하지 않은 가운데서도 자신의 성공가능성을 믿고 진로의사결정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추론할 수 있기에 더욱 의미 있는 결과라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using MBTI and Holland 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welv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B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six students were pla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six students were placed to the control group.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s about MBTI and Holland by the researcher.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made up eight sessions was oper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no meaningful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areer identit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identity such as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reparation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Secondly,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uch as goal selection,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future plan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while a problem-solving factor did not. Based on the findings as above,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more expressive outcome. Even if the career identity is low, the hi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power to succeed in career decision making by believing in the possibility of his/her own su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