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sub>4</sub>식물의 출현과 분포

        조광진,오영주,강기경,한민수,나영은,김미란,최락중,김명현,Cho, Kwang-Jin,Oh, Young-Ju,Kang, Kee-Kyung,Han, Min-Su,Na, Young-Eun,Kim, Miran,Choe, Lak-Jung,Kim, Myung-Hyun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_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_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_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_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_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_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_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_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_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earch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C4 plants at the paddy fields, uplands, orchard and roadside in South Korea,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Flora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2002 to October 2006 at 241 plots.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flora of these areas consist of 74 families, 231 genera and 352 species totally. The class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Magnoliopsidae (255 species), Monocotyledoneae (89 species), Pteropsida (7 species) and Sphenopsida (1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agricultural field types was 55 families with 203 species in paddy field, 49 families with 218 species in uplands, 44 families with 115 species in orchard and 48 families with 202 species in roadside respectiviely. Representative species compositions of these four agricultural fiel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Artemisia princeps, Persicaria thunbergii in paddy field, Artemisia princeps, Erigeron annuus in upland and roadside, Commelina communis, Digitaria ciliaris in orchard, respectively. Therefore, indicative spec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was Artemisia princeps. Among the investigated 352 species, $C_4$ plants identified were 38 speci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higher in paddy field, orchard and roadside than upland. Such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ratio of $C_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reflec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soil moisture under various agricultural fields. Dominant $C_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 while $C_4$ dicotyledonous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agricultural fields.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7 species and occurrence ratio were higher in upland and roadside than other agricultural field types. Among the investigated naturalized plants, $C_4$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Amaranthus retroflex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_4$ plants in agricultural field types, revealed tha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_4$ plants. Thus, the necessity of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on the diffusion of $C_4$ plants that may threaten influence agroecosystem in Korea.

      • 05 포스터 발표 : 자연생태 환경 분야(PN) ; 밭경작지 내 서식처 유형에 따른 식물상 특성-전라도 지역을 대상으로

        조광진 ( Kwang Jin Cho ),김명현 ( Myung Hyu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최순군 ( Soon Kun Choi ),김민경 ( Min Kyeong Kim ),정구복 ( Goo Buk Jung ),홍성창 ( Seong Chang Hong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경작지와 같이 인간의 간섭과 관리가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는 입지환경조건일지라도 교란된 군락구조에서 균질성을 지닌 식물군락이 형성되고, 이러한 식물군락은 미묘한 종조성의 차이에 의해 서식처의 환경조건을 반영한다. 그럼으로 경작지를 조사할 경우, 미지형적 서식처 유형에 따라 식물종을 구분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밭경작지의 서식처유형을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식물상 조사를 수행한 연구는 이루어진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라도 지역의 밭경작지를 대상으로 서식처 유형을 구분하고 서식처 유형에 따라 생육하고 있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생태적 특성 등을 분석하여 향후 기후변화 및 경작활동변화에 다른 농업환경변동성을 모니터링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생태식물상 비교에는 전라도 8개 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자료를 통하여 라운키에르의 생활형, 번식전략, 귀화율, 도시화지수가 이용되었다. 식물상 조사는 2013년 5월부터 9월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밭경작지의 서식처 유형은 3가지(밭내부, 밭둑, 경사면)로 구분되었다.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68과 203속 244종 43변종 9품종으로 포함하여 총 29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과별로는 벼과(16.2%), 국화과(14.2%), 콩과(9.1%), 마디풀과(5.4%), 십자화과 (4.1%) 순이었다. 출현식물종의 기여도에 따르면, 밭내부는 쌍자엽식물, 밭둑은 C4식물, 경사면은 국화과식물로 특징지어졌다. 생활형 분석결과, 1년생식물은 밭내부(67.6%), 밭둑(51.9%), 경사면(54.3%) 순이었다. 귀화율은 밭내부 27.9%, 밭둑 21.0%, 경사면 18.6%이었고, 도시화지수는 밭내부 11.8%, 밭둑 13.7%, 경사면 10.0%이었다. 1년생식물의 구성비, 번식전략, 귀화율, 도시화지수를 모두 고려했을 때, 인간간섭도가 가장 높은 곳은 밭내부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전라도 밭경작지의 서식처 유형별 식물상 특성

        조광진 ( Kwang Jin Cho ),김명현 ( Myung Hyun Kim ),김민경 ( Min Kyeong Kim ),나영은 ( Young Eun Na ),오영주 ( Young Ju Oh ),최락중 ( Lak Jung Choe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3 No.2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ypes of human interference, there are various plants that have strong vitality and ability to breed in the dry field. A consequence of climate change alter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phenology of the plant species. So, we need to understand present occurrence patter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that grow in the dry field. METHODS AND RESULTS: A comparative analysis of ecological flora was performed by using Raunkiær`s life form, invasion strategy, naturalized rate(NR) and Urbarnization Index(UI) through the plant species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8 regions in Jeolla-do. Flora investigation was done from May 2013 to September 2013. Habitat type of dry field in Jeolla-do was classified into 3 types(inside of dry field: IDF, embankment around the end of a dry field: EDF, levee slope of dry field: LS). The vascular plants of study area were listed 296 taxa which contain 68 families, 203 genera, 244 species, 43 varieties and 9 forms. The vascular plants of three different habitat types were IDF 174 taxa, EDF 249 taxa and LS 196 taxa. The Family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Gramineae(16.2%), Compositae(14.2%), Leguminosae(9.1%), Polygonaceae(5.4%) and Cruciferae(4.1%).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of appearance plant, IDF was characterized as various Dicotyledoneae plants, EDF was characterized as C4 plants and LS was characterized as various Compositae plants. The occurrence rate of Therophyte was arranged by the order of IDF(67.6%), EDF(51.9%), LS(54.3%). NR was analysed as IDF 30.9%, EDF 22.9%, LS 20.8%. UI was analysed as IDF 13.1%, EDF 15.0%, LS 11.2%. In the result of synthesizing occurrence rate of Therophyte, invasion strategy, NR and UI, human interference were the highest in IDF. CONCLUSION: With these results, we found that three habitat types were ecological difference affected by the human impacts. Also, we found environmental indicators through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ra for the type of habitat of dry field. These indicators will help assess the agriculture environmental variability and the floral change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in dry field.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small manufacturing businesses

        Kwang-Jin Cho(조광진),Jun-hee Han(한준희),Yonghee Lee(이용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systematic production-linked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for small-scale manufacturing where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the MES system. Through the ‘company E’ case study,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be used for small businesses were verified. Background: Most of the objective evaluation systems have been focused on large and medium-sized companies, and these evaluation systems have drawn successful results through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BSC, IPOO, and QCDP models. Nevertheless, when applied to small-scale manufacturing, BSC showed dissatisfied results in the suitability of financial indicators, IPOO in the temporal problem of business results, and QCDP in the problem of how to measure quality indicators. In particular, studies applicable to small-scale manufacturing are insufficient. Method: A critical success factor (CSF) candidate group was derived by extracting the indicators of the small-scale manufacturing sector developed by the Small Business Development Institute to measure internal core competencies when diagnosing companies. The derived candidate groups were detailed as performance indicators related to production, and the final key performance indicators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survey for department heads and above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mall enterprises.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and importance were derived among the various items of the key success factors specialized for small-scale manufactur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core performance indicators was confirmed by applying them to the actual production-related indicators of Company E.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to evaluate key performance indicators related to production in the small-scale manufacturing sector. Based on this, th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production index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were enhanced. Applications: The developed key performance indicators can be used as objective data on the evaluation method of poor small businesses. It is also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ision-making on new investment within the companies.

      • KCI등재

        농업생태계에서 농경지유형에 따른 C4식물의 출현과 분포

        조광진 ( Kwang Jin Cho ),오영주 ( Young Ju Oh ),강기경 ( Kee Kyung Kang ),한민수 ( Min Su Han ),나영은 ( Young Eun Na ),김미란 ( Mi Ra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김명현 ( Myung Hyun Kim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3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논, 밭, 과수원, 도로변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상을 조사하여 C4식물의 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4과 231속 352종이 확인되었으며, 쌍자엽식물 255종, 단자엽식물 89종, 양치식물 8종으로 분류되었다. 농경지유형별로는 논에서 55과 203종, 밭에서 49과 218종, 과수원에서 44과 115종, 도로변에서 48과 202종이 출현하였다. 본 조사를 통하여 논은 쑥과 고마리, 밭과 도로변은 쑥과 개망초, 과수원은 닭의장풀과 바랭이로 대표되며 농업생태계에서 출현율이 가장 높은 식물은 쑥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출현식물 중 C4식물은 8과 25속 3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논, 과수원, 도로변에서는 C4 단자엽식물의 출현율이 높았으며 밭에서는 다른 농경지유형에 비해 쌍자엽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러한 C4식물의 출현율 차이는 고온 건조한 우리나라 밭 주변 식물서식환경을 반영하고 있으며, 논과 과수원은 상대적으로 습윤한 미기후조건에서 건조조건이 아니라 온도조건에 의해 C4 단자엽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농업생태계를 대표하는 C4식물 중 단자엽식물은 바랭이와 닭의장풀이며 쌍자엽식물은 개비름과 명아주로 확인되었다. 본 조사에서 총 47종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으며 토양의 수분환경조건이 상대적으로 건조한 밭과 도로변에서 많은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귀화식물 가운데 C4 식물은 비름속의 개비름과 털비름 2종으로 나타났으며, 단자엽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유형에 따른 대표적인 C4식물의 분포특성이 확인되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으로 고온에 적응성이 높은 C4식물의 새로운 유입과 이미 유입된 종 가운데 농업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래식물의 확산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search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n C4 plants at the paddy fields, uplands, orchard and roadside in South Korea,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Flora investigation had been carried out from May 2002 to October 2006 at 241 plots. In the results of survey, the flora of these areas consist of 74 families, 231 genera and 352 species totally. The class frequencies were arranged by the order of Magnoliopsidae (255 species), Monocotyledoneae (89 species), Pteropsida (7 species) and Sphenopsida (1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agricultural field types was 55 families with 203 species in paddy field, 49 families with 218 species in uplands, 44 families with 115 species in orchard and 48 families with 202 species in roadside respectiviely. Representative species compositions of these four agricultural field types were characterized by Artemisia princeps, Persicaria thunbergii in paddy field, Artemisia princeps, Erigeron annuus in upland and roadside, Commelina communis, Digitaria ciliaris in orchard, respectively. Therefore, indicative species in agricultural ecosystem was Artemisia princeps. Among the investigated 352 species, C4 plants identified were 38 species, and the occurrence ratio of C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higher in paddy field, orchard and roadside than upland. Such differences in the occurrence ratio of C4 plants under diverse agricultural field types reflect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micro-climate, soil moisture under various agricultural fields. Dominant C4 monocotyledonous plants were Digitaria ciliaris and Commelina communis, while C4 dicotyledonous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agricultural fields.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7 species and occurrence ratio were higher in upland and roadside than other agricultural field types. Among the investigated naturalized plants, C4 plants were Amaranthus mangostanus and Amaranthus retroflexu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C4 plants in agricultural field types, revealed that the projected increase in temperature due to climate change may provide better conditions for the growth of C4 plants. Thus, the necessity of long-term 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on the diffusion of C4 plants that may threaten influence agroecosystem in Korea.

      • KCI등재

        내륙습지 습지보호지역의 귀화식물 특성

        조광진(Kwang-Jin Cho),임정철(Jeoncheol Lim),이창수(Changsu Lee),윤정도(Jungdo Yoon),김미정(Mijeong Kim),추연수(Yeounsu Chu) 응용생태공학회 2020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7 No.4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습지보호지역의 관리방안과 생태계 변화 경향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내륙습지 습지보호지역 21개소에서 생태계교란생물 10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12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출현하였다. 섬진강 침실습지에서 가장 많은 71분류군의 귀화식물이 출현하였고 무제치늪과 숨은물뱅듸오름에서는 귀화식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귀화식물의 원산지는 북아메라카가 42분류군 (32.6%)으로 가장 많았고 1・2년생 초본식물이 68.2% (88분류군)를 차지하였다. 개망초, 토끼풀 등 건생이차초원에서 생육하는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연결체를 만들어 번식하는 분지식물이 19.4% (25분류군)를 차지하였다.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습지, 농업지역, 시가화지역 등의 입지적 요인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고도와 산림지역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의 출현빈도와 생육특성, 습지보호지역의 입지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onitoring the trend of ecosystem change and establishing management plans for wetland protection areas by understanding the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21 wetland protection areas, 129 taxa, including 10 invasive alien species, were recorded. The naturalized plants appeared mostly as 71 taxa in the Chimsil wetland and were not observed in the Moojechineup and Sumeunmulbaengdui wetlands.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42 taxa (32.6%) originated from North America. Annual and biennial plants accounted for 68.2% (88 taxa). The frequencies of occurrence of naturalized plants growing in dry secondary grasses such as Erigeron annuus and Trifolium repens were high, and clonal plants that propagated by making stolons and struck roots accounted for 19.4% (25 taxa). The naturalized and urbanization indic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ocation factors such as wetland, agricultural land, and used area. However,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titude and forest. Therefore, a management plan that synthetically considers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s well a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wetland protection areas is required.

      •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

        조광진 ( Kwang Jin Cho ),한민수 ( Min Su Han ),김명현 ( Myung Hyun Kim ),강기경 ( Kee Kyung Kang ),나영은 ( Young Eun Na ),김미란 ( Mira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본 연구는 겨울철 논의 담수처리에 따른 실지렁이류의 생육특성을 파악하여 논에서 친환경농법을 위한 대체생물로서의 이용가능성과 논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증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강화군, 수원시, 화성시(봉담읍, 팔탄면)에 겨울철 담수논에 서 월동 후(3-4월) 실지렁이의 생육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강화군에 위치하는 무담수경과논, 담수경과논, 담수경과휴경논을 대상으로 담수처리여부에 따른 벼 재배기간(6-8월)동안의 실지렁이 류의 서식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월동 후 실지렁이류의 개체밀도는 벼 수확기에도 물이 마르 지 않고 수심이 얕은 봉담읍에서 가장 높았고 수심이 깊고 담수시기가 늦은 팔탄면에서 가장 낮았 다. 이는 논에 담수하는 시기가 빠를수록 실지렁이류의 성장기간이 길어져 번식에 유리하고 얕은 수심은 햇볕이 바닥까지 닿아 유기물의 분해가 촉진되고 수온이 높아져 실지렁이류의 성장과 번식 에 유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실지렁이류의 개체수 증진을 위하여 수확 후 단기 간에 얕은 수심의 담수논 조성이 필요하며, 더불어 담수기간을 최대한 늘리는 것은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증진과 친환경농업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 사료되었다. 강화군에서의 담수처리여부 에 따른 벼 재배기간 동안의 실지렁이류의 개체밀도는 무담수경과논에 비해 담수경과논과 담수경 과휴경논에서 각각 170배, 319배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겨울철 담수논의 조성 후 실지렁이류는 6 월과 7월에 가장 높은 개체밀도를 보였다. 실지렁이류의 개체밀도가 일정수준 이상이 되면 벼 재 배 시 잡초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담수논 조성을 통한 실지렁이류의 개체수 를 증가시킨다면 실지렁이류를 이용한 친환경농법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

        습지보호지역 버드나무림의 식물군락 특성

        조광진(Kwang-Jin Cho),임정철(Jeoncheol Lim),이창수(Changsu Lee),추연수(Yeounsu Chu) 한국습지학회 2021 한국습지학회지 Vol.23 No.3

        내륙습지에서 생태적, 환경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태복원의 주요 재료가 되는 버드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지보호지역에 발달하는 버드나무림을 대상으로 Z.-M.(Zürich-Montpellier)학파의 방법에 따라 총 61개의 식생자료가 수집되었고 식물군락과 종조성적 특성이 밝혀졌다. 총 237분류군을 포함한 9개의 식물군락이 구분되었다. 높은 상대기여도(r-NCD) 값을 나타내는 버드나무류는 키버들, 왕버들, 선버들, 갯버들, 버드나무로확인되었다. 종조성 분석결과, 벼과, 국화과, 미나리과, 마디풀과, 콩과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형은일년생식물(휴면형), 단립식물(지하기관형), 중력산포형(산포방법), 직립형(생육형)을 가지는 식물종의 출현율이 높아Th-R5-D4-e로 특징지어졌다. 귀화식물은 12과 24종, 생태계교란 생물은 3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10.1%, 교란지수는 41.4%로 분석되었다. NMDS 서열법(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식물종과 조사지점간의 경향성 분석 결과, 조사지점의 해발고도와 습지의 유형이 식물군락의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형 습지에서 다양성 지수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낮은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는 교란지수, 귀화율, 일년생식물 출현비율이 높았다. In wetland protection areas, a phytosociolog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willow forests, which plays an important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role and is the main material for ecological restoration. A total of 61 relevé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Z-M(Zürich-Montpellier) school s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i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species were identified. A total of 9 plant communities including 237 taxa were differentiated. Willow species showing the high r-NCD(relative net contribution degree) value in study areas were Salix koriyanagi, Salix chaenomeloides, Salix triandra subsp. nipponica, Salix gracilistyla and Salix pierotii. Poaceae was the most diverse in species, followed by Asteraceae, Apiaceae, Polygonaceae and Fabaceae. Life form type of willow forests in wetland protection areas was determined to be Th(therophytes)-R5(non-clonal form)-D4(clitochores)-e(erect form) type. The naturalized plants and invasive alien species were identified as 24 taxa and 4 taxa, respectively. Naturalized and disturbance indices were 10.1% and 41.4%,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ite-species ordination by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NMDS), wetland types and altitude gradient were the main ecological factors determin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index were high in mountainous palustrine wetlands with relatively high altitude, and the disturbance index, naturalized index and appearance rate of annual plant were high in riverine and lacustrine wetlands with low altitude.

      • 05 포스터 발표 : 자연생태 환경 분야(PN) ; 제주도 밭 경작지에 생육하는 식물의 다양성

        조광진 ( Kwang Jin Cho ),김명현 ( Myung Hyu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최순군 ( Soon Kun Choi ),김민경 ( Min Kyeong Kim ),정구복 ( Goo Buk Jung ),홍성창 ( Seong Chang Hong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제주도는 지리적으로 동해와 황해 그리고 동중국해를 접하고 있어 겨울에도 따뜻하며, 연중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독특한 기후조건을 나타낸다. 토양은 대부분 화산회토로 산성이 강하고 비옥도가 낮은 편이어서 우리나라의 타 경작지와는 다른 독특한 식물생육조건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생육환경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제주도 밭경작지 식물의 생태적 특성 또한 특이할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는 제주도 밭경작지 내 생육하는 식물상의 다양성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농업환경의 변동양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현장조사는 2013년 제주시 한림읍 2지역과 서귀포시 성산읍 2지역을 대상으로 6월과 9월 2차례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밭내부와 돌담을 포함한 밭둑 그리고 경사면으로 서식처를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제주도 밭경작지에는 68과 173속 194종 38변종 5품종으로 총 237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식처 유형별로는 밭 내부에서 38과 121분류군이, 밭둑에서 68과 217분류군이, 경사면에서 29과 71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밭둑에 가장 많은 식물종이 관찰되었다(Table 1). 경사면에서 식물종의 출현빈도가 낮은 이유는 조사지역 일원의 밭경작지는 대부분 평지에 위치하고 있어 밭과 밭사이에 경사면이 넓게 발달하고 있지 않아 다른 서식처 유형에 비해 조사면적이 협소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과별 분포 특성을 살펴보면, 국화과(Compositae)가 11.8%로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Gramineae; 10.5%), 백합과(Liliaceae; 5.5%), 콩과(Leguminosae; 4.6%) 마디풀과(Polygonaceae; 3.8%) 등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제주도 밭경작지의 식물상 현황은 생물자원을 활용하여 농업생태계의 환경변동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대구광역시 가로수 하단부 식생의 평가

        김정섭,조광진,김종원,Kim Jeong-Sub,Cho Kwang-Jin,Kim Jong-Won 한국조경학회 2005 韓國造景學會誌 Vol.33 No.1

        In order to search for ecologically indicative characteristics on the street tree plots in Daegu area, plant communities and their flora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05 plots were collected and numerically analyzed by PCoA(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 These plot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containing 139 species, 97 genera, 42 families(including 37 exotic species): urban-dry type, urban-wet type, rural-dry type, rural-wet type. Habitat connectivity to the surrounding vegetation cover, extent and frequency of human impacts, and soil moisture recognizably were the main factors to allow the plots differentiation. Indicative species composition to these four types was generated as Eleusine indica-Eragrostis multicaulis-Oxalis corniculata to the urban-wet, Digitaria ciliaris-Eleusine indica-Eragrostis multicaulis to the urban-dry, Setaria viri-dis-Artemisia-Lactuca indica var. laciniata to the rural-wet, and Setaria viridis-Digitaria ciliaris-Erigeron canadensis to the rural-dry, respectively. Mean species number per plot for rural type was 2.5 times higher than for urban types. Street tree species representative to the rural-wet type is Zelkova serrata, which is a key species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alluvial land of Daegu area. Street tree plots were characterized by Eleusine indica showing the highest r-NCD value and also C4-assimilation grass plants. Views on the efficacy of the rural-wet type and the reinforcement of vegetation connectivity and soil moisture in rehabilitating street tree plo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