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경적 상담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기독교인 어머니의 첫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정희정 ( Hee Jung Chu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6 복음과 상담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부모교육을 통해 첫 자녀를 양육하는 기독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첫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인 어머니를 돕기 위한 실제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25개월과 17개월 된 여아를 키우는 기독교인 어머니 2명이며, 심층면담의 도구로 정희정이 개발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4회 실시한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성경적 상담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독교인 어머니들은 첫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인식하였다. 둘째, 기독교인 어머니들은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평가를 통해 감정과 욕구를 찾아 문제의 원인을 이해하였다. 셋째,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 자녀양육에의 새로운 목표를 세워 악순환에서 선순환의 방향으로 나아갔다. 넷째, 새로운 자녀양육행동을 교육하고, 실천을 통해 자녀양육에서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독교인 어머니들은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그들의 반응으로 인한 악순환에 대한 인식을 통해 부모로서의 자신의 의미를 하나님 안에서 깨닫고, 계속적인 자녀양육과정에서 하나님을 의지하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resources through parenting education using biblical counseling to help Christian mothers experiencing the first child rearing stress. The participants are two christian mothers whose daughter is 25 months old and 17 months old respectively. The Christian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biblical counseling developed by Chung Heejung has been utilized as an instrument of twenty-four in-depth counseling interviews, conducted from April 13, 2015 to November 16, 2015.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recognized the situation of the first child rearing stress Second, they understood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found out their emotion and desire through the objec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child rearing stress. Third, they changed to the virtuous from vicious cycle establishing a new goal in child rearing through God`s grace. Fourth. they were educated to new rearing behaviors and made a change in child rearing through the continuous practice. In conclusion, through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the biblical counseling, the Christian mothers realized the meaning of themselves as a parent in God from an awareness of the vicious cycle of their response to the child rearing stress and relied on God in their continuous child rearing process.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정희정 ( Chung Hee-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9 아동교육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머니가 인식한 아버지 양육참여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유아와 어머니 381쌍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20.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CFA),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자녀의 행복감과 대부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자녀의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를 통해서만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아버지 양육참여의 매개를 통해서도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이를 위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실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ren's happiness was mediated by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hree hundred eighty on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the child education institut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20.0 v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e Fathers' participation was most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happiness. Second,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children's happiness, but it influenced the children's happiness only through the medit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ir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irectl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happiness, and it also influenced the children's happiness through the meditation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In conclusion, it was quite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there should be some practical ways to increase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to reduc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자녀의 사회연결망에 관한 사례연구: 청소년 상담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정희정 ( Hee Jung Chung ),김소연 ( So Yeon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19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various types of public and private social networks for immigrant children, and identify the implications for the adaptation of and support system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immigrant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case study research method and 12 counseling transcripts were analyz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ield study records and document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social networks in families, immigrant children may experien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forming a new family in Korea. It was found that they are aware of their role and status within their family and try to expand their social networks. Second, the type, density and range of the social networks of immigrant children are almost identical to the social networks of their parents. This means that immigrant children also have a limited private social network. This finding suggests that a support system should be provided for immigrant children so that they may broaden the size and intensity of their social network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를 통해 본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 연구

        정희정 ( Hee Jung Chu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어머니들이 유아기 자녀를 키우면서 느끼는 자녀양육 스트레스가 무엇인지를 질적 면담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앞으로 우리나라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 29명을 세 개의 소그룹으로 구성한 후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각각 8주간 실시하였고 이 과정에서 서술적 관찰, 심층 면담, 그리고 과제 형태의 서술적 설문조사를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 사와 코딩작업을 통해 질적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스트레스는 부모의 개인 및 대인관계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자녀의 개인 및 대인관계 특성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기독교 부모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부모 교육의 내용의 변화이다. 앞으로의 기독교 부모교육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합의를 포함하면서 자녀양육이 실제 삶에서 신앙의 표현으로 나타나도록 돕는 것이 되어야 한다. 즉, 기독교 부모교육은 부모들이 느끼는 삶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신앙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성삼위 하나님의 도우심이 자녀양육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나타나는가에 대한 내용들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기독교 부모교육의 형식의 변화이다. 부모들의 마음을 다룰 수 있는 소집단 형식의 부모교육이 효과적으로 나타났는데, 기독교 부모교육은 자녀의 신앙교육이나 자녀의 발달이해와 같은 교육적 차원에서 부모 간 그리고 부모와 교육기관 및 교회 간의 상호작용을 격려하고 부모 자신의 자녀양육에 대한 신념과 갈등을 심층적으로 다룰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The study qualitatively examines the child care stress of the Christian mothers while mothers rear thei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based on this, it proposes directions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in the future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is, the research qualitatively analyzes various data collected from Christian parent education targeting for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us, the child care stress of the mothers in the study shows the stress from the parents themselv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stress from their children and the children`s relationship with other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rections of Christian parent educ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change of the content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The future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includ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it should help child care represent an expression of faith in the real life. Thus,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present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daily stress and their faith is and how the help from the triune God is concretely represented in the child care. The second is the change of the form of the Christian parent education. The small group parent education, which can deal with the mind of the parents, is effectively represented; Christian parent education should encourag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parents, parent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arents and churches in terms of educational perspective on Christian education for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children`s development, and it should discuss in depth the belief and conflict about child rearing of parents themselves.

      • KCI등재

        대학생의 복지의식과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이 사회 및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 Hee Jung Chung ),김소연 ( So Yeon K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1

        우리나라의 사회 및 정치참여는 개인의 무관심과 소외, 공동체 관념 및 응집성의 약화, 정부의 관료적 경직성과 비반응성의 증가로 위기를 맞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사회의 참여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것은 젊은 세대의 저조한 정치참여이다. 코호트 효과로 불리는 이들의 투표불참은 습관화되어 악순환으로 이어지는데, 이것이 젊은 세대의 투표율, 사회 및 정치참여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복지의식과 SNS 이용이 사회 및 정치참여에 미치는 인과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x2(3)=151.470으로 p<.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GFI=.948,IFI=.955, CFI=.953으로 모두 기준값 .9 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RMSEA=.074로 기준값을 충족하였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적합도 지수를 통해 본 연구의 모형은 분석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의식은 SNS 이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이용은 SNS 이용동기, 결속적 네트워크, 연결적 네트워크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 복지의식은 SNS 이용동기, 결속적 네트워크, 연결적 네트워크 각각에 p<.001의 유의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지의식이 높으면 SNS 이용동기, 결속적 네트워크 및 연결적 네트워크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둘째, SNS 이용은 사회 및 정치참여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네트워크는 사회 및 정치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결속적 네트워크, 연결적 네트워크가 증가할수록 사회 및 정치참여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하지만 SNS 이용동기는 사회 및 정치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의식은 사회 및 정치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의식이 높으면 사회 및 정치참여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SNS이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SNS 이용동기, 결속적 네트워크, 연결적 네트워크가 복지의식과 사회 및 정치참여 간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NS use, and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on university students`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research verified the cause and effect between variables through the parameter effect of SNS use - the motivation of SNS use, SNS bonding network, and SNS bridging network. The path analysis shows us that the model`s fitness is x2(3)=151.470, p<.001. The validity indexes are GFI=.948, IFI=.955, CFI=.953 and RMSEA=.074. It can be drawn from this that the model shows fitness.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has a positive effect on SNS use. That is to say,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positively affects the motivation of SNS use, SNS bonding network, and SNS bridging network. Second, SNS use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SNS bonding network and SNS bridging network positively affect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However the motivation of SNS use does not affect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the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inally, the results of verifying SNS use`s parameter effec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parameter effects between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정희정 ( Chung Hee Jung ),김정희 ( Kim Jung H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직무스트레스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23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총 123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별, 연구방법별, 그리고 연구내용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최근의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는 주제로서 2011년 이후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양적 연구 중 설문지 조사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울과 경기 지역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자료분석의 방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셋째, 연구변인은 개인, 조직, 직무, 교사전문성 관련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으며, 자기이해, 리더십, 정서능력, 정신건강의 개인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추후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 탐색 및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실제적 대안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n domestic journal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job stress. A total number of 123 studies over the last 23 years was selected. These studies were published in journals beyond the level of the registered candidate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ccording to their year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opic of job stress reflects recent social interests, which has flourished since 2011. Second, questionnaires in quantitative studies were mostly used, and there were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using various data analysis methods with childcare teachers as the participants from Seoul and the Gyeongi Province. Third, the research variables can b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groups, dutie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nd research on variables for self-understanding, leadership, emotional capability, and mental health as individual factors has th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on job stress should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a variety of research variables and program development focusing on practical alternatives to managing job str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

        정희정 ( Chung Hee-j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 소재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5세 유아의 어머니 21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t 검정 및 일원변량분석, Scheffe의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어머니의 연령, 학력, 가정 월소득에서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의 실행은 어머니의 연령, 가정 월소득, 유아의 연령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유아의 일반적 배경을 통제했을 때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통제변인인 어머니의 연령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거부적 양육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자율적 태도가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태도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mot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children's right to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4 mothers of children aged 3-5 years who atte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e's post-test,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6.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was different in the mo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he mother's performance was different in the mother's age, household monthly income, and infant's age. Second, when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mother and infant was controlled, the mother's affectionate, autonomous, and controlled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perception of the infant's right to play, and the mother's age, the controlling variable, had a negative effect. In addition, the mother's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s implementation of the rights of infants, and the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In conclusion, it suggests that the affectionate, autonomous attitude among mothers' parenting attitudes is the most important attitude that influences the mother's perception and execution of children's right to play.

      • KCI등재후보

        코로나상황에서의 보육실습에 관한 인식연구: Q방법론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정희정(Chung, Hee-jung) 한국부모교육학회 2021 부모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Q방법론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코로나 상황에서의 보육실습의 현황을 파악하고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보육실습생의 주관적이고 개별적인 인식을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A시에 위치한 B대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예비 보육교사인 영유아보육전공 학생으로 FGI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생들은 코로나 상황에서 보육실습 기관을 구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코로나로 인해 한시적으로 적용된 4주 직접보육 실습기간은 보육실무 역량을 향상하는 데 있어 짧다고 인식하였고 코로나 상황에서도 기존의 보육실습 기간인 6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코로나 방역지침에 따른 보육교사를 포함한 영유아의 마스크 착용으로 보육실습시의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코로나 상황에서 6주가 아닌 4주의 직접보육실습으로 실습지도 선생님께 많이 못 배운 점을 아쉬워하였으며 4주의 보육실습 기간동안 지도교사는 보육실습생의 보육직무 역량과 자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 보육교사인 영유아보육전공 학생들의 코로나 상황에서의 보육실습인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실습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의 Q모집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바람직한 보육실습 체계 및 보육 실습의 실행방안의 마련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hildcare practice in the corona pandemic using a FGI (Focus Group Interview) for the Q population composition of the Q methodology and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and individual perception of childcare trainees through childcare practice experienc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conducting a FGI with 10 preliminary childcare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B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majoring in early childhood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t was very difficult for preliminary childcare teachers to find a childcare practice institution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e four-week direct childcare practice period (practicum), which was temporarily applied due to the corona pandemic, was perceived as too short to improve childcare practice competency. It was recognized that it was necessary to have the practicum for 6 week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interact with infants and toddlers during childcare practice because they and the childcare teachers had to wear masks in accordance with the Corona Prevention Guidelines. In the corona pandemic, it was regrettable that I did not learn much from the practical guidance teacher during the 4-week direct childcare practice which would have been more effective if 6 weeks lo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practic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childcare who are preliminary childcare teachers during the corona pandemic, the Q methodology is used as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of the Q population to perform subjective research on childcare practice perceptions and preliminary childcare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search data for the preparation of a desirable childcare practice system and implementation plan for childcare practice that can strengthen the childcare practice capabilities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