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초등학생 학부모의 문식성에 대한 인식과 문식 활동 및 자녀 지원 방식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국어교육 Vol.0 No.1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Korean parents provide literacy supports for thei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home. This wa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result showing that family makes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student``s development and learning in literacy. The survey was targeted on 4,986 parents of grades 3 ~ 6 students in 1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in area. In the ``out-of-school literacy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parents`` developed by five exper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evaluation, questions were given on the parents`` perceptions of literacy, their literacy activities, and methods of literacy support for children.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attitude of the parents toward reading and writing was insufficient to be seen as positive. They did not like reading and writing, but fully understood the values. Parents`` average reading hours per day was 94.46 minutes and the average writing hours per day was 46.06 minutes, which indicated that reading hours were more than twice longer than writing hours. In terms of parents`` literacy support method for children, verbal support method was mainly used for explaining or encouraging, rather than practicing together by interacting directly with their children. Consequently, this indicated that the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in literacy activities and support was somewhat insufficie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 선호도 조사 연구

        정혜승 ( Hye Seung Chung ),서수현 ( Soo Hyun Se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This research, based on a survey of over 27,0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explores what genres, topics, media students favor. The results show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ly favor novel books; the most popular children books are detective stories. And students favor comics and animation media except first and second grader. Chi square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grade level, gender and geographic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preferences. This research is meant to add to growing understanding of children`s preferences.

      • KCI등재

        핀란드 국어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징 분석

        정혜승 ( Hye Seung Chung ),서수현 ( Soo Hyun Seo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8

        이 연구의 목적은 핀란드 국어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에 있다. 핀란드 모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핀란드의 국어교육은 실용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텍스트를 접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핀란드의 대표적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Kirjakuja』는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과정 속에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통합적으로 학습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지식과 기능 학습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밖에서 학생들이 즐겨읽는 텍스트를 교실 안으로 들여와 학교 안과 밖을 연결하는 실제적인 문식활동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공하고,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교과서 체제와 복합양식적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와 창의적 생산을 강조하는 구성으로 복합양식적 문식성 교육을 도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핀란드의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의 모습은 학습 자료로서 교과서의 기능을 한정하고 있는 우리 국어 교과서의 역할을 반성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국어 교과서는 학습 자료이면서도 학생 독자의 텍스트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보다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서가 모든 자료를 다 제공해 주지 않고도 국어 수업을 풍요롭게 하며 국어 학습 공간을 다양하게 만들어 줄 수 있기 때문에 교과서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할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nish education and elementary Finnish textbooks in Finland and offer implications for Korean education and Korean textbooks in South Korea. The study analyzed the Finnish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found that Finnish education in the nation placed importance of providing students with experiences of being exposed to various text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ragmatism...Kirjakuja.., one of representative elementary Finnish textbooks in the nation, is organized around topics and helps the students learn the achievement criteria of curriculums in a comprehensive manner while dealing with diverse topics and, at the same time, study knowledge and functions in balance. It also provides practical literacy activities in an effective manner to connect in and out of school by bringing in the texts enjoyed by students out of school and promotes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to emphasis the textbook system linking on and offline and the critic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production of multimodal texts. Those aspects of Finnish education and textbooks in Finland offer a chance for South Korea to reflect on the roles of Korean textbooks whose functions as textbooks are restricted to those of learning materials. Native language textbooks are learning materials and also student reader.s texts, which raises a need to search for ways to make textbooks more appealing to students. In addition, textbooks are capable of making native language lessons rich and spaces of native language learning diverse even without providing all the necessary materials, which suggests a need to search for ways to promote the efficient uses of textbooks.

      • KCI등재

        부모의 읽기 태도 및 읽기 지원 방식과 초등학생 자녀의 읽기 태도 및 자발적 읽기의 관계

        정혜승 ( Chung Hye-seung ),오은하 ( Oh Eun-ha ),김종윤 ( Kim Jong-yun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40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선호, 가치, 능력)와 자발적인 읽기 빈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읽기 태도 및 지원 방식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부모의 자녀 읽기 지원을 위한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및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 13개 학교의 5, 6학년 학생 2,51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 중 FGI에 동의한 5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부모의 읽기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가정에서 자녀의 읽기 계발을 위하여 부모가 지원하는 방식을 직접적인 방식과 간접적인 방식으로 범주화하여 각 방법이 자녀의 읽기 태도 및 자발적 읽기 빈도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부모의 읽기 태도는 학생의 읽기 태도, 자발적 읽기 빈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지닌다. 둘째, 부모의 읽기 지원과 학생의 읽기 태도, 자발적 읽기 빈도는 약하지만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읽기 지원 방식 중에서도, 간접 지원 방식이 직접 지원 방식에 비해 2~3배의 높은 정적 상관계수로 나타났다. 셋째, 앞선 결과들에서 나타난 상관관계는 .0~.2 범위로 낮게 나타났는데, FGI 결과 분석을 통해 그 이유를 부모의 지원이 자녀의 생각이나 선호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데에서 찾을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부모의 효과적인 읽기 지원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자녀를 ``독자``로 인정하는 부모의 인식 전환과 그에 따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자녀를 ``독자``로 인정한다면 자녀의 읽기에 대한 통제적 지원보다는 자율적 지원을 장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읽기 지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읽기의 가치, 텍스트의 가치에 대한 부모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자녀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부모 자신이 읽기를 좋아하고 즐기는 모습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부모와 자녀의 읽기 양상 분석에서 더 나아가서 부모의 읽기 태도 및 지원 방식과 자녀의 읽기 태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연구로, 자녀의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부모의 효율적 읽기 지원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 제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al support on student``s reading in relation with students`` reading attitude and voluntary reading, in order to suggest effective parents`` reading approach for children. A large-scale survey was conducted for 2,158 5th- and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from 13 elementary schools; 53 students from the survey participated in the focused interviews. Parents``reading attitude, amount of reading time, and types of reading support for their childre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particular, parental reading support was categorized into direct and indirect support for students`` reading, in order to understand which supporting approach was more effective in terms of students`` reading attitudes and voluntary reading. The research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parents``reading attitude (i.e., enjoyment, value, self-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s`` reading attitude, despite. Second, parents``amount of reading time is not related to students`` reading attitude and voluntary reading but weakly related to students`` amount of reading time. Third, parents`` types of reading support are related to students`` reading attitude and voluntary reading. Indirect reading support was 2~3 times as high as direct reading support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Fourth,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ading support with other variables was low due to Korean parents`` coercive parenting style including reading education. Principle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parental support on read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에 대한 비판적 분석: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핵심 개념 중심 교육과정의 특성과 의의를 살펴보고,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중심 내용 체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교육과정 실행과 향후 교육과정 개발상의 유의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핵심 개념 중심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지식이 폭발적으로 생산되는 시대에 교육에서 강조할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변별하고, 중요한 것을 제대로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근원적인 반성을 촉발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보았다. 그러나 국어과교육을 포함하여 기능이나 태도 교육이 강조되는 교과에 핵심 개념 중심의 내용 체계를 일률적으로 적용하여 교과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개념이나 지식의 의미가 각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마다 상이하게 사용되어 그 의미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며, 내용 체계에 제시된 일반화된 지식이 특정한 이론이나 관점 중심으로 구성되어 이를 영속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것이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교과 특성을 반영하는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 교육과정 개발 시 (예비)교사 독자의 교육과정 읽기를 우선적으로 고려 해야 한다는 점,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영속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의 의미를 신중하게 해석하고 실행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a key concept-centered curriculum, to critically review the key concept-centered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n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he key concept-centered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differentiates important knowledge, in an era when the amount of available information continuously increases. However, this curriculum does not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Because the meanings of concepts and knowledge vary depending on each subject’s curriculum,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se meanings based on certain theories or viewpoi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flexible education curriculum that reflects each subjec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the carefully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of enduring understanding of key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are required to appropriately implement the educ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6

        이 연구는 읽기 태도 검사 도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을 정리하고, 그것의 국어교육적 의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 태도는 읽기를 추동하는 정의적 요인으로 읽기 능력과 성취, 자아 계발, 사회생활, 독서문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읽기 태도는 가치, 흥미, 선호, 동기, 의도와 구분되는 개념인데,‘ 읽기를 대상으로 좋고 싫음의 평가를 내리고 그러한 평가에 따라 읽기 상황에 접근하거나 회피하는 등의 반응을 일관되게 산출하는 심리적 경향’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읽기 태도가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읽기 태도는 읽기 교육의 목적이면서 결과이고 수단으로 볼 수 있으며, 관련 대상으로 전이되는 성질을 갖는다. 한번 형성된 읽기 태도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이나 변화가능성 또한 열어두고 있다. 읽기 태도는 학습에 의해 형성 가능하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태도 교육이 가능하다. 읽기 태도 교육이 실효성 있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우선 아동의 읽기 태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진단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읽기 태도 검사 도구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외국에서 개발된 것을 번역하여 사용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아동의 읽기태도를 측정하기에 어려움이 크다. 읽기 태도를 구성하는 요인을 면밀하게 검토하여 검사도구를 개발하는 일이 필요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This study aims at arrang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an attitude toward reading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required for developing a testing instrument for the attitude systematically, and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he attitude in Korean education. As an affective factor of stimulating reading the attitud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bility to read and achievement, self-development, social life, and reading culture. Distinguished from value, interest, preference, motive and intention, it can be defined as“a psychological tendency to make positive or negative evaluation about ‘reading’ and consistently produce a response such as approaching or avoiding the situation of reading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uch a definition means that it consists of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elements. The attitude can be seen as a purpose, result and method of reading education,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transferred to related objects. Once formed attitude toward reading is continuous and stable, but also open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An attitude toward reading which can be formed by learning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systematic and intentional attitude education. Understanding and diagnosing a child`s attitude toward reading accurately should come before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However, the existing nonsystematic testing instrument for the attitude and the use of translated one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make it very difficult to measure the attitude. That is why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 factors which compose it and develop a testing instrument for it.

      •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점검

        정혜승(Chung Hye-se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이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을 분석하고, 실제, 텍스트, 맥락 등 교육과정 핵심어의 의미를 파악하며,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를 성취 기준의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정 교육과정의 학습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해 ‘학년별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량을 분석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어과의 교과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여 국어과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을 포섭하기 어려우며, ‘목표’와 동어반복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핵심 단어인 실제, 텍스트, 맥락은 그 개념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어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의 정당성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은 국어과의 교과적 특수성을 밝히는 데 집중하여 국어과 교육의 비전을 제시하는 데 미흡할 뿐만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 내용을 포섭하기 어려우며, ‘목표’와 동어반복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핵심 단어인 실제, 텍스트, 맥락은 그 개념이 매우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어 교육과정 체계 안에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 내용 선정 원리와 근거의 정당성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by addressing ‘the Character’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meaning of Keyword such as ‘practice’, ‘text’ and ‘context’ and the principles and bases applied to refine the curriculum in terms of student achievement standards.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learning was analyzed for each grader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Character’ of the reformed curriculum is focused to explain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subject but lacks suggestion for vision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Still, it seems difficult to deliver meaningful education and has a problem as it has the same meaning of ‘Objective". The Keyword of ‘practice’, ‘text’ and ‘context’ reflect the characters of the reformed curriculum. The concepts of these words are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s and do not function to deliver any practical meaning in the curriculum schem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standards act as content standards, leading to a criticism for the standardized education content. It is not logical to implement achievement standards designed for track curriculum as part of the reform of the non-track curriculum.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ext-based contents may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learning in contradiction with what developers intend. Since content areas are not integrated among identical texts, and texts vary among content areas, it is likely that the amount of learning materials increase under the reformed curriculum.

      • KCI등재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전략

        정혜승 ( Hye Seung Chung ),서수현 ( Soo Hyun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10 청람어문교육 Vol.41 No.-

        이 연구는 중등학생 필자가 글을 쓸 때 독자를 어느 정도로, 어떤 방식으로 고려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중등학생 필자는 독자를 어느 정도로 고려하는가? 2) 중등학생 필자가 독자를 고려하는 주된 방식은 무엇인가? 3) 중학생 필자와 고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에 차이가 있는가? 4) 예상독자에 따라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고려 정도와 방식이 달라지는가? 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서울과 경기 지역의 3개 중·고등학생 265명을 대상으로 고쳐 쓰기 과제를 투입하고, 학생들의 글을 PAIR 전략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학생 필자들은 전반적으로 독자 고려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못하였으며, 주로 끌어들이기 전략을 중심으로 독자를 고려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글은 대체로 정보 조절하기와 반응에 응답하기 전략에서 낮은 빈도를 나타났는데, 이는 독자의 배경 지식을 고려하거나 반응을 예상하는 능력의 부족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로 중등학생 필자들이 독자를 고려하는 데에 필요한 제반 자원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곤란하다. 중등학생 필자들이 갖고 있는 독자 인식 능력을 활용하여, 독자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쓰기 과제, 실제적이고 상호교섭적인 쓰기 과제를 제시하여 독자 고려 능력을 제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aspects on audience consideration of secondary school student writers.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are raised for this paper:(1) which degree students consider their audiences when writing? (2) what method they use to consider their audiences when writing? (3) are there differences aspects on students consideration their audiences by grade? and (4) are there differences aspects on students consideration their audiences by audiences? Four writing tasks were given to 265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texts were anlayzed in terms of PAIR strategies. The result showed that students were poor at considering their audiences and they used mainly attracting strategy when writing. Students` texts rarely show informing and replying strategies because students had not competences enough to control information for their audiences` prior knowledge an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ir audiences` expecting response. But it`s not appropriate to conclude that the student writers don`t have ability to consider their audiences. Rather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specific methods on how to consider of their audiences and they also should be provided with many opportunities to actually write for various audiences.

      • KCI등재

        개별 논문 : 교사의 읽기 평가 전문성 실태: 지필 평가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19

        이 연구는 학교 현장의 읽기 문항 분석을 통해 교사의 읽기 평가 능력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교사의 읽기 평가 전문성 기준과 관련지어 탐색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소재의 두 초등학교에서 각기 5, 6학년 성취도 평가지를 수집, 분석하고,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모 교육기관 사이트에 있는 문제은행의 문항과 서울 구로구 소재M중학교1학년의 중간시험 문항도 분석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문항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오독, 교과서 의존, 학습자의 사고력과 창의성 제한, 사실적 독해 중심의 문항 구성, 평가 목표와 문항의 불일치, 발문과 답지의 괴리와 같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교사의 읽기 평가능력이 미흡한 데서 주로 야기된 것인데, 기존의 읽기 평가 전문성 기준으로는 이러한 문제점을 진단하기도 교사 수준을 평가하기도 어렵다. 그리하여 이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사 읽기 평가 전문성 기준에 독해 능력, 평가 메타 능력, 목표 부합 문항 구성 능력, 질문 이해 능력, 기술적(technical) 능력이 추가, 보완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what problems exist in the teacher`s reading assessment through analyzing the reading test questions of schools and to find the professional standards of problem-solving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reading assessment.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I hav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pective test achievement sheets of grades 5 and 6 i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Gyeonggi-Do. Also in order to support the discussions, I have analyzed and used the questions in the item pool of a public education site and the midterm test items at the freshmen level of M middle school that is located in Guro-Gu of Seoul.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est questions, there were a number of problems such as teacher`s misreading, high-dependency on the text, limitations in the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of learners, test item construction by factual reading-comprehension, items mismatched with the assessment objectives, and problems in the dissociation of questions and choices. These problems were raised mainly by the insufficiency in the ability of teacher`s reading assessment and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se problems and to evaluate the standards of teachers only with the professional standards of existing Korean language teacher`s reading assess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o add and complement the reading-comprehension ability, meta-evaluation competence, item construction ability matched with the objectives, competency in understanding questions and technical abilit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professional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reading assessment.

      • KCI등재

        중등학생 필자의 독자 인식 양상

        정혜승 ( Hye Seung Chung ),서수현 ( Soo Hyun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39 No.-

        이 연구는 학생들의 쓰기 능력 계발을 목표로 하는 교육에서 필자의 독자 인식 능력을 제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중등학생 필자들이 독자를 인식하는 양상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 중등학생 필자는 글을 쓸 때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2) 중등학생 필자는 글을 쓸 때 자신이 독자를 어느 정도로 생각한다고 인식하는가? 3) 중등학생 필자는 글을 쓸 때 독자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4) 중등학생 필자는 쓰기 과제에서 독자가 제시되지 않을 때 예상 독자를 누구로 상정하는가? 5) 중등학생 필자는 예상 독자에 따라 독자를 고려하는 방식을 달리해야 한다고 인식하는가? 등 다섯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서울과 경기 지역 중학교 2학년 92명과 고등학교 1학년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글쓰기 과제를 투입하였다. 설문지와 학생들이 쓴 글을 분석한 결과, 중등학생들은 독자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며, 독자가 달라지면 그를 고려하는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독자가 제시되지 않을 때 주로 자신이 모르는 미지의 공적인 존재로 상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응답은 중등학생 필자들이 글을 쓸 때에 인식하게 되는 자신의 정체성, 그리고 글을 쓰면서 설정하고자 하는 독자와의 관계와도 관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능동적으로 독자를 구성하고 독자와 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독자 고려 전략을 지도해야 한다는 점, 글쓰기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폭넓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독자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Based on the notion that increasing awareness on audience is important for student writers in teaching writing to develop students` writing skills, this research examines the aspects on audience awareness of secondary school student writers. The following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for this research: (1) whethe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ink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audience when writing; (2) how much do they think about the audience when writing; (3) Why do they consider the audience when writing; (4) Who do they evoke as the audience when a target audience is not set for them; and (5) are they aware that they write considering different audience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265 eighth and tenth graders in Seoul and Gyeonggi-do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ho were also given a writing task. The survey and student writing showed that audience awareness is important.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y were good writers if they think about the audience, and recognized that their writing should change when the audience changes. When a target audience is not set, they set unknown open being as the audience. This answers is related to identity students recognize when they write, and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they set when they writ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Students should be taught of specific audience consideration strategies to construct the audience and converse with the audience. They also should be provided with various audiences to write for many opportunities about writing`s contents and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