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가에서 활용가능한 생대추의 저장조건 연구

        정현정(Hyun-Jung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8

        생대추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농가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저장방법을 찾기 위하여 70% 숙기를 가진 생대추를 0°C 온도와 80~90% 습도로 조절하고 에틸렌제거 장치가 설치된 저온저장고에서 플라스틱상자와 종이상자를 저장용기로 사용하고 한지와 기능성필름을 포장방법으로 사용하여 9주까지 저장하면서 이미지, 수분함량, 부패율, 경도, 색도 및 당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시료의 경우 수분함량이 저장 전 69.2%에서 9주 저장 후에는 66.1%로 감소하였으며 기능성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부패과는 6주까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 시료의 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종이상자에 기능성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의 경우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저장 기간 동안 적색도는 대부분의 시료에서는 천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당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70% 숙기를 가진 생대추를 9주까지 품질의 변화 없이 저장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저장방법으로는 저장용기로 플라스틱상자보다는 표면에 노출되는 대추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종이상자를 사용하는 것이 포장방법으로 한지보다는 기능성필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농가에서 활용가능한 생대추의 저장방법으로 온도, 습도, 에틸렌이 조절된 저온저장고에서 종이상자와 기능성필름을 가볍게 덮은 조건에서 생대추의 저장을 9주까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할 수 있었다. The quality of fresh jujube (Zizyphus jujuba) fruit rapidly declines in the postharvest stage and thus the effective storage conditions for agricultural warehouse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resh jujubes (~10 kg) were stored using five different storage methods: plastic box without further packaging as a control (C-PL), plastic box with hanji packaging (H-PL), plastic box with functional film packaging (F-PL), cardboard box with hanji packaging (H-CB), and cardboard box with functional film packaging (F-CB). The storage boxes were stored in a refrigerator (0°C and 80~90% RH), equipped with an ethylene gas scavenging device for 9 weeks and the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control storage conditions of jujubes showed a substantial decline in quality with decreases in moisture content, hardness, and sugar content as well as increases in decay ratio and redness. Among the tested storage conditions, F-CB was most effective in terms of maintaining the quality of jujube fruit while maintaining firmness, weightlessness, ripening degree from redness and visible appearance. In conclusion, effective storage and packaging conditions during storage enabled maintenance of fruit quality of jujubes for 9 weeks.

      • KCI등재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의 상례(喪禮) 논쟁에 대한 고찰 -부제(祔祭) 이후의 절차 문제를 중심으로-

        정현정 ( Chung Hyun-j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3 가톨릭철학 Vol.0 No.21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은 상례(喪禮)의 과정 가운데 ‘부제(祔祭)’라는 의식 뒤에 이어지는 절차의 문제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 ‘부제’란 사망한 이의 초상(初喪)을 치르고 시신을 매장한 뒤 그의 혼령을 깃들인 신주(神主)가 장차 사당에 들어갈 것임을 고하는 의식인데, 상례의 전체 과정이 기술되어 있는 『의례(儀禮)』에는 부제를 치른 직후에 신주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해 드러나 있지 않다. 주희는 한대(漢代) 정현(鄭玄)의 설을 따라서 부제 후 신주를 정침(正寢)으로 되돌려와 모시다가 삼년상이 끝날 무렵 사당에 안치해야 한다고 본 반면, 육구연은 부제를 마친 뒤 곧바로 신주를 사당에 안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주희가 주목한 것은 망자의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이면서도 차마 완전히 죽은 이로 대우하지 못하는 심정이다. 따라서 돌아가신 분을 귀신으로 인정하지만 동시에 산 사람들의 공간에서 마치 살아계신 분을 모시듯이 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육구연은 인정(人情)의 변화가 생사(生死)·길흉(吉凶)의 거대한 흐름과 그대로 부합한다고 여겼다. 따라서 부제 이후에는 신주를 사당에 안치하고 돌아가신 이를 본격적으로 귀신으로서 대우하는 일이 이어져야 하는 것이다. 요컨대 주희는 삶과 죽음의 흐름 가운데에서 조금이라도 삶의 방향으로 돌이키기를 시도하는 것에서 인간의 역할을 찾으려 했다면, 육구연은 삶으로부터 죽음에 이르는 거대한 흐름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합당한 길임을 말하려 했다고 볼 수 있다. Zhuxi and Lujiuyuan debated on the matter of enshrining spirit tablet in funeral rites because Yili (儀禮), one of Confucian classics of ritual, does not describe the procedures of enshrining ceremony following burial and several calming ceremonies. Zhuxi argued that the spirit tablet should be kept in the living space of a house during mourning period even if the enshrining ceremony has already performed, and eventually be enshrined in ancestral temple after the three-year mourning. On the other hand, Lujiuyuan asserted that the spirit tablet should be enshrined in ancestral temple just after the enshrining ceremony. The main disagreement between Zhuxi and Lujiuyuan is that the former focused on the grief and denials of the death of loved one, while the latter accepted that the death is inevitable and irreversible. The debate shows different standpoint on confucian ethical judgement, whether to place a greater value on life than death or follow the course of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학교관련 심리변인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현정 ( Hyun Jung Chung ),김경성 ( Kyung Su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학교관련 심리변인이 초등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 5, 6학년 658명(남 328, 여330)이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보다 남자의 공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적 공격성에서만 4,5학년과 6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공격성 전체에 대하여 학교관련 심리변인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규칙준수였다. 넷째, 초등학생의 공격성의 5개 하위변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교사의 부정적인 피드백과 지시수업행동, 교사의 학업과 규칙지향 수업행동, 학교규칙준수로 나타났다. 다섯째, 또래지각이 긍정적일수록 우회적 공격성, 흥분성, 적의성이 낮아졌다. 여섯째, 양보 전략을 덜 사용할수록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흥분성, 적의성이 낮아졌다. 일곱째, 지배 전략을 덜 사용할수록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우회적 공격성, 흥분성이 낮아졌다. 여덟째, 교사체벌의 정당성을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우회적 공격성과 흥분성이 높아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choo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that exert an influence on child aggression. On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gnificant differences of children`s aggression according to children`s sexes and grades. Another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choo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the teacher`s behavior in class, teacher support, perceptions of peer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tudent`s acceptance of the corporal punishment imposed on them by their teacher, and adjustment to the rules enforced in school) affect child aggression. Aggression was divided into five areas in this study: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irritability, and host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58 children (328 males and 330 females; 211 4th graders, 230 5th graders, and 217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conclusions, which were arrived 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otal aggression score of the boys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irritability, and host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girls. (2) The 6th graders` verbal agg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4th and 5th graders`. (3) Among the schoo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the one that was found to influence total child aggression the most by way of mitigating it was the students` adjustment to the rules enforced in school. In other words, none of the schoo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re directly linked to the teachers was found to mitigate total child aggression. (4) The school-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that were found to influence all the areas of child aggression by way of mitigating them were the teacher`s negative feedback and direction, the teacher`s work and rule orientation, and the students` adjustment to the rules enforced in school. (5) The more the children perceived their peers positively, the less indirect aggression, irritability, and hostility were shown by them. (6) The more infrequently the children used concessive strategies, the less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rritability, and hostility were shown by them. (7) The more infrequently the children used dominant strategies, the less physical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indirect aggression, and irritability were shown by them. (8) The more the children accepted the justification of the corporal punishment imposed on them by their teachers, the more indirect aggression and irritability were shown by them.

      • KCI등재
      • KCI등재

        朱熹 四代奉祀論의 정립과 그 의미

        정현정(Chung, Hyun-jung)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1

        儒家에서 조상 제사는 인간이 자신의 존재 근원을 반추하는 행위로 간주된다. 古禮에서 제사 대상의 수는 각 신분에 허용되는 廟의 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되었다. 그런데 程頤는 古禮의 상복 제도에 착안하여 신분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四代奉祀의 제도를 창안하고, 나아가 始祖 이하의 모든 조상들까지 제사지내도록 하는 祭禮를 구상하였다. 朱熹는 程頤가 제안한 四代奉祀가 조상 제사의 의미를 잘 드러내주는 방식이라고 여기고 받아들이지만, 일반 백성들이 高祖 위로 始祖 이하의 조상들에게까지 제사지내도록 한 것은 天子나 諸侯만이 지낼 수 있는 제사의 규모에 상당하기 때문에 참람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배제한다. 朱熹에 따르면 조상 제사가 비록 인간 자신의 존재 근원을 성찰하는 본성적 행위일지라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그 극치를 다할수 있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신분의 차등은 조상이 얼마나 후덕한지에 따라 결정되어 인간 존재의 깊이를 한정하기 때문이다. 물론 四代奉祀도 여전히 士庶人에게 과분하기는 하지만, 禮의 재건이라는 과제의 측면에서는 고무적인 의미가 있었다. 한편 朱熹는 四代奉祀를 적극적으로 정당화하는 논거로서 종 족 집단의 상한선을 고조부로 제한하는 小宗法을 든다. 이를 통해 朱熹는 기존의 차등적 의례를 하나의 동일한 형태로 재편하고자 했던 程頤의 파격적 구상에 일정한 제한을 가하고, 조상 제사와 계층 질서 및 경전적 전통이 정합적으로 호응하는 祭禮의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이다. Ancestral rite is defined as tracing back and giving thanks to the origin of human being in Confucianism. In principle, the number of ancestors that could be worshiped strictly depends on the specified number of ancestral temples of each social class. However, Cheng yi created new forms of ancestral rite based on five grades of mourning dress, and argued that people of all ranks should be able to worship back four generations: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great-great-grandfather. In addition, he made another innovation in common ancestral rites: the worship of the first ancestor and the early ancestors. Zhu xi on the one hand approved the ethical effects of Cheng yi's rites to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but on the other criticized that the worships of the first and the early ancestors are presumptuous for commoners. According to Zhu xi, everyone's right to equally worship the first and the early ancestors cannot be justified because one's social status is determined by the virtue of his ancestors and limits the depth of his origin. To some extent the rites to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are also presumptuous, but are regarded as a effective way to promote ancestral rite. Zhu xi legitimized the rites to four generations of ancestors by presenting lesser descent-line system, an institution for a descent group delimited by the immediate four ancestors, and set up the form of ancestral rite consistent with the order of rank and the canonical standards.

      • KCI등재

        朱熹(주희)의 “克己復禮(극기복례)” 해석에 대한 고찰

        정현정 ( Hyun Jung Chung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80 No.-

        朱熹는 『論語』에서 仁에 관한 孔子의 언급들 가운데, 仁에 대해 묻는 顔淵의 질문에 ‘克己復禮’라고 답한 대목이 다른 부분들보다 더욱 포괄적인 일반론에 해당한다고 보고 중요하게 다루었다. 따라서 朱熹의 『論語集注』, 『論語或問』, 『朱子語類』 등에는 克己復禮와 관련하여 많은 논의들이 남아 있는데, 이를 통해 그가 克己復禮에 대한 해석에 입각하여 仁을 객관적 실천의 지평에 자리 잡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朱熹는 ‘仁’을 天理가 인간에게 내재된 온전한 德으로, ‘己’를 인간 마음의 仁을 해치는 육체적 욕망으로, ‘禮’를 天理가 현실에 그대로 구현된 모습으로 정의하였다. 여기에서 禮는 보통의 사람들에게 있어서 언제나 따라야 할 모범적인 행위들의 총칭이라고 할수 있다. 朱熹는 克己와 復禮를 명확히 구분하여 克己즉 육체적 욕망이 仁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이겨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復禮즉 聖人들이 남긴 올바른 행위의 준칙들을 적극적으로 실천하여 세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이 바로 孔子가 진정으로 가르치려 한 바라고 생각하였다. 결국 朱熹는 ‘克己復禮’가 단지 仁을 보존하는 방법이라거나 仁을 추구하는 과정이 아니라, 바로 그렇게 하면 누구나 그것을 보고 仁이라고 인정하고 仁하다고 일컫게 되는 仁의 실제적 측면이라고 간주하게 된다. Yan Hui asked about ren, and Confucius said "keji fuli constitutes ren." Zhu Xi regarded this dialogue a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eachings about ren in the Analects because he thought keji fuli is the most general principle for pursuing ren. Zhu Xi dealt with keji fuli in depth throughout his lifetime, hence there are lots of arguments showing his idea about keji fuli in Lunyu jizhu, Lunyu huowen, and Zhuzi yulei and so on. As a whole, Zhu Xi firmly established a practical basis of pursuing ren through revising and determining his interpretation of keji fuli. To be more concrete, Zhu Xi defined ren as the virtue of the original mind in its wholeness; ji as the selfish desires of the self; and li as the heavenly principle in measured display. According to him, ji can harm the virtue of the mind in its wholeness, and li means the whole set of Confucian norms. Zhu Xi mad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keji and fuli, and thought it is important to overcome ji in order to prevent selfish desires from harming the virtue of the mind in its wholeness, but what is more significant in Confucius``s teaching is observing Confucian norms and contributing to society. Ultimately, for Zhu Xi, keji fuli is not the method of preserving ren or the process of pursuing ren, but the actual form of ren that surely recognized as ren by whoever see a person carrying out it.

      • KCI등재

        전분 유래 저열량 식품소재의 개발과 산업적 이용

        정현정(Hyun-Jung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19 식품과학과 산업 Vol.52 No.4

        소비자들은 건강에 관한 관심이 계속 증가할 것이며 이에 저열량 식품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는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열량 식품소재의 개발에 있어 열량을 낮춘 소재의 기능성과 최종제품의 품질을 잘 유지할 수 있는 관능성이 중요하다. 이에 난소화성 전분과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재이며 일반 식이섬유보다 다양한 제품에 품질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난소화성 전분은 입자가 작고 색이 하얗고 특별한 냄새와 맛이 없기에 제빵, 파스타, 시리얼, 스낵 제품 등에 식이섬유 함량을 높이거나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저열량 소재로 사용되고 있고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식후혈당 상승억제, 혈중 중성지방 개선, 배변 활동 원활하게 하는 기능성 원료이기에 음료, 건강보조식품, 일반 식품에서 저열량 소재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저열량 식품에 소재로 활용될 것이다. Indigestible carbohydrates as dietary fiber have attracted interest of consumers due to their several physiological benefits. Recent definitions of dietary fiber have included other indigestible carbohydrates such as resistant starch and resistant maltodextrins, which are natural, colorless, odorless and tasteless low-calorie food ingredients. Unlike some carbohydrates and digestible starches, indigestible starch and maltodextrin resist enzymatic hydrolysis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resulting in little or no direct glucose absorption. In addition, there is increased microbial fermentation 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in the large intestine. As an emerging functional low-calorie food ingredient, resistant starch and maltodextrin have been shown to have equivalent or superior impacts on human health compared to conventional fiber-enriched food ingredients. In this paper, the definition, strategies to enhance dietary fiber content in foods, some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applications in food industry for indigestible starch and maltodextrin are summarized and discussed.

      • KCI등재

        장지연(張志淵)의 「황례편(皇禮篇)」을 통해 본 대한제국기 황제례의 의미

        정현정 ( Chung Hyun-ju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 No.63

        장지연은 대한제국 선포에 앞서 고종이 황제의 지위에 오를 것을 요청한 이들 가운데 한 사람이었고, 국가전례 정비 기구인 사례소의 일원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사례소가 폐지된 뒤 황제국 의례인 『대한예전』 편찬 작업을 완료하여 고종에게 올렸다. 대한제국 수립 후 3년째인 1899년, 장지연은 환구단 제사에 조상을 함께 배향하는 ‘교배(郊配)’와 선대 왕의 존호를 높이는 ‘추존(追尊)’이 행해지지 않음을 들어 황제국으로서의 의례가 미비함을 지적하며 「황례편」 제1과 「황례편」 제2를 작성한다. 「황례편」 제1에서 장지연은 교제사에 조상을 배향하는 것에 담긴 ‘보본반시’의 의미를 확인한다. 즉 제왕이 하늘에 제사하고 더불어 조상을 배향하는 것은 존재의 근원에 대한 반추와 성찰의 극치로서, 유가의 이념이 반영된 제천 의례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장지연은 황제의 조상에 대한 배향이 누락된 대한제국의 환구제에 문제제기하며, 제왕이 존재의 근원, 그리고 인간적 가치의 근원에 대한 반추와 성찰을 통해 자신이 만물과 인간이 성립하고 번영해 온 역사의 끝에 존재하고 있고, 조상들이 책임져 온 일을 온전히 계승해야 할 임무가 있음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황례편」 제2에서 장지연은 주나라의 무왕을 비롯하여 역대의 제왕들이 천자의 자리에 오른 즉시 조상의 칭호를 추숭하였음을 밝히며 대한제국 선포 이후 3년째가 될 때까지 고종이 선대 왕들을 황제로 추존하는 예를 거행하지 않은 것을 비판한다. 제왕의 효는 조상의 이름을 높여 부르고 그에 걸맞게 대우함으로써 자신만을 지고의 위치에 두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추존이라는 예에 담긴 유가적 이념이다. 장지연은 ‘천자7묘’의 묘제에 의거하여 태조와 고종의 4대조, 그리고 이조(二祧)를 황제로 추존할 것을 제안한다. 황제국 의례 제정의 맥락에서 장지연에게 대한제국은 유가적 제왕의 나라였다. 따라서 대한제국의 국가전례는 바로 천자국 예제의 수준과 규모에 맞게 정비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장지연은 대한제국이 황제국 의례를 통해 삼대 성왕의 통치를 계승하고 유가 이념을 온전히 담지한 천자국으로 올라서기를 갈망한 것이다. Jang Ji-yeon was one of those who appealed Kojong’s elevation from king to emperor. And as an official of Saryeso, he pubilshed Daehan-yejeon, the book regarding national rituals. In 1899, on The third year since the declaration of the Daehan Empire, Jang Ji-yeon wrote Hwanglyepyeon and criticized the emperor for not performing worship rituals for the heaven and ancestors together and not honoring ancestors as emperors. According to the Hwanglyepyeon, performing worship rituals for the heaven and ancestors together means returning to and repaying the origin of all existence and human life, therefore emperor reflect on his duty through performing the ritual. In addition, the ancient emperors honored their ancestors as emperors as soon as they ascended the throne, and did not put only themselves on the supreme position. Jang Ji-yeon urged Kojong should perform worship rituals for the heaven and ancestors together in the Sacrifice to Heaven at the Round Altar, and should honor his ancestors as emperors according to Emperor's Seven Chambers System. He desired the Confucian ideology to be reflected in the rituals of the emperor of the Daehan Empire.

      • KCI등재

        구준(丘濬) 『가례의절(家禮儀節)』의 『가례(家禮)』 재구성에 대한 고찰

        정현정 ( Hyun Jung Ch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8 No.-

        丘濬의 『家禮儀節』은 『家禮』의 本註를 行禮 절차의 형식으로 바꾸어 서술하고, 冠婚喪祭에 관한 실용적·이론적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형태로 『家禮』를 재구성한 저술이다. 따라서 『家禮儀節』은 『家禮』보다 상세해지고 분량이 많아졌는데, 이는 가정의례를 실천하고 연구하기에 『家禮』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문제의식이 반영된 것이다. 또한 丘濬은 『家禮』의 세부적인 문제점과 오류를 수정하고, 나아가 『家禮』에 새로운 지침들을 보충해 넣음으로써, 보다 다양한 인간적 맥락을 포괄하며 성대한 규모와 정교한 체계를 갖춘 家禮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As a revised version of Jia-li(『家禮』), Qiu Jun`s Jia-li yi-jie(『家禮儀節』) provides specifications of procedures by paraphrasing Jia-li`s small type text and includes practical and theoretical informations about cappings, weddings, funerals, and sacrifices. Qiu Jun thought Jia-li is insufficient to promote the performance and advanced study of family rituals, therefore Jia-li yi-jie became more detailed and voluminous than Jia-li. Furthermore, Qiu Jun not only modified several inappropriate instructions of Jia-li, but also inserted additional instructions in Jia-li yi-jie in order to make more comprehensive and accurate guide for family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