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광, 저온 및 지베렐린 처리가 Azalea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정해준,유봉식,Chung, Hae-Joon,Yoo, Bong-Sik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8 自然科學論文集 Vol.10 No.1

        Azalea의 개화조절을 위하여 차광, 저온 및 지베레린을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광처리에 따른 개화반응에 있어서 차광을 많이 할수록 공시품종 모두 개화기간이 연장되었고 개화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개화소요일수는 'Ripple'에서만 증가되었으며 나머지 2품종은 비슷하였다. 저온처리는 'Inga'와 ‘Ripple'에서 개화소요일수와 개화수를 크게 증가 시켰으며 ’Reinhold Ambrosia'에서는 오히려 개화소요일수를 단축시켰다. 차광과 저온의 조합처리의 경우 저온처리후 차광처리가 높을수록 ‘Inga'와 ’Ripple'은 개화소요일수와 개화수는 증가하였으나, ‘Reinhold Ambrosia'에서는 개화소요일수와 개화기간이 단축되었고 개화수는 증가하였다. $GA_3$ 처리에 따른 개화반응에 있어서 지베렐린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Ripple'과 ‘Reinhold Ambrosia'는 개화소요일수가 뚜렷이 단축되었고 개화기간은 증가하였으나 'Inga'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개화수는 ’Inga'와 ‘Ripple'에서 증가하였다. 이와같이 azalea에 차광, 저온 및 지베레린을 처리하므로서 개화기간이 연장되고, 개화수는 증가하는데 비해 개화소요일수는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ntrol flowering of azalea (Rhododendron spp.) by shading, chilling and gibberellin treatments. Higher shading among treatments resulted in extended duration of flowering (DF) and increased number of flowers (NF) in all varieties tested. Number of days to flower (NDF) was increased in 'Ripple' by shading treatment, but this was not affected in other was vice verse in 'Reinhold Ambrosia' resulting in decreased NDF. Chilling treatment followed by high shading increased NDF and shortened DF in 'Inga' and 'Ripple', but that extended NDF and DF and increased NF in 'Reinhold Ambrosia'. In flowering response to $GA_3$ resulted in decreased NDF and increased NF.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reatments of shading, chilling and gibberellin to azalea extended DF and increased NF, but NDF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varieties.

      • KCI등재

        구기자나무의 절편체 부위와 품종 간 재분화 특성

        김동찬,정해준,민병훈,양덕춘,Kim, Dong-Chan,Chung, Hae-Joon,Min, Byung-Hoon,Yang, Deok-Ch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1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의 절편체 종류, 엽절편체의 착생 부위별 그리고 품종 간 캘러스 형성과 신초분화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기내식물체의 잎과 포장엽 절편체에서의 캘러스는 쉽게 유도되었으나, 기내엽 절편체에서 유도된 캘러스는 배양기간이 경과되면서 딱딱하게 변하였다. 잎의 착생 위치에 따른 캘러스 발생은 포장엽 및 기내엽에서 모두 중간이 양호하였고, 캘러스의 생체중은 기내엽보다는 포장엽 절편체가 더 좋았다. 신초 분화는 중간 부위의 기내엽과 상부위의 포장엽이 양호하였다. 품종간 신초 분화는 '진도재래', '청양', '영하구기자' 그리고 '청양재래' 순으로 양호하였다. Callus and shoot formation of leaf explants from in vitro propagated shoots and field grown plant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leaf, and four boxthron cultivars were investigated. Callus formation of explants from both in vitro shoot and field grown plants as easily achieved at the cut surfaces of explants but the callus formed from leaf of in vitro shoots was hardened as the duration of culture was proceed. Calli were effectively induced from leaves detached from the middle position of both in vitro and in vitro plants on MS medium containing 0.5 mg/L NAA with 0.2 mg/L BA, and the growth of calli were better in field grown leaves than in vitro grown leaves. Shoot formation were effectively induced from leaves detached from the upper position in vitro plants, and the middle parts of in vitro plants on MS medium containing 0.01 mg/L (NAA with 0.2 mg/ BA. There was difference on the frequency of shoot formation among four different cultivars; 'Jindojaerae' was the best for shoot formation followed by 'Cheonyang', 'Younghagukija' and 'Cheongyangjaerae'.

      • 분쇄와 폐암면의 혼합에 의한 소나무 수피의 보수성 증진

        최종명,정해준,최종승,Choi, Jong-Myung,Chung, Hae-Joon,Choi, Jong-Seung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9 自然科學論文集 Vol.11 No.1

        본 연구는 소나무 수피를 상토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보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조된 수피를 Wiley mill 또는 hammer mill로 분쇄하여 입도분포를 조절하거나, 분쇄된 물질에 폐암면을 일정 비율로 혼합한 후 토양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분쇄전 수피는 5.6 mm 이상의 직경를 가진 입자의 점유 비율이 86.5%였으나, Wiley mill 또는 hammer mill로 분쇄하므로써 1 mm 이상의 직경을 가진 입자의 점유비율이 감소하고, 1 mm 이하의 입자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Wiley mill이 hammer mill 보다 분쇄효과가 높았다. 분쇄에 의해 공극율 및 기상율이 감소하고 용기용수량 및 잔존수분량이 증가하여 보수성이 증가함을 나타내고 있다. Wiley mill로 분쇄된 물질에 50%의 폐암면을 혼합한 경우 공극율 81.1%, 용기용수량 67.7%, 기상율 13.4%, 잔존수분량이 235ml를 갖는 것으로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분쇄와 폐암면의 혼합에 의해 보수성이 증가하였으며, 상업적 생산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피트모쓰+질석 대조구에 비해 보수성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더 좋은 통기성을 보유함을 의미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mprove moisture retention capacity of pine bark. To achieve this, barks were ground with Wiley mill of hammer mill and were blended with recycled rockwool. Then, chang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e percentage of particles larger than 5.6 mm was 86.5% in raw materials. The percentage of particles larger than 1 mm decreased and those of particles smaller than 1 mm increased by grinding with Wiley mill or hammer mill. Grinding with Wiley mill showed better effect than those of hammer mill in decreas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Grinding resulted in decreased total porosity (TP) and air space (AS) and increased container capacity (CC) and residual water content (RW), indication improved moisture retention capacity. The material ground with Wiley mill, than blended with 50% recycled rockwool had 81.1%, 67.7%, 13.5% and 235 ml in TP, CC, AS and RW,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oisture retention capacity was improved by blending with recycled rockwood, but aeration of root media was much better than those of peat+vermiculite(1:1, v/v), which is commonly used in commercial production.

      • KCI등재

        구기자나무의 엽절편체에서 유도된 재분화식물체의 포장생육 특성

        김동찬,정해준,민변훈,양덕춘,김수동,이봉춘,Kim, Dong-Chan,Chung, Hae-Joon,Min, Byung-Hoon,Yang, Deok-Chun,Kim, Su-Dong,Lee, Bong-Ch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2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9 No.2

        포장에서 자란 '청양'의 상부 잎 절편체 유래의 캘러스에서 200개체의 유식물체를 분화시켜 194개체를 포장에 정식한 후 2년 동안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형태는 모본과 같은 타원형이 66.1%였고, 모본과 다른 난형 22.2%, 도란형 7.2%, 장타원형 2.6%그리고 피침형이 2.1%였다. 또한 재분화된 구기자의 포장생육특성을 검정한 후 열매의 크기가 커지고 수량이 증대된 계통군 5계통 (99741, 99781, 99854, 99870, 99886)과 열매가 커진 계통군 4계통 (99774, 99831, 99840, 99849), 잎이 두꺼운 특징을 보인 2계통 (99747, 99783), 그리고 액아에서 신초가 많이 발생되는 다분지성의 초형변이 계통군 2계통 (99797, 99892) 등 13계통을 선발하였다. 열매의 변이를 나타낸 체세포 변이체간의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 대과와 다수확 계통으로 선발한 5계통들은 '청양'에 비해 과장이 2.1∼2.7 mm 길었으며, 10a당 생산량은 15∼30%가 증수되었다. 초형변이를 나타낸 개체간의 엽수량을 비교한 결과 대소계통인 CL1-48에 비해 99892계통이 7.2% 증수되었고 가시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잎이 유연한 특징을 보였다. 194 plantlets regenerated from leaf explants of boxthorn 'Cheonyang' were cultivated to investigat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eld for 2 years. Based on the morphology of leaves, 66.1% of them had elliptical type leaf, the same as that of mother plants, while 22.2% in oval type, 7.2% in obovate type, 2.6% in long-obvate type and 2.1% in lanceolate type. They were classified to 4 groups; group A was selected with both high fruit size and fruit yield, group B with only high fruit size, group C with larger or thicken leaf, and group D with multiple brenches. In comparision of production efficiency between the selected groups and mother plants, group A (99741, 99781, 99854, 99870 and 99886) were longer (2.1 to 2.7 mm) in length of fruits and higher in fruit production (15 to 30%) as compared to mother plants. Croup D (99797 and 99892) was higher in leaf production (7.2%) as compared to boxthorn 'CL1-48', which is the highest in leaf production among boxthorn veriaties.

      • In Vitro Culture에 의한 Pelargonium spp.의 Callus 유도 및 기관분화에 관하여

        이춘하,정해준,Lee, Chun-Ha,Chung, Hae-Joon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1 自然科學論文集 Vol.4 No.-

        Pelargonium의 다량증식을 위해서 P. peltatum 'Rouletta'와 P. zonale 'Pinto Red' 두 품종을 MS기본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의 농도를 달리하여 배양하였다. 엽, 엽병, 경, 하배축, 화경의 각 외식체별 callus의 유기와 기관분화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A. P. zonale 'Pinto Red'를 부위별로 배양할 경우 callus형성이 가장 양호한 부위는 줄기이며, 이 때의 hormone 농도는 BAP 1.0mg/1+NAA1.0mg/1로 나타났고, NAA 함량이 증가할 수록 callus 형성은 촉진되나 고농도의 NAA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억제되었다. 엽과 하배측의 외식체에서는 경과 엽병에 비해 callus형성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B. P. zonale 'Pinto Red'와 엽병으로부터 callus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hormone의 농도가 계속된 배양에서 shoot 분화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llus형성배지 중에서 BAP 1.0mg/1+NAA 0.05mg/1에서 형성된 callus를 BAP 0.5-1.0mg/1+NAA 0.1-1.0mg/1의 shoot 분화 배지에서 단대배양할 때에 가장 많은 shoot를 분화시켰다. 그러나 BAP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유기된 callus는 단대배양할 시의 BAP와 NAA 농도에 상관없이 shoot의 분화는 되지 않았고 callus만 증식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C. P. peltatum 'Rouletta'의 엽을 배양할 때 PVP 무처리에서는 poly-phenol물질이 관찰되었고 callus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으나, PVP 0.2%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poly-phenol의 형성도 없었으며 또한 다량의 callus를 증식시킬 수 있었다. D. P, peltatum 'Rouletta'의 외식체에 따른 callus형성을 관찰해 본 결과, 줄기에서 가장 양호한 양상이 나타났고, 최적 hormone 농도는 NAA0.1mg/1+BAP5.0mg/1로 나타났다. shoot는 NAA0.05mg/1+BAP1.0mg/1와 NAA0.1mg/1+BAP5.0mg/1의 배지에서 발생되었다. 이 때 shoot는 기형적인 엽으로 완전한 식물체로 분화하지 못하고 고사하였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icropropagation of Pelargonium, 2 cultivars of P. peltatum 'Pouletta' and P. zonale 'Pinto Red' were cultured in vitro on the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rowth regulators. It attempted to study the induction of callus and the differentiation of organs from leaf disc, petiole segments, stem segments. hypocotyle segments and flower stalk segm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As for the initiation of callus, stem explant was proved to be the most suitable one among various explants of P. zonale 'Pinto Red'. The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1.0mg/1 BAP and 1.0mg/1 NAA. As NAA concentration increased, callus formation was enhanced, but higher concentration of NAA inhibited callus fromation. Leaf and hypocotyle explants showed less callus formation than stem and petiole explants. B. In P. zonale 'Pinto Red' petiole culture, the condition of cullus culture such as hormone concentration resulted in affecting shoots differentiation. The best result of shoots formation from the callus reculture were obtained from the combination of 0.5-1.0mg/1 BAP and 0.1-1.0mg/1 NAA when the callus was cultured in 1.0mg/1 BAP and 0.05mg/1 NAA. When the callus was cultured in medium without BAP, the shoot was not differentiated in subculture regardless to BAP and NAA concentration. and only callus was formed. C. Poly-phenol substance was observ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out PVP, in which callus was not formed from the leaf of P. peltatum 'Rouletta'. Polyphenol substance was not observ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PVP, in which callus formation was increased. D. The callus formation of P. peltatum 'Rouletta' showed the stem explant being best result. The best result particularly in the stem explant among others. The optimal hormonal concentration was 0.1mg/1 NAA and 5.0mg/1 BAP. The shoot formation was observed at 0.05mg/1 NAA and 1.0mg/1 BAP, 0.1mg/1 NAA and 5.0mg/1 BAP. The shoot was malformed and the tissue recultured turned necrotic.

      • 기내배양에서 2,4-D 및 NAA처리와 계대배양회수에 따른 딸기의 RAPD Band 변화

        심재성,정해준,민병훈,Shim, Jai-Sung,Chung, Hae-Joon,Min, Byung-Hoon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自然科學論文集 Vol.8 No.2

        The 2,4-D + BA combination in MS medium showed high regenerating ability and induced compact callus from leaf and petiole segments of three strawberry cultivars, 'Bokyo', 'Suhong', whereas the NAA + BA combination resulted in friable callus. Band of RAPD products obtained with primer 212 from the callus was different from the band of mother plant when callus induced from leaf segment of 'Suhong' cultivar was maintained in MS medium containing NAA or BA for 8 months. The RAPD bands obtained from mother plants of 'Bokyo' and 'Yeobong' were different from that of callus maintained in the presence of MS liquid medium containing 2,4-D(0.2 mg/$\ell$) subcultured every two weeks for 6 months(12 subcultures). 딸기의 3품종을 엽과 엽병으로 배양한 결과 2,4-D + BA 처리에서는 치밀한 캘러스가 유기되었고 이 캘러스로부터 다수의 신초가 분화되었으며 NAA + BA 처리에서는 부숴지기 쉬운 캘러스가 유기되었다. '수홍' 엽조직을 NAA나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8개월간 배양하면 212번 primer에서 생산된 RAPD band가 모본 band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보교'와 '여봉'의 엽에서 유기된 캘러스를 2,4-D가 첨가된 액체배지에 계대배양회수를 달리하여 배양하였을 때 12회 계대배양에서 모본과 상이한 RAPD band가 출현되었다.

      • 지방 수집 작약의 유망계통에 대한 형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안병창,민병훈,정해준,Ahn, Byeong-Chang,Min, Byung-Hoon,Chung, Hae-Joon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6 自然科學論文集 Vol.8 No.2

        작약의 지방수집종 1,510계통 중에서 선발된 97계통의 주요 특성을 조사 분석한 다음 Q 상관에 의해서 계통분류한 결과 97계통에서 주당엽수, 엽폭, 엽병장, 화사수, 주두수, 화판수. 화장, 개화기 등의 8개 형질에서 계통들 간에 변이계수가 21.3 - 127.1%로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97계통 중 외부 형질이 유망한 22계통의 염색체수는 2n=10으로 계통간에 염색체수의 이상을 발견할 수 없었다. 97계통의 16개 양적형질에 대한 Q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4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고, 제III군과 제VI군은 다시 각각 2개의 아군으로 분류되었다. 제 I 군은 홑꽃계통으로 화폭과 화장이 큰 대륜종이며, 제 $III_a$군은 화판수가 많은 겹꽃계통이었다. 제VII군은 가장 늦게 개화하는 만생종 계통군이며, 제IX군은 개화일이 5월 17일로 가장 빠른 조생종 계통군이었다. 제VIII군은 경장과 엽장이 제일 짧은 왜성게통으로 분식용으로 적합하며, 제 XIII 군은 주당엽수가 많으며 엽장과 엽폭이 큰 대엽계통이었다. 제X 군은 전형적인 피침형의 엽형태를 갖고 있으나 제XII군은 엽폭이 가장 넓은 란형의 엽형태를 갖고 있었다. The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97 lines selected from 1,510 local collection lines of Paeonia spp. were studied and classified into some groups according to their Q correlation.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8 characteristics in 97 lines varied greatly with the range from 21.3% to 127.1%. The 22 lines with usefu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elected from 97 lines had 2n=10 chromosomes, in which there were no difference among the number of chromosomes of 22 lines. The 97 lines were classified into 14 groups based upon the results of Q correlation analysis obtained from data with 16 quantitative factors; Group III and group VI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Group I was large flowered lines with a single flower, Group IIIa, doubled flowered lines, Group VII, late maturing lines and Group IX, early maturing lines flowering in 17th May. Group VIII were dwarf type lines which has the shortest stem length and leaf length among 14 groups, which are suitable for potted plants. Group XIII had a lot of stems per plant and a large type leaf with leaf length and width. A needle-type leaf was found in Group X, whereas a wide and oval-type leaf in group XII.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