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GC-MS에 의한 폴리코사놀 유화액의 정량분석

        정하열 ( Ha-yull Chung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3

        Recently, polycosanol products have been actively introduced into the domestic market based on their potential biological activity. The analytical procedures of polycosanol, which determine the TMS derivatives of each polycosanol with GC-FID, were presented for inspection of standards. However, the conventional procedures are not readily applicable to polycosanol emulsion which is prepared by mixing polycosanol and water together with emulsifiers because of their interferences. Therefore, the quantitative analytical procedure of polycosanol emulsion with GC-MS at selected ion monitoring mode was proposed and its validity was inspected for standardization. The analysis of polycosanol standards according to the proposed procedure showed the following values: 90.5% for reproducibility; 0.48-5.83% for the RSD; 0.000479-0.001314 μg/μL for the LOD; 0.001452-0.003983 μg/μL for the LOQ; 80.38-108.98% for accuracy; and 0.01-4.88% for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The average reproducibilities of polycosanol emulsions according to the current procedure were 87.43±4.48% and 88±2.2%, respectively, which were within the 80-120% range of the designated amount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analytical procedure with GC-MS at SIM mode in this study would be promising for the accurate quantitative analysis of polycosanol emulsion.

      • KCI등재

        발효생강 추출물이 RAW 264.7 마크로파지에서 NO 및 PGE_2 생성에 미치는 영향

        정하열 ( Ha Yull Chung ),박승용 ( Seung Yong Park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3 산업 식품공학 Vol.17 No.1

        생강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확인됨에 따라 여러나라에서 전통의약재로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진저롤 및 그 유도체에서 유래되는 자극적인 향미로 인하여 식품소재로서의 사용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강을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thermophilus, 및 Lactobacillus acidophilus 등과 같은 유산균에 의한 발효를 통하여 생강의 관능특성을 증진시키려 하였다. 발효된 생강은 in vitro에서 전자공여능 및 cyclooxygenase-2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산화질소의 생성도 억제하였다. 특히 김치유래 유산균으로 발효한 생강추출물인 GLPe와 GLMe는 Raw 264.7 macrophages에서 prostaglandin-E_2 의 생성을 60% 이상 저해하였으며 15- lipoxygenase에 대한 저해 활성도 나타내었다. 따라서 GLPe나 GLMe와 같은 발효생강 추출물은 섭취할 때 자극적인 향미로 인한 거부감이 적으며 염증이나 앨러지 등에 의해 야기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증상을 일부 완화시킬 수 있는 건강식품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inger is popular worldwide as a folk medicine with many claims of its biological effects. Nevertheless, there are some limitations for using it as a food ingredient due to the pungent odor that originates from gingerol and its derivatives. In this study, gingers were fer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to increase the sensory property of ginger. The prepared fermented ginger extracts showed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yclooxygenase-2 inhibitory effect in vitro. The fermentation also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ogen oxide. Among the fermented ginger extracts GLpe and GLme which were obtained by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showed an over 60% inhibitory effect on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E2 in RAW 264.7 macrophages. In addition, GLpe and GLme showed a slight inhibitions on 15-lipoxygenase. We would expect that fermented ginger extracts like GLpe and GLme could be used as a health food ingredient for relieving uncomfortable symptoms caused by inflammation or allerg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

        정하열(Ha-Yull Chung),윤수정(Soo-Jung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6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순차 용매 분획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의 총 카테킨 함량은 각각 35.7 mg/g, 20.2 mg/g이었으나 두 용매 분획물을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여 카테킨의 함량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두 용매 분획물에 함유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용매분획물을 C18 카트리지로 소분획하여 카테킨의 단량체-이량체 분획(FI)과 올리고량체 분획(FII) 및 다량체 분획(FIII) 등의 세가지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E-FI(26.0 mg/g) > E-FII(18.6 mg/g) > E-FIII(13.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을 1,000 ppm농도로 첨가한 시료의 POV 증가 경향은 유사하였다. 또한 부탄올 분획물에서도 B-FI(35.3 mg/g) > B-FII(30.8 mg/g) >B-FIII(22.7 mg/g)의 순서로 카테킨 함량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 효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카테킨의 항산화력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각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총 카테킨의 함량 뿐만 아니라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이루고 있는 카테킨의 중합도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 제조되는 포도종실 추출물의 품질 관리에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Ethyl 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among the serial solvent fractions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contained the catechin at the levels of 35.7 mg/g and 20.2 mg/g, respectively. However, the POV increasing patterns of two linoleic acid samples containing each solvent fraction were so similar that the difference in antioxidant activity by the catechin content of each solvent fraction could not be found. Each solvent fraction was fractionated on C18 cartridges into three subfractions which were mono-, dimers fraction (FI), oligomers fraction (FII) and polymers fraction (FIII) to examine the effect by the difference in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roanthocyanidin. The catechin contents of ethyl acetate subfractions (E-F) were in the order of E-FI (26.0 mg/g) > E-FII (18.6 mg/g) > E-FIII (13.7 mg/g) but the three subfractions showed nearly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by the POV measurement at 1,000 ppm concentration. Also the catechin contents of butanol subfractions (B-F) were in the order of B-FI (35.3 mg/g) > B-FII (30.8 mg/g) > B-FIII (22.7 mg/g) but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observed in all subfractions. In this study, similar antioxidant activities of each solvent subfraction in spite of different catechin contents inform that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roanthocyanidin as well as the total catechin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in quality control of grape seed extract produced for natural antioxidant.

      • KCI등재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정하열(Ha-Yull Chung),윤수정(Soo-Jung Yo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5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각 100, 500, 1000 ppm의 농도로 리놀산에 첨가한 후 60℃ 항온기에 저장하면서 항산화지수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AI는 각각 1.4, 2.25, 3.39, POV는 71, 57, 43 meq/kg oil로서 첨가량이 500 ppm 이상인 경우에는 BHT 200 ppm 첨가구(AI: 1.21, POV: 58 meq/kg oil)와 대등하거나 보다 우수한 산화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 500 ppm에 아스코르빅 산 500 ppm을 혼합하여 병용한 첨가구의 AI는 6.21, 12일 저장 후 POV는 14 meq/kg oil로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 500 ppm이나 1000 ppm만을 첨가한 시료에 비하여 항산화 효과가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볶은 땅콩이나 라면에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 1000 ppm을 단독으로 혹은 아스코르빅 산과 500 ppm씩 병용하여 처리하고 60℃에서 18일간 저장하며 시료로부터 추출한 조지방질의 POV를 측정한 결과, 볶은 땅콩이나 라면의 산화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서 포도종실 에탄올 추출물은 지방질 함유 가공식품의 산화안정성 향상을 위한 천연 항산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exa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thanol extract, the antioxidative index (AI) by the active oxygen method (AOM) and peroxide value (POV) of linoleic acids containing the extract at levels of 100, 500, 1000 ppm was measured during storage at 60℃ for 12 days. When comparing with BHT, the extract at levels of 500 ppm showed similar or better antioxidant activity (AI: 2.25, POV: 57 meq/kg oil) than that (AI: 1.21, POV: 58 meq/kg oil) of BHT at 200 ppm level. The mixture of 500 ppm of the extract and 500 ppm of ascorbic acid showed intense synergistic antioxidant activity (AI: 6.21, POV: 14 meq/kg oil) compared with using 1000 ppm of the extract only (AI: 3.39, POV: 43 meq/kg oil). Also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extract for natural antioxidant, the oxidative stability of roasted peanut and Ramy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POV of crude oils from the samples stored at 60℃ for 18 days. The oxidative stability of roasted peanut and Ramyon seemed to be enhanced by treatment with the extract at level of 1000 ppm, especially with the 1 : 1 mixture of extract and ascorbic acid. This study suggested that grape seed ethanol extract could be used as the natural antioxidant for the improvement of overall oxidation stability of fat containing foods.

      • KCI등재

        쌀단백질 잔사 효소분해물의 풍미증진 효과

        정하열 ( Ha Yull Chung ),이형진 ( Hyung Jin Lee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4 산업 식품공학 Vol.18 No.2

        쌀단백질의 효소분해물을 배지로 효모추출물을 제조한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를 재활용하기 위하여 다시 효소분해하여 얻은 가수분해물들의 맛 특성을 조사하고 이들을 효모추출물에 첨가하였을 때 나타나는 전체적인 맛의 패턴변화를 검색함에 의해 쌀단백질 효소분해물의 풍미증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들은 사용한 효소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맛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Flavourzyme처리구(Rrhf)가 감칠맛이 가장 강하였으나 동시에 쓴맛도 증가하였으며, Protamax처리구(Rrhp)는 감칠맛에 비하여 쓴맛이 강하지 않아 효모추출물에 첨가하여 풍미증진 효과를 기대하기에 적합한 소재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Rrhp에 함유된 풍미증진 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Rrhp를 1-5 Kda범위로 한외여과한 후 FPLC로 분리한 펩타이드 분획을 LC-MS/MS로 분석한 결과 Ile-Gly-Tyr-Pro-Thr-Tyr-Pro-Leu-Pro-Arg(Mw: 1175) 등의 펩타이드가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쌀단백질 잔사를 Protamax로 적정 조건에서 효소분해하여 제조한 Rrhp는 이들에 함유된 다양한 펩타이드성분이 효모추출물의 풍미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천연조미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e taste properties of enzyme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ir taste enhancing effects were evaluat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otal taste pattern after their addition to a yeast extract. While enzyme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showed different taste properties according to the enzyme that was used for hydrolysis, the Flavourzyme treated sample expressed the strongest umami and bitter taste among the enzyme treated samples. On the other hand, the Protamax treated sample showed considerable umami with a slight bitter taste so that it is expected to be suitable as a taste enhancing ingredient. Furthermore, by LC-MS/MS analysis, the effective fraction isolated from the Protamax treated sample was found to contain peptide fractions such as Ile-Gly- Tyr-Pro-Thr-Tyr-Pro-Leu-Pro-Arg (Mw: 1175);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eptide fractions contained in Protamax hydrolysates of rice protein residue could be applied for preparing a natural taste enhancing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