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토론식 수업 사례 : 덕성여자대학교 <독서와 표현> 강좌를 중심으로

        정하숙(Chung, Ha Sook),이향주(Rhee, Hyang Joo) 한국교양교육학회 2008 교양교육연구 Vol.2 No.2

        Recently, many university develop various programs in goal the efficient operation and the evaluation, for exampl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CTL), course portfolio and teaching portfolio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general concept and character of course portfolio and a example of a course portfolio about a groupdiscussion study.

      • KCI등재

        건조방법에 따른 잣솔잎 분말 추출액의 항산화특성

        정하숙 ( Ha Sook Chung ),김인호 ( In Ho Kim ),김성호 ( Seong Ho Kim ),이준호 ( Jun Ho Lee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3 산업 식품공학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에 따른 잣솔잎 추출액 분말의 항산화적 특성과 성분변화를 조사하고자 생 잣솔잎을 진공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한 후 50% 에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적 활성 및 페놀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각 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킨 잣솔잎 추출액 분말의 수율은 진공 건조 시료가 31.06%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열풍건조 시료 및 동결건조 시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풍건조 시료가 유의적으로 적었으며(p<0.05), 반면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반대의 경향으로 열풍건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공여능 및 ABTS radical 소거능은 1.0 mg/mL 농도에서 동결건조>진공건조>열풍건조 시료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건조방법별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조건의 pH를 1.2와 3.0으로 달리하여 각각 측정한 결과 pH 1.2의 강산성 조건에서 잣솔잎의 아질산염 소거능이 80% 이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진공건조 시료가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p<0.05). 잣솔잎 추출물의 페놀산 조성과 함량은 t-cinnamic acid가 잣솔잎 중에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에 따른 추출물의 페놀산 함량은 페놀산의 종류에 따라 건조방법 별 함량의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페놀산을 합한 총 페놀산 함량은 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Korean pine needles have long been used in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Hence, pine needle extract was prepared as powder using 50% ethanol extraction followed by various drying methods such as hot-air drying, vacuum drying, and freeze drying. With these extracts, the effects of the drying methods on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essed. As a result, vacuum drying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 whereas hot-air dried extract contained the least amou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However, the extracts by hot-air drying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flavonoids in comparison with the extracts obtained by other drying methods (p<0.05). In case of freeze dried samples, there was much strong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 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in other samples (p<0.05). The nitrate scavenging activities of all samples at high acidic conditions were higher than 80%, and that of the vacuum dried sampl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p<0.05). t-Cinnamic acid was the major phenolic acid regardless of drying method applie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보이차 생차(生茶)에서 분리된 phenolic acid류의 항산화 및 HCT116 성장저해 효과

        정하숙(Ha Sook Chung)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4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의 잎으로 제조된 차는 가공방법에 따라 불발효차, 반발효차, 발효차 및 후발효차로 구분된다. 보이차(Pu-erh tea)는 대엽종 차나무 잎을 건조시켜 제조되는 대표적인 후발효차이며, 차잎은주로 흑갈색으로 등황색의 탕색과 특유의 향을 지니며, Aspergillus niger, Penicllium, Rhizopus, Aspergillus glaucus, Saccharomyces, Aspergillus terreus, Aspergillus candidus 및 Bacterium 등에 의해 발효가 진행된다. 보이차는 특히 미생물 종류에 따라 색, 맛, 향, 건강효능 등 품질의 차이가 크므로 최적의 미생물을 선택하는 것은 우수한 보이차를 생산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이 된다. 보이차는 미생물에 의한 후발효 과정 중에 amino acid, volatile component, phenolic acid, caffeine, flavonoid 등 주요 phytochemicals 함량이 변화되어 특징적인 건강기능 효과를나타낸다. 본 연구는 보이차 생차의 주요 식물 화학성분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보이차 생차를 70% ethyl alcohol로 추출하여 항산화능이 우수한 ethyl acetate 가용성 분획 (IC50: 28.7 µg/mL)으로부터 silica gel과Sephadex LH-20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여 보이차 생차의 주요 phenolic acids 5종을 단리하고, UV-Vis, ESI-MS, 1 H-NMR, 13C-NMR, 1 H-1 H COSY과 HMQC spectral data를 통해 3,4-dihydroxybenzoic acid (1), caffeic acid (2), ρ-coumaric acid (3), chlorogenic acid (4) 및 gallic acid (5)로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분리된 화합물 1-5의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IC50, µM)는 각각 21.09 ± 0.85, 17.00 ± 0.16, 28.36 ± 0.57, 19.23 ± 0.27 및 11.52 ± 0.74로 확인되었다. 화합물 1, 2, 4의 높은 항산화능은 benzene ring에 결합하고 있는 ortho dihydroxyl groups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도 100 μM에서 화합물 1과 4는 HCT116 인체 대장암세포주의 성장을 각각 20.81%와 17.52%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erh tea is produced in post-fermented processing that uses microorganisms such a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glaucus, Aspergillus terreus, Aspergillus candidus, Penicillium, Saccharomyces, and Bacterium to improve color, taste, flavor,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aw pu-erh tea. As a result, five phenolic aci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70% ethyl alcohol extracts of raw pu-erh tea through an activity-guided fractionation and isolation method. The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3,4-dihydroxybenzoic acid (1), caffeic acid (2), ρ-coumaric acid (3), chlorogenic acid (4), and gallic acid (5). Identification was based on spectroscopic analyses, including UV-Vis, ESI-MS, 1 H-NMR, 13C-NMR, 1 H-1 H COSY, and HMQC experiments. Compounds 1 to 5 displayed potent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ies with IC50 values of 21.09 ± 0.85, 17.00 ± 0.16, 28.36 ± 0.57, 19.23 ± 0.27, and 11.52 ± 0.74 µM, respectively. Compounds 1 and 4 showed a growth inhibitory effect in HCT116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lines.

      • KCI등재

        아마씨 분말을 첨가한 파운드케이크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정하숙(Ha-Sook Chung),임정아(Jeong Ah Lim),이준호(Jun Ho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2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을 0~8%로 달리하여 파운드케이크를 제조한 후 물리ㆍ화학적 품질, 항산화 활성 및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케이크의 굽기 손실률은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수분함량, 부피, 높이 및 경도는 아마씨 분말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한편 명도(L<SUP>*</SUP>)와 황색도(b<SUP>*</SUP>)는 황갈색인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적색도(a<SUP>*</SUP>)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으며(P<0.05), 두 지표 사이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을 제외한 모든 평가항목에서 아마씨 분말 2%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으며, 아마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부드러운 정도는 선호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밖의 다른 항목은 선호도가 감소하였다(P<0.05). 따라서 관능품질과 건강 기능성 효과 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아마씨 파운드케이크의 아마씨 분말 첨가 최적 비율은 2%로 판단된다. The feasibility of incorporating flaxseed powder up to 8% (w/w) as a value-added food ingredient in convenient food products was investigated using pound cake as a model system. The moisture content, volume, height, and hardness of cak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levels of flaxseed powder (P<0.05). On the other hand, baking loss increased with higher flaxseed powder in the formulation (P<0.05).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whereas re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they were well correlated.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addition of 2% flaxseed powder had the most favorable effect on consumer preferences in general. Based on the overall observation, pound cakes with 2% flaxseed powder is recommended to take advantage of its functional properties without sacrificing consumer acceptability.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