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바라본 다문화주의와 공화주의적 주도문화

        정창화(Chang Hwa Jung),허영식(Young Sik Huh) 한국유럽학회 2012 유럽연구 Vol.30 No.1

        이 글은 독일의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특히 다문화주의와 공화주의적 주도문화의 긴장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통합에 관한 담론과 해석의 동향을 살펴보고, 다문화사회에서 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바람직한 목표와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의 배경으로서 특히 네덜란드의 사회통합문제에 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네덜란드에서 분명하게 드러난 다문화주의의 빛과그림자, 그리고 이에 대한 독일의 시각과 반응에 관해 기술하였다. 이어서 독일의 사회통합문제에 관한 부분에서는 통합에 대한 합의와 더불어 통합과 관련된 비관주의에 관해 언급하고, 특히 다문화주의의 실패에 관한 최근의 진단과 이를 둘러싼 담론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 다음 다문화주의가 수반할 수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 사회통합의 적절한 준거 혹은 접근방안으로서 공화주의적 주도문화의 개념을 소개하고, 독일에서의 담론과 현실에 비추어 보면서, 보다 더 일반적인 수준에서 다문화사회에서의사회통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도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이 진술할 수 있다. 다문화주의의 한계 혹은 부작용(평행사회로의 퇴행현상 포함)에 대처하기 위한 대안이 바로 프랑스의 초문화주의 (공화주의적 보편주의)와 독일의 주도문화라고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접근방안은 통합정책을 강제로 그리고 일방적으로 추진하고 관철시킬 경우, 전통적인 동화정책으로의 회귀라고 하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공화주의적 주도문화에 따른 통합정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있어서는 간문화주의의 입장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주도문화를 민족적·문화적 본질주의 입장에서 어떤 확정되고 고정된불변의 것으로 간주하기보다는, 오히려 참여자·당사자와 더불어 언제나 다시 협상을 해야 할 성질의 것으로 파악하고, 간문화적 소통을 유지하면서 문자 그대로 "통합은 일방통로가 아니다."라는 진술에 걸맞은 정책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ism and republican leading culture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discourse and reality in Germany, and then to derive the relevant implications for the challenges and tasks of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arrive at this aim, the researchers dealt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problems of integration i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regarding the twists and turns from a multiculturalist tolerance policy to a systematic state integration policy on the one hand, and the controversy on the failure of multiculturalism on the other; the idea of republican leading culture as a central frame of reference of integration and its ramifications for the policy in a multicultural and pluralist society. The bottom line of this article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Both the transculturalism or republican universalism in France and the German leading culture can be considered as alternative approaches to cope with the limitations or unintended consequences of multiculturalism, which include the phenomena of regression to the so-called parallel societies or sub-societies or ethnic colonies. But these two approaches, on their part, might face the blame, that they are also variants of traditional assimilationist policy.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mplemen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ion policy based on the republican leading culture with the interculturlist perspective. In other words, one should try to search for alternatives of policy, which, by preservi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do justice to the maxim "Integration is not an one-way street." In such a process, the leading culture should be understood rather as a subject or theme of negotiation, which is to be entered into over and over again with persons or groups concerned, than as something fixed and unchangeable from an ethnic or cultural essentialism.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사회통합의 착근을 위한 다양성관리

        정창화(Chang Hwa Jung),허영식(Young Sik Huh) 한국유럽학회 2011 유럽연구 Vol.29 No.3

        본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발생하는 사회통합의 문제를 다루거나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인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여, 사회통합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평행사회의 개념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 중의 하나인 다양성관리의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사회통합을 위한 접근방안을 논의하였다. 본고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정리할 수 있다. 첫째,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 문제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분석에 기초할때, 보다 더 분화된 사고방식이 필요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서 다문화 이외에 특히 초문화 및 주도문화의 관점(혹은 패러다임)에 대한 취급 및 논의가 요청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소박한 다문화주의는 사회통합이 마치 저절로 이루어질 것처럼 간주하는 경향이 있는데, 평행사회는 이와 같은 다문화주의의 부작용 또는 의도하지 않은 부수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평행사회와 같은 현상을 경계하면서 그것을 예방하기 위한 대안이 초문화 주의 혹은 주도문화의 입장이다. 그런데 두 입장 모두 비판적인 입장에서 바라볼 때, 사실상 동화주의의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여전히 남아 있다. 셋째, 따라서 한편으로는 다문화주의의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평행사회로의 퇴행을 방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초문화주의 및 주도문화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다양성관리의 접근방안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넷째, 다양성관리에 관한 독일의 사례에 기초할 때, 최근에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성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문화적 다양성을 보다 더 생산적·건설적으로 다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다양성관리를 실행하고자 한다면, 실천방안 또는 조치에 관한 경험적인 조사 및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국제적인 비교에 바탕을 두고 우리나라 실정에 더 적합한 조치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특히 이주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표적집단으로 한 경험적인 연구와 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concepts of parallel society and diversity management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integrating strateg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arrive at this aim, the researchers dealt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three paradigms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integr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parallel society and the problem of societal integratio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diversity management, and diversity management in the light of German case. The bottom line of this article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1) It seems first to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also to the perspectives or paradigms of transculturalism and leading culture (Leitkultur) besides multiculturalism. (2) While the naive multuculturalism tends to consider the societal integration like something self-steering, the so-called parallel societies can be interpreted as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r dysfunctional results of multiculturalism. (3) The perspectives of transculturalism and leading culture (Leitkultur) are alternatives to hinder or prevent the phenomena like parallel societies or lives, subsocieties, subcultures, ethnic colonies. But those perspectives have, on their part, an immanent risk of falling unintendedly into assimilationist strategies. (4) In this context, one can infer as a result, that the diversity management, also called managing diversity or diversity as strategy, seems to become an alternative relevant strategy, which might evade, on the one side, a regression to parallel society, and overcome, on the other side,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of the transculturalist or leading culturalist perspective.

      • KCI등재

        한국 대통령비서실과 독일 연방수상실(Bundeskanzleramt)의 조직 및 기능에 관한 비교분석

        정창화(Jung Chang-Hwa) 서울행정학회 2003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4 No.3

        The Chancellor lays down policy guidelines and directs the business of government. The Federeal Chancellery(Bundeskanzleramt), headed by a Chief-of-Staff, is there to assist him in the fulfilment of his duties. Similar to a ministry, the Chancellery has the status of a top-level federal authority. It has prominent political importance as a centr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The Federeal Chancellery's structural makeup includes sections responsible for dealing with the same matters dealt with by the individual ministries. The Cabinet meetings held and decisions taken every week by the Cabinet are prepared and their implementation monitored in the Chancellery. The answering of all questions the government is asked by the Bundestag is coordinated here. As such, the Chancellery also has the function of a secretariat for the government. The diversity of its tasks and the fact that it provides information directly to the Chancellor makes the Chancellery an institution of key importance within the German political system.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refer to it as a "control centre" for government policy. The Office of the Korean President has also played key roles and have influences in the formul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major policies of Korean government. Therefore, to increase organizational and functional effectiveness of the Office of the President Roh Moo-hyun, this paper places a special emphasi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functions between the Office of the Korean President and the German Federeal Chancellery(Bundeskanzleramt).

      • KCI등재

        유럽정부(European Government)의 실제조정자로서 유럽연합(EU) 주체성에 관한 논쟁

        정창화(Jung Chang Hwa) 한국유럽학회 2003 유럽연구 Vol.18 No.-

        As a general principle under international public law and the law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re are basically two ways by which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can be obtained by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irstly, through the conclusion of one or more explicit provision(s) to this end in the constituent treaty and recognition of this legal personality by third states and/or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econdly, by implication. The existence of implied legal personality can be derived from the institutional structure, objectives and instruments 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that characterize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concerned, combined with implied or explicit recognition by third states and/or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 classic example of the first category is offered by the Treaties establishing the European Communities. According to the Article 281 EC, for example, "The Community shall have legal personality". This refers to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as Article 282 EC explicitly bestows national legal personality on the EC. In each of Member States, the Community shall enjoy the most extensive legal capacity accorded to legal persons under their laws. In addition, apart from a few exceptions in the past, this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and the treaty-making powers of the Communities have generally been recogniz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the creation of the European Union, the three European Communities are encapsulated in a broader framework. But they retain their ow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gal personality and remain institutionally to a large extent independent of the Union.

      • KCI등재

        독일의 규제체계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 Luhmann의 자기생산체계 이론적 시각에서

        정창화 ( Chang-hwa Jung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유럽의 경제대국으로서 독일의 국가 규제체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목적이다. 독일은 전형적인 관료제 국가(burokratisierter Staat)이며, 전형적인 법치국가(Rechtsstaat)이다. 독일은 과다한 관료조직을 통하여 많은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이며, 국가권력 행사를 위해 행정기관을 법에 구속시키고 있다. 규제와 관련하여, 독일에서는 지난 2000년 이후 규제생태계(Regulierungsökosystem)를 변화시켰으며, 입법영향평가(GFA) 제도가 새롭게 도입되어 실행되고 있다. 특히, 독일의 국가규제의 목적이 공공선(Gemeingut) 또는 공공복리(Gemeionwohl)의 실현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및 영미국가 등과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국가규제의 목적 및 체계(System)가 다른 이유를 루만(Luhmann)의 자기생산체계 이론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eply understand Germany 's national regulatory system as the economic power of Europe. Germany is a typical bureaucratic state (burokratisierter Staat) and a typical rule of law (Rechtsstaat). Germany is a country that enforces many regulations through excessive bureaucracy, and it binds administrative agencies to the law for the exercise of state power. With regard to regulation, Germany has changed its regulatory ecosystem since 2000 and the Legislative Impact Assessment (GFA) system has been newly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Germany's national regulations is based on the realization of public good or public welfare can differ from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In this study, the reasons for the different objectives and systems of German national regulation were approached and evaluat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the autopoietic systems of Luhman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