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화호 조력발전소

        정진달(Chung, Jin-Dal),백두(Paik, Doo-Hyun),이상호(Lee, Shang-Oh)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엄청난 자원의 매장고, 국가간의 대규모 교역을 가능케 한 항로, 어족자원의 공급원등으로서 인류의 생존과 번영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바다는 인간의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지속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무공해에너지의 보고로도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밀도가 타 에너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큰 규모의 에너지추출장치가 필요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바다에서 하루에 두 번 씩 발생하는 조석현상을 이용하는 조력발전은 조석의 반복적이고 주기적인 특성 , 태양계가 존속하는 한 영구히 발생한다는 영속성, 현대과학과 관련기술의 진보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그 개발에 인류의 관심이 높아져 있다. 현재 조력발전소가 건설 중인 시화호는 포화상태에 있는 수도권에 공업용지를 공급하고 우량농지 조성으로 경쟁력 있는 농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담수호로 조성되었으나,하수처리장 등 기초환경시설이 미비한 상태에서 인근지역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수질이 악화되자 정부는 수질개선을 위하여 시화호를 해수호로 용도를 변경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하여 무공해 전력을 생산하는 조력발전의 원리 및 최적발전량 산정기법과 높은 조수간만의 차로 조력개발적지로 유망한 서해안에 건설하게 될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사업 및 기후변화협약 이행 시 기대효과 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실과에서의 디자인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lan to improve the design education which was able to execute it systematically and practically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nquired into the theory about elementary design education, analyzed the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shown in practical arts textbook, and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bout design education of practical arts in elementary schools. For analyzing the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the contents were grouped into aestheticㆍsymbolic expression area, usefulㆍfunctional performance area,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and socialㆍemotional attitude area. For the questionnaire in elementary schools, subjects are 165 charge teachers of the 5th and 6th grade in Daegu. The method of this survey has been through the arbitrary-chosen questionnair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ntents about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focus more on estheticㆍ symbolic expression area and usefulㆍfunctional performance area than other areas.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have smaller proportion in practical arts. Therefore, contents about scientificㆍtechnological application area are necessary to put into practical arts textbook more and more. 2.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for the working process because teachers cannot enough to understand about the working process of products, when they teach the making and decorating in class. 3. It is necessary to use the educational media positively, to develop the design materials for teaching the making and decorating. 4. Considering the creativity extension of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following products of textbook alike. 5. For activating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it has to equip with the facilities and tools for practical arts instruction, has to expand the charge teacher for practical arts gradually, has to stud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actical arts teacher, and needs to develop the reference books for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 KCI등재

        뇌 기반 K-6학년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Ⅰ) 1) - 유치원 및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

        정진현(Jung, Jin-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공학기술의 중요성을 자각하도록 하며 공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아동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7세반 2개 학급, 초등학교 1학년 2개 학급으로 하였으 며, 검사 도구는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험반에 1주에 1-3시간씩 10회로 총 10-22차시를 실시하였으며, 비교반에서는 각 유치원및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일반적인 교과수업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본 실험처치-사후검 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의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성의 사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3. 창의성에서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의 경우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 결과, 창의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창의성이 더욱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에게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것이, 아동들의 창의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makes conscious about importance of engineering technology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making new sight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how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should understand and get interested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about contents which for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based on brain. Subjects ar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and they are two 7 years old classes in kindergarten, two 1st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esting tool is creativity examination test. And also developed education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based on brain, and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y 1-3 hours in one week and total is 10-22times. In controlled group, they carried out regular subject education which is fitted with each kindergarten and school curriculum. It was progressed through pretest-experimental treatment–posttest. For this research analysis, SPSS was used and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alysis enforc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ep were follows; 1. Results of pretest about creativity, there had no difference in statistically, so these two groups had likely the same groups. 2. Results of posttest about creativity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1st,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which based on brain had effective to increase creativity to children.

      • KCI등재

        뇌 기반 K-6학년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Ⅱ) 1) - 초등학교 3, 5학년을 대상으로 -

        정진현(Jung, Jin-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이 공학기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아동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5학년 2개 학급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는 공학기술의 태도,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험반에 1주에 3시간씩 10회로 총 30차시를 실시하였으며, 비교반에서는 초등 학교의 교육과정에 맞추어 일반적인 교과수업을 실시하였고, 사전검사-본 실험처치-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3, 5학년의 실험반과 비교반의 공학기술의 태도, 창의성의 사전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학기술의 태도에서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의 경우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 결과, 공학 기술의 태도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공학기술의 태도 인식이 더욱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창의성에서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의 경우 실험반과 비교반의 사후 검사 결과, 창의성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창의성이 더욱 증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 아동들에게 뇌 기반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것이, 아동들의 공학기술의 태도 및 창의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This study made conscious about importance of engineering technology for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making new sight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how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should understand and get interested fo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about contents which for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based on brain.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and they were two 3rd grade classes and two 5th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esting tool was the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creativity examination test. And also developed education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based on brain, and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y 3 hours in one week and total was 30 hours. In controlled group, they carried out regular subject education which was fitted with each school curriculum. It was progressed through pretest-experimental treatment–post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ep were follows; 1. Results of pretest about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creativity, there had no difference in statistically, so these two groups had likely the same groups. 2. Results of posttest about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in elementary school 3rd and 5th,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led group. 3. Results of posttest about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3rd and 5th,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more increased than controlled group. Therefore, the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which based on brain had effective to increase the attitude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the creativity to children.

      • KCI등재후보

        유치원 창의적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정진현 ( Jin Hyun Jung ),김춘화 ( Chun Hwa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유아들이 공학기술의 중요성을 자각하도록 하며 공학기술에 대한 새로 운 시각을 가지고 스스로 이해하고 흥미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유아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여기서는 창의적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치원 유아들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 7세반 2개 학급이며, 검사 도구는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창의적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험반에 1주에 1시간씩 10회로 총 10차 시를 실시하였으며, 비교반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에 맞추어 일반적인 수업을 실시하였고, 사전 검사-실험처치-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은 제조, 건설, 에너지ㆍ수 송, 정보통신, 생명, 전기ㆍ전자와 기계, 발명의 7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균, t-검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성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아, 이 두 집단은 동질한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2. 실험반과 비교반의 창의성 사 후 검사 결과에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유의한 차이로 더 향상되었다. 또한 창의성 전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욱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치원 유아들에게 창의적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유아들의 창의성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makes conscious about importance of engineering technology for kindergarten infants, and focuses on making new sight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how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should be for kindergarten infant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get interested. It was verified the effect about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hich for infants`` creativity improvement. Subjects are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and they are two 7 years old classes in kindergarten. Testing tool is creative examination test. And also developed education program of creative engineering technology, and carried out experimental group for 10 weeks by 1 hour in one week and total is 10times. In controlled group, they carried out regular education which is fitted with kindergarten``s curriculum. It was progressed through pretest-experimental treatment- posttest. This educational program were formed 7 areas which were manufacture, construction, energy·transport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life, electrics·electronics & machines, invention. For this research analysis, SPSS was used and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mean, t-test analysis enforc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Results of pretest about creativ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kindergarten, there had no difference in statistically, so these two groups had likely the same groups. 2. Results of posttest about creativity in kindergarten, there had difference in statistically between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were increased more than controlled group. Therefor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had effective to increase creativity to infants.

      • KCI등재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초등학교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은 공학기술의 특성, 공학기술의 내용, 공학기술의 능력, 과정 및 수준,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설문방법은 우편조사이고, 설문지 1,055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2. 공학기술의 특성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 ‘공학기술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기술의 내용에서 제조 영역은 ‘간단한 도면 작성하기’ 항목이, 건설 영역은 ‘모형 다리 만들기’ 항목, 에너지⋅수송 영역은 ‘수소 자동차 이해’ 항목, 정보통신 영역은 ‘간단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항목, 생명 영역은 ‘유전공학의 이해’ 항목, 전기⋅전자와 기계영역은 ‘로봇의 이해와 간단한 로봇 조립’ 항목, 발명 영역은 ‘지식 재산과 특허 출원’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는 ‘공학기술 관련 견학 및 체험활동’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분산분석 결과, 5개의 집단별로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자신의 능력수준은 모든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bility, process, and level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and analyzed an educational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 s formula. All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Korea were considered.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mail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and 1,055 cases were analyzed finally.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All items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2.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engineer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high.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simple drawing out of manufacture area was high, and the model bridge making out of construction area, the hydrogen car understanding out of energy⋅transportation area, the simple multimedia making ou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a, the genetic engineering understanding out of life area, the robot understanding and simple robot assembling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area,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patent out of invention area. 3.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ction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was high. 4. Results of variance analysis, required competence level at 5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partly, but all items of present competence leve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 KCI등재

        초등학교(初等學校) 교실(敎室)의 시환경(視環境)에 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정진현(Jung, Jin-Hyun) 한국교육시설학회 1996 敎育施設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new guideline on designing the visual environment in th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the field measurements on the classrooms and a survey using the questionnaire about the visual environment for learn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t was unbalanced among the illumination, luminance, and color distributions in the classrooms. (2) It was too bright or dark around the surrounding surfaces (walls, floors, and ceilings) of students in the classrooms. Therefore, it is needed to be careful attention on the light distribution and the reflection ratio around the surrounding surfaces of students in the classrooms.

      • KCI등재

        동해 독도 사면 퇴적물의 높은 재광물화와 탈질소화

        정진현,김동선,이태희,안순모,Jeong, Jin-Hyun,Kim, Dong-Seon,Lee, Tae-Hee,An, Soon-Mo 한국해양학회 2009 바다 Vol.14 No.2

        동해의 독도 사면 지역에서 퇴적물 선상 배양과 $^{15}N$ isotope pairing technique를 이용하여 측정한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은 각각 $1.04{\sim}9.08\;mmol\;m^{-2}\;d^{-1}$와 $7.06{\sim}37.67\;{\mu}mol\;m^{-2}\;d^{-1}$로 유사한 수심의 다른 심해 지역에 비해 모두 높게 측정되었다.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은 퇴적물 내 유기 탄소 함량이 높은 정점에서 높았으며, 표층 퇴적물 내 유기물 함량은 질산화에 의해 생성된 질산염을 이용하는 탈질소화(couple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본 조사 지역의 퇴적물 산소요구량뿐만 아니라 탈질소화율 역시 표층 퇴적물 내 유기물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시사한다. 독도 사면 지역의 표층 퇴적물 내 유기 탄소 함량은 $1.8{\sim}2.4%$로 다른 심해 지역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며, 이는 높은 일차생산량에 의해 내보내기 생산이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독도 사면 지역에서 표층 퇴적물 내 유기물 농도는 일차생산에 의한 내보내기 생산에 의해 조절되며, 내보내기 생산이 퇴적물에서 일어나는 퇴적물 산소요구량과 탈질소화율 같은 유기물 분해율의 가장 큰 조절 요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The rates of sediment oxygen demand(SOD) and denitrification(DNF) were measured using $^{15}N$ isotope pairing technique in intact sediment cores in the shelf of Dok Island. The SOD and DNF in the continental shelf of Dok Island were ranged from 1.04 to $9.08\;mmol\;m^{-2}\;d^{-1}$ and from 7.06 to $37.67\;{\mu}mol\;m^{-2}\;d^{-1}$, respectively. The SOD and DNF values in this study are higher than typical deep sea sediment. The SOD and DNF in this study were high in the high organic matter content sediment and high organic matter content was promotive of coupled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Organic carbon contents in surface sediment ranged from 1.8 to 2.4%, which is higher than typical deep sea sediments.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surface sediment is determined by the nature of the export production not the water depth in East sea sediment and the nature of the export production also determines remineralization processes such as SOD and DNF in East sea/Ulleung Basin sediment.

      • KCI등재

        실과를 통한 효율적인 창의성 교육의 실천 방안을 위한 실태 조사연구

        정진현(Jung Jin Hyun),이방자(Lee Bang Ja),지은정(Ji Eun Jung) 한국실과교육학회 199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an effective way of practicing the creativity educa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possibilitie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Practical Arts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It is possible to practice the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the Practical Arts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2) The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practiced a little through the Practical Arts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3) Even thoug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 themselves as creative people, they do not much of direct activities for enhancing creativity. 4) There is not much support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from school administration. 5) There is active atmosphere in class for the creativity education. 6) Teachers have been facilitating classes to help students to perform creative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