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원격수업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중요도-실행도 분석

        정진욱(Jung, Jinwook),장영수(Jang, Yongsu),유명희(Ryu, Myounghee),고현국(Ko, Hyunkook),박현진(Park, Hyeonji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s and conditions of remote learning unprecedented executed by Covid-19. For this, a survey was done by 386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king the importance of a teacher on remote learning. The survey was progressed t-test and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to identify the feature of participants through SPSS 19.0 statistic analysis program, differences and importance according to background and implement variab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implementation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 in remote learning.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and teaching career, working areas, and grade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ird, significant roles are focused on learning environments, facilitating interactions, and designing instructions with the efforts to be improved. Some roles of lower order of priority were academic counseling and evaluation, while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was confirmed as the one that overexertion needs to be rejected.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인하여 전례 없이 전면 실시된 원격수업의 운영 실태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 20일부터 6월 10일까지 초등학교 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원격수업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중요도-실행도를 묻는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19.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및 중요도, 실행도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t검정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원격수업에서 교사역할의 중요도에 비하여 실행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배경변인 중, 연령과 교직경력, 근무지역, 담당 학년의 일부 역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중 지속 유지해야 하는 강점 역할은 학습환경관리자, 상호작용촉진자 역할이었으며, 개선 노력이 집중되어야 하는 역할은 교수설계자 역할이었다. 그리고 낮은 우선순위를 지닌 역할은 학습상담자, 학습평가자 역할이었고, 과잉노력이 지양되어야 하는 역할은 학습정보제공자 역할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초⋅중등 교원의 직무연수에 관한 실태 및 인식 분석

        정진욱(Jinwook Jung),김동원(Dongwo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초⋅중등 교원의 직무연수 실태가 어떠한지 확인하고 직무연수에 관한 요구와 발전 방안에 대한 동의 정도를 분석함으로써 직무연수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충북 지역 초⋅중등 교원 1,302명을 대상으로 직무연수에 관한 실태 및 인식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선택지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응답자 특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평균비교검정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수 실태와 관련하여 초⋅중등 교원은 86.4%가 60시간 이상 연수를 이수하였으며, 수업, 학급경영, 생활지도 능력 신장이 주요 참여 동기였다. 또한 연수 효과성에 대해서는 71.2%의 교원이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직무연수에 관한 요구와 관련하여 초⋅중등 교원은 권장 연수 시간으로 30시간 이상 60시간 미만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효과적인 연수 시기로는 평일 일과 중과 방학을 뽑았다. 또한 앞으로 강조해야 하는 연수 주제로는 인성교육에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연수 방법으로는 원격 연수의 비율이 더 높은 혼합연수를 가장 선호했다.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직무연수의 발전 방안에 대한 동의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동의하나, 영역별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수 참여 시간 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연수 공간 마련’, ‘집합연수와 원격연수의 강점을 살린 유연한 연수 운영’, ‘연수 기관의 전문성 강화’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보였다. 결론 직무연수에 관한 실태 및 인식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교원의 직무연수에 관한 실태 및 인식을 분석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둘째, 5년 미만의 저경력 교원의 연수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야 한다. 셋째, 학교급 및 교직 경력대에 따라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여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information needed to improve In-service training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erception of In-service training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asking 1,30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Chungbuk area about the current situation and perception of In-service training. In order to analyze these survey results, crosstabulation and F/t 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In-service training are as follows. 86.4%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completed more than 60 hours of training.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training was to improve teaching, classroom management, and guidance skills the most. Self-management and responding to changes in the times were the most frequently participated training subjects. Regarding training effectiveness, 71.2% of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he result of the demand for In-service training is as follow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e most with 30 hours or more and less than 60 hours as the recommended training time. Weekday afternoons and vacations were selected as effective training times. As for the training topic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character education was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As for the training method, mixed training was the most preferred, and the ratio of remote training was higher in mixed training. The degree of agreement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In-service training is as follows. Teachers agree on the improvement method as a whol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perception of In-service training,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that analyzes the actual situation and perception of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expand the participation of low-career teachers in training. Thir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operated by reflecting various demand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teaching experience.

      • KCI등재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

        정진욱(Jung, JInwook),성경환(Sung, kyunghwan),장영수(Jang, Yongsu),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으며, 특히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주도적 학습력 간의 관계에서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50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투입했으며 이들 중 불성실한 답을 한 설문지를 제외한 220부를 가지고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 모형의 적합성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들이 모두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본생활습관이 자기주도적 학습력에 영향을 미칠 때, 학습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의 기본생활습관과 학습태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력의 구조적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일부 관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asic life-habit,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life habits between learning attitud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is purpose, total 23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use of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22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ic life habits, learning attitud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identified as suitable, and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others. Second, learning attitude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when the basic life habits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asic life-habit, learn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비교

        장영수(Jang, Yongsu),정진욱(Jung, Jinwook),유명희(Ryu, Myounghee),성경환(Sung, Kyunghwan),권동택(Kwon, Dong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주요 시·도교육청에서 운영되고 있는 초·중 통합운영학교들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다가오는 미래사회 변화와 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래사회의 저출산 고령화와 학령인구 감소는 사회 환경 및 교육 환경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정책 환경변화를 야기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 통합에 대한 부분이다. 현 통합운영학교 정책은 학생의 학습권 보장과 교육재정 배분의 문제, 학교급의 자율성 보장의 문제, 통합운영학교의 교육과정 및 교직원 운영 등 여러 가지 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교원 수급 조정, 교원 양성, 자격, 임용 제도의 정비, 학교 시설 제도 및 운영, 교육내용, 방법 및 평가 등에 다양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주요 시도교육청은 이러한 문제해결의 대안으로 초·중등 통합운영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분석 결과 교무실 및 행정실을 통합하거나, 학교 시설 및 물리적 공간을 통합하는 학교가 다수였다. 반면 교원의 배치 및 업무 분할은 개별 운영하는 학교가 많았다. 교육과정의 경우 교과 영역 보다는 비교과 영역, 학생 공식 행사 및 동아리 운영에서 일부 통합 운영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초·중 통합운영학교 운영 실태 분석을 통하여 쟁점들에 대해 논의하고 현재 운영 중인 통합운영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과 교육과정, 교직원관리, 학교 행정 및 회계 관리, 교육시설, 통합운영학교 관련 법령 및 제도 등의 현실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operated by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nd to seek policy suggestions to respond to new educational demands followed by upcoming changes of the future society and policy environments. Low birthrate and aging in the future society and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change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ause various changes in policy environments. Among various educational measures to respond to these problems, what matters the most is to integrate schools due to a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especially that of children,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plans for this. The current policy of integrated schools is causing several controversies on the issue of guaranteeing students’ right to study, distribution of education finance, the autonomy at the school level, the curriculum of integrated schools and the operation of teachers. It needs various system supplements on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training teachers, qualifications, organiz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system and operation of school facilities, educational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solving, major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are operating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which according to the analysis, was mostly operated by integrating teaching and administrative offices or school facilities and physical space in school. The placement and division of duties of teachers, on the other hand, were operated individually by lots of schools. In the case of the curriculum, some were integrated operation in extracurricular areas, student official events and club management, rather than in subject areas. Like thi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problems and improvements such as efficient oper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in faculty, school administration and account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laws and institutions of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by discussing current issues on integrated operation schools through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and middle integrated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