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집단아동(特殊集團兒童)에 있어서의 원충류감염(原?類感染) 실태조사(實態調査)

        정지태,어광본,이준상,Choung, Ji-Tae,Uh, Kwang-Bon,Lee, Joon-Sang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1981 농촌의학·지역보건 Vol.6 No.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tatus of intestinal protozoan infections in the children of specific groups. A total number of 441(male 250; female 191) consisting of 224 children of national feeble minded children institute, 59 Han-Bit blindness students, 158 children of local mental retardation children institute(Kang-Dong Ku) of specific groups were examined. The method employed was formalin-ether sedimentation technique with Lugol's iodine sta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itive rates for any kinds of protozoan cysts were 13.8%(72 positives out of 441 samples) with sexual difference of 14.0% in male and 12.6% in female. 2) In the institute differences of positive rates of protozoan cysts were 15.2% in national feeble minded children institute, 16.9% in Han-Bit blindness school, and local mental retardation children institute(Kang-Dong Ku). 3) Cysts of Entamoeba coli were recovered in 8.6% and cysts of pathogenic amoeba, Entamoeba histolytica were found in 1.4%. Cysts of Endolimax nana (3.4%). Giardia lamblia (2.9%) were found in this study. 4) The degree of multiple infections of protozoan cysts were; single infection 81.4%, double infection 16.9% and quadriple infection 1.7% respectively.

      • 원숭이 비강내 히스타민과 Ascaris suum 추출물로 유발한 비염에 대한 Topical UCB 28754 의 효과

        정지태(Ji Tae Choung),(P . Fireman)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3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3 No.2

        비염시 H1 길항제를 투여할 때 대부분의 약은 경구, 근육으로 투여되나 비강 내에 직접 투여될 수 있다면 이것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는 바, 본 연구는 8마리의 원숭이 모델(cynomolgus monkeys)을 사용하여, 위약과 UCB 28754로 명명된 국소용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여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비폐쇄 증상에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를 비교하였으며, 원숭이에서 약이 얼마나 안전성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약 사용군에서는 1 ㎎의 히스타민을 비강내 투입 10분 후 6마리의 원숭이에서 비강의 완전 패쇄를 보였고, 10 ㎎의 히스타민을 투여하였을 때는 5분 후부터 8마리 모두에서 비강의 완전 폐쇄를 나타내었다. 2) 0.075% UCB 28754로 전처치하였던 경우는 8마리 중 한 마리에서도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어떤 시기에도 비강폐쇄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히스타민 투여량에 따른 평균 콘덕턴스를 비교해보면 5 ㎎, 10 ㎎의 히스타민을 투여한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3) 위약으로 전처치하였던 경우는 항히스타민제로 전처치하였던 경우에 비해 평균 work/liter가 심하게 증가됨 이 관찰되었다. 4) 위약과 약물의 투여 순서와 시기는 실험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UCB 28754로 명명된 국소용 항히스타민제가 장래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에 많은 도움을 주리라고 생각되지만, 대상 원숭이의 수가 많지 않아 약물의 부작용등에 관한 관찰은 충분히 할 수 없었으나, 실험 결과만을 놓고 볼 때 비교적 안전한 약제로 사료되며, 앞으로 알레르기성 비염의 예방과 치료에 필요한 최소량에 대한 연구와 약물의 작용시간에 대한 동물에 대한 실험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고 생각되는 바이다. N/A

      • 소아 알레르기 환자의 현황 파악 및 섭식상태에 관한 연구

        정지태(Ji Tae Choung),안홍석(Hong Seok Ahn),이선민(Sun Min Lee),이민영(Min Yu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1

        목 적 : 최근 급속한 생활 환경의 변화와 함께 알레르기 질환의 발병률이 종가하고 있고, 발병 연령도 낮아지면서 소아 알레르기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식품 알레르기의 진단 기준도 아직 체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식품영양학적 측면에서의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소아의 현황을 파악하고, 알레르기의 증상에 따른 특정 식품과의 관련성을 찾아보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식생활 관리의 지침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 대상자는 1997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고려대학교 부속 안암병원 소아과의 알레르기 클리닉에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2세에서 6세 사이의 소아 중에서 소아과 전문의가 알레르기 증상을 가졌다고 판정한 남아 44명과 여아 34명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가족력의 양상 및 증상, 일반 사항 둥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이들의 성장 발달의 정도, 식이 영양소 섭취 수준, 식생활 태도 및 알레르기의 증상에 따른 유발 식품을 조사하였다. 결 과: 1) 조사 대상아의 알레르기 증상을 보면 2세에서는 습진이 39%, 천식 46%, 과민성 피부 7%, 두드러기와 비염은 각각 5%로 조사되었고, 4-6세에서는 천식이 54%, 습진 44%, 비염 28%, 과민성 피부 10%, 두드러기 3%로 나타났다.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별 원인을 보면, 습진의 경우 원인 불명, 은도 차이,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발생되었으며, 천식은 집먼지 진드기, 은도 차이에 의해서 나타나고, 두드러기는 주로 음식물에 의해서 발생되며, 비염은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서, 과민성 피부는 온도 차이에 의한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다. 2)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 중에는 토마토가 가장 많았고, 복숭아, 고등어, 요거트, 치즈, 계란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의 증상별로 구분한 원인 식품을 보면, 두드러기는 주로 토마토와 복숭아에 의해서, 설사는 우유, 요거트와 치즈에 의해서 발생되었고, 구토는 주로 메추리알에 의해서, 입술이 빨긋해지는 경우는 토마토에 의해서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 3) 평균 열량 섭취량은 2-3세에서는 권장량의 80%, 4-6세는 66%였고. 단백질과 지질 섭취의 경우, 권장량과 같은 수준이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2-3새의 경우, 권장량의 106%, 4-6세는 권장량의 71%를 섭취하였고, 철분의 경우, 2-3세는 권장량의 49%, 4-6세는 52%를 섭취하여 철분영양의 결정이 우려되었다. 아연의 섭취량은 2-3세는 권장량의 30%, 4-6세는 31%로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비타민류의 섭취도 전체적으로 권장량보다 적었다. 결 론 : 알레르기 증상을 갖고 있는 본 연구대상아의 영양소 섭취는 권장량에 못 미쳤지만 성장발육은 표준치의 범위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소아들의 영양상태가 정상아들보다 저조하거나 불량하다고 규정짓기는 어렵다고 사료된다. 한편 보다 많은 대상자에 대해서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별 원인 식품을 체계적으로 찾아내어 식품 알레르기의 유발을 예방할 수 있는 임상영양학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 Recently, allergic disorders in children have increased. The cause of allergic disorders made not clear. Therefore study in aspect of food and nutrition was required to prevent allergic disorders in children, show guide of dietary management. Methods : This study was done in 78 children with allergy from July, 1997 to September, 1997, investigated family history of allergy and general environment with questionnaire, besides growth levels of children with allergic symptoms, nutrient intakes, eating behavior, and allergy-inducing food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ergic symptoms with a age 2-3 years old were asthma(46%), dermatitis(39%), hypersensitivity skin(7%), urticaria(5%) and rhinitis(5%). At age 4-6 years, asthma was 54%, dermatitis 44%, rhinitis 28%, hypersensitivity skin 10%, and urticaria 3%. Most of the dermatits was caused by unknown etiology, temperature change and house dust mite. Asthma was caused by house dust mite and temperature change. Urticaria was caused by foods and rhinitis was caused by house dust mite. 2) Tomato was the most common food as a cause of allergic disease and peach, mackerel, yoghurt, cheese, and egg were included. Urticaria was provoked mainly by tomato and peach, diarrhea was induced by milk, yoghurt and cheese, vomiting by quail eggs, and swelling lip was induced by tomato. 3) The average daily calory intake was 80% of the RDA at the age of 2-3 years old, 66% at the age of 4-6 year old. Protein and fat intake were similar as RDA. The other nutrients intake at the age of 2-3 and 4-6 years old were 106% and 71% for calcuim, 49% and 52% for iron, 30% and 31% for zinc, respectively. The amount of vitamin intake also lower than RDA for both age groups. Conclusion : The average calory intake and other nutrients intake for the children with allergic symptoms were lower than RDA. But they showed relatively normal growth pattern compared with the Korean growth standard. It is necessary to findout the food that provoke the allergic symptoms and make guideline for diet therapy for the children with a various allergic symptoms.

      • KCI등재
      • 성인기의 홍역 특이 IgG

        최정훈,신영규,정지태,독고영창,윤재균,Choe, Jeong-Hoon,Shin, Young Kyoo,Choung, Ji Tae,Tockgo, Young Chang,Yoon, Jae Kyun 대한소아감염학회 1999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6 No.2

        목 적 :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홍역 특이 IgG 항체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여 각 연령층의 홍역특이 IgG 항체의 양성들과 항체 역가를 알아봄으로써 우리 나라의 홍역 집단 면역의 실태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홍역 퇴치를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6월부터 7월까지 고대 안산 병원 외래 검사실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성인 156명(남 78, 여 78)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효소결합흡착검사(ELISA)로 홍역 특이 IgG를 측정하였다. 검사는 SIATM Measles IgG kit(Sigma Co. St Louis)를 이용하였으며, 홍역 특이 IgG의 농도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110AU/ml 이상인 경우 항체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1) 홍역 특이 IgG 항체 양성률은 전체적으로 94.9% 였고, 연령 별로는 20대 90.3%, 30대 96.9%, 40대 96.7%, 50대 95.5%, 60대 94.7%, 70대 95.5% 였으며, 연령별 항체 양성률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전체 대상자들의 평균 홍역 항체 역가(평균${\pm}$표준편차, AU/ml)는 전체적으로 $238{\pm}84$이었으며, 연령별로 20대 $251{\pm}117$, 30대 $208{\pm}72$, 40대 $235{\pm}82$, 50대 $268{\pm}76$, 60대 $232{\pm}58$, 70대 $240{\pm}67$ AU/ml 등이었으며, 30대에서 평균 홍역 항체 역가가 다른 연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연령증가와 평균 홍역 항체 역가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 론 : 성인기의 홍역 특이 IgG 양성률은 94.9%였으며, 연자들의 이전의 연구에서 나타난 소아 및 청소년기의 항체 양성률에 비해 성인층에서의 홍역에 대한 집단 연역이 높은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성인중 홍역 항체 음성률이 소아 및 청소년에 비해 낮고 또한 성인층에서 항체 음성인 경우에 대한 대책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만큼 앞으로는 백신 접종세대인 소아 및 청소년기의 홍역 유행의 주요 문제인 일차 백신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한 더욱 더 많은 노력이 기울여 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ge-specific seropositivity and the level of measles specific IgG in adults and to evaluate herd immunity to measles in Korea, the measles specific IgG were measured from the sera of adults over ages of 20 in Korea. Methods : 156 sera were collected from 156 out-patients over ages 20, who had visited clinical laboratory from June to July in 1997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The histories of natural measles or vaccination were not undertaken. Measles specific IgG titers were measured using ELISA method($SIA^{TM}$ Measles IgG Kit Co. St. Louis. Mo). Results :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eropositivity of measles specific IgG in adults was 94.9%.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ge and gender. 2) The mean measles-specific IgG titer was $238{\pm}84AU/mL$.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gender, except significant lower in 4th decades than other age group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ge and measles specific IgG level. Conclusion : In conclusion, a seropositivity of in adults was 94.9%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adolescents(91.2% in previous study), and antibody level was similar with adolescents. The herd immunity of the adults were considered to enough for protecting the transmission of measles in the community. For the eradication of measles in Korea, more efforts will be required to increase the vaccine coverage rat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청소년기의 연령증가에 따른 볼거리 및 풍진 항체가 변동

        전혜원,신영규,이강우,정지태,독고영창,Cheon, Hae Won,Shin, Young Kyoo,Lee, Kang Woo,Choung, Ji Tae,Tockgo, Young Chang 대한소아감염학회 1998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5 No.1

        목 적 : MMR백신의 예방접종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홍역, 볼거리, 풍진의 유행이 아직도 지속되고 있고, 풍진의 경우 이환 연령군의 증가와 집단적, 지역적인 유행이 보고되고 있으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연령 증가에 따른 볼거리 및 풍진 항체 보유 실태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얻고자 다음의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5월부터 1996년 7월까지 3개월간 서울시내의 중학교 1개교 및 고등학교 2개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ELISA를 이용하여 볼거리 및 풍진 특이 IgG 항체를 측정하였다. 양성 기준치는 정해진 검사 방법에 따라 볼거리 항체는 20 GU(Gamma Unit; 임의의 단위) 이상으로 하였으며 풍진항체는 0.17 이상으로 하였다. 결 과 : 1) 대상자는 12세에서 17세까지 남아 110명, 여아 106명으로 총 216명이었다. 2) 연령에 따른 볼거리항체 양성율은 12세 68.4%, 13세 79.3%, 14세 72.2%, 15세 82.0%, 16세 87.5%, 17세 87.0%로 전체적으로는 80.6%였으며, 14세군(P<0.05)을 제외하고는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볼거리 항체가(평균${\pm}$표준편차, GU)는 12세 $52.0{\pm}49.2$, 13세 $65.9{\pm}51.4$, 14세 $71.1{\pm}66.0$, 15세 $67.8{\pm}53.6$, 16세 $82.8{\pm}67.8$, 17세 $92.0{\pm}68.9$였으며 연령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의 증가에 따라 항체가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4) 연령에 따른 풍진 항체 양성율은 12세 26.3%, 13세 20.7%, 14세 50.0%, 15세 67.2%, 16세 66.7%, 17세 65.2%로 전체적으로 54.2%의 양성율을 보였고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 하였으며(P<0.001),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13세에서 14세사이(P<0.05)를 제외하고는 연령군별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풍진 항체가(평균${\pm}$표준편차)는 12세 $0.13{\pm}0.145$, 13세 $0.087{\pm}0.101$, 14세 $0.194{\pm}0.168$, 15세 $0.260{\pm}0.187$, 16세 $0.305{\pm}0.213$, 17세 $0.325{\pm}0.221$로 13세에 최저치를 보이고 이후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01), 풍진 항체가=0.0517${\times}$연령-0.5586의 비례관계를 보였다(r=0.3752, P<0.001). 결 론 : 청소년기의 볼거리 항체 양성율과 항체가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대상군중 약 20%는 항체 음성을 보였다. 풍진의 경우 13세까지는 매우 낮은 항체양성율을 보이다가 14세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항체가의 변동 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intended to measure seropositivities and the level of mumps- and rubella-specific IgG of MMR vaccinees from 12 to 17 years of age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From May 1996 to July 1996 we obtained sera from students of 1 middle and 2 high schools in Seoul, who were MMR vaccinees from 12 to 17 years of age and had no evidence of immunodeficiency. These 216 study population include 110 males and 106 females. Mumps- and rubella-specific IgG antibody levels were measured by ELISA. Cut-off values for seropositivity were 20 U(Gamma Unit) in mumps and over 0.17 in rubella. Results : 1) As age increased, seropositivities to mumps increased, being 68.4% in 12 year, 79.3% in 13 year, 72.2% in 14 year, 82.0% in 15 year, 87.5% in 16 year, 87.0% in 17 year, which however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2) As age increased, the level of mumps-specific IgG antibody(mean+standard deviation, GU) increased, being $52.0{\pm}49.2$ in 12 year, $65.9{\pm}51.4$ in 13 year, $71.1{\pm}66.0$ in 14 year, $67.8{\pm}53.6$ in 15 year, $82.8{\pm}67.8$ in 16 year, $92.0{\pm}68.9$ in 17 year, which however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3) As age increased, seropositivities of rubella-specific IgG increased significantly, being 26.3% in 12 year, 20.7% in 13 year, 50.0% in 14 year, 67.2% in 15 year, 66.7% in 16 year, 65.2% in 17 year(P<0.001). 4) As age increased, rubella-specific IgG increased significantly, being $0.13{\pm}0.145$ in 12 year, $0.087{\pm}0.101$ in 13 year, $0.194{\pm}0.168$ in 14 year, $0.260{\pm}0.187$ in 15 year, $0.305{\pm}0.213$ in 16 year, $0.325{\pm}0.221$ in 17 year(P<0.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rubella-specific IgG titer(rubella-specific $IgG=0.0517{\times}age-0.5586$, r=0.3752, P<0.001). Conclusion : In adolescent, seropositivities and the level of mumps-specific IgG remained relatively high, but approximately 20% of study population showed seronegativity. Seropositivities and the level of rubella-specific IgG showed the lowest level at 13 years of age and were increased with age after 14 years of age. Further evaluation may be needed to elucidate the cause of these changes of rubella-specific IgG.

      • 소아 천식 캠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모델 제시

        임지연(Jee Youn Lim),정지태(Ji Tae Chou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2

        목 적 : 천식은 소아 연령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만성 질환으로 전세계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며 소아 천식에 대한 이해와 약물 치료의 많은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와 연관된 유병률 및 사망률 모두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천식의 관리와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해결 방법으로 천식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기존 천식 프로그램을 보완하는 시도들 중 하나인 천식 캠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천식 아동들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있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 나라 현실에 맞는 소아 천식 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통한 효과적인 천식 관리를 시도하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 법 : 본 캠프 프로그램은 기관지 천식으로 진단 받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에 다니는 천식 아동 중 희망자 20명을 대상으로 3박 4일 동안으로 계획하였다. 4일간의 일정동안 1일 50분씩 3시간의 천식 교육시간을 할애하였고 강의와 실습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이외의 시간은 정규 캠프와 유사한 일정으로 구성하였다. 캠프 기간동안 건강진단을 시행하였으며 참석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치료 계획을 세우도록 유도하였다. 결 과 : 천식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1일차: 천식이란 무엇인가?, 2일차: 천식 치료는 어떻게 하는가?(호흡법 교육), 3일차: 천식 발작의 예방은 어떻게 하는가?로 구성하였으며 이외의 시간 동안에는 하이킹, 해수욕, 운동(농구 등), 장기 자랑과 캠프 파이어 등의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 론 : 만성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의사, 환자 및 보호자의 상호 협조를 강조한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천식 캠프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는 바이며 이를 바탕으로 천식 아동들을 위한 캠프를 시행할 계획이며 추후에는 천식 캠프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여기서 얻어지는 경험을 통하여 천식 외의 다른 만성 질환의 캠프 프로그램 개발에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여 만성 소아 질환 환자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Purpose : Asthma prevalence, morbidity, and mortality have been increasing in the whole world in recent years, especially among children. The estimated prevalence of asthma amo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increased by almost 40% from 1981 to 1988, making asthma a predominant cause of morbidity in childhood. Recognition of the continued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asthma has led the medical community to consider new management strategies emphasizing patient education. Educating asthmatic children about the disease can have demonstrable long-term benefits, including improved independence and compliance as well as better control of asthma symptoms. The specialized asthma summer camps were developed in the late 1960s to provide pleasant camping experiences for the children perceived to be too ill to participate in regular camps. Despite the usefulness and the need of the asthma camp programs, there are a few asthma camp programs developed in Korea. Methods : As an effort to develop the Korean camp programs for childhood asthma,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4-days-camp program for 20 patients who diagnosed as asthma. Results : This successful exercise the model will achieve better control of childhood asthma by leading the pati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ir asthma treatment. Conclusion :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the positive effects of asthma education programs in camp settings in terms of asthma exacerbations and school day absences due to asthma.

      • 소아 천식관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도 조사

        정순미(Soon Mi Chung),정지태(Ji Tae Chou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소아기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천식은 치료에 있어서 약물사용의 복잡성과 진단과 급성발병 예방에 보호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저자들은 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천식을 가진 환아들의 보호자가 천식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 지식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기본으로 현재 우리나라 천식 환아와 보호자에게 요구되는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천식으로 진단받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안암병원 소아과 외래 천식클리닉에 다니는 환자 중 1996년 1월초부터 3월말 사이에 방문한 천식 환아의 어머니 50명을 대상으로 천식의 역학, 원인, 임상양상, 유발요인, 진단, 치료의 6항목에 관한 12개의 설문에 정답을 쓰게 한후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하여 0에서 12점까지 지식수준을 평가하고 이 결과를 가지고 어머니들을 면담하였다. 결과 : 천식환아 어머니 50명의 천식에 대한 지식수준은 8.8±1,75였고 천식의 증상에 대한 오답률이 높았으며 어머니들의 천식에 대한 지식수준은 학력에 관계없이, 천식에 대한 교육을 얼마나 많이 받았는지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대부분(43/50)이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천식 진단을 받았으며, 천식에 대한 정보를 의사로부터 얻는 경우는 50%(25/50)였다. 평소 지속적으로 천식 약물을 투여받고 있는 환아의 어머니 중 48%(16/34)만이 현재 투여되고 있는 약물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었고, 24명에서 민간요법을, 18명에서 한방치료를 해 보았으나 효과는 거의 없었다. 결론 : 천식은 적절한 약물의 장기 복용과 천식 유발 인자의 조절, 환자 상태의 객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증상 발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천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앞으로 천식의 진단. 임상양상, 원인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역학, 유발요인, 치료등 천식 전반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천식 관리로써 천식의 유병률과 이환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education as an adjunct to the treatment of asthm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knowledge of patient`s mothers about asthma and to suggest the asthma health education programs. Fifty mothers of asthma patients were interviewed with 12 short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epidemiology, et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trigger factors, diagnosis, and treatment of asthm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rate of incorrect answer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sthma was higher than those on the epidemiology, etiology, trigger factors, diagnosis, and treatment. 2. The degree of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s and the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p<0.05). 3. The degree of knowledge of the mothers who had visited the asthma clinic for over six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s whose follow-up periods were under six months(p<0.05). In conclusion, their knowledge on the asthma were insufficient. But their misconcepts will be corrected through the asthma health education.

      • KCI등재

        국내 아토피피부염 관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평가 분석

        진다희 ( Dahee Jin ),허태훈 ( Tae Hoon Heo ),이윤 ( Yoon Lee ),정지태 ( Ji Tae Chou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4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2 No.5

        Purpose: As the mobile internet spread, patients can access to health information via mobile applications. But this information must be a reliable for treatment.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of information of mobile applications that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s: On April 2014, the 98 mobile applications that had been searched on three application markets using the keywords, “atopic dermatitis” etc. were enrolled. Thirty-one applications with information about atopic dermatitis written in Korean were surveyed. The informational quality of each application was examined using DISCERN tool and we also examined authorship, price, number of downloads. And we analyzed 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informational quality. Results: The mean score (±standard deviation) of overall rating of the publications of the 31 applications were 1.55 (±0.888) points. The overall quality of the publication was “low” in 80.6% of applications, “moderate” in 16.1%, “high” in 3.2% of the applications we evalu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ore of price of applications in all questions. However the mean score of group of downloads 1,000 and more were 2.25 (±1.035),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of downloads less than 1,000, 1.30 (±0.703) (P=0.043).Conclusion: The quality of mobile applications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n atopic dermatitis needs significant improvement. Some guidelines and certifications of the mobile application are needed to provide health information about atopic dermatitis, association with experts.(Allergy Asthma Respir Dis 2014;2:370-37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