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종사상지위 및 경력유지/전환 여성직업인의 일 만족도와 일-가정 양립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지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18 No.9

        본 연구는 여성의 생애역할과 사건은 개인적 사회적 제약의 진로장벽으로서 진로적응 및 구성에 어려움을 겪는 것에 주목하였다. 여성직업인의 일 만족도 및 일-가정 양립과 개인, 직업, 가치관요인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여성 진로 및 직업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연구를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여성근로자의 경우 종사상 지위와 경력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를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종사상지위와 경력유지/전환 집단에 대해서 각각 그 영향요인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여성가족패널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6차에서 종사상지위에 따라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4,267명을 선정하였다. 또한 종사상지위 응답자 중에서 1차에서 6차까지 지난 조사 당시 일자리를 지속하고 있는 집단을 경력유지집단으로, 그렇지 않은 집단을 경력전환집단으로 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가설검정을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 다항로짓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종사상지위와 경력유지/전환 집단별 일 만족도와 일-가정 양립, 개인요인, 직업요인, 가치관요인의 차이는 임금근로자와 경력전환자의 일 만족도와 일-가정 양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ㆍ직업ㆍ가치관 요인은 집단별 차이를 보여 비임금근로자, 특수근로자, 경력유지자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둘째, 종사상지위와 경력유지/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비임금근로자는 근로시간, 특수근로자는 월평균소득과 연령, 경력전환자는 학력, 연령, 미혼의 차이를 보여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셋째, 일만족도와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 만족도에는 일-가정 양립이 정(+)의 영향이나 일-가정 양립에는 부(-)의 영향 등, 학력, 결혼, 직업, 월평균소득, 근로시간, 근무지역, 양성적 가치관, 종사상지위, 경력유지/단절 등의 차이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성직업인의 종사상 지위별 차이와 영향: 개인적・직업적・가치관・일 만족도・일­가정 양립을 중심으로

        정지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9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influences of female workers by their job status and to promote future research on career and occupation of wome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workers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job status. In terms of personal factors, the average age was higher in the ascending order of wage workers, non-wage workers, and special-type workers. In the occupational factors,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special-type workers (75.95million w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but their working hours were longer than those of wage workers. As for the value factor, wage workers attached more importance on women’s gender equality, while special-type workers on women with traditional roles. Job satisfaction and work-family balance were higher in wage workers. Second, regar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tatus of women workers, non-wage workers were older, married, and worked longer hours than wage workers. Compared with wage workers, special type workers were older, had low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had more traditional values for women. This study suggests that women are making career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job status, which suggests the approach and countermeasures of lifelong according to their job status. 본 연구는 여성직업인의 종사상 지위별 차이와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여성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6차 자료를 중심으로 종사상지위에 따라 현재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4,267명을 실증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직업인의 종사상 지위별 차이이다. 개인적 요인에서 연령은 임금근로자→비임금근로자→특수근로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업적 요인에서는 특수근로자의 월평균소득(75.95만원)이 타 집단에 비해 현저하게 적으나 근무시간은 임금근로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가치관은 임금근로자일수록 양성적 여성상, 특수근로자일수록 전통적 여성상을 나타냈다. 일 만족도와 일-가정 양립도 임금근로자의 만족도와 양립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여성직업인의 종사상 지위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임금근로자에 비해 비임금근로자는 연령, 기혼, 근로시간이 높을 확률을 보여 근로시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였다. 임금근로자에 비해 특수근로자는 높은 연령, 낮은 월평균소득, 전통적 여성상을 나타내 성역할 가치관 교육과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성의 경우 생애사건과 역할로 종사상지위에 따라 진로발달을 이루고 있어 종사상지위에 따른 전생에 접근과 대책이 시사되었다. 임금근로자에게는 고용안정화 정책이 필요하였고, 비임금근로자와 특수근로자에게는 일-가정 양립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였다.

      • KCI등재

        여성직업인의 진로유지와 진로전환에 대한 연구

        정지애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women 's career maintenance and transition and to promote women' s career and career research in the future. For this, 4,267 people who were currently working in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 (KLoWF) 6 were classified into career maintenance/career transition and analyzed by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occupational, and value factors of group showed higher education, unmarried, monthly income, positive value of career transition group than career maintenance group. Second, job satisfaction factors showed high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career stability. Third, most of the career transition groups were found to be compatible with work-family balance and family-work bal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o lead career transition and adaptation through positive perception is sugges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as a follow-up study on the support and career development policy of the women workers, as well a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areer maintenance and transition. 본 연구는 일하는 여성의 진로유지와 전환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여성의 진로적응 연구를 촉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6차에서 현재 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4,267명을 진로유지/진로전환으로 구분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개인・직업・가치관 요인은 진로유지집단에 비해 진로전환집단의 학력, 미혼, 월소득, 양성적 가치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 만족도 요인은 ‘고용안정성’을 제외한 요인에서 진로전환집단이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일→가정 양립과 가정→일 양립도 대다수 진로전환집단이 높게 나타나 양립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진로전환에 대하여 경력단절의 부정적인 인식보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통하여 진로전환 및 적응을 이끌 수 있는 진로 및 직업교육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따라서 향후 여성직업인의 진로유지와 진로전환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비롯하여 근로자지원 및 경력개발정책에 대한 후속연구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

        정지애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진로교육과 진로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실효성 있는 진로교육 연구를 촉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종합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의 ‘인생목표’는 진로와 직업 과목, 인터넷/동영상, 산업체 프로그램, ‘자기기준’은 진로와 직업 과목, 현장학습/견학, 인터넷/동영상, ‘희망직업 미래조망’은 현장학습/견학이 정적 영향을 각각 나타냈다. 고등학생의 ‘인생목표’는 진로와 직업 과목, 인터넷/동영상, 대학 학과(전공)견학 프로그램, ‘자기기준’은 인터넷/동영상이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희망직업 미래조망’에는 현장학습/견학, 인터넷/동영상, 대학 학과(전공)견학 프로그램이 정적 영향을 나타냈고, 청소년수련관/사회복지관 체험은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청소년기 진로교육 및 체험은 ‘연계성’을 위한 진로-학업 간 연계, ‘지속성’을 위한 진로와 직업과목 및 매체의 질 강화, ‘수요자 중심’을 위한 평가와 효과측정이 구체화되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및 체험이 진로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연구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exper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planning and to promote effective career education research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analysis,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 static impact o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for ‘Life Goal’, internet/video, industry programs, field study/tours,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for ‘Self Standard’, internet/video, and field study/tours for ‘Hope Job Prospect’ Showed. For high school students, ‘Life Goal’ were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internet/video, college tour program, and ‘Self-Standard’ internet/video was static. In ‘Hope Job Prospect’, the field study/tours, internet/video, and college(major) tour programs showed a static effect, and the youth training center/social welfare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impact. It wa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strengthened with ‘connectivity, continuity, and consumer-oriented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It is expected that future studies will develop into in-depth and specific studies on the impact of career education and experience on career planning.

      • KCI등재

        금강 및 낙동강 하구·연안의 블루카본 저장량 공간정보 비교

        정지애,권봉오,홍현정,안종호,이명진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6

        As extreme weather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around the world, bluecarbon has recently been gaining attention as a carbon sink. Blue carbon has been officially recognized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s a means of reducing greenhouse gases,and various studies are underway to discover new blue carbon sources both domestically andinternationally. Domestic blue carbon research is centered on carbon absorption and storage in tidal flats,which account for most of the coastal wetlands,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utilized the carbon storage of tidal flats from previous studies and converted it into locationand spatial information for each basin of the Geumgang and Nakdong rivers. In addition, a proxy valueof carbon storage per area by basin was calcula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total carbon storage ofvarious tidal flats in Korea and abroa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the Geumgang and NakdongRiver basins showed different amounts of carbon storage depending on the tidal flats data, with thehighest amount in the Geumgang basin coming from the National Ocean Survey (469,810.1 Mg C) andthe highest amou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coming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17,145.01Mg 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blue carbon spatial information.

      • KCI등재

        지방대학 대학생의 진로문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정지애,이제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2

        Our society is faced with uncertainty changes that no one can predict due to the 4th industry, aging, low growth, and low fertility. This social chang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rk' in individual life, and career preparation and selection has expanded to the whole life perspective, not just one time. Especially,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before social debut is extended to career education subject to college student, and emphasizes career education at university. Howeve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reform, which is an existing university diagnosis evaluation, focused on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students b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employment rate and faile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he local universities due to the university ranking. These problems acted as career barriers, which are external and social constraints for local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concentrated on local college students by credentialism, university ranking, and labor market discrimination practices. The negative perception of local universities suggests that they have various career problems because they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promoting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of local college students by studying research trends of career problem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50 domestic researches published from 2000 to 2017 were analyzed based on the major factors (year, subject, method), career problems, regional an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related papers increased year by year, which was composed of the journals.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students (73%), graduates (13%), and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quantitative studies (62%). The subject of career problems were educational problem(34.4%), and career developmental problem(30%). By regional groups, Chungnam (14.0%), Jeonbuk (10.4%), Chungbuk(9.4%), Busan (8.4%) and Gyeongnam (8.3%). It is classified five career problems by Anderson and Niles (1995). Finally, researches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re composed of result variable (35.2%), contextual variables (34.6%), individual variables (22.1%) and cognitive variables (8.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ain conclusion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career problems of local college students. 우리 사회는 4차 산업, 고령화, 저성장,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누구도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의 변화 속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변화는 개인의 생애에서 ‘일’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진로준비와 선택이 일회적이 아닌 전생애 관점으로 확대되었다. 특히 사회 진출 전 진로교육 필요성은 진로교육 대상을 대학생까지 확대하여 대학에서의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대학진단평가인 구조개혁 평가는 취업률에 의한 양적평가로 정원감축에만 초점화되어 대학 서열화로 인한 지역 대학의 문제점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방대학생에게 외적·사회적 제약인 진로장벽으로 작용하여 학력주의, 대학서열화, 노동시장 차별 관행 등에 의하여 지방대학생에게 집중되었다. 지방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지방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다양한 진로문제를 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대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지방대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과 지도를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50편의 국내 연구물을 대상으로 기초현황(연도, 대상, 방법), 진로문제, 지역, 사회인지진로이론 주요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련 논문은 해마다 증가하였으나 학술지 논문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재학생(73%)에 집중되어 졸업생(13%) 연구가 소수로 이루어졌고, 연구방법도 양적연구(62%)로 주로 이루어졌다. 진로문제 주제는 교육과 관련된 문제(34.4%), 진로발달 관련 진로문제(30.0%)로 이루어졌고, 지역별로 충남(14.0%), 전북(10.4%), 충북(9.4%), 부산(8.4%), 경남(8.3%)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Anderson과 Niles(1995)의 5가지 진로문제로 분류되어졌다. 마지막으로 사회인지진로이론 주요구인 연구현황은 결과변인(35.3%), 맥락변인(34.6%), 개인변인(22.1%), 인지변인(8.1%)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결과를 기초하여 지방대학생 진로문제에 관련하여 주요 결론 및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근속 여성관리자가 인식하는 직위별 특성 분석

        정지애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9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1 No.1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job position as a role model for female career adaptation. To do this, we used the KWMP data to conduct a Multinomial logit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tenure women managers. As a result, first, section chief position showed a low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showed difficulty of beginner’s manager. Second, it is predicted that the position of the Deputy Head of Department will establish the identity of work as an intermediate manager. Third, head of department Director showed a high age, target status, possibility of achieving the target, and duration of the next job. Fourth, executive level has the least averag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on monthly average wage. It wa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 career by recognizing that the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positions. It was found that age,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personnel management, goal status, possibility of achieving goals, next job tenure period, monthly average wage, welfare, and life satisfaction factor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women career adjust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여성의 진로적응에 역할모델로서 직위의 중요성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여성관리자패널조사’ 자료를활용하여 근속 여성관리자의 직위별 특성요인을 살펴보고자 다항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과장직위는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초급관리자의 어려움을 나타냈다. 둘째, 차장직위는 중급관리자로써 일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셋째, 부장직위는 연령, 목표지위, 목표달성 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이 높게 나타나 친화적인 조직분위기에서 근속에 의한 안정화 기제가 작용되었다. 넷째, 임원직위는 높은 월평균임금에 차별경험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차장직위에비해 낮게 연령과 다른 직위에 비해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도 낮게 인식하여 개개인의 적극적인 진로개발이 중요함이 시사되었다. 모든 직위에 공통으로 연령,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지위, 목표달성 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월평균임금, 복리후생, 삶 만족도 요인이 여성의 진로적응에 결정적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환경 동화를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 형성에 미치는 효과

        정지애,권민균 부산대학교 보육종합센터 영유아보육연구소 2008 영유아보육연구 Vol.14 No.-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on for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of kindergarteners. It was implemented with 56 five-year-old children in D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wa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which did not have an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o find out the effects of for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CATES-PV (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as a research tool which Musser and Diamond (1999) made and Lee, Gyu-Jin (2006) modified was revis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This tool is designed to measure two subordinate factors, which are nature 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attitude. This research progressed in the order of pilot study,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For the experimental program continued for 8 weeks, the children were read- aloud the books twice per week. After the read-aloud activity,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games, Play activities, modeling activities, and science activities as far extended activities. To identify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the experimen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children's attitude toward environment were calculated. Then, ANCOVA was utilized by putting pre-scores of two groups as covariate and post-scores of two groups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form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s of young children. Seco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forming nature friendly attitudes. Thir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nvironmental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forming environment preservation attitudes.

      • KCI등재

        근속 여성관리자의 10년간 변화에 대한탐색적 연구

        정지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여성연구 Vol.99 No.4

        본 연구는 여성의 진로에서 경력유지와 진로적응의 중요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여성의 진로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여성의 진로상담 및 직업교육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를 활용하여 근속 여성관리자의 10년간의 변화와 근속 및 직급의 진로적응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속 여성관리자의 10년간 변화 추이는 개인적・사회적・발달적 요인별로 대다수의 설명변수는 증가하여 시간과 조직환경 변화에 긍정적으로 진로적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분위기(여성인력 중요성 강조(CEO), 관행 합리적・투명, 정시에 퇴근하면 눈치), 직무스트레스(업무량과다, 직장내승진가능성, 노력과 성과에 비하여 임금 낮음), 일→가정 갈등(시간이 길어 가정생활에지장)과 가정→일 갈등(자녀양육 부담으로 일 병행 힘듦)은 어려움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여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성과에 대한 보상이 제도적 차원에서 개선될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여성관리자의 근속 및 직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근속에는 연령, 목표지위, 삶 만족도는 긍정적 영향으로 나타나 목표지위와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직급에는 연령, 최종학력,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월평균임금, 복리후생이 긍정적 영향으로 나타나 경력개발 변수가 적극적인 요인임을 나타냈다. 특이점으로는학력,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월평균임금, 복리후생, 목표지위는 근속과 직급에 미치는 영향력이상이하여 여성의 진로적응에서 근속과 직급의 기제가 다름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근속과 직급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최종학력, 조직 내 멘토 유무,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지위,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 소요기간, 1년 이내 이직 계획, 월평균임금, 차별, 복리후생, 가정→일 양립, 삶 만족도로 나타났다. 도출된 공통요인은 여성의 다양한 진로패턴에 적용될 수 있는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한점을논의하였다.

      • 근속 여성관리자의 10년간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지애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8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18 No.9

        본 연구는 여성의 진로에서 진로적응과 경력의 중요성에 대하여 주목하였다. 여성의 진로적응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여성관리자패널조사(Korean Women Manager Panel)’의 근속 여성관리자의 10년간의 변화와 근속 및 직급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여성의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개인 및 가족관계, 인사관리, 경력개발, 직무스트레스 및 차별, 복리후생, 일-가정 양립, 만족도 요인에 대해서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Ttest분석, 3SLS분석, 다항로짓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종합적으로 논의해보면 다음과 같다. 실증 분석 결과 첫째, 근속 여성관리자의 10년간의 변화 추이는 각 요인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설명변수의 대다수가 정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배우자 교육수준, 조직분위기(CEO 여성인력 중요성, 관행 합리적, 정시에 퇴근하면 눈치)는 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목표달성가능성, 직무스트레스(업무량과다, 직장내승진가능성, 노력과 성과에 비하여 임금 낮음), 일→가정 갈등(시간이 길어 가정생활에 지장)과 가정→일 갈등(자녀양육 부담으로 일 병행 힘듬)은 부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나타냈다. 둘째, 여성관리자의 근속 및 직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속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로 연령, 목표지위, 삶 만족도는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최종학력, 조직 내외 멘토 유무,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월평균임금, 복리후생, 가정→일 양립은 부(-)의 영향을 나타냈고, 나머지 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급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들로 연령, 최종학력,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월평균임금, 복리후생이 정(+)의 영향을 나타냈으며, 목표지위, 1년 이내 이직 계획은 부(-)의 영향을 나타냈고, 나머지 변수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근속 여성관리자의 직급별 영향요인은 과장직급은 대리직급과 비교하여 과장직급은 대리직급에 비하여 연령(+),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지위(-),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1년이내이직계획(-), 월평균임금(+), 차별(+), 복리후생(+), 일→가정갈등(+), 삶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차장직급은 대리직급과 비교하여 연령(+),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지위(-),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1년이내이직계획(-), 월평균임금(+), 차별(+), 복리후생(+), 삶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부장직급은 대리직급과 비교하여 연령(+),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목표지위(-),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1년이내이직계획(-), 월평균임금(+), 차별(+), 복리후생(+), 삶만족도(-)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임원직급은 대리직급과 비교하여 연령(+), 조직분위기 및 인사관리(+), 근속기간(-), 목표지위(-), 목표달성가능성(+), 다음직급소요기간(+), 월평균임금(+), 차별(+), 복리후생(+)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이외 변수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