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단백뇨 검사에 있어서 단회뇨 단백 크레아티닌 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지미,권은지,정우영,Jung, Ji-Mi,Kwon, Eun-Ji,Chung, Woo-Yeo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2

        목 적 : 단회뇨를 이용한 단백/크레아티닌 농도 비(P/C ratio)가 24시간 요단백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를 대상으로 하여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 ratio 사이의 상관관계를 요단백량과 요크레아티닌 배설량에 따라 분석하고 이런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 2003년 9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 백병원 소아청소년과 신장클리닉에 내원한 환아 210명을 대상으로 24시간 채뇨를 실시하여 단백량 과 크레아티닌 양,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고, 24시간 채뇨 직후의 단회뇨를 이용하여 P/C ratio 를 측정하였다. 결 과 :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 ratio는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0.840의 상관계수를 가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24시간 요단백량에 따라 분류된 군과 크레아티닌 배설량에 따라 분류한 각 군에서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 ratio 사이의 오차에 관여할 수 있는 일일 요단백량, 사구체 여과율, 크레아티닌 배설량, 연령, 성별 등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요 크레아티닌 배설량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로 분석 되었고, 나머지 일일 단백량, 사구체 여과율, 연령, 성별들은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소아에서 광범위한 조사군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이나 성별에 따른 크레아티닌 배설량을 고려하여 P/C ratio의 cutoff치를 설정한다면 단회뇨의 P/C ratio는 24시간 요단백량을 대치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Many results have reported a correlation between the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P/C ratio) and 24-hour urinary protein(24UP) amou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d correlation between 24UP amounts and P/C ratio in children and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this correlation. Methods : 210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Busan Paik Hospital from september 2003 to december 200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I, II, III/A, B, C group[I:24UP(mg/$m^2$/day)]<100, II: 100$\leq$24UP<1,000, III: 24UP$\geq$1,000, A: Cr excretion(mg/kg)<15, B: 15$\leq$Cr excretion<25, C: Cr excretion$\geq$25)].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24UP and P/C ratio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e defined fractional difference between 24UP and P/C ratio, and then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re was a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between 24UP and P/C ratio in all patients, and the correlation was also good in each group. The factors affecting accurate quantitation of proteinuria using spot urine P/C ratio was creatinine excretion. Conclusion : Spot urine P/C ratio is a useful test to predict proteinuria roughly. Therefore, we expect that urine P/C ratio can be used as parameter instead of 24UP, if we set cutoff value of P/C ratio considered to creatinine excretion according to age and sex in large pediatric population.

      • KCI등재

        코일 색전술로 치료한 소아 Dieulafoy 병변 1예

        정지미,송민섭,지근하,배재익,박오환,Jung, Ji-Mi,Song, Min-Seob,Chi, Geun-Ha,Bae, Jae-Ik,Park, Ao-Wh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7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0 No.2

        저자들은 내시경적 에피네프린 국소 주입법과 수술적 혈관 결찰술 후에도 출혈이 재발된 Dieulafoy 병을 가진 환아에서 동맥 코일 색전술로 지혈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A dieulafoy lesion, which is an unusual cause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that can be fatal in children. Dieulafoy lesions are characterized by an abnormally large eroded submucosal artery that is commonly located in the lesser curvature of the proximal stomach. In most cases, permanent hemostasis is achieved by endoscopic epinephrine injection, however, some patients require other endoscopic treatment modalities, embolization or surgery. We report here a case of a Dieulafoy lesion in an 11-year-old boy who had recurrent bleeding from the lesion in the duodenal bulb after endoscopic epinephrine injection and surgical ligation, that was successfully treated using coil embolization.

      • KCI등재

        임상 ;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장관영양의 임상적 효과

        정지미 ( Ji Mi Jung ),한성우 ( Seong Woo Han ),구수현 ( Mi Lim Chung ),정미림 ( Soo Hyun Koo ),전가원 ( Ga Won Jeon ),신종범 ( Jong Beom Sin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2

        목적: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장관영양이 장점막의 위축을 방지하고 장운동을 성숙시킨다는 연구는 많지만 이로 인한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의 우려로 실제로 환자에게 적용하기는 어렵다. 이에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장관영양이 이들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부산백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저출생체중아 61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008년 4월부터 조기장관영양을 시작하여 2007년 1월부터 2008년 3월까지를 대조군, 2008년 4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조기장관영양군으로 나누었다. 결과: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장관영양 시작시기와 완전장관영양 도달시기는 대조군과 조기영양군에서 각각7±2일, 2±1일과 68±6일, 22±2일로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유의하게 빨랐다(P<0.05). 정맥영양 시행기간은 대조군 58±6일, 조기장관영양군 22±2일로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유의하게 짧았고, 28병일째 체중증가율은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괴사성 장염과 패혈증의 발생빈도는 두군간의 차이가 없었고, 담즙정체증(대조군; 44%, 조기장관영양군; 7%)과 중등도 이상의 기관지폐이형성증(대조군; 78%, 조기장관영양군; 24%)은 조기장관영양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장관영양은 괴사성 장염이나 패혈증의 증가 없이 완전장관영양에 빨리 도달하게 하였으며 기관지폐이형성증, 담즙정체증을 의미있게 감소시켰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rly enteral feeding on the morbidities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 weighing less than 1,000 g.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sixty one ELBWI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2009. ELBWI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included ELBWI from January 2007 to March 2008, for whom enteral feeding was started beyond 3 days and the early feeding group included ELBWI from April 2008 to October 2009, for whom enteral feeding was started within 3 days. Results: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arly feeding group, start day of enteral feeding (control group vs. early feeding group; 7±2days vs. 2±1days), time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68±6 days vs. 22±2 days), and the duration of parenteral nutrition (58±6 days vs. 22±2 days) were significantly shorter, and weight gain at postnatal day 2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01).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incidence of sepsis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duration of hospitalization; however, the incidence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duced cholestasis (44% vs. 7%) and bronchopulmonary dysplsia (78% vs. 24%)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arly feeding group. Conclusion: Early enteral feeding in ELBWI shortened the time to achieve full enteral feeding, improved weight gain, and decreased the incidence of brochopulmonay dysplasia and cholestasis.

      • KCI등재

        소아에서의 급성 신성신부전의 임상적 고찰

        권은지,정지미,정우영,Kwon, Eun-Ji,Jung, Ji-Mi,Chung, Woo-Yeung 대한소아신장학회 200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2 No.1

        목적 : 소아 연령에서 입원 당시 혹은 다른 질환으로 입원하여 치료를 받던 중에 발생한 신성 급성 신부전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 그리고 예후에 대해 분석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부산백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입원한 환자 중 신성 급성 신부전으로 진단된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단 기준은 혈청 크레아티닌치가 1.2 mg/dL 이상이거나 기저치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경우로 하였다. 핍뇨는 소변량이 0.5 mL/kg/hr 이하이며 무뇨는 <50 mL/day로 정의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성별 비는 2.2:1로 남아에게 많았으며 연령별 분포는 신생아 7명, 2개월-2세 10명, 3-6세 12명, 7-12세 21명, 13-16세 9명이었다. 신부전의 진단까지 평균 기간은 3.1${\pm}$2.8일이었다. 소변량에 따른 분류는 핍뇨군 21명, 비핍뇨군 36명 및 무뇨군 2명이었다. 원인 질환별 분류에서는 원발성 신질환군 30명, 감염군 14명, 종양군 9명 및 기타군 6명이였다. 연령별 분류에서는 신생아는 감염군, 2개월-2세는 신질환과 감염군과 3세 이상에서는 신질환군이 많았다. 계절별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에 용혈성 요독증후군의 발생이 많았다. 투석치료는 4명에서 복막투석을 시행하였다. 호전까지의 평균기간은 10.0${\pm}$6.7일이었다. 경과 중 18명이 사망하였는데 비핍뇨군의 사망률이 낮았다. 연령별로는 신생아가 원인별로는 종양군의 사망률이 각각 높았다. 결론 : 소아에서의 신성 급성 신부전은 조기진단과 기저질환의 적절한 관리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적인 신기능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며 성인에 비해 양호한 임상적 경과를 보였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progression and prognosis of acute intrinsic renal failure in neonates and children with a diagnosis of acute renal failure or other diseases on admission. Methods: This research is based on a retrospective analysis conducted on 59 patients(male: female=2.2:1) diagnosed with acute intrinsic renal failure between January 2000 and June 2006 at Busan Paik Hospital. The clinical diagnostic criteria of acute renal failure used was serum creatinine <1.2 mg/dL, oliguria with urine output$\leq$0.5 mL/kg/hr and anuria with urine output <50 mL per day. Results: Among those placed under investigation, 7 patients were neonates, 10 patients were 2 months-2 years old, 12 patients were 3-6 years old, 21 patients were 7-12 years old and 9 patients were 13-16 years old. It took 3.1${\pm}$2.8 days on average until the diagnosis was made. The urine output distribution was 21 persons for the oliguria group, and 36 persons for the non-oliguria group, and 2 persons for the anuria group. For the underlying causes, 30 persons were classified in the primary renal disease group, 14 persons in the infection group, 9 persons in the malignancy group, and 6 persons were categorized in another group. As for age distribution, the infected group was predominantly neonates, whereas the dominant age ranges for the primary renal disease and infection categories were 2 months to 2 years old. Also, the primary renal disease was dominant among older children, aged 3 and up. No difference was detected according to seasonal prevalence. However, there was a high morbidity rate among hemolytic uremic syndrome diagnosed in the summer. Peritoneal dialysis was used to treat 4 patients. It took 10.0${\pm}$6.7 days until the patients improved. 18 patients died. The non-oliguria group's mortality rate was lower than other groups. There was a high mortality rate in the neonates and malignancy group. Conclusion: Acute renal failure in childhood seems to take a better clinical course than in adulthood when there is a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of underlying diseases.

      • KCI등재

        임상 ; 산전 황산마그네슘(MgSO4) 노출에 따른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후

        신지헌 ( Ji Hun Shin ),안소윤 ( So Yoon Ahn ),신정희 ( Jeong Hee Shin ),성세인 ( Se In Sung ),김진규 ( Ji Mi Jung ),정지미 ( Jin Kyu Kim ),김은선 ( Eun Sun Kim ),장윤실 ( Yun Sil Chang ),박원순 ( Won Soon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11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2 No.3

        Objective: To determine whether magnesium sulfate exposure i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perinatal complications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ELBWIs). Methods: Total 351 inbor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admitted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8 to Samsung Medical Center were divided into the prenatal MgSO4-exposed group (n=76), and control group (n=275), and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Multiple demographic,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neonatal complications were compared. Results: Prenatally MgSO4-exposed ELBWIs had significantly higher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nd incidence of small for gestational age. In neonatal complications, retinopathy of premature (ROP) treated with laser was less common in MgSO4-exposed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PDA ligation,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PVL),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and mortality. Conclusion: Perinatal exposure to magnesium sulfate was associated with decreased incidence of ROP treated with laser.

      • KCI등재

        임상 ; 부산지역 3개 대학병원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최근 치료성적

        김은영 ( Eun Young Kim ),정지미 ( Ji Mi Jung ),정유진 ( Yu Jin Jung ),김묘징 ( Myo Jing Kim ),전가원 ( Ga Won Jeon ),홍유라 ( Yoo Rha Hong ),신종범 ( Jong Beom Sin ) 대한주산의학회 2010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1 No.4

        목적: 최근 미숙아 및 저출생 체중아의 출생이 증가하는 한편 신생아학의 발달로 출생 체중이 아주작은 생존한계에 있는 미숙아들이 생존하고있다. 이에 부산지역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치료성적의 변화를 살펴보고 신생아 집중치료의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부산지역의 3개 대학병원(고신대학교병원, 동아대학교병원, 인제대학교 부 산백병원)의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치료한 출생 체중 1,500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273명에 대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출생 체중과 재태 연령에 따른 환아의 분포와 생존율 및 합병증을 알아보고 이전에 발표된 부산지역의 치료성적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2007년부터 2008년까지 부산지역 3개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273명으로 이중 211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77.3%이었다. 평균 재태 연령은 29.2±2.9주, 평균 출생 체중은 1,115±249 g이었고 이중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31.1%이었다. 출생 체중별 생존율은 750 g 미만은 30.4%, 750-999 g은 62.9%으로 2003 년에서 2005년까지 생존율(750 g 미만; 15.4%, 750-999 g; 52.9%)에 비해 향상되었고 1,000-1,249 g은 83.0%, 1,250-1,499 g은 92.0%로 이전과 비교해서 큰 차이는 없었다. 재태연령별 생존율은 24주 이하는 25.0%, 25-26주는 57.5%로 2003년에서 2005년까지 생존율(24주 이하; 7.1%, 25-26주; 34.7%)에 비해 향상되었고 27-28주는 75.0%, 29주 이상은 91.0%으로 이전과 비교해서 큰 차이는 없었다.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유병율은 54.9%, 동맥관 개 존증이 33.3%, 기관지 폐 이형성증이 31.5%, 배양검사 양성 패혈증이 20.1%, 괴사성 장염은 7.3%, 미숙아 망막증이 6.2%, 제 3기 이상의 뇌실 내 출혈은 5.1%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최근 2년간 부산지역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율은 77.3%이었고 특히 출생 체중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와 26주 이하의 초 미숙아의 생존율이 향상되었다. Objective: The survival rate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 has increased markedl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utcome of VLBWI in Busan a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73 VLBWI less than 1,500g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between January, 2007, to December, 2008. The survival rate, distribution of infants by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nd complication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reports in Busan. Results: We enrolled 273 VLBWI, including 31.1%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VLBWI was 77.3%. Mean gestational age was 29.2±2.9 weeks and birth weight was 1,115±249 g. Infants weighing <750 g, 750-999 g, 1,000-1,249 g and 1,250-1,499 g showed survival rates of 30.4%, 62.9%, 83.0%, and 92.0%, respectively. Infants at ≤24 weeks, 25-26 weeks, 27-28 weeks and ≥29 weeks had survival rates of 25.0%, 57.5%, 75.0%, and 91.0%, respectively. Survival rates by birth weight (<750 g, 750- 999 g) and gestational age (≤24 weeks, 25-26 week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2003-2005. Common morbidities of VLBWI includ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54.9%), patent ductus arteriosus (33.3%), bronchopulmonary dysplasia (31.5%), sepsis (20.1%), necrotizing enterocolitis (7.3%), retinopathy of prematurity (≥ stage III) (6.2%)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Gr III) (5.1%). Conclusions: The survival rate of VLBWI born in Busan was 77.3% over the past 2 years. Survival rates of extreme prematurity weighing less than 1,000g and gestational age of ≤26 week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

        하악골에 발생한 선천성 치은종 1례

        곽나현 ( Na Hyun Kwak ),정지미 ( Ji Mi Jung ),전가원 ( Ga Won Jeon ),신종범 ( Jong Beom Sin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2

        Congenital epulis is a rare benign tumor occurring on the anterior maxillary gingiva, also known as granular cell tumor of the newborn or Neumann`s tumor, which is seen only in the newborn and is different from other granular cell tumors. Congenital epulis occurs exclusively in female newborns eight to ten fold higher than in males. It can protrude out of the newborn`s mouth to prevent normal closure of mouth and interfere with respiration or feeding. The treatment of choice for large symptomatic epulis is simple surgical resection. Wide surgical excision is not required, because no recurrences have been reported.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congenital epulis occurring on the mandibular gingiva, and typical immunohistochemical stain findings.

      • KCI등재

        산전 진단된 수신증에 동반된 선천성 기형 및 염색체 이상

        곽나현 ( Na Hyun Kwak ),한성우 ( Sung Woo Han ),정지미 ( Ji Mi Jung ),전가원 ( Ga Won Jeon ),신종범 ( Jong Beom Sin ) 대한주산의학회 2009 Perinatology Vol.20 No.4

        목적: 산전 초음파의 발달로 수신증의 발견 빈도는 증가하고 있으며 진단시기는 점점 빨라지고 있으나, 검사지침이나 자연경과, 치료방침과 대한 명확한 지침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수신증으로 진단받는 신생아들에 동반된 선천성 기형의 종류와 염색체 이상에 대해 알아 봄으로써 출생 후 환자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산전 초음파에서 수신증이 발견되어 인제대 부산백병원에서 출생 후 3일 이후 1개월 이내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으로 진단된 297명, 381 신단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음파소견에서 신우의 전후 길이가 5mm 이상인 경우를 수신증으로 정의하였고, The Society for Fetal Urology (SFU)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수신증의 정도에 따라 동반 기형 및 염색체 이상의 종류 및 빈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염색체이상의 빈도는 297예 중 31예(11%)였으며, trisomy 15예, deletion 8예, duplication 2예, 성염색체 이상 4예 이었으며, 가장 흔한 염색체 이상은 21 Trisomy, Turners syndrome, 상염색체 결실 순이었다. 수신증의 빈도와 달리 염색체 이상은 여아에서 남아보다 빈도가 2배 정도 높았으며, 일측성과 양측성 수신증에서 염색체 이상의 빈도 차이는 없었다. 동반된 기형은 요로생식기 기형이 46.5%, 심혈관계 기형이 22.8%, 소화기계 기형이 10.2% 중추신경계 기형이 11.1%, 안면기형이 7.1%, 기타 기형이 2.3%를 차지하였다. 수신증으로 진단받은 신생아 중, SFU Grade 3, 4인 중등도 이상의 수신증일수록 선천성 기형이 동반된 빈도가 높았으며, 동반된 기형의 수가 많을수록 염색체 이상의 빈도가 높았다. 결론: 수신증이 있는 신생아에서는 요로생식계 및 위장관계 기형에 대한 면밀한 방사선 검사 및 신체검사가 필요하며, 특히 동반된 기형이 발견된 경우에는 염색체 검사도 시행하는 것이 분만 후 신생아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With the increasing use of antenatal sonography, fetal hydronephrosis has been reported more frequently. But, despite extensive clinical and scientific research much controversy still exists about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hydronephrosi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study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associated malformations and chromosomal defects in prenatally diagnosed hydronephrosis. Methods: The records of 297 neonates who were diagnosed with hydronephrosis through antenatal ultrasonographic screening,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y were confirmed at 3 days to 1 month after birth with postnatal ultrasonography in Busan Paik Hospital,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8. We karyotyped 297 neonates after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hydronephrosis and malformations. Results: Chromosomal abnormalities were detected in 31 (11%) cases of 297 cases and more common in female than male. The commonest chromosomal abnormality was trisomy 21, followed by Turner syndrome, deletion of autosome, unbalanced translocation. 127 cases in 109 infants had associated malformations such as urogenital and cardiovascular and gastrointestinal anomalies. The associated malformations were more common in moderate to severe hydronephrosis than mild and the number of additional abnormalities increased with the chromosomal defects. Conclusion: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for the cases in congenital hydronephrosis with any associated malformation such as urogenital and cardiac malformation, to investigate chromosomal abnormalities. This will enable clinicians to establish appropriate management and postnatal care.

      • 부산지역 매출액 상위기업의 위상과 변천사

        정성문 · 정지미 · 이규용 · 김건우 · 김권호 · 박수정 · 양태완 · 지준영 · 이우평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2020 부산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주요기업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매출액 기준 전국 상위 1,000대 기업에 속하는 부산기업을 조사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05년에 전국 1,000대 기업 중 46개 기업이 부산에 소재하였는데, 2019년에는 12 개가 줄어든 34개 기업만이 전국 1,000대 기업에 포함되었다. 또한, 전국 상위 1,000대 기업의 매출액 기준으로 부산지역 기업의 매출액 비중은 2005년 1.6%에서 2019년 1.4%로 줄어든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 집중현상이 점차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부산지역 매출액 기준 상위 10대 기업은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2005년 상위 10대 기업 중 2019년에도 상위 10대 기 업에 포함된 기업은 ㈜한진중공업, 르노삼성자동차(주), ㈜부산은행, ㈜서원유통 등 4개뿐인 것 으로 나타났다. 통계적 인과 관계는 확정할 수 없으나 지역 대기업의 쇠퇴 및 유출과 지역의 쇠퇴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어 지역 경제의 침체와 대기업의 쇠퇴 및 유출이 상당한 관계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특히 2011년 이후 지역 주력 제조업 기업들이 1000대 기업 진입에 실패하였다는 점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지역 제조업 대기업의 이탈 또는 쇠퇴는 지역 생산성 하락에 영향을 미 쳤을 가능성이 높고, 낮아진 지역 산업 생산성이 지역 경제성장률 둔화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 이 있다. 따라서 지역의 경제활력 저하 문제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지역 산업구조 개편 문제와 생 산성 향상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