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주간 복합운동이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의 신체조성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정주하(Jung, Joo-Ha),양점홍(Yang, Jum-Hong)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1 obesity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arcopenic obesity group(n=9) and non-sarcopenic obesity group(n=12). The variables of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16-week combined exercise. All data was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paired t-test by using SPSS 18.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ffects on body compos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a and body composition were only significant for the group × time interaction in FFM. In the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arcopenia reduced by 30%,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FFM and ASM. On the other hand, the non-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significantly decreased % body fat and significantly increased FFM and ASM. 2. Effects on cardiovascular fitness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V˙O2peak. The most important finding in this study was that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showed delayed effects of a 16-week combined exercise on FFM and ASM compared to the non-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However, the further studies might need to confirm these results with both genders, different age groups, and various exercise types. 고령기의 생활을 위협하는 비만 여성고령자를 대상으로 sarcopenia 동반에 따른 16주간의 운동중재가 신체조성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비만 여성고령자를 sarcopenia 동반유무에 따라 sarcopenic obestiy group(SOG)과 non-sarcopenic obesity group(NOG)으로 나누어 16주간, 주 3회, 50-60분간 복합운동 실시 후 신체조성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조성의 경우 시기와 그룹간 상호작용효과는 fat free mass(FFM)에서만 나타났으며, 운동 전ㆍ후의 변화에서는 SOG의 경우 % body fat은 감소하였고, FFM과 AS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NOG의 경우 %body fat은 감소하였으며, FFM과 ASM에서는 증가하였다. 심폐체력에서는 두 그룹 모두 V˙O2peak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가 non-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에 비해 근육량(FFM, ASM)에서 운동효과가 지연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운동중재가 근감소증 비만여성고령자의 인슐린저항성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정주하(Joo Ha Jung),박치욱(Chi Wook Park),양점홍(Jum Hong Yang) 한국발육발달학회 2013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점은 근육감소증 비만여성고령자와 일반 비만여성고령자의 인슐린저항성과 염증인자 수준이 차이가 없었으며, 운동을 통해 두 그룹 모두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CRP는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차이가 없었지만, 이 부분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혈당은 인슐린 저항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 하나로서 혈당의 조절은 당뇨병뿐만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을 매개로 하는 모든 질병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혈당수치가 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혈당은 운동으로 인한 체지방 감소에 따른 내장지방의 감소와 인슐린 감수성의 증진에 의해 말초조직에서의 당 흡수 및 간의 당생성억제능력이 개선되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arafidis & Bakris, 2006). 인슐린의 가장 중요한 작용은 혈액 내에서 정상치보다 많은 포도당을 조직으로 유입시킴으로서 정상 혈당치를 유지시키는 것이다(Yassine et al., 2009). 운동 중에 인슐린 분비가 감소하는 이유는 혈당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교감신경(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자극에 의해 인슐린 분비가 억제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인슐린 민감성을 높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Ryan, 2010). 본 연구에서는 운동 후 두 그룹 모두 FBG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FI와 HOMA-IR이 감소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장기간의 규칙적인 운동으로 인해 증가된 근육세포에서의 인슐린의 결합력이 더 커져서 적은 양의 인슐린으로도 혈당을 조절하는 능력이 증가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Nair, 2005). 또한, 인슐린에 대한 근육의 민감성은 장시간 저강도에서 중강도까지의 1회성 운동 중과 후에 약 48시간 동안 증가되는데(백일영, 2006) 본 연구의 운동빈도와 시간이 인슐린과 인슐린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Davidson et al.,(2009)에 의하면, 6개월간 비만 고령자(60~80세)를 대상으로 유산소, 저항, 복합운동, 통제군으로 나누어 운동을 실시한 결과 복합운동을 하는 것이 혈당, 인슐린,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보고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몇몇 연구자는 비만자에게서 체중의 감소로 인해 인슐린저항성의 감소를 나타냈는데(Reaven, 2005; Villareal et al., 2004), 이는 비만인의 경우 인슐린 반응의 감소가 인체에서의 인슐린 수용기 감소와 연결된다는 것을 감안할 때 장기간의 운동에 의한 체중조절이 인슐린의 민감성을 증진 시킨다고 할 수 있다(Ryan, 2010). 대부분의 운동과 혈당에 관련된 연구를 보면, 비만노인 24명을 대상으로 최대심박수의 60~85% 강도로 1회 50~60분, 주 5회로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한 결과 혈당이 감소하였으며 (O’Leary et al., 2006; Yassine et al., 2009), 노인여성(20명, 28.89±2.47 %fat)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1회 60분간 저항 운동을 실시한 결과 혈당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손희정, 강지훈, 2010). 그러나 본 연구에서 FI와 HOMA-IR이 감소하였는데도 불구하고 FBG가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지만, 두 그룹 모두 운동 후 SOG 3.81%, NOG 5.40%로 각각 감소하여 운동의 효과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으므로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염증인자인 CRP는 동맥경화증의 발병에서 염증이 관여함을 예견하며 건강한 사람이라도 혈중 CRP가 높다면 심혈관질환 발병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Wilson, Ryan & Boyle, 2006). 지방세포는 단순히 지방축적의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라 CRP 등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으로서의 역할이 밝혀져 있다(Hotamisligil et al., 1995). 지방조직의 증가는 CRP 등과 같은 염증인자가 증가되며 증가된 염증인자로 인해 인슐린저항성을 증가 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량도 감소시킨다(Rolland et al., 2009; Villareal et al., 2004). 동물뿐 아니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근육량에서 염증인자의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보여 준다(Cesari et al., 2005). 즉, 같은 체중을 유지하더라도 상대적으로 지방량이 증가하면 반대로 근육량(fat free mass)은 감소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 전 CRP를 비교한 결과 근감소증 비만 여성고령자가 일반 비만여성고령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러한 체성분의 변화가 지속되면 비록 정상 체중자라도 근육량에 대한 체지방량의 상대적 증가로 인하여 비만과 같은 대사적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그리고 운동 후 근감소증 비만여성고령자는 감소하였지만, 일반 비만여성고령자는 증가하여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운동과 CRP에 관련된 연구를 보면, 65세 이상의 남녀 45명을 대상으로 CRP를 분석한 결과 16주간 유산소 운동 후 10% 감소, 저항운동 후 11% 감소(Martins et al., 2010),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6개월 동안의 유산소운동을 실시한 결과 혈중 CRP 농도 감소(Obisesan et al., 2004), 그리고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1시간씩 복합운동을 실시한 후 CRP의 감소를 보였다(김동희 등, 2010). 반면에 12주간 주3회 요가수련을 실시한 여성고령자의 CRP가 운동 후 유의하지 않지만 높게 나타났다는 보고(김재구, 2011)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운동의 형태와 상관없이 운동이 CRP농도를 감소시킨다는 결과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근감소증 비만여성고령자는 운동 후 감소 하였지만, 일반 비만여성고령자는 유의하지 않지만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는 전술한 선행연구와 상이한 결과이지만, 정상범위의 CRP 수치(<3 mg/L)를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운동으로 인한 부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라 논의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ion factor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1 obesity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n=9) and nonsarcopenic obesity group (n=12). The variables of insulin resistance and inflammation factor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16-week combined exercise. Al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ver. 18.0.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used to determine the interaction between combined exercise and time on dependent variables. If a significant interaction was noted,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r post hoc comparis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sarcopenic and non-sarcopenic elderly women significantly decreased insulin, HOMA-IR after exercise for 16 weeks. The most important finding in this study was that sarcopenic obesity and non-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were not different on the insulin resistance and CRP.

      • KCI등재

        고등부 씨름선수의 체급별 기초 · 전문체력 비교분석

        정주하(Joo-Ha Jung),김성은(Sung-Eu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고등부 씨름 선수들을 대상으로 체급별 기초·전문체력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측정기간은 2019년 11월 25일-12월4일이며, 총 28명의 고등부 씨름 선수(80kg이하 7명, 90kg이하 8명, 90kg이하 7명, 100kg이상 6명)를 대상으로 체급별 기초․전문 체력요인(근력, 근파워, 민첩성, 무산소성파워, 유산소능력, 유연성, 등속성근기능)을 측정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3.0을 활용하여 one-way ANOVA와 Dunca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악력과 팔굽혀펴기, 서전트점프, 제자리멀리뛰기, 체후굴, 체전굴, 사이드스텝, 반응시간에서 체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배근력에서 100kg 이하인 그룹이 100kg 이상인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윗몸일으키기와 20m 셔틀런에서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산소성 최고파워와 평균파워의 상대적인 값은 100kg이하인 그룹이 100kg 이상인 장사급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등속성근기능의 경우 허리 신전/굴곡력과 무릎관절의 우측 신전근력, 그리고 좌우측 굴곡근력에서 체급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얻은 결론은 고등부 씨름선수의 경우 근파워, 유연성, 민첩성 그리고, 체중당 무산소성 평균파워와 등속성 허리근력, 무릎굴근력에서 체급에 따른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5 to December 4, 2019, to unmask differences in physical fitness based on the weight class of high school Ssirum elite-players. A total of 28 high school Ssirum elite-play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measuring physical factors (muscle strength/power, agility, anaerobic power, aerobic ability, flexibilit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by weight clas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23.0. One-way ANOVA was used for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by weight class in terms of grip strength, sit-ups, sergeant jump, long jump, flexibility, side step, and reaction time. Evaluation of back muscle strength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more than 100 kg had greater strength than lower weight categories, whereas it was lower in the sit-ups, 20 m shuttle run and the relative values anaerobic power. Considering isokinetic muscle function,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of back muscle strength and knee joi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mongst the high school Ssirum elite-players, there is no difference in muscle power, flexibility, agility, and anaerobic average power per body weight, isokinetic trunk strength, and knee flexion strength, when evaluated according to weight class.

      • KCI등재

        대학생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평가

        정주하(Jung, Joo-Ha),박정준(Park, Jung-Jun),최재현(Choi, Jae-Hyun),김도연(Kim, Do-Yoen),양점홍(Yang, Jum-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8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들의 비만과 대사증후군 유병률을 알아보고, BMI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학생의 만성 질환 이환율을 낮추고 well-being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 B광역시 P대학 건강관련 교양과목 수강생인 남녀 대학생 848명을 대상으로 BMI기준에 따라 UWG, NWG, OWG, OG로 나누어 남 녀 각각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측정하였다. 총 대상자에서 비만(BMI≥25 kg/m2) 유병률은 12. 61%, 과체중(BMI 23-24.9 kg/m2)은 31.36%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가 3개 이상의 기준을 만족한 학생은 0.35%(3명), 2개 만 가지고 있는 학생은 3.41%(29명)로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적어도 1개 가지고 있는 대상 자는 29.71%(252명)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BMI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대한 그룹간 비교를 보면, 남자 대학생의 경우 BMI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glucose를 제외한 허리둘레, TG, BP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HDL-C에서 는 더 낮게 나타났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허리둘레와 BP에서 BMI가 높은 그룹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TG, HDL, glucose에서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th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BMI level.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848(445 men and 403 women) college students. That is underweight group(18.5 kg/m2 ≤ BMI, UWG) 28(6%) men, 86(21%) women, normal weight group(18.5 kg/m2 < BMI < 23 kg/m2, NWG) 218(49%) men, 250(62%) women, overweight group(23 kg/m2 ≤ BMI < 25 kg/m2, OWG) 117(26%) men, 42(11%) women, obesity group(25 kg/m2 ≤ BMI, OG) 82(19%)man, 25(6%) women based on BMI standard of classification by WHO(2004).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 This result are necessary to evaluate the fitness of the university students. Because we can recognize and prevent the negative factor that could be produced during young adults we know the risk factors that could be chronic disease.

      • KCI등재

        정상체중비만과 과체중비만 여성고령자의 비만이 기능적 체력 및 항노화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정주하 ( Joo Ha Jung ),박치욱 ( Chee Wook Park ),박정준 ( Jung Jun Park ) 한국운동생리학회 2015 운동과학 Vol.2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examine the effects of obesity on functional fitness and anti-aging hormones i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elderly women. METHODS: Twent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metabolically obese, normal weight elderly women group (MONWG, n=10) and overweight obese elderly women group (OWOG, n=10) in B metropolitan city. The variables of functional fitness and anti-aging hormones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All data was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by using SPSS 18.0. RESULTS: In the case of functional fitness, the OWOG was a higer than MONWG in the 2 kg dumbbell curl, and MONWG was faster than OWOG in the 2.44 m up-and go.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ir stand, sit and reach, back scratch, and 2-minute walk. In the case of anti-aging hormones, the OWOG was higher than MONWG in the GH, testosterone, and DHEA-S.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the body composi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body weight in the elderly women. The elderly women with more muscle mass showed more positive results in upper extremity muscle strength and anti-aging hormones levels. The body weight had a greater impact in the agility test.

      • KCI등재

        규칙적인 운동이 sarcopenic 비만여성고령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정주하(Jung, Joo-Ha),양승재(Yang, Seung-Ja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9

        고령기의 생활을 위협하는 obesity 여성고령자를 대상으로 sarcopenia 동반에 따른 CVD 위험의 가중성과 16 주간의 운동중재가 CVD 위험인자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운동효과를 검증하여 obesity 여성 고령자에게 obesity와 sarcopenia에 대한 운동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이다. 비만 여성고령자를 sarcopenia 동반유무에 따라 sarcopenic obesity group(SOG)과 non-sarcopenic obesity group(NOG)으로 나 누어 16주간, 주 3회, 50-60분간 복합운동 실시 후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운동 전 두 그룹간 CVD 위험인자 비교에서는 비만 여성고령자에게 sarcopenia가 동반될 경우 CVD 위험 이 가중되지 않았으며,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가 non-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보다 HDL-C는 높게, TG는 더 낮게 나타났다. 운동중재 후에는 혈청지질에서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의 경우 TC, TG는 감소하였고, HDL-C, LDL-C은 차이가 없었다. non-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의 경우 TC, TG, LDL-C는 감소하였으며, HDL-C 증가하였다. 따라서, sarcopenia와 CVD 위험인자와의 낮은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 자가 non-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에 비해 HDL-C, LDL-C, BP, right baPWV에서 운동효과가 더디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21 obesity elderly women over 65 years old .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sarcopenic obesity group(n=9) and non-sarcopenic obesity group(n=12). The variables of body composition and CVD risk factors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before and after 16-week combined exerci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and left baPWV. The non-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significantly decreased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and left baPWV, but significantly increased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HDL-C). The most important finding in this study was that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showed delayed effects of a 16-week combined exercise on HDL, LDL-C, BP, and right baPWV compared to the non-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체육영재와 일반학생의 유, 무산소성 능력 및 하지 등속성근기능 비교

        정주하(Joo Ha Jung),양점홍(Jum Hong Yang) 한국발육발달학회 2011 한국발육발달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isons of young sport talent and general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 aerobic and anaerobic ability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The subjects were conducted in 37students (boys 28, girls 9) aged 10 years in young sports talent center of Puniversity in 2009 and 2010. And general elementary 19students (boys 10, girls 9) aged 10 years old. The measurement items were exercise stress test, Wingate test, isokinetic muscle function test. Date analyzing method were ANCOVA using SPSS 14.0.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Body compositions: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low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weight, BMI,body fat and %fat. But,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lean body mass. 2. Aerobic exercise capacity: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VO<sub>2max</sub>, respiratory exchange ratio, ventilation and exercise time. 3. Anaerobic exercise capacity: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mean power, peak power and total work. But,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low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ratio of fatigue. 4. Isokinetic muscle function: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extensor and flexor. Therefore, Young sport talent group showed higher results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in aerobic,anaerobic ability and lower extremity isokinetic muscle function,therefore we can conclude to be of help to set-up a norm of selection for young sport talent.

      • KCI등재

        12주간 지속적, 간헐적 운동형태가 중년여성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정주하 ( Joo-ha Jung ),박정준 ( Jung Jun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8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tinuous combined exercise with detraining and retraining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middle-aged women. Methods: Forty women (40-49 ye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inuous combined training group (CCTG, n=10), intermittent combined training group (ICTG, n=10) and continuous aerobic training group (CATG, n=10), intermittent aerobic training continuous group (IATG, n=10). CCTG and CATG was trained for 12 weeks and ICTG and IATG was trained for the first 4 weeks, detrained for the following 4 weeks, and then retrained for the last 4 weeks. CCTG and ICTG conducted a combined exercise program, CATG and IATG conducted an aerobic exercise for 60 minutes a day, 3 days per week. Date analyzing method were two-way repeated ANOVA, one-way ANOVA and scheffe, paired t-test using SPSS 21.0. Results: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measured before and 12 weeks after training. Combined exercise for 12 weeks was effective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body weight, % body fat, 1,600 m walk & run, glucose, HDL-C and triglyceride. However, intermittent combined exercise group was effective only in blood glucose and HDL-C. When aerobic exercise was continued for 12 weeks, it was effective only in % body fat and 1,600 m walk & run, and it was not effective in all items when intermittent. Conclusions: Thus, the combined exercise was more effective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intermittent exercise and continuous exercise than aerobic exercise. However, in intermittent exercise, combined exercise, including strength training, was more effective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an aerobic exercise.

      • KCI등재

        카약과 조정 남자선수의 신체구성과 체력 요인 비교 · 분석

        정주하(Joo-Ha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3

        본 연구는 카약과 조정 일반부 남자선수의 신체구성과 체력적 특이성 차이를 알아보고, 종목별 선수발굴 및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24명의 일반부 남자선수(카약 12명과 조정 12명)를 대상으로 신체구성과 체력요인(근력, 근파워, 민첩성, 무산소성파워, 심폐지구력, 유연성, 등속성근기능)을 측정하여 통계방법 independent t-test로 비교, 분석하였다. 신체조성의 결과 체중에서 카약선수보다 조정선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체지방률과 근육량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체력에서는 악력과 배근력, 서전트점프, 제자리멀리뛰기, 체후굴, 체전굴, 사이드스텝, 20m 셔틀런, 반응시간에서는 그룹간 차이가 없었다. 무산소성 최고파워와 평균파워 그리고 등속성근기능의 경우 허리 신전/굴곡력과 무릎관절의 좌우측 신전근력과 굴곡근력에서 차이가 없었다. 오직 윗몸일으키기와 팔굽혀 펴기에서 카약선수가 조정선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약과 조정경기는 유사한 종목처럼 보이지만, 기술의 차이로 인한 체력적 특이성이 근지구력에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훈련프로그램 적용에 있어서도 카약과 조정선수 모두 근지구력 향상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factors of male athletes taking part in kayaking and rowing,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thlete discovery and training programs for each event.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actors of 24 elite male athletes involved in kayaking and rowing were measured and then compared. The measu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 23.0 software.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s a result, rowing athlet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body weight than the kayaking athlet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body fat percentage and muscle mass.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back muscle strength, sergeant jump, trunk forward flexion, side-step, reaction time (sound), 20m shuttle run, anaerobic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Moreo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xtensor and flexor strength of the isokinetic muscle functions of the trunk and knee. Kayaking athle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than rowing athletes only in sit-ups and push-ups. In conclusion, although kayaking and rowing appear to be similar event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hysical specificity in muscular endurance due to the difference in techniques. It is therefore considered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mproving specific muscular endurance when designing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