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대 정부별 언론정책과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청구의 변화에 관한 연구: 언론중재위원회 자료를 중심으로

        정종윤 ( Jeong Jong-yoon ) 한국행정사학회 2021 韓國行政史學誌 Vol.52 No.-

        언론의 역할과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으나, 한국의 뉴스 신뢰도는 세계적으로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언론의 개선을 위한 정책 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는 가운데 이명박 정부 이후에는 미디어 정책을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정책은 문화 및 콘텐츠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언론정책 연구는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언론정책 연구가 부재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정부별 언론정책 변화와 매체 유형별 조정·중재 청구 건수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별 언론정책과 언론중재위원회에서 진행하는 언론조정·중재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언론중재위원회는 1981년에 설립되었다(언론중재위원회, 2011). 언론의 조정·중재 활동을 하고 있다. 활동치가 높을수록 분쟁과 매체활용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언론중재위원회에서는 2020년 조정·중재처리현황(1981년~2020년)을 공시하고 있다. 해당 자료에는 수치가 매체 유형별로 분류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정부별 언론정책 변화와 매체 유형별 분류 수치를 비교했다. 이를 통해 언론 패러다임 변화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전두환 정부와 노태우 정부 시기에는 강제해직과 통폐합 등 직접 통제 방안을 진행했다.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 시기에는 규범과 법을 통한 간접 통제 방안을 진행했다. 노무현 정부 시기에는 언론개혁을 위한 전자정부 도입 정책이 진행되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기에는 언론을 장악하기 위한 언론통제정책이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언론의 독립성과 공공성이 다시 후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재인 정부에 들어서면서 언론의 독립성을 위한 정책이 진행되고 있었다. 분석 결과 김대중 정부 시기까지는 언론통제정책으로 인해 일간신문 및 주간신문의 비율이 조정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시기부터는 통제정책과 회유정책의 관계없이 특정 매체에 집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언론의 조정·중재 데이터는 정보화 활성화 이후 정부별 언론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되지 않은 언론정책의 변화와 언론조정·중재 데이터를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오늘날 언론은 갈수록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언론정책을 다루는 연구는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향후 언론정책 연구가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media are increasing, but Korea's news credibility is ranked low worldwide. Presented the need for Policy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ess, media after Lee Myung-bak government policy on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However, media policy is a concept that covers culture and content, and the reality is that media policy research is absent. In the absence of media policy research, this study compared changes in media policy by government and the number of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claims by media type. In this study, government-specific media policies and media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conducted by the Media Arbitration Committee were set up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Press Arbitration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1981 (Press Arbitration Committee, 2011). It is coordinating and mediating the media. The higher the activity, the higher the dispute and media utilization of the media. The Media Arbitration Committee (MBC) is announcing the status of mediation and arbitration processing between 1981 and 2020. The data included figures classified by media type. Through this, the government compared changes in media policy and classification figures by media type. Through this, changes in the media paradigm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analysis, during the Chun Doo-hwan administration and Roh Tae-woo administrations, the government conducted direct control measures such as forced dismissal and consolidation. Indirect control through the norms and the law in the Kim Yong-sam and Kim Dae-jung administration time to room. The introduction of e-government policy for the Roh Moo-hyun government, reforming the press.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governments time to dominated the news media blackout policy is going on. This confirmed that the independence and public nature of the media have retreated again. Moon Jae-in, on the government for the independence of media policy is being carried out. Kim Dae-jung government media controls by the time the percentage of daily newspapers and weekly newspapers due to policy analysis result was adjusted is identified. However, sinc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ime to concentrated in certain media, regardless of the policy can be foun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data of the media are not affected by the government's media policies after the information service activ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hanges in media policy and media coordination and arbitration data that have not been studied before. Today the media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However, research on media policy is not going smoothly. I hope that media policy research will be activated in the future.

      • KCI등재

        선형기반 시설물을 위한 Flexible BIM 시스템의 설계

        이승수,이민주,정종윤,서종원,Lee, Seung Soo,Lee, Min Joo,Jeong, Jong Yoon,Seo, Jong Won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2

        Despite the significant benefits of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t is not being vitalized for the facilities that are designed based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s because of the lack of flexibility in manipulating surface models generated based on alignments. Alignment-based design produces a surface model in one piece through the definition of the typical cross-section along the alignment. Therefore, linking these alignment-based 3D surface models, that are not modularized and difficult to partition, to the required attribute information is very difficult This paper presents design of a flexible BIM technology suitable for the alignment-based civil infrastructure by providing the partitioning functionality for surface models, the contents library for cross-sectional design components,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along with the critical functionalities needed for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alignment-based civil infrastructure. 최근 건설 산업은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도입으로 인하여 많은 혜택을 얻고 있다. 하지만 도로나 철도와 같은 선형기반 설계공종의 경우는 구간별 표준횡단면의 정의와 선형의 배치를 통한 서피스(surface)모델을 생성함으로써 3차원 설계가 이루어지나, 현재 설계 소프트웨어에서 제공되는 횡단면 설계요소가 제한적이거나 국내실정에 맞지 않은 점이 많고, 생성된 서피스모델은 선형구간의 시 종점에 대해 일체화 되어있어 공정, 물량, 단가 등의 BIM 소요정보와 세분화된 연계를 위해서는 모델 수정 등의 많은 후속작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D 선형기반설계가 적용되는 사회기반시설물을 대상으로 3차원 모델의 분절 및 속성정보의 운용이 자유로운 '선형기반 인프라시설물을 위한 Flexible BIM 시스템'의 설계를 통하여 BIM의 활용성을 극대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태양광전원과 전지전력저장장치가 연계된 복합배전계통의 수용가전압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용(Soo-Yong Lee),이문석(Moon-Seok Lee),최승규(Seung-Kyu Choi),정종윤(Jong-Yoon Jeong),최성식(Sung-Sik Choi),노대석(Dae-Seok Rh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최근 환경오염 및 화석연료 고갈 등의 문제로 신재생에너지전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조건에 따라 출력특성이 크게 변화하는 태양광전원이 대규모로 전력계통에 연계될 경우, 전압 및 주파수의 변동에 의해 안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태양광전원(PV)이 연계된 배전계통에 전기저장장치(BESS)를 도입하여 출력을 안정화 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전계통의 대표적인 상용소프트웨어인 PSCAD/EMTDC를 이용하여 PV와 BESS가 연계된 복합배전계통을 모델링하고, 이를 이용하여 복합배전계통 모의장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수용가전압 특성 시험을 수행하여, BESS의 충·방전 운영에 따라 수용가 전압을 안정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