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대 인성론의 재인식

        정재상(Jung, Jae-Sa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인성’(人性) 문제는 중국철학의 주요 문제 중의 하나이다. 전국시대 제자백가의 여러 학파들 가운데서도 인간의 ‘성’(性)에 대해 특히 높은 관심을 보인 것은 유가 계열의 사상가들이었다. 맹자와 고자, 순자의 예에서 보듯이, 유가의 ‘성’에 대한 논의는 “성은 선(善)한가 불선(不善)한가”하는 문제가 중심 화제였다. 이 글은 중국 고대의 인성론을 ‘정’(情)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재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성의 선⋅불선 문제’가 유가 철학에 있어 중심 문제로 등장하는 것은 ‘예’(禮)의 실현이라는 유가 철학의 지향과 관련이 있다. 유가의 ‘예’는 인간의 자연적 ‘정’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그런데 ‘자연적 정’ 그 자체가 ‘예’의 실현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다. 유가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발생한다. ‘예에 들어맞는 정’과 ‘자연적 정’은 어떤 관계에 있는 것인가? ‘정’과 ‘예’의 연속성과 괴리성은 어떻게 설명되어야 하는가? 바로 이러한 문제가 선진 유가가 안고 있는 공통된 문제의식이며, 이와 관련해서 ‘성의 선⋅불선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맹자와 순자, 성자명출의 인성론을 재검토해 나가면서 각 학설의 성격이나 이론 구조, 그 근저에 깔린 사유 방식을 살펴본다. 그 과정에서 중국 고대에 등장한 다양한 ‘인성론’은 ‘정’과 ‘예’, ‘자연적 정’과 ‘당위적 정’의 관계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이나 사상적 모색의 성격을 갖는 것임이 밝혀질 것이다. Human nature, or disposition (xing 性), referring to a tendency of the human mind and behavior, has been one of the oldest and the most important philosophical issues in China since the fourth century BCE. Among the Hundred Schools, Confucian thinkers developed their thoughts in relation to human nature. As we know from the well-known disputes between Mengzi and Xunzi, the main issue in their arguments concerned the question of whether human nature is good, or not. This article aims to rethink those discourses on human nature in ancient China, with a focus on each thinker"s approach to human feelings or sentiment (qing 情). The integrity or wickedness of human nature is of importance in their argument because this concept is closely related to a Confucian ethical purpose - the realization of the proprieties (li 禮). In Confucian thought, propriety (li), referring to a socially appropriate form of expression and behavior, is based on natural sentiment. However, the natural and spontaneous expression of sentiment itself cannot ensure that one’s behavior is appropriate in all occasions considering propriety. Thu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sentiment and sentiment appropriate for propriety? How do Confucian thinkers deal with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the two, i.e., sentiment (qing) and propriety (li)? Turning attention 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reexamines each discourse on human nature by Mengzi and Xunzi, including anewly unearthed document entitled “Human Nature Derives from (Heavenly) Order (Xing zi ming chu 性自命出),”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each argument, and their fundamental ways of thinking. This survey attempts to introduce a new perspective on these disputes over human nature, which set out to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entiment and propriety, as well as the critical problem of dealing with natural sentiment and appropriate sentiment.

      • KCI등재

        회절을 고려한 직립 이안제에 작용하는 파력의 공간적 변화

        정재상(Jae-Sang Jung),이창훈(Changhoon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3 No.6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선형파 이론으로 제시된 반무한방파제 주변의 회절에 대한 해를 중첩하여 직립 이안제 주변에 발생하는 회절에 관한 해석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이안제 전면과 후면, 그리고 전·후면에 작용하는 합성파력에 대한 해를 유도하였다. 이안제 전면과 후면에서는 회절파와 중복파, 이안제 양쪽에서 회절한 회절파와 회절파 사이의 간섭에 의해 상대진폭이 공간상에서 주기적으로 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규칙파, 일방향 불규칙파 및 다방향 불규칙파를 대상으로 직립 이안제에 작용하는 파력을 검토하였다. 규칙파 내습시 이안제 전·후 면의 파력을 모두 고려한 최대 합성파력의 경우 회절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최대 1.6배까지 파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Jung et al.(2021)이 반무한 방파제에 대해 회절효과를 고려하여 검토한 결과인 1.34배보다 큰 수치이다. 이안제에 작용하는 최대파력은 규칙파, 일방향 불규칙파, 다방향 불규칙파 순으로 크게 계산되었다. 파랑이 비스듬히 입사하는 경우 이안제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경우보다 최대파력이 크게 나타나는 경우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이안제를 설계할 때, 회절효과, 이안제 전·후면에 작용하는 파력, 파랑의 입사각의 고려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solution for diffraction near a vertical detached breakwater was suggested by superposing the solutions of diffraction near a semi-infinite breakwater suggested previously using linear wave theory. The solutions of wave forces acting on front, lee and composed wave forces on both side were also derived. Relative wave amplitude changed periodically in space owing to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racting waves and standing waves on front sid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iffracting waves from both tips of a detached breakwater on lee side. The wave forces on a vertical detached breakwater were investigated with monochromatic, uni-directional random and multi-directional random waves. The maximum composed wave force considering the forces on front and lee side reached maximum 1.6 times of wave forces which doesn’t consider diffraction. This value is larger than the maximum composed wave force of semi-infinite breakwater considering diffraction, 1.34 times, which was suggested by Jung et al. (2021). The maximum composed wave forces were calculated in the order of monochromatic, uni-directional random and multi-directional random waves in terms of intens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maximum wave force of obliquely incident waves was sometimes larger than that of normally incident waves. It can be known that the considerations of diffraction, the composed wave force on both front and lee side and incident wave angle are important from this study.

      • KCI등재

        감정은 내가 소유한 것인가 - 순자 성정론의 인식론적 지평과 의의 -

        정재상 ( Jung Jae-s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이 글은 순자의 성정론(性情論)이 자리하고 있는 인식론적 지평을 확인하고 그 의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순자』 유효편에 보이는 “감정(情)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언명을 논의의 실마리로 삼아 고찰하였다. 순자의 이 언명은 그 동안 순자 연구나 중국철학 연구에서 전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텍스트상의 `정(情)`자 해석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청대 학자 왕념손의 해석으로 대표되는 통설은 텍스트 원문의 `정(情)`자를 `적(積)`자로 고쳐 읽는 독법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해석의 타당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언뜻 궤변처럼 들리는 순자의 언명은 고대 중국인들이 공유하고 있던 인식론적 사고에 기반해서 발화된 것이다. 그것은 기(氣)의 감응론적 사고라 부를 수 있는 것으로, 인간의 인식이나 감정이 외부 사물의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일어난다고 보는 사고이다. 감정이 기의 감응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는 인식론적 토대 위에서 전국시대의 유가철학은 도덕감정의 발현이 인간의 `자연적 경향성(性)`인가 아닌가를 묻는 철학적 담론의 길로 나아가게 된다. 이것이 바로 “감정은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순자의 언명이 발화된 컨텍스트이다. 이러한 언명은 `감정`을 나와 타인의 관계를 맺어주는 `매개`로서 바라볼 수 있는 시선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순자는 이를 통해 자연 발생적인 감정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위(僞)`의 개입을 가능케 하고 있다. 기의 감응론은 `감정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상태`와 `감정이 이미 발현된 상태`라는 프로세스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다시 감정을 대상화해서 바라볼 수 있는 시선이나 자리를 요청한다. 바로 그러한 시선이나 자리로 이야기되는 것이 `마음(心)`이란 개념이다. 순자철학에서 `마음`은 인식(知)과 사려(慮)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자연성과 인위성의 양면성을 지니지만, 순자는 감정발현을 관조하고 주재하는 `마음`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자연성`(情性)에 대한 `인위`(僞)의 자리를 확보한다. This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epistemological ground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human nature, or dispositions, in Xunzi`s philosophy. Special attention is drawn to Xunzi`s dictum, “Emotions are not what I possess.” This striking statement has rarely been investigated by modern Chinese Philosophers, since the standard interpretation of the phrase altered the Chinses term `情(qing, emotions)` into `積(ji, accumulation of learning),` following the suggestion of Wang Niansun 王念孫(1744-1832). I delve into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ation deeply rooted in the above-mentioned collation after scrutinizing the philosophical context of Xunzi`s statement per se. In ancient China, it was widely believed that emotion as well as thinking (affect and cognition) takes place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which operate on mutual resonance (ganying 感應) of 氣(Qi). The fourth-century BCE Confucian philosophy had an epistemological ground that a certain emotion occurs as a mechanical interaction to a certain Qi. In this context, early Confucian thinkers consequently ask an ethical question as to whether or not moral emotions are human natural dispositions. Furthermore, the dictum that “Emotions are not what I possess, but they are manageable (to be expressed in an appropriate manner)” offers new insight into emotions: they are channels to express oneself and communicate with others. In this scenario, Xunzi makes it possible to artfully control the expression of emotion rather than spontaneously 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Qi. The Qi resonance theory facilitates the cognitive process constituted by emotions` unexpressed state (weifa 未發) and expressed state (yifa 已發). In this process, there still remains a possibility that one can objectify one`s own experience of emotion in the locus known as the mind (xin 心). According to Xunzi, the mind has the following functions: cognition (zhi 知) and consideration (lu 慮). Given its contrasting spontaneous and inhibiting aspects, the mind serves to contemplate and control emotional expression. Hence, the mind is conceived of as an artificial effort in response to natural emotions.

      • KCI등재

        회절을 고려한 반무한방파제 형식의 직립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점별 파력 분포

        정재상(Jae-Sang Jung),이창훈(Changhoon Lee),조용식(Yong-Sik Cho)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6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회절을 고려하여 반무한방파제 형식의 직립구조물에 작용하는 지점별 파력 분포를 검토하였다. 비쇄파 조건에서 직립구조물에 작용하는 규칙파 및 불규칙파의 파력에 대해 방파제 전, 후면의 회절을 모두 고려하여 연구하였다. 방파제의 폭이 0인 조건을 비교 대상의 기준 조건으로 채택하였다. 규칙파의 경우 방파제 두부(head of breakwater)에서는 전후면의 입사파 및 회절파가 동시에 작용하여 상대 파력이 0이 되었으며, 두부에서 멀어지면 상대 파력 1.0을 중심으로 진동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또한 경사입사각이 증가할 경우 규칙파의 상대 파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곱평균의 제곱근비와 파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불규칙파의 상대 파력을 정의하였다. 각 성분파가 갖는 임의의 위상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불규칙파의 경우 방파제 두부 근처에서 규칙파와 마찬가지로 상대 파력이 0으로 나타났으며, 두부에서 멀어질 때에는 다양한 성분파의 합성에 의해 상대 파력 1.0을 기준으로 진동하는 패턴이 비교적 약하게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ave force distribution at points on a vertical structure of semi-infinite breakwater considering diffraction. Wave forces of monochromatic and random waves on a vertical structure are studied considering diffractions in front and lee side of the breakwater for non-breaking wave condition. We selected width of breakwater are 0 for reference condition. In monochromatic wave case, relative wave force becomes 0 on the head of the breakwater by acting incident wave force and diffracting wave force simultaneously and oscillating patterns of relative wave force occurs based on 1.0 as distance from the head increases. Relative wave force of monochromatic waves decreases as incident wave angle increases. Relative wave force of random waves is defined by using ratio of root mean square and wave force spectrum in this study. The case considering random phase of each wave components are compared to the case which don’t consider random phase and both results are almost similar. Relative wave force of random waves is also 0 near the head of the breakwater likewise monochromatic wave. Oscillating pattern of relative wave force of random waves becomes relatively weaker for composition of each wave components as distance from the head increases.

      • KCI등재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수로에서 규칙파의 유속장에 관한 해석해 개발

        정재상(Jae-Sang Jung),이창훈(Changhoon Lee)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2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34 No.3

        본 연구에서는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수로에서 재현된 규칙파의 2차원 유속장에 대한 해석해를 유도하였다. 바닥 조파장치로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이 적용되었다. 선형파 이론과 움직이는 바닥에 대한 경계조건, 동역학적 및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속도포텐셜을 유도하였으며, 이로부터 각 방향 성분의 유속에 대한 해석해를 구하였다. 적분식 형태로 유도된 속도포텐셜 및 유속에 대한 해석해를 수치해석으로 계산하였다. 유도된 해석해는 바닥 조파장치가 설치된 조파수로에서 규칙파의 유속 특성에 대해 물리적으로 타당한 결과를 보였다. Analytical solutions for two-dimensional velocities of regular waves generated by bottom wave makers in a flume were derived in this study. Triangular and rectangular bottom wave makers were adopted. The velocity potential was derived based on the linear wave theory with the bottom moving boundary condition, kinematic and dynamic free surface boundary conditions. Then, analytical solutions of two-dimensional particle velocities were derived from the velocity potential. The velocity potential and two-dimensional particle velocities which were derived as complex integral equations were numerically calculated. The solutions showed physically valid results as velocities of regular waves generated by bottom wave makers in a flume.

      •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호안 상치구조물 형식에 따른 월파량 연구

        정재상 ( Jae-sang Jung ),송현구 ( Hyun Gu Song ),윤재선 ( Jae Seon Yoon ),유임도 ( Im Do Ryu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태풍에 의한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어촌지역의 해안가에 설치되는 호안의 상치구조물 형식에 따른 월파량에 대해 단면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연구하였다. 상치구조물의 형식은 일반적인 직립형, 상치 상단이 돌출된 Nose형, 상치의 전면 형상이 곡면으로 구성된 Flare형을 선정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을 위한 모형의 축척은 1/30을 적용하였다. 입사파랑은 일방향 불규칙파랑을 적용하였으며, 주파수 스펙트럼으로는 Bretschneider-Mitsuyasu 스펙트럼을 사용하였다. 월파량 측정을 위해 500파를 조파한 후 상치를 통해 월파한 유량을 전자식 유량계로 계측하였다. 호안 전면의 피복은 테트라포드(Tetrapod)를 이용한 2층적과 아크로포드(Accropode)를 이용한 1층적에 대해 검토하였다. 수리모형실험 결과 Nose형 상치구조물이 월파저감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검토되었으며, 반사율 저감 성능 측면에서는 Flare형 상치구조물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안 전면의 소파블록에 따른 검토결과 1층적과 2층적의 월파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반사율은 2층적을 적용한 호안이 더욱 낮게 계측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