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혀동맥의 형태

        김희진(KIM Hee Jin),강민규(KANG Mill Kyu),김진학(KIM Jm Hak),박재한(PARK Jae Han),이상섭(LEE Sang Heon),이상헌(LEE Sang Sup),정인혁(CHUNG In Hyuk2)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0 No.2

        연구자들은 한국인 어른 남녀 시신의 머리와 목 61 을 대상으로 깊은 층 육안해부를 시행하여 혀동맥의 형태를 조사하였다 혀동맥이 일어나는 유형은 위갑상동맥, 혀동맥, 그리고 얼굴동맥이 바깥목동액에서 따로 가지를 내어 나뉘는 경우가 563% 호 가장 않았으며, 얼굴동맥과 혀동맥이 강은 가지에서 얼어나 나뉘는 경우 (312%), 그리고 위 강상동액과 혀동맥이 같은 가지에서 나뉘는 경우 (12 5%) 등이 있었다. 혀동맥과 혀동맥의 둘째 부분은 덮는 목뿔혀근 과의 영대학적 관계는 각각 혀동맥의 첫째 부분이 목뿔혀근 뒤에서 심하게 휘어져 깊은 층으로 들어가는 유형 (41 2 %), 그리고 혀동맥의 첫째 부분이 목뿔혀근의 뒤쪽 근육모셔리 바로 뒤흘 지나 깊은 층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661% 로 가장 많았다 목뿔혀근 깊은층에서 혀동맥의 둘째 부분이 달리는 양상은 급하게 위쪽으로 꺾역 달리다가 다시 앞쪽으로 꺾여 혀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경우와 목뿔빼에서 혀쪽으로 완만한 굽이플 이루며 올라가는 경우가 비슷한 반도로 관찰되었다. 입안바닥에 분포하는 혀밑동맥이 혀동맥 셋째 부분에서 나오는 경우슨 전체의 590% 에서만 관창되었으며 그 외는 대부분 얼굴동맥의 턱끝 및동맥 가지가 턱옥뽕근응 옳고 입안바닥에 분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한국인 업안바 닥에는 혀동액이 전체의 59%에서만 분포하며 그외는 영굴동액의 턱끝밑동맥 가지 , 그리고 기타 다른 동맥의 가지들이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의 연결 및 임상적 의의

        정인혁(In Hyuk Chung),윤관현(Kwan Hyun Yoon),라종주(Jong Joo Ra),김동환(Dong Hwan Kim),임중혁(Joong Hyuk Yim),시게노리 다나까(Shigenori Tanaka) 대한해부학회 1998 Anatomy & Cell Biology Vol.31 No.5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 사이의 연결 변이를 한국 사람에서 관찰하여 다른 종족의 것과 비교하고 이런 변이가 갖는 임 상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재료로는 한국성인 팔 72쪽을 사용하였다. 72쪽 중 24예 (33.4%)에서 두 신경 사이에 연결이 있었다. 근육피부신경에서 정중신경쪽으로 연결 가지가 있는 것이 19.5%였고, 그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 것이 6.9%였다. 또 연결가지가 두 개 이상 있는 경우가 5.6%였고 한 예 (1.4%)에서는 근육피부신경과 정중신경이 하나의 줄기로 합쳤다가 갈라졌다.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 가지 않는 경우가 2예 (2.8%) 있었다. 연결가지의 유무와 관계없이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뚫고서 정중신경과 같이 달리다가 다시 가쪽으로 휘어서 달리는 경우가 5.6%였다. 팔을 모은 자세에서 근육피부신경이 부리위팔근을 지나는 곳에서 휘어지는 각도는 평균 159±9.0도였고 두 신경이 함께 달리다 갈라지는 경우는 각도가 더 적어졌다. 이런 각도를 근육피부신경의 압박증상과 관련지워 그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the communicating branch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and the median nerves and to discuss their clinical significance. Seventy two arms from 36 Korean adults were used. Twenty four cases (33.4%) among 72 arms had communications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and the median nerves. In 19.5%, a communicating branch ran from the musculocutaneous to the median nerves and in 4.2% of these a communicating branch formed a loop. A branch running from the median to the musculocutaneous nerves was observed in 6.9%. There were more than two communicating branches between two nerves in 5.6%. The average angle between the musculocutaneous nerve proximal and distal to the coracobrachialis was 159±9�at adduction of the arm. The musculocutaneous nerve did not pierce the coracobrachialis muscle in 2.8%. One case (1.4%) showed partial fusion of the trunks of the musculocutaneous and median nerves. The musculocutaneous nerve ran next to the median nerve after the coracobrachialis muscle and coursed laterally in 5.6% with or without a communicating branch. In these cases, the angle of the musculocutaneous nerve was more acute. The musculocutaneous nerve entrapment is discussed with this angle.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발등동맥과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김중경(Joong Kyeong Kim),정인혁(In Hyuk Chung),이혜연(Hye Yeon Lee),윤관현(Kwan Hyun Yoon),길영천(Young Chun Kil)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1

        발등동맥과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은 손과 발에 조직 결손이 생겨서 수술을 할 때 혈관줄기로 이용되므로, 두 동맥의 형 태 변이는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저자들은 이들 동맥의 형태 변이를 밝히기 위하여 발등동맥은 한국 성인 시체의 발 92쪽에서,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은 발등동맥에서 일어나는 경우 중 50쪽을 선택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발등동맥은 달리는 방향에 따라서 여섯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발등동맥이 첫째 발허리뼈사이공간쪽으로 달려서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을 이루는 경우가 79.3%였다. 발등동맥이 가쪽으로 달리다가 다시 안쪽으로 휘어져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이 되는 경우는 5.4%였다. 발등동맥이 가늘고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으로 계속되지 않는 경우는 8.7%였다. 발등동맥이 발목 부위에서 갈라지면서 끝나는 경우가 2.2%였고, 발등동맥이 가쪽으로 주행하여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는 3.3%였다. 또한 발등동맥이 근막 바깥쪽으로 달리는 경우도 1쪽 (1.1%)에서 발견되었다.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은 첫째 등쪽뼈사이근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유형은 첫째 등쪽발허 리동맥이 첫째 등쪽뼈사이근 위로 달리거나 속으로 주행하는 경우로 72%였고, 둘째 유형은 첫째 등쪽발허리동맥이 첫째 등쪽뼈사이근 아래로 지나는 경우로 22%였다. 셋째 유형은 첫째 등쪽뼈사이근의 위쪽 또는 근육 속으로 첫째 등쪽발허리 동맥이 달리지만 굵기가 가늘어서 이식수술 때 혈관줄기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로 6%였다. Morphological variation of the dorsalis pedis and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ies are important because these arteries are used as flap pedicles during surgery of hands and feet with tissue de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tions in the running pattern of the dorsalis pedis and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ies. We investigated the dorsalis pedis artery in 92 adult cadaver feet and 50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ies that arose from these dorsalis pedis arteries were studied. The dorsalis pedis artery was classifi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its running direction. The dorsalis pedis artery runn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intermetatarsal space and branching into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was observed in 79.3%. The dorsalis pedis artery coursing laterally and becoming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after changing its direction medially was seen in 5.4%. The dorsalis pedis artery was thin and did not connect to the first dorsal metataral artery, split in the region of ankle and came to an end, and ran laterally and did not connect to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in 8.7%, 2.2%, and 3.7%, respectively. The dorsalis pedis artery ran superficial to the deep fascia in 1 of the 92 specimens (1.1%).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and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ran above or into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n 72% and ran below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in 22%. The first dorsal metatarsal artery that was either above or inside the first dorsal interosseous muscle but could not used as a flap pedicle because it was too small was seen in 6%.

      • KCI등재

        한국 성인 비구순에 관한 형태학적 관찰

        원예연 ( Ye Yeon Won ),장준섭 ( Jun Seop Jahng ),정인혁 ( In Hyuk Chung ) 대한고관절학회 1998 Hip and Pelvis Vol.10 No.2

        Twenty-five Korean adult acetabula were cut through the center of the acetabulum at 8 points which were located along the acetabular labrum with even distance. So we could report a morphological study for 175 cross sectional surfaces from 25 acetabular labrums. Triangular shape were observed in 87%, polygonal shape in 12% and thin band(<2mm) shape in 1%. We studied also the pattern how the under surface of the labrum is attached to the bone of the acetabular margin. The labrum sit on the flat bony surface was the most common pattern which was observed in 83% of the surfaces. In 12% of the surfaces, there were the arrow like pattern in which the labrum was sit on the sharp or elevated bony surface. There were slit like recess under the labrum in 36% of 25 labrum which were observed in 24% in inferior part and in 12% in posteroinferior part.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different shape, size and attaching pattern of the acetabular labrum which could be considered in intepretation of MRI and in performing of hip arthroscopy.

      • KCI등재

        해부학용어가 걸어온 길

        정인혁(In-Hyuk Chung),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0 No.4

        이 연구에서는 해부학용어의 기원과 국제해부학용어가 만들어진 과정, 국제해부학용어 제정원칙을 살폈다. 또한 우리나라에 영향을 많이 끼친 일본해부학용어가 발전해 온 과정을 기술하였다. 과거 우리나라 해부학용어는 일본해부학용어를 그대로 받아 사용하였다. 그러나 차츰 대한해부학회에서는 우리용어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용어위원회를 구성하여 용어를 다듬기로 하였다. 용어위원회에서는 우선 용어 다듬는 방향을 세웠고 용어개정의 기본 원칙을 만들었다. 많은 회의를 통해서 용어를 다듬었으며 용어집으로 만들었다. 해부학용어집은 1979년 첫째판을 발행한 이후 다섯 차례 개정하여 2014년 여섯째판 용어집을 만들어 사용중이다. 여기서는 일본용어와의 차이점과 우리말 용어를 다듬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In this study, the origin of anatomical terms, the process by which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s were made, and the making principles of international anatomical terminology were confirmed. We also describe the process in which the Japanese anatomy terminology (Termonologia Anatomica Japonica), which has been influential in Korea, has developed. Most of the past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used the Japanese term. However, the Korean association of anatomists gradual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own terminology and decided to refine the terms by forming a terminology committee. The terminology committee first laid down the direction for refining terms and made the basic principles of revising them. Through many meetings, the terms were refined and made into terminology book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The Korean anatomical terminology has been revised five times since its first edition in 1979 to the sixth edition in 2014. Here, we illustrate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terms and Korean terms and the process of refining Korean terms using examples.

      • KCI등재후보

        겨드랑신경의 분지 변이와 형태계측

        정인혁(In Hyuk Chung),임중혁(Joong Hyuk Yim)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3

        겨드랑신경에서 분지되는 가지는 여러 해부학교과서에 충분히 기술되어 있지 않으며, 네모공간증후군 때 나타나는 다양 한 증상을 이해하는데도 부족함이 많다. 이 연구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한국 성인 시체의 팔 127쪽에서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신경이 일어나는 형태,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나뉘는 유형과 가지가 나뉘는 위치 변이를 밝히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겨드랑신경, 노신경, 가슴등신경이 일어나는 유형을 가슴등신경이 갈라져 나온 곳에 따라 4가지 로 분류하였고 아래어깨밑신경이 분지되는 곳에 따라 각 유형을 다시 세분하였다. 가슴등신경이 일어난 후 노신경과 겨드랑신경이 갈라지는 경우가 42.5%로 가장 많았고, 가슴등신경이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지는 경우가 27.6%였다. 겨드랑신경 뒷가지가 나뉘는 유형은 작은원근가지가 갈라지는 곳을 기준으로 6가지로 분류하였다. 뒷가지에서 작은원근가지가 일어난 후 어깨세모근가지와 가쪽위팔피부신경이 갈라지는 경우가 50.8%였다. 아래어깨밑신경이 겨드랑신경에서 갈라진 경우가 70.9%였다. 겨드랑신경이 팔신경얼기 뒤다발에서 갈라지는 곳은 네모공간의 어깨밑근 모서리부터 평균 61.3mm였고, 부리돌기 끝에서 겨드랑신경 줄기까지의 거리는 평균 39.9mm였다. 네모공간에서 겨드랑신경은 뒤위팔휘돌이동맥의 안쪽 에 있었고 동맥과 신경이 비슷한 높이에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겨드랑신경의 가지가 나뉘는 변이와 그 임상적의미를 고찰하였다. The branches of the axillary nerve and branching pattern of the posterior cord of the brachial plexus are not fully described in the anatomy textbooks.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axillary nerve is needed to understand various symptoms of quadrilateral space syndrome. We studied on the branching patterns and variation of the axillary nerve and posterior cord of brachial plexus in 127 adult cadaver arms. The axillary, radial and thoracodorsal nerves arising from the posterior cord of the brachial plexu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oracodorsal nerve. The most common type (42.5%) was that the three nerves directly arising from the posterior cord. The thoracodorsal nerve branched from the axillary nerve in 27.6%. The posterior branches of the axillary nerve were divided into 6 types by the arising point of the nerve to teres minor muscle. The deltoid branch and lateral superior brachial cutaneous nerve were divided after branching of nerve to teres minor muscle in 50.8%. The lower subscapular nerve was branched from the axillary nerve in 70.9%. We measured the distances from the branching point of the axillary nerve to the inferior border of the subscapularis in the quadriangular space and from the coracoid process to the axillary nerve. The length and motor point of the teres minor muscle were measured. The relationship of the axillary nerve and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was observed. The axillary nerve was always medial to the artery and their superoinferior relationship was variabl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axillary nerve was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인 볼굴대의 위치

        안희준(Hee-Jun Ahn),조호정(Ho-Jung Cho),남용석(Yong-Seok Nam),한승호(Seung-Ho Han),정인혁(In-Hyuk Chung),김인범(In-Beom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3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6 No.4

        볼굴대는 입꼬리 가쪽에서 얼굴의 여러 근육들이 얽혀 덩어리진 곳으로 나이, 성별, 인구집단, 개인에 따른 차이가 있다. 한국인의 경우 시신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볼굴대가 입꼬리사이선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나이가 들면서 얼굴의 표정근육이 처지는 경향이 있는데, 의과대학에서 사용하는 대부분 시신은 나이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살아있는 젊은 사람의 볼굴대 위치를 확인하고 시신을 이용한 연구와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평균나이 24 (21~29)세의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학생 100명이었으며, 연구자가 직접 손을 이용하여 볼굴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실험대상자의 입꼬리를 기준으로 가쪽으로 수평거리와 위?아래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볼굴대는 입꼬리를 기준으로 평균 가쪽으로 14.4 mm, 아래쪽으로 1.6mm에 위치하였으며, 200쪽 중 124쪽(62%)은 입꼬리점보다 아래에 위치하였다. 남녀 간의 수평거리와 오른쪽, 왼쪽의 수직거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유형에 따라 양쪽 볼굴대가 대칭인 경우가 6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나이든 한국인 시신에서 볼굴대 위치를 확인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다수의 한국인에서 볼굴대는 입꼬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Modiolus is convergence of the facial muscles at the angle of the mouth, and its shape and size varying with individual, age, sex and ethnicity. In the previous study, the modiolus was usually located under the horizontal line at the mouth angle. In most medical schools, the cadavers are of later ages and their facial muscles have lost their elasticity as they got ol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modiolus in live young Korean and to compare it with that of Korean cadavers from the previous study. Participants were one hundred students of the catholic medical school with a mean age of 24 years. Experimenter palpated the modiolus of each student with thumb and index finger. The average young live Korean modiolus was located at 14.4 mm lateral to mouth angle and 1.6 mm below the horizontal line of the mouth angle. Commonly, it is located below the mouth angle in 124 sides (62%).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horizontal distance of female and of male, and vertical distance of right and of left. The location of the modiouls was symmetric in 67%.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y using Korean cadaver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ocation of the modiolus is below to the mouth angle in large number of Koreans.

      • KCI등재

        위팔에서 자신경 죄임증후군과 관련된 인대와 근육변이

        원형선(Hyung-Sun Won),오창석(Chang-Seok Oh),한승호(Seung-Ho Han),정인혁(In-Hyuk Chung) 대한해부학회 2009 Anatomy & Cell Biology Vol.42 No.4

        자신경 죄임증후군은 손목굴증후군 다음으로 흔한 팔의 신경죄임증후군으로 주로 팔꿈치굴에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나, 신경이 달리는 길 주위에 있는 구조들의 변이에 의해 다른 부위에서도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연구는 위팔에서 자신경 죄임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는 인대와 근육 변이를 밝히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한국 성인 시신 50구의 팔 100쪽을 사용하였다, 스트러더활은 34%에서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좁은 띠모양이었으나, 드물게 60mm로 넓어져 있는 경우도 있었다, 스트러더활은 안쪽위관절융기로부터 평균 78.1±1.9mm 몸쪽에 있었다. 속위팔인대는 17%, 도르래위팔꿈치근은 3%에서 관찰되었다. 위팔세갈래근 안쪽갈래가 자신경을 감싸거나 덮고 있는 경우가 5%였다. 이 연구는 위팔에서 자신경을 누를 수 있는 인대와 근육변이를 밝힘으로써, 자신경 죄임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진단하고 치료하는데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Compressive neuropathy of the ulnar nerve occurs commonly at the cubital tunnel, but it can also be occurred by the anatomic variations of the structures on the ulnar nerve passage. This study was thus performed to clarify the variations of the ligaments and muscles, which can cause the ulnar nerve entrapment syndrome in the upperarm. One hundred arms of 50 Korean adult cadavers were used. The arcade of Struthers, a musculo-tendinous band from the medial head of the triceps brachii to the medial intermuscular septum, was observed in 34% of the cases. This arcade was mostly in a narrow-band shape, but a broad-band shaped arcade was sometimes observed. The internal brachial ligament was observed in 17% of cases. The epitrochleoanconeus muscle between the medial epicondyle and the ole-cranon was observed in 3% of cases. The ulnar nerve was wrapped or covered by the medial head of triceps brachii in 5% of ca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further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anatomic variations of ligaments and muscles on the ulnar nerve passage, and to be helpful data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ulnar nerve entrap-ment syndrome in the upper arm.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Rib Seriation Using Analysis of Quantitative Methods in Koreans

        Deog-Im Kim(김덕임),Seung-Ho Han(한승호),Yi-Suk Kim(김이석),Dae-Kyoon Park(박대균),U-Young Lee(이우영),In-Hyuk Chung(정인혁) 대한체질인류학회 2009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2 No.2

        한국인 유골을 이용한 신원확인에서 갈비뼈순서맞추기는 시도된 적이 없었다. 정확한 갈비뼈순서맞추기는 갈비뼈 순서의 유추와 사망당시의 나이추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증명된 양적 방법을 이용하여 한국인 갈비뼈의 정확한 순서를 추정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에 있다. 54명의 완벽한 갈비뼈들을 이용하여 3개의 항목을 계측하였다. 계측항목은 갈비뼈 결절의 관절면에서 갈비뼈각까지의 거리(AFTAL), 갈비뼈머리에서 관절면까지의 거리(HAFL), 그리고 위갈비가로능선높이(SCTCH)이다. AFTAL와 SCTCH 항목이 갈비뼈순서를 추정하는 데 있어 HAFL 항목보다 더 유용하였으며 AFTAL 항목은 성별판별을 위한 판별식들 중 정확도가 높으며 가장 간단한 방정식을 만들 수 있었다. AFTAL 항목을 이용한 갈비뼈순서의 유추는 정확한 순서를 유추할 확률은 79%이었으며 갈비뼈순서 유추의 오류범위는 ±4이었다. 유럽인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와 비교하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가 더 정확도가 높았다. 이 연구에 사용된 넷째 갈비뼈의 정확한 유추는 AFTAL 항목과 AFTAL과 SCTCH 항목을 같이 사용하여 실시한 방법이 94%로 가장 높 았다. AFTAL 항목이 갈비뼈순서를 유추하는 데 있어 가장 정확도가 높았으며 SCTCH 항목의 경우 이 항목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AFTAL 항목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정확도가 높았다. 이러한 높은 정확도와 유추력은 한국인의 갈비뼈순서맞추기에 양적 방법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ib seriation has not been used to identify individual human skeletal remains in Koreans. Accurate rib seriation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rib number and for establishing an individual’s age at dea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se a previously published quantitative method to correctly predict rib sequencing in Koreans. We used complete rib sets of 54 individuals and measured three variables: AFTAL (articular facet of the tubercle-toangle length), HAFL (head-to-articular facet length), and SCTCH (superior costo-transverse crest height). AFTAL and SCTCH were more useful than HAFL for predicting rib seriation, and AFTAL produced the simplest equation for determining sex. In the ranking, the cumulative percentage of AFTAL was 79% with an error of 0, and the range of seriation error was ±4. Compared to other studies using European measures, AFTAL showed greater accuracy of rib seriation in this study of Korean ribs. In fact, both AFTAL and AFTAL with SCTCH accurately predicted rib 4 in 94% of cases. AFTAL was the most accurate, and use of both SCTCH and AFTAL yielded better results than either alone. Thus, the high accuracy and predictive ability showed that this method is useful for measuring rib seriation in Koreans.

      • KCI등재후보

        손뒤침근 부위에서 깊은노신경의 죄임증후군과 관련된 국소해부학적 변이

        원형선(Hyung-Sun Won),허미선(Mi-Sun Hur),오창석(Chang-Seok Oh),정인혁(In-Hyuk Chung)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2

        깊은노신경은 짧은노쪽손목폄근의 안쪽모서리, 손뒤침근 속으로 들어가는 부위, 이 근육의 두 층 사이, 그리고 신경이 빠져나가는 손뒤침근의 아래모서리에서 압박을 받을 때 죄임증후군이 일어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부위에서 깊은노신경과 관련있는 계측 및 신경과 접한 근육 구조들의 변이를 밝히는데 있다. 재료는 한국 성인 시신 66구의 팔 124쪽 (남자 60쪽, 여자 64쪽, 평균 나이 72살)을 사용하였다. 양쪽 위관절 융기를 이은 선을 기준으로 노신경이 얕은 및 깊은노신경으로 나뉘는 곳은 몸쪽으로 평균 16.8±12.8mm에서 먼쪽으로 평균 7.8±5.0 mm 사이였고, 프래제(Fröhse)활까지는 평균 32.2±6.6mm였다. 깊은노신경이 손뒤침근 사이를 지나는 평균길이는 35.1±8.0mm였다. 프래제활은 반원모양(68.6%)이나 완만한 곡선모양(31.4%)을 이루고 있었다. 활의 가장자리는 힘줄과 힘살이 섞여있는 경우가 61.3%였고, 힘줄 또는 힘살로만 된 경우는 각각 26.6, 12.1%였다. 손뒤침근은 깊은노신경이 지나가는 부분을 기준으로 두 층으로 쉽게 분리되나 깊은노신경이 빠져나가는 아래모서리에서 두 층의 근육섬유가 서로 붙어 있었다. 깊은노신경이 손뒤침근 속에서 노뼈몸통을 돌아 달리는 각도는 쇠더듬자를 깊은노신경과 일치시켜 앞뒤 및 가쪽 방사선 사진을 촬영한 후 신경이 노뼈 몸통과 이루는 각도를 계측하였으며, 앞뒤영상에서 평균 23.4±4.6도, 가쪽영상에서 평균 13.7±5.3도였다. 손뒤침근 아래모서리에서 손뒤침근의 얕은 층이 힘줄로만 되어 있는 경우는 61.5%, 힘줄과 힘살로 되어 있는 경우는 17.3%였고, 힘살로만 되어 있는 경우는 12.5%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손뒤침근의 몸쪽, 근육사이, 먼쪽에서 깊은노신경이 눌림으로써 죄임증후군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형태학적 변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The deep radial nerve could be compressed by the medial border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muscle, superior or inferior border of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supinator muscle and pathologic structures between two layers of the supinator musc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topographic relationships between the deep radial nerve and the supinator muscle in the place where the entrapment syndrome of the nerve could be occurred. Sixty-six Korean adult cadavers (124 arms) were used. The angles of the deep radial nerve with the radius were measured on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a line through the tips of both epicondyles of the humerus, and the division sites of the radial nerve into superficial and deep branches, was 16.8±12.8 mm in the cases where the division sites were proximal to the line, and 7.8±5.0 mm in the cases where the division sites were distal to the line. The arcade of Fröhse was 32.2±6.6 mm apart from the line connecting both tips of humeral epicondyles. The average length of the deep radial nerve covered by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supinator muscle was 35.1±8.0 mm. The arcade of Fröhse was classified into two types; semi-circular type in 68.6% and dull curved line type in 31.4%. The lateral border of the arcade of Fröhse was composed of muscle, tendon, and both muscle and tendon in 12.1%, 26.6%, and 61.3%, respectively. The muscle fibers of two layers of the supinator muscle were fused with each other, at the area where the deep radial nerve came out between two layers of the muscle. The average angles of the deep radial nerve with the radius, were 23.4±4.6�and 13.7±5.3�, on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respectively. The inferior border of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supinator muscle was composed of tendon, muscle, and both muscle and tendon in 61.5%, 12.5%, and 17.3%, respectively. We discussed about the morphologic variations which could cause the entrapment syndrome of the deep radial nerve in the proximal and distal portions of the supinator muscle, and between the superficial and deep layers of the mus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