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거비용이 청년층의 가구형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의철 ( Eui Chul Chung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2 不動産學硏究 Vol.18 No.2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formation of young adult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effects of housing costs. Based on KLIPS data in 2004 and 2008, probit models were estimated to understand household formation behavior of young adults with 20 to 35 years of age.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 age and labor income of young adults are important factors for young adults to leave their parental homes and to form new households, their marital status i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The marginal effect analysis shows that when a young adult is married, the probability of forming a new household increases as much as 78%. Chonsei price as housing costs is also found to be influential to household formation of young adults. An increase of Chonsei price as much as 10 million Won decreases the probability of household formation as much as 1.3 percent. If the annual rate of increase in Chonsei price is 10 percent point higher, the probability decreases as much as 0.2 percent.

      • KCI등재

        재건축과 주택가격 : 기대효과와 실현효과

        정의철(Eui-Chul Chung) 한국부동산연구원 2002 부동산연구 Vol.12 No.2

        신규택지가 거의 없는 서울과 같은 지역에서 재건축은 증가하는 주택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대안으로 여겨졌다, 일반적으로 재건축이 이루어지게 되면 재건축 이후 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기존 주택보유자는 재건축을 통한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이득은 주택가격에 자본화된다. 재건축의 주택가격 자본화효과는 두 가지로 나타날 수 있는데 첫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재건축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고 이러한 기대가 주택가격에 반영되는 재건축 기대효과이며 둘째, 재건축을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표출되면서 나타나는 재건축 실현효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감안가격모형을 통하여 2001년 4월 기준의 강남구 아파트가격 및 해당 아파트 특성에 관한 자료를 통하여 재건축 기대효과와 재건축 실현효과를 추정하였다. 재건축 기대효과는 해당 아파트의 경과년수를 통하여 추정하였는데 재건축 기대효과는 일정시점이 경과된 이후 나타나고 있으며 해당 아파트단지의 가중평균규모가 작을수록, 해당 아파트 단지의 총 세대수가 많을수록 더욱 이른 시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재건축 실현효과는 재건축을 위한 실질적인 행동이 표출된 경우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재건축 실현효과도 아파트 규모와 아파트 단지의 총 세대수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파드 매매가격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재건축 계획이 진행되고 있는 아파트의 평균 규모와 총 세대수의 평균에서 계산된 재건축 프리미엄은 약 18% 이었으며 아파트 평당 매매가격 기준으로는 약 22%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자가주택소유의 묵시적 소득을 고려한 소득불평등 연구

        정의철 ( Eui Chul Chung ),김진욱 ( Geneuhc Kim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09 不動産學硏究 Vol.15 No.3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imputed income from owner-occupied housing on household`s income inequality. An ower-occupier earns implicit income from not paying rent for her house whereas she has to pay rent if renting. This imputed income is found to take unignorable portion of the household`s total income. Using KLIPS data in 2005, we measured total income inequality and then decomposed it by income sources including imputed income from owner-occupied housing. We then analyzed the marginal contribution of imputed income to total income inequality. It was found that, based on owner-occupier sample, the Gini coefficient of imputed income was 0.55, higher than that of labor income but much lower than other income sources such as financial income and property income. The relative marginal impact of imputed income on total income inequality was-0.023, meaning that 1% increase in imputed income decreases total income inequality by 0.023%. Imputed income worked as an equalizing factor of total income inequality for owner-occupiers. Based on full sample including non owner-occupiers, the Gini coefficient of imputed income was found to be 0.73, greater than that from owner-occupier sample. The relative marginal impact of imputed income was 0.007, meaning that imputed income has a negligible impact on total income inequality. These results indirectly suggest that government policies to support homeownership can moderately contribute to lessen income inequality.

      • KCI등재후보
      • 공공임대주택 입주자편익 배분에 관한 연구

        정의철(Eui-Chul Chung)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1999 재정논집 Vol.13 No.2

        While distributional consideration is one of important elements in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housing policies, most of the existing analyses have been focused on the efficiency aspect by comparing public housing provision costs with tenant benefits. In this paper, benefit distribution among public housing tenants is modeled and empirically estimated using a sample of households lived in Seoul.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vertical equity is not well achieved in current public housing programs; higher income tenants get more benefits than do lower income tenants.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current tenant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rent payment formula are not income conditioned but just designed by household types. Introduction of income conditioning is essential to improve distributional consequences of current public housing programs.

      • KCI등재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분석

        정의철(Eui-Chul Chung),이경애(Kyung-Ae Lee)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패널자료 8차년도부터 11차년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주 연령이 만 55세 이상인 고연령 소유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이동과 주택점유형태의 결정에 대한 프로빗모형을 추정하였다.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은 주로 가구주의 교육수준, 건강상태, 건강상태의 변화 및 가구원 수의 변화와 같은 인구학적 요인에 의해 주로 결정되며, 주택자산비율과 같은 유형별 자산구성 비율도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주거이동 후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에는 가구주의 고용상태와 주거비용 차이의 영향력이 높았으며 또한 자산구성 비율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나 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연령대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는데 주택자산비율은 가구주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유에서 임차로의 주택점유형태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융자산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인 65세 이하 가구의 경우에 주택을 소유할 확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이동 비율은 해당 분석기간인 3년 동안 약 6%로 낮은 수준이 었으며 주거이동 후 주택을 임차한 비율은 45%로 나머지 55%는 주거이동 후 주택을 다시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은 해외 연구 결과들이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로 인구학적 요인에 의해 유발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총자산에서 주택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고연령 소유가구를 중심으로 주거이동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가구들은 주거이동 후 궁극적으로 거주주택을 처분하고 주택을 임차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나 처분시기는 높은 연령에 도달하였을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Determinants of residential mobility and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of older homeowners are empirically examined. Employing KLIPS panel data from 2005 to 2008, univariate and bivariate probit models were estimated using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meowning households of ages over 55.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of older homeowners are mainly influenc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education, health status and its change,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ratio of housing asset to total asset also affects their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 Their housing tenure choice decisions after moving are generally affected by the difference of housing costs between owning and renting and also by the housing asset ratio. In particular, housing asset ratio has differential impacts on housing tenure decisions by the head's ages: housing asset ratio has a greater impact on the transition from owning to renting at a higher range of the head's ag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주택점유형태의 동태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의철(Eui Chul Chung) 한국주택학회 2017 주택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개별 가구의 시점간 주택점유형태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현상에 초점을 두어 상태의존성이 주택점유형태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자가 거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4년부터 2015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동태모형에서 나타나는 초기조건문제와 개별가구의 관찰되지 않는 이질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동태적 확률효과 프로빗 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우리나라 가구의 자가 거주 선택에는 실질적인(true) 상태의존성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가구주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계층 내에서의 상태의존성의 영향력은 젊은 연령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젊은 연령계층에서 상대의존성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젊은 연령계층의 임차 가구가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임차에서 자가로의 주거 상향이동에 대한 선호가 낮았기 때문이었다. 자가 거주의 상태 의존성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주요 변수들의 자가 거주 선택에 대한 한계효과를 보면 소득이 자가 거주 선택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연령계층에 비해 젊은 연령계층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젊은 연령계층의 자가 거주 비율을 높이는 것이 정책 방향이라고 한다면 이들의 소득 창출 능력을 높이고 안정적으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넓히는 것이 유용한 정책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a dynamic nature of housing tenure decisions with a special emphasis placed on state dependence of owner-occupation. Using the KLIPS panel data from 2004 to 2015 and selecting a sample of households whose heads are under age 55 in 2004, a dynamic random effects probit model is estimated to control for the effect of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on housing tenure decision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rue state dependence is present in the households’ housing tenure decisions. Those who were homeowners in the previous year are more likely to be homeowners in the current year. The marginal effect of state dependence of owner-occupation is estimated to be 0.517 and the magnitude of state dependence is higher for the older age groups. Within each age group, the magnitude of state dependence is found to be higher for the younger age group under age 35. The primary reason for this result is that younger renters’ propensity to become homeowners is less than those of the older renters.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state dependence of owner-occupation,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choosing owner-occupation disappear except age, indicating that state dependence variable captures most of the effects of taste shifter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However, permanent income, net wealth, and relative housing cost remain to be significant factors to affect housing tenure decision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