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정의수(Eui-Soo Chung),조무환(Mu-Hwan Jo),김종근(Jong-Keun Kim),남덕우(Deuk-Woo Nam),진성주(Sung-Joo Jin),장석윤(Suek-Yoon Jang),강희설(Hee-Seol Ka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수확시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을 구명하고자 2010년 4월 19일 파이오니아 31N27 품종을 수원 지방에 파종하였다. 7월 10일부터 9월 2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수확하여 건물률과 수량조사를 하였다. 경엽의 건물률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꾸준히 증가하다가 9월 10일 가장 높은 58.5%를 보였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고 (p < 0.05), 암이삭의 건물률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 건물률도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p < 0.05) 8월 11일에 사일리지 조제에 적합한 건물률 30%에 도달 하였다. 총건물에 대한 암이삭의 건물함량 비율은 출수 이후부터 증가하여 (p<0.05) 9월 20일에는 63.2%에 이르렀다. 암이삭의 건물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나 경엽 및 전체의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9월 10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였다(p<0.05). 회귀식에 의한 결정계수(R-square)는 경엽은 0.57로 낮은 반면 암이삭의 상관계수는 0.92, 총 건물수량은 0.90, TDN 수량은 0.93으로 높게 나타났다. Pioneer 31N27 variety was planted on April 19 at Suwon to determine agronomic and silage traits over time. Ten harvest times was made at intervals of 10 days beginning July 1 to September 20, 2010. Stalk dry matter (DM) content increased with maturity, the highest by 58.5% on September 10 and then decreased (p<0.05). Ear and whole-plant DM content increased linearly with maturity, and whole-plant DM reached by 30% on August 11. Ear DM to whole-plant DM increased with maturity and reached by 63.2% on September 20. Ear DM yield increased with maturity, and stalk, whole-plant and TDN yield were the highest on September 10 and then decreased (p<0.05). A regression coefficient for DM yield with maturity were 0.57 for stalk, 0.92 for ear, 0.90 for whole-plant and 0.93 for TDN yield.

      • 돼지분뇨슬러리의 액비조내 저장깊이별 고형물 및 질소, 인의 함량분포에 관한 연구

        정광화,정의수,박치호,곽정훈,최동윤,유용희,Jeong, Kwang-Hwa,Chung, Eui-Soo,Park, Chi-Ho,Kwag, Jung-Hoon,Choi, Dong-Yoon,Yoo, Yong-Hee 한국축산환경학회 2006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2 No.3

        본 연구는 돼지분뇨 슬러리의 액비화시 저장깊이(매 30m 깊이별)에 따른 액비의 수직 적층형 단면을 구분하여 각 단면별로 유기물 및 질소와 인의 농도변화 및 고형물의 분포 형태를 분석하여 액비의 수직 단면별 특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전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총고형물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총고형물중에 함유된 용해성 물질은 감소하였다. 2. 침전깊이별 오염물 농도는 깊이에 따라 증가하여 저장조 전체깊이 대비 약 70% 정도 내외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총질소와 총인 역시 침전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총 인의 경우에 있어 더 뚜렷했고 질소의 농도변화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4. 저장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Cr과 Ni 등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그 증가 경향치는 SS의 농도변화와 유사하였다. This paper describes the changes of characteristics of pig slurry according to storing depth. Most of the substances containing pollutants, such as were Management of manure and wastewater from animal confinement facilities is a critical factor for pollution control. With proper treatment processing method in both solid and liquid forms, it can be used as a fertilizer and soil conditioner. In Korea, liquid-manure handling system is very popular because its treatment and application is easy and labor saving. In the storage tank treatment, the period of fermentation process and solids-liquid separation averages six months and the supernatant liquid is being used as a fertilizer.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 slurry at varying depths of the storage tank were investigated. Results showed that the pH value of the fermented pig slurry was > 7, while the major pollutants such as BOD, SS, N and P were highest in the bottom of the tank.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proved that varying depths in the storage tank can influenc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of the fermented pig slurry.

      • KCI등재

        총체 벼의 직파시기에 따른 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김종근(Jong Geun Kim),정의수(Eui Soo Chung),이종경(Joung Kyeong Lee),임영철(Young Chul Lim),윤세형(Sei Hyung Yoon),김맹중(Meing Joong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1

        본 시험은 직파시기가 총체 벼의 수량 및 사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축산과학원 초지사료연구센터 시험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총체 벼 품종은 남일벼로 하였고 4월 25일부터 6월 4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직파하였고 5월 25일 이앙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출수기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지연되었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및 NDF 함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평균 TDN 함량은 61.5%이었고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되었다. 건물수량은 4월 25일 직파 및 5월 25일 이앙구에서 각각 15,185 및 15,815 ㎏/ha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직파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량적인 감소가 있지만 답리작 수확과 연계할 때 5월 중순경 직파를 하는 것이 연중 조사료 생산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rect seeding time on the yield and quality of whole crop rice at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s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from 2005 to 2006. Whole crop rice variety, “Namil”, was direct seeded at five different calender date (25 April, 10 May, 25 May, 4 June and transplanted at 25 May). The heading date was delayed at late seeding date. Crude protein (CP) was increased with delayed direct seeding date. The content of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NDF(neutral detergent fiber) increased with delayed seeding date. The average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content was 61.5% and it also decreased with delayed direct seeding date. The highest DM (dry matter) yield was seeded at 25 April and transplanted at 25 May, 15,185 and 15,815 ㎏/ha, respectively. Although delayed direct seeding date decrease the DM yield, mid-May will be recommendable as proper direct seeding date.

      • 고상식 육성비육돈사에 적합한 환기시스템에 관한 연구

        유용희,송준익,최동윤,정의수,전경호,이풍연,김상우,정종원,Yoo, Yong-Hee,Song, Jun-Ik,Choi, Dong-Yoon,Chung, Eui-Soo,Jeon, Kyoung-Ho,Lee, Poong-Yeon,Kim, Sang-Woo,Jeung, Jong-Wo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 국내 여건에 적합한 돈사시설과 분뇨처리가 일체형으로 조합된 고상식 돈사를 개발하는데 있어 1차적으로 적합한 환기 시스템 선발을 하고자 수행하였다. 고상식 돈사는 가로 29m, 세로 9m, 높이 7.5m 이며, l층 높이는 3.1m, 2층 높이는 2.4m 설계 건축하였다. 각 처리별 환기시스템은 l층으로 부터 2층 중천장까지 처리별로 칸막이를 고상식 돈사 내에 설치하였다. 각 처리별 환기방식은 덕트입기$\rightarrow$측벽배기 (처리 V1), 처마입기 (측벽 천장)$\rightarrow$측벽배기 (처리 V2), 천장입기$\rightarrow$측벽배기 (처리 V3) 3개 환기방식을 조사하였다. 공기흐름도와 공기유속을 조사하였다. 공기유속 조사시 환기량은 최소, 중간, 최대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덕트입기에서 공기흐름도는 2층과 l 층에서 비교적 균일한 수직 하강흐름을 보였고, 처마입기 (측벽천장)는 2층과 1층에서 대칭의 공기유동 하강흐름을 보였다. 천장입기는 중천장을 따라 공기가 우산형태로 퍼지면서 배출되고 느린 공기유속 보이며 l층으로 하강흐름을 보였다 최소환기량일때 하부지점 (돈방 바닥으로부터 80 cm)의 공기유속은 덕트입기, 처마입기 그리고 천장입기 비슷한 경향이었다. 최대환기량일때 덕트입기에서 하부지점의 공기유속이 (0.10~0.26 m/s)로 변화폭이 적었고, 처마입기에서는 공기유속은(0.12~0.63 m/s)로 변화의 폭이 넓고, 천장엽 기는 공기유속이 (0.07~0.15 m/s)로 느리며 변화폭이 적었다. 이상의 결과 덕트입기를 고상식돈사에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나, 돼지 사양과 실증시험으로 좀 더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itable ventilation system for high-rise hog building (HRHB) for growing-fattening with combined slatted floor pen in second story and in situ manure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e HRHB was constructed as 29m long, 9m wide and 7.6m high for outer dimension with an indoor height of 3.1m and 2.4 for lower and upper floor, respectively. Ventilation systems for each treatment were installed in separated rooms of HRHB. The ventilation types installed in each room were following 3 types: ventilation type 1 (V1), where air was pulled through a circular duct inlet and exhausted by fans; ventilation type 2 (V2), where air was pulled through eave inlet (side ceiling inlet) and exhausted by fans; and ventilation type 3 (V3), where air was pulled through baffled ceiling inlet and exhausted by fans. For each ventilation system, investigated air velocity under minimum, medium and maximum ventilation ratio and air flow pattern insid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air flow pattern from top to bottom, V1 showed a homogeneous vertical type, V2 showed a bilateral symmetry type and V3 showed an vertical umbrella type. Under minimum ventilation ratio, air velocity in upper floor (80cm above the slated floor) was similar for V1, V2, and V3. Under maximum ventilation ratio, air velocity in upper floor was undeviating for V1 (0.10~0.26m/s) and varied for V2 (0.12~0.63m/s) while those for V3 was relatively slow and less varied (0.07~0.15m/s). In conclusion, Duct inlet type (V1)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HRHB with additional evaluations such as field test hog feeding.

      • 양돈농가의 분만돈방 및 분만틀 사용 실태조사

        전중환,송준익,전병수,정의수,최희철,강희설,김두환,Jeon, Jung-Hwan,Song, Jun-Ik,Jeon, Byoung-Soo,Chung, Eui-Soo,Choi, Hee-Chul,Kang, Hee-Seol,Kim, Doo-Hwan 한국축산환경학회 2010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6 No.2

        본 실태조사는 분만돈방과 분만틀 사용실태를 조사함으로써 분만돈의 동물복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체 사육시설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만돈방은 크게 형태별로 수직형 분만돈방과 사선형 분만돈방 두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분만틀은 압사방지 바(Bar)의 형태를 기준으로 수평형(Horizontal bar) 분만틀, 수직형(Vertical bar) 분만틀로 구분되었다. 기타 시설물에 대한 조사결과, 조사농가의 전체가 니플형 급수시설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약 80%가 습식급이기를 사용하고 있었고, 조사 농가의 약 40%가 전체틈바닥, 약 60%가 부분 틈바닥이었으며, 분만돈 두당 최소 $3.9\;m^2$ 이상의 면적을 제공하고 있었다. 국내의 다양한 사육시설과 환경으로 인하여 일괄적인 구조개선이나 새로운 사육시설의 적용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이러한 국내 양돈농가의 실태조사 자료들을 동물복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체 사육시설을 개발하는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mensions of farrowing accommodation and farrowing crate by types. Farrowing crates are used to prevent the crushing death in the swine industry generally but farrowing crates include many problems in the animal welfare viewpoint: e.g. restriction of movements and maternal instincts. Therefore, the studies of alternative systems have been discussed for a while in U.K., U.S.A. and Canada. We surveyed eight farms for about eight months. To accurately compare the farrowing housing, small scale swine farms (3,000hd or less) were excluded from all data in this survey. Lactating accommodations were divided into vertical lactating accommodation type and diagonal accommodation type, and farrowing crates were divided into vertical bar type and horizontal bar type. In this survey, nipple waterer, partial slotted floor and total slotted floor were 80%, 40% and 60% respectively, and the lactating accommodations' dimensions ranged from 3.90 to $4.92\;m^2$. We believe that these data of the survey contribute to develop alternative systems and then contribute to improve the animal welfare in Korea.

      • KCI등재후보
      • KCI등재

        In situ 방법을 이용한 수확시기별 총체벼 사일리지의 한우 생체 사료가치 평가

        최창원(Chang Weon Choi),정의수(Eui Soo Chung),홍성구(Seong Koo Hong),오영균(Young Kyoon Oh),김종근(Jong Geun Kim),이상철(Sang Cheol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반추위 및 십이지장 cannula를 동시장착한 거세한우 3두 (평균체중 623±18.5 ㎏)를 공시하여 in situ 기법으로 수확시기별 총체벼 사일리지의 한우 생체 영양소 분해율 및 TDN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총체벼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 (평균 4.81%)은 황숙기를 제외하고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체벼 사일리지 건물의 반추위 시간대별 분해율은 유숙기에서 배양 후 12시간 이후부터 다른 수확시기에 비해서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추위 단백질 a-fraction은 유숙기에서 호숙기에 비해 유의성있게 높았고 (p<0.05), b-fraction의 경우, 황숙기와 호숙기가 다른 수확시기의 총체벼 사일리지보다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반추위 EPD는 황숙기가 다른 수확시기에 비해 수치적 (호숙기 및 유숙기) 및 통계적 (완숙기)으로 높게 나타났다. 소화장관별 총체벼 사일리지 단백질 소화율에서는 전체적으로 수확시기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우 생체 사료가치 평가를 통한 총체벼 사일리지의 TDN은 황숙기가 다른 수확시기에 비해 통계적 (유숙기) 및 수치적 (호숙기 및 완숙기)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거세한우 생체 내 총체벼 사일리지는 황숙기에 수확 시 그 사료가치가 가장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다 정확한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서 in vivo 반추위발효 패턴 탐색 및 수확시 영양소 손실 최소화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ree Hanwoo steers (BW 623 ± 18.5 ㎏) with ruminal and duodenal cannulae were used to investigate nutrients degradability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of whole crop rice silage (WRS) harvested at different mature stages using in situ technique. Crude protein content (mean 4.81%) decreased with progressed maturity at harvest except for WRS harvested at yellow stage. Ruminal dry matter degradability of WRS at milk stage tended to be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tages during the entire incubation time from 12 h post-incubation. The rapidly degradable N (a-fraction) of WRS harvested at milk stag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WRS at dough stage whereas the slowly degradable N (b-fraction) of WRS harvested at yellow and dough stages were statistically (p<0.05)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WRS. Effective protein degradability (EPD) of WRS harvested at yellow stage was numerically (compared with dough and milk stages) and statistically (compared with mature stage) higher than EPD of the other WRS. Protein digestibility of WRS at different gastric tracts did not differ (p>0.05) between the harvest stages. TDN of WRS harvested at yellow stage in Hanwoo steers was statistically (compared with milk stage) and numerically (compared with dough and mature stages) higher than TDN of the other WRS. Overall, taking present feed evaluation into consideration, WRS harvested at yellow stage may be recommended for Hanwoo steers. Further studies on in vivo rumen fermentation pattern and minimizing nutrients loss during harvest should be required for accurate feed evaluation.

      • KCI등재

        예건기간이 라운드베일 목초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종근(Jong Geun Kim),정의수(Eui Soo Chung),서성(Sung Seo),함준상(Jun Sang Ham),김맹중(Maeong Joong Kim),이종경(Jong Kye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6 No.1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anagement practice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grass silage at experimental field of grassland and Forage Crops division,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Suwon from 1997 to 1998.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of three different wilting days : 0 (unwilted), 0.5 and 1 day with three replications. Crude fiber content was increased with prolonged wilting period, but other components did not show any tre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content between wilting period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VDM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between one-day wilted and unwilted silage. Dry matter (DM) content changed from 23.7% to 40.5% in relation to prolonged wilting period. Wilting treatment caused a decrease in each organic acid content of round baled grass silage and an increase in the silage quality. Wilting also could reduce the DM los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one-day wilting would be a recommendable method for making high quality round baled grass sil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