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동기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정은경(Eun Kyoung Jeong),임만엽(Man Youb Im),우희곤(Hee Gon Woo),김대영(Dae Yo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2

        멀티미디어 통신에 있어서 복수의 미디어간의 동기 기능이 요구됨에 따라 멀티미디어용 동기 기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기법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동기계층을 2개의 부층으로 구성하였다. 멀티미디어 통신에 있어서의 동기계층 프리미티브와 PDU(Protocol Data Unit)를 제안하며 제안된 프리미티브와 PDU를 이용하여 동기계층 접속 설정 및 해제, 동기를 원하는(혹은 원하지 않는) 미디어(데이타) 송수신, 재동기 설정등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동기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 SCOPUSKCI등재
      • 한국 포항시 장기층군 금광동층에서 산출된 느릅나무과 화석식물의 잎 구조학과 형태형

        정은경(Eun-Kyoung Jeong),김경식(Kyungsik Kim),Kazuhiko Uemura,백인성(In Sung Paik),김현주(Hyun Joo Kim) 한국고생물학회 2010 고생물학회지 Vol.26 No.2

        포항시 동해면 일대에 분포하는 금광동층에서 느릅나무과 화석식물을 채집하였다. 또한 지금까지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기재되고 일본 토호쿠대학교 및 아키타대학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는 느릅나무과 화석식물의 표본들을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그 결과, Ulmus carpinoides Goeppert, U. longifolia Unger, U. shiragica Huzioka, Zelkova ungeri (Ettingshausen) Kovats 등의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들 중 U. longifolia는 한국에서 처음 기재되는 분류군이다. 이들 화석식물들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류학적 처리, 기재를 다시 하였으며 현생 근연종을 확인하고 이에 근거하여 당시 환경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화석식물 연구에 필수적인 형태형의 개념과 잎 구조학 용어를 제시하고 정의하여 쌍자엽 식물 화석 잎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에 표준화를 기하고자 하였다. Ulmaceous fossil leaves were collected from the Geumgwangdong Formation at Donghae-myeon, Pohang City. In addition the fossils collected by previous researchers and deposited in the Museum of Tohoku and Akita University in Japan were examined and photographed. As a result, four taxa, Ulmus carpinoides Goeppert, U. longifolia Unger, U. shiragica Huzioka, Zelkova ungeri (Ettingshausen) Kovats, were described from the Geumgwangdong Formation. The U. longifolia i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study on the taxonomic enumeration, description and palaeo-environmental significances based on the nearest living relatives was undertaken for the four taxa. The concept of morphotype and leaf architectural terms were discussed for the standardized description of dicotyledon fossil leaves from the Korean deposits.

      • KCI등재

        인문학의 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정은경(Jeong Eun-kyoung)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이 논문은 인문학의 확산 방안의 구체적 사례와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문학의 성과의 확산과 대중화를 위한 전제는 첫째, 순수 인문학 전공영역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과 정책적인 지지이다. 인문학에 대해 통찰하고 그 성과를 응용하고, 실천하는 주체 혹은 모체가 없이 인문학 확산은 불가능하다. 둘째, 제도교육에 있어서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 전인적 교육을 회복해야 한다. 입시 위주의 파행적인 중고교 교육을 회복하고 대학에서의 인문교양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대학에서의 각 전공교과에 접합한 응용인문 교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인문학 대중화 이전에 ‘인문학의 성과, 혹은 인문정신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다. 그것은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달리 결과하는 ‘성찰하는 힘’이고 ‘소통과 공감 능력’이다. 인문학 교육의 목표가 ‘주체와 시민’으로 요약될 때, 그것은 곧 획일적 인간이 아니라 곧 구체적 현실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존재 세우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인문학 성과의 확산과 대중화 실천 방안은 첫째, ‘지역’에 주목해야 하고 지역과의 연대를 모색해야 한다. 둘째, 마을인문학과 지역 가꾸기의 지속적인 실천은 각 지역적 특색을 담은 ‘지역학’과 결합하여 발전시킬 수 있다. 군산학, 안동학 등이 그 예가 될 수 있고, 더 발전된 형태로 일본의 미나마타학, 오키나와학 그리고 지원학 등을 참고할 수 있다. 셋째, 인문학 대중교육과 시민 인문학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상호소통’과 ‘주체화’이다. 프로그램과 강좌는 계몽주의적 일방향성에서 벗어나 쌍방향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주민은 물론 지역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는 사회적 약자들을 적극적으로 찾아가는 인문학이 되어야 한다. 노숙인, 교도소 인문학의 사례를 참고하여, 지역의 이주노동자, 방치된 청소년, 독거노인 등을 찾아가는, 적극적인 인문학 실천 방안을 모색하고 복지프로그램과 연동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d the direction and cases of diffusion and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Pre-requisites for the spread and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is a policy in support of the humanities" major areas. It is impossible to spread without a subject who has insight, application and practice. Second, whole-person education should be recovered in the education system. The exam-oriented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be recovered and liberal art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joint application of Humanities courses in each major subject at the university. Prior to popularizing humanities, agreement must be made regarding "What is humanities or its outcome?" It is the "power of reflection, communication and empathy", which will have various results depending on the time and place. The goal of a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be subjects and citizens and it will establish not same human but various human in a concrete reality. First, humanities is to pay attention to local and to seek the solidarity of the region for the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subjects. Secondly, the practice of humanities should be continued and developed with "locality studies", each containing a regional specialty. There are some examples, such as Minamata science, Okinawa science in Japan. Third, it is important for public humanities education to interact. Programs and courses must consist of interactive content out of one-way and enlightenment. Fourth, humanities should be activeinvisiting local residents and socially disadvantaged communities. We should seek a practical way to care for the abandoned youth,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connect them with welfare programs.

      • KCI등재

        조선시대 선상기(選上妓)에 의한 궁중정재와 민간연희의 교섭

        정은경(Jeong Eun-Kyoung)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3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선상기(選上妓)에 의해 궁중 정재와 민간의 연희가 서로 교섭되는 양상을 밝힘으로써 ‘상하층 문화의 상호 교류’라는 균형적인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다. 전문적인 악가무(樂歌舞)를 필수조건으로 하는 정재의 특성상, 궁중에는 오래 전부터 이들을 전문적으로 교육하던 기관이 존재했으며, 여기서 배출된 기녀들이 오랜 기간 동안 궁중의 정재를 담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장에서는 궁중 정재 연행의 주체였던 기녀들이 뽑혀 올라오고 다시 돌아갔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료(使料)를 찾아서 궁중 정재가 지방 관아로 전파되는 시기를 확인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전기부터 정기적으로 지방에서 뽑혀 올라와 ‘경기(京妓)’으로 일하던 기녀들이 다시 자신이 속해 있던 관아로 돌아가면서, 궁중의 정재를 지방 관아로 전파하게 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진연이 있을 때만 잠깐 서울로 올라와 정재에 참여하였다가 다시 자신이 속해 있던 관아로 돌아가는 예가 잦아지면서 궁중 정재가 지방과 민간으로 급속하게 퍼져 나가게 되었다. 정재(呈才)를 위해 서울에 왔던 안주기(安州妓) 양대운(陽臺雲), 그리고 공주기(公州妓) 해월(海月)의 예를 통하여 기록상으로도 명확하게 여기들이 서울로 올라왔다가 귀향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궁중 정재의 모습은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평양, 안주, 의주, 선천 등지와, 진주 교방에서 연행되었던 정재는, 의상과 연행 규모 면에서 궁중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4장에서는 반대로 민간의 연희가 궁중으로 들어온 예를 찾았다. 검무와 항장무ㆍ사자무ㆍ관동무와 같은 것은 궁중보다 민간에서 먼저 연행되었는데, 이들 연희가 궁중으로 들어온 데는 지방에서 올라온 여기(女妓)들이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음을 문헌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민간의 연희가 궁중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연행 장소와 참여 계층이 다르고, 연행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민간에서 연행하던 것과 같은 내용과 형식으로 공연할 수 없었다. 궁중이라는 특정 장소와, 왕실이라는 특정 계층을 위해 연행할 수 있도록, 연행 규모는 커졌으며 의상도 화려해지고, 정재에 참여하는 여기의 숫자도 많아졌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에는 선상기에 의하여 궁중의 연희가 민간으로, 민간의 연희가 궁중으로 유입되면서 상하층의 문화가 상호 교섭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t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high and the low classes cultural interchange through the relative aspect of the Royal Dances and the Folk Plays. For examining this problems, I confirm that the time when the royal dances spreaded the local authorities as I found the materials for history which the dancers who played the royal dances were picked up in the local area and entered the palace and then went back to their local authorities after they finished their role. In early Joseon Dynasty, the dancer from local authorities worked at the palace as the Keong-dancers and then they went back to their local authorities. Through this process, the royal dances spreaded over the local authorities. Especially in the late foseon Dynasty. the royal dances spreaded rapidly over the local and the folks because the royal dancers often joined the Court Banquets in Seoul and went back the local authorities as soon as it finished. I can confirm this because of the records which the local dancers such as Anju-dancer Yangdaewun and Kongju-dancer Haeweol joined the Court Banquets in Seoul. Through this system, the royal dances were changed a lot. The local dances were different from the royal dances for example the clothes and the scale. On the other hand Gummu, Hangjangmu, Sajamu, and Gwandongmu played in the local authorities before it played in the palace. I confirm it from the documents that the royal dances accommodated the local plays through the local female dancers. However there were many changes the process of incoming the local plays into the royal dances. Because of the different places, purposes, and classes, the local plays couldn't play the same stories and forms in the palace. In order to play this local plays in the palace, the scale was bigger, the clothes were luxury, and the more female dancers joined. Through this research, I can confirm the culture of the high and the low classes were connect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royal dances accommodated the folk plays vice ver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