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흰쥐 대뇌겉질의 생후발달에 따른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면역반응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 Young Chung),김홍순(Hong Soon Kim),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4

        TGF-α는 중추신경계의 증식과 분화뿐 아니라 신경세포의 유사분열 후 생존과 분화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주로 뇌 전체를 부위별로 분류하여 TGF-α의 발현과 분포를 포괄적으로 보고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흰쥐의 대뇌겉질에서 TGF-α 면역반응성을 영역별, 층별로 구분하여 자세히 조사하였다. 흰쥐 대뇌겉질에 서 TGF-α 면역반응은 생후 연령에 따라 각각의 겉질 영역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출생한 날에는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미각영역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I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층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출생한날과 생후 5일에 마루겉질의 II층과 III층에서 약하게 표지된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나타났다. 생후 10일의 입쪽 마루겉질에서는 일차몸통감각영역과 이차몸통감각영역을 식별할 수 있도록 두 영역간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으며 꼬리쪽의 마루겉질에서는 II층에서 VI층까지 광범위하게 양성 신경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생후 15일에서 생후 90일까지는 강하게 염색된 신경세포들이 마루겉질 전체에 걸쳐 I층을 제외한 II층부터 VI층까지 양성 소견을 보였다. 과립형 뇌들보팽대 뒤영역에서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처음으로 출현한 시기는 생후 15일이었다.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의 염색강도와 그 수는 생후 20일에 가장 증가하였고 생후 30일에 감소하였다.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의 형태학적인 모양은 생후 20일경에 성숙해졌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대뇌겉질에 분포하는 TGF-α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가 대뇌겉질의 생후 발달 과정 초기에 출현는 것으로 보아 뇌의 다른 부위에서 TGF-α 면역반응이 발생 초기부터 일찍 출현한다는 것과도 관련이 있으며, 성숙 흰쥐뿐 아니라 생후 발달중인 흰쥐 대뇌겉질을 포함한 뇌의 여러 부위에서 광범위하게 TGF-α 면역반응성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GF-α가 대뇌겉질의 생후 발달 과정에서 뇌세포의 생존과 성장을 조절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induc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CNS) as well as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of postmitotic CNS neurons. Previous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TGF-α expression throughout brain reg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in detail.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of the rat followed very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postnatal ages and cortical areas. In the newborn rat, TGF-α-immunoreactive neurons were found in all cortical areas except the gustatory area. Especially, In the parietal cortex, weaklylabelled TGF-α-immunoreactive neurons appeared in layers II and III from P0 to P5. Areal difference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omatosensory area was observed in the rostral parietal zone at P10, but TGF-α-immunore-active neurons distributed in layers from II to VI in the caudal parietal zone. From P15 to P90, heavily-labelled neurons appeared in layers from II to VI throughout the parietal cortex. In the granular retrosplenial area, TGF-α-immunoreactive neurons first appeared at P15.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immunoreactivity of TGF-α-containing neurons increased during the first 20 day of postnatal life but dramatically decreased at P3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neurons were achieved at P2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GF-α immunoreactivity in the neocortex may be related to the early appearance of TGF-α immunoreactivity in many other brain regions, and suggest that TGF-α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brain of rat and TGF-α may play a role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cerebral cortex.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포유동물의 바닥가쪽편도체에서 parvalbumin함유 신경세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정윤영(Yoon Young Chung),장인엽(In Youb Chang),김종중(Jong 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김홍순(Hong Soon Kim),배춘상(Choon Sang Bae)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2

        흰쥐, 고양이, 개 및 원숭이의 바닥가쪽편도체에서 면역조직화학방법을 이용하여 칼슘결합단백인 parvalbumin (PV)의 분 포를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서로 다른 종에 속하는 포유동물의 바닥가쪽편도체에서 모두 PV에 면역반응을 나타 내는 신경세포와 신경섬유가 관찰되었다. PV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들은 대부분 신경돌기에 가시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국 소에 전달되는 신경세포의 양상을 띠었으며, 세포체의 모양에 따라 PV 면역반응양성 신경세포들은 주로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제 1 형은 구형의 세포체로 세 개 이상의 신경돌기들이 세포체에서 나오는 양상을 띠었다. 제 2 형은 각을 이룬 세포체 모양이거나 전형적인 뭇극신경세포의 세포체 모양을 하며 크기 또한 다양하였다. 제 3 형의 신경세포는 방추형으로 된 세포체의 양끝에서 돌기가 나오는 모양이었다. PV 면역반응양성 신경섬유의 끝부분은 염주 모양을 띠었으며, 바구니 모양의 신경얼기를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PV가 GABA성 바구니 모양 세포에 분포한다는 것을 암시하는 소견이었다. 결론적으로 포유동물의 바닥가쪽편도체핵에 분포하는 PV 면역반응 양상은 형태학적으로 종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The calcium-binding protein parvalbumin (PV) was localized in the basolateral amygdala of the rat, cat, dog and monkey using immunohistochemical techniques. In all species, neuronal cell bodies and fibers that are immunoreactive to PV were observed in the basolateral amygdala. In most of the amygdala, PV-immunoreactive cells had the appearance of aspiny local circuit neurons. Based primarily on the shape of the soma, PV-immunoreactive aspiny neurons were divided into three main types. Type 1 cells had a spherical soma and more than 3 dendrites, type 2 cells had angular and multipolar somata of variable sizes, and type 3 cells had fusiform somata and dendrites emanated from the opposite poles of somata. PV-immunoreactive varicose fibers formed basket-like plexi around unstained neurons, which suggests that PV is located in GABAergic basket cells, respectively. PV-immunoreactivities in the mammalian basolateral amygdala were morphologically similar, rather than different in all species.

      • KCI등재후보

        ICT 시대 의학/간호학 전공학생의 장기기증 의향과 장기기증 등록 관련 요인

        정윤영(Yoon-Young Chung),전용현(Yong-Hyun Jeon),류소연(So-Yeon Ryu) 한국전자통신학회 2014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9 No.1

        인터넷 시대를 맞이하여 의학과/간호학과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의향과 등록 여부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광주지역 사립 의학전문대학원/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의학과/간호학과 학생 629명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의향과 등록 여부,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등에 대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장기기증에 대한 의향은 72.1%가 있었고, 장기기증을 등록한 경우는 12.5%였다.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점수는 6.1±2.7점으로 38%의 정답률을 보였고,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점수는 63.2±7.0점이었다. 장기기증 의향에 대한 교차비는 여학생, 뇌사를 사망으로 인정하는 경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장기기증을 위한 등록과는 의학전공,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장기기증을 위한 등록에 대한 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ate of intention and registration of organ donation and to find their associated factors among some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629 students who majored in the medicine and nursing in medical schoo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composed of intention and registration of organ donation and scales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s a result, the rates of intention and registration of organ donation were 72.1% and 12.5%, respectively. The associated factors with the intention of organ donation were sex, judging the brain death as a death, attitude for organ donation. The associated factors with the registration of organ donation were major, knowledge scores and attitude scores of organ donation.

      • KCI등재

        흰쥐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면역반응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관한 연구

        정윤영(Yoon-Young Chung),김남훈(Nam-Hoon Kim),김종중(Jong-Joong Kim),문정석(Jeong Seok Moon),박영란(Young-Lan Park),류소연(So-Yeon Ryu),김현곤(Hyun-Kon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4

        본 연구에서는 생후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와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이들 각각을 함유하는 신경세포 뿐 아니라 두 가지 단백질을 동시에 함유하는 신경세포를 구분하여 각 세포의 발달 양상을 조사하였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 시에 이미 분자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20일에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TGF-α 면역반응 양성 세포의 염색 강도와 수는 생후 15일에서 20일 사이에 가장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생후 20일경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출생한 날에는 등쪽 안배모양겉질에서만 출현하였으며 생후 3일에 이마겉질, 마루겉질, 뒤통수겉질, 관자겉질 등에서 소수 나타났다. EGFR 면역반응 양성 세포는 생후 90일, 즉 성숙 흰쥐의 마루겉질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성숙 흰쥐의 IV, V, VI층에서 EGFR 면역반응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세포들은 이마겉질과 마루겉질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가 가쪽의 섬겉질로 이행하면서 감소하였고, 생후 10일과 그 이후에 성숙 흰쥐의 세포 양상과 유사하였다. 이러한 EGFR 면역반응의 출현시기와 분포위치 등은 서로 다른 겉질 영역의 기능적 활동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TGF-α와 EGFR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아교세포는 관찰할 수 없었다. TGF-α과 EGFR 면역반응은 대부분 신경세포에서 관찰되었고 TGF-α와 EGFR를 공유하는 세포도 모두 신경세포였다. TGF-α와 EGFR 공유신경세포는 생후 3일에 대부분의 대뇌겉질에서 관찰되었으며 생후 10일까지는 대부분 미성숙한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출생한 날을 제외하고 생후 발달중이거나 성숙 흰쥐 모두에서 대뇌겉질 신경세포에 TGF-α와 EGFR이 광범위하게 발현되었으며 대부분 EGFR 함유 신경세포가 TGF-α를 분비하는 세포였다. 한편 TGF-α와 EGFR 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출현시기 및 세포 형태의 발달상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이는 정상적으로 발달중인 대뇌겉질에서 TGF-α가 생후 연령별로 여러 가지 다른 조절 기전에 의해 EGFR을 활성화하여 신경세포에 작용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 and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mmunoreactivities were examined in the cerebral cortex of the rat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found at birth in all cortical layers except the molecular layer.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20. The intensity and number of the TGF-α-immunoreactive cells increased at postnatal days 15 or 20 (P15-P20). Mature patterns of TGF-α-immunoreactive cells were achieved at P20. EGFR-immunoreactive cells appeared only in dorsal endopiriform cortex at P0. The first EGFR-immunoreactive cells were observed in the neocortex at P3. These cells were most abundant in the parietal cortex at P90. In adult, the most prominent EGFR immunoreactivity occured in layer IV, V and VI. These cells were numerous in the frontal and parietal cortex, diminishing laterally towards the insular cortex. Adult patterns were reached on and after P10. The time of appearance and localization of EGFR immunoreactivity correlated with functional activity in the different cortical areas. No clear labelling of glial cells with TGF-α and EGFR antibodies was found.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in the majority of neurons in the postnatal developing and adult cerebral cortex of the rat. Also double-immunohistochemistry with antibodies to TGF-α and EGFR showed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in neurons of the cerebral cortex. Co-localization of TGF-α and EGFR was first detectable in most cortices at P3. By P10, these neurons showed immature neuronal features. The present results showing TGF-α and EGFR immunoreactivity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postnatal developing (except P0) and adult cerebral cortex, mainly localized in neurons. And TGF-α and EGFR co-localize in most neurons, thus indicating that most EGFR-containing cells are TGF-α-synthesizing cells. In addition to difference of time of appearance and mature neuronal pattern suggest that TGF-α has the capacity of activating the EGFR in the normal postnatal developing cerebral cortex, therefore, TGF-α and EGFR may interact within cortical neurons through many different mechanism according to postnatal age.

      • KCI등재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에 의한 타액<saliva>의 cortisol 정량법

        정윤영 ( Yoon Young Chung ),김현주 ( Hyen Joo Kim ),서일택 ( Ill Tack Seo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1985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17 No.1

        The determination of cortisol levels in saliva offers a number of significant advantages as. compared with plasma or serum measurements, and radioimmunoassay in the technique of choice because of the greater sensitivity required. We described some modification of commercial kit, designed for the assay of cortisol in serum and urine, which al10w direct and rapid determination of the steroid in saliva. These modifications enable any laboratory with access to a gamma counter to perform large numbers of salivary cortisol assays at relatively low cost. 1. There was a c1 0se and relatively constant relationship between serum and salivary cortisol levels in normal subjects. 2. The necessary improvement in sensitivity was achieved by slightly increasing the incubation time and markedly reducing the amounts of solid-phase antiserum and 1251-labelled cortisol added to each tu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