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신유학 3파의 이름과 대안의 모색

        정원재(Weonjae Jeong) 한국철학회 2016 철학 Vol.0 No.127

        신유학의 계보를 제시한 기존 학설 중 현재 연구자들에게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은 ‘리학(理學)⋅심학(心學)⋅기학(氣學)’으로 학파를 크게 구분한 3파설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유학 3파의 이름이 어떤 오해와 문제를 불러일으키는지 확인하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신유학 3파설에서는 리⋅심⋅기 등 특정 개념을 중심으로 각 학파에 이름을 붙였으며, 이 개념들이 각 학파가 세계를 설명하는 데에 근본이 된다고 봄으로써, 존재론 또는 이기론의 측면에서 학파의 단면을 포착하려 했다. 반면 필자는 단일한 개념보다는 각 학파의 주장을 담은 핵심 명제를, 특히 이기론보다는 심성론의 명제를 반영하여 3파의 이름을 붙인다면, 여러 학파의 이론적 특징과 차이를 더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 점에서 조선 말의 유학자 이진상(李震相; 1818∼1886)의 통찰을 원용하여, ‘리학⋅심학⋅기학’을 각각 ‘심리기학(心理氣學)⋅심리학(心理學)⋅심기학(心氣學)’이라고 부르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mong the theories which seek to analyze the Neo-Confucian tradition, the one most commonly supported by contemporary scholars asserts that Neo-Confucianism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branches, namely, the school of li (lixue), the school of mind (xinxue), and the school of qi (qixue). In this research paper I have delineated the misunderstandings and problems caused by naming the three branches of Neo-Confucian thought in this way, and have proposed an alternative. The current method of characterizing each branch of thought under the rubric of a particular concept such as li, qi and mind assumes that each of the concepts in question plays a key role for each branch of thought in explaining the world, and seeks to capture the essential aspect of each branch of thought from an ontological (i.e. li-qi theoretical) viewpoint. In order to deline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ch of thought more clearly and distinctively, however, I propose instead to use the particular theses which reflect the core doctrines of the three branches of thought rather than reductively simplifying them down to single concepts, and in particular, to take the key theses from the Neo-Confucian theory of mind and nature instead of the theory of li and qi.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a late Chosŏn Confucian scholar Yi Chin-sang (李震相; 1818∼1886)’s reflections on the matter, I suggest that the school of li (lixue) be renamed as the “Mind-is-li-and-qi School (xinliqixue)”, the school of mind (xinxue) as the “Mind-is-li School (xinlixue)”, and the school of qi (qixue) as the “Mind-is-qi School (xinqixue)”.

      • KCI등재

        이황 호발설의 연원은 홍치(洪治)인가?

        정원재 ( Jeong Weon-jae ) 퇴계학연구원 2016 退溪學報 Vol.140 No.-

        洪治(1441~1513)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心學章句集註大全』에는 “사단의 감정은 리가 드러나서 기가 따르고, 일곱 가지 감정은 기가 드러나서 리가 올라탄다[四端之情, 理發而氣隨之, 七者之情, 氣發而理乘之]”라고 하여, 이황(1501~1570)의 사칠호발설과 똑같은 주장이 나온다. 이 때문에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이황 사칠론의 연원이 홍치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서, 홍치의 이론이 이황에게 전승된 경로를 추론하였다. 이에 대해 이 글에서는 세 가지로 반론을 제기했다. 첫째, 『심학장구집주대전』은 최근에야 그 존재가 알려졌으므로, 이 책이 문헌학적으로 신뢰할 만한 자료인지를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한다. 둘째, 『심학장구집주대전』에 있는 홍치와 홍치 친구들의 주해에서는 『성학십도』를 비롯한 이황의 글을 곳곳에서 베껴 쓰고 있고, 『사서집주』나 『심경부주』 등의 문장을 짜깁기한 흔적이 뚜렷하며, 17세기 이후에 사용된 표현이 등장하기도 한다. 곧 『심학장구집주대전』은 가짜책[僞書]으로 판단된다. 셋째, 이황이 홍치의 영향을 받았다기보다는, 오히려 『심학장구집주대전』의 많은 곳이 이황의 글을 모본으로 하여 작성된 것이라고 보는 편이 타당할 것이다. The Xinxue zhangju jizhu daquan(Great compendium of the learning of the mind/heart in chapter and verse with collected commentaries), known to be authored by Hong Zhi(1441~1513), includes the statement that “the emotions of the Four Beginnings are the result of principle(li) issuing and material force(qi) following it, whereas the Seven Emotions are the result of qi issuing and li overriding it.” Yi Hwang(1501~1570) is known to have made an identical statement. For this reason, a recent study considered a possible route for the transmission of Hong Zhi`s theory to Yi Hwang, on the assumption that Hong Zhi may have been the originator of Yi Hwang`s theory concerning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In this paper I present an objection to this assumption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Xinxue zhangju jizhu daquan is a text from antiquity, the existence of which came to be known only recently, and consequently one should verify whether it is philologically credible before proceeding to use it as a source of reference. Second, the commentaries written by Hong Zhi and his associates in the Xinxue zhangju jizhu daquan show several instances of unacknowledged borrowings from Yi Hwang`s writings, including the Ten Diagrams for Sagely Learning, as well as obvious instances of “copy-pasting” sentences from the Sishu jizhu(Four Books with collected commentaries) and the Xinjing fuzhu(Classic of the Mind/Heart with annotations), and even certain expressions that were generally used from the seventeenth centuries. Consequently, the Xinxue zhangju jizhu daquan fits well in the category of apocryphal texts. Third, instead of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Yi Hwang being influenced by Hong Zhi, it would be more logical to argue that the author of Xinxue zhangju jizhu daquan made considerable use of Yi Hwang`s writings as his model.

      • KCI등재
      • KCI등재

        『경제야언』의 이이 표절

        정원재(Jeong, Weon-Ja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6 No.-

        우정규(禹禎圭; 1718-1791)가 지은『경제야언』은 실학의 흐름을 보여 주는 문헌 중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경제야언』의 본문이 모두 우정규의 독자적인 견해임을 전제하였으나, 이 논문에서는『경제야언』이 많은 곳에서 이이의 글을 표절하였음을 밝히고, 『경제야언』과 우정규의 사상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서는『경제야언』의 성립에 끼친 이이의 영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 논문에서 확인된 사실은 다음과 같다. 1)『경제야언』 본문에서는 최소 28곳 이상의 이이 표절 사례가 나타난다. 2) 이 표절 사례는 대략『경제야언』 전체의 원론에 해당하는 1조에서 9조 사이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3) 『경제야언』의 1조에서 8조까지의 제목 역시 이이가 여러 소에서 건의한 개선책의 항목들과 같거나 비슷하다. 4) 『경제야언』에서 표절한 이이 원문의 출처는 ?간원진시사소?(諫院陳時事疏), ?만언봉사?(萬言封事), ?옥당진시폐소?(玉堂陳時弊疏), ?응지론사소?(應旨論事疏) 등이 가장 많다. 5) 우정규는 18세기 경상우도(右道)지역에서 이이의 학문적 영향을 받아 저술을 내놓은 것이 분명한, 사상사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사례라고 할 수 있다. 6) 『경제야언』의 최초 형태를 수록한 문헌은『승정원일기』인데, 현재 통용되는『승정원일기』 탈초본에서 이이 표절 대목을『율곡전서』와 비교해 보면, 탈초본에 상당한 오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 by U Ch?ng-kyu (1718-1791)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texts that shows the flow of Silhak. Existing research has presupposed that the main part of the text is the independent idea of U Ch?ng-kyu. In this paper, however, I wish to illuminate that U Ch?ng-kyu plagiarized Yi I’s writings in many areas and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U Ch?ng-kyu we must first comprehend the influence of Yi I on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 What is proved in this paper is the following: 1) There are at least 28 places in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 where U Ch?ng-kyu plagiarizes Yi I. 2) These cases of plagiarism exist mostly in articles one through nine, which contain the main theory of the entire text. 3) Titles of articles one through eight are also identical or similar to the reform measures Yi I suggested in his appeals. 4) The main sources of plagiarism were Gan-wonjinsisaso, Man-eonbongsa, Ogdangjinsipyeso, and Eungjilonsaso. 5) U Ch?ng-kyu is a very interesting case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in that he is a certain case who published his writings under the influence of Yi I’s scholarship in the Kyeongsang Right province of the 18th century. 6) The earliest manuscript of A Rustic’s Words on Governance is found in SeungJeong-won Diary, but compared that to the plagiarized parts shown in The Complete Works of Yulgok, there appear to be many misprints in the manuscrip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논사단칠정제삼서(論四端七情第三書)」의 재구성

        정원재 ( Jeong Weon-jae ) 퇴계학연구원 2017 退溪學報 Vol.142 No.-

        사칠논쟁 중에 이황은 기대승의 세 번째 편지를 받고서 논평을 해두었는데, 이황 사후에 제자들은 기대승의 편지 내용과 이황의 논평을 문답식으로 편집하여 여섯 조목으로 정리했다. 이것이 ‘論四端七情第三書’ 라는 부제가 붙은 「答奇明彦」이라는 편지다. 이 글에는 기대승의 질문과 이황의 답변이 서로 들어맞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곳이 여럿 나타난다. 그래서 편집이 잘못된 탓에 이황의 주장을 오독하게 된다는 논란이 퇴계학파 안에서 생겨났다. 이 연구에서는 金宗德(1724~1797)과 柳長源(1724~1796)이 주고받은 편지, 『退溪先生文集攷證』 등을 중심으로 이 논란의 전말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논사단칠정 제3서」의 본문 여섯 조목 중 네 조목의 내용을 재구성해 보았다. In the course of the debate, which he conducted by letter, with Ki Taesung about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Yi Hwang wrote comments on Ki’s third letter. After Yi Hwang’s death, his disciples edited the letter and the comments into a dialogue of six sets of questions and answers. The resulting document is titled ‘Response to Ki Taesung (Tap Ki Myong’on)’ and subtitled ‘The third letter discussing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Non sadan ch'iljong chesamso)’. In it there are a number of incongruities between Ki’s questions and Yi’s an-swers, which caused a controversy within the T’oegye School, namely, that the flawed editing of the document had led to a misunderstanding of Yi’s argument. In this research paper, I give a full account of the con-troversy, based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Kim Chongdok (1724~1797) and Ryu Chang'won (1724~1796), the T'oegye sonsaeng munjip kojung (a textual criticism of the collected works of Yi Hwang), and other sources.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 offer a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debate as found in four entries out of the six in the text of ‘The third letter discussing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 KCI등재

        우정규 변통론의 성격

        정원재(Jeong, Weon-Ja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4 No.-

        기존의 연구는 대체로 우정규가 『경제야언』에서 제시한 제도 개선안의 내용을 필자의 관심분야에 따라 소개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우정규의 제도 개선안을 변통론으로 명명하고, 그 기저를 관류하고 있는 사유의 논리적 맥락을 복구함으로써 그 특징을 확인하려 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정규의 변통론은 부세의 경감, 군비의 축소, 지방관의 선택, 군주의 수양을 핵심 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둘째, 그의 변통론은 지방관의 견지에서 본 민생안정론이라는 성격을 띤다. 셋째, 우정규는 갖가지 제도 개선책을 제시하면서도 지배 계층의 도덕성 회복을 가장 근원적인 처방으로 제시한다. 넷째, 『경제야언』의 논지 구성은 이이의 영향을 받아서 작성된 부분이 많다. 다섯째, 우정규 변통론의 논리적 추이는 이이는 물론 주희 등 신유학자들의 경세론과 유사한 구조를 보인다. 여섯째, 이상과 같은 점으로 미루어 우정규의 제도개선책은 신유학자 일반이 제시하는 제도 개선론의 범위 안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실학으로 규정하기는 힘들다고 볼 수 있다. Existing research on U Ch?ng-Kyu are mostly introductions of his plans for system reform presented in his book, A Rustic’s Words on Governace(Ky?ngjeya?n). In this paper, I tried to reconstruct the logical context behind the plans that he presented and identify some of their characteristics. The conclusions I have drawn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xis of his governance theory is alleviation of tax liability, reduction in military expense, selecting local administrators, and the self-cultivation of the king. Second, his governance theory show the marks of a theory of stabilizing people’s livelihood from the perspective of a local administrator. Third, while U Ch?ng-Kyu presents various plans for system reform, he maintains that the recovering personal morality in the ruling class is the most fundamental solution. Fourth, the way his arguments are constructed in A Rustic’s Words on Governace is in many parts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Yi I. Fifth, the logical process of U Ch?ng-Kyu’s governance theory is in large way quite similar to the governance theory of not only Yi I but also other Neo-Confucians such as Zhu Xi. Sixth, based on these findings, UCh?ng-Kyu’s system reform plans seem to be within the boundaries of those of ordinary Neo-Confucians, and it is difficult to define his thoughts as Sirhak(Practical Learning).

      • KCI등재

        이황의 7정 이해 ―「예운」에서 『중용』으로

        정원재 ( Weon Jae Jeong ) 퇴계학연구원 2015 退溪學報 Vol.137 No.-

        이 글에서는 ‘「예운」의 7정과 『중용』의 희로애락 4정의 차이’가 어떻게 사칠논쟁의 논지 구성에 개입되는지를 이황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7정에 대한 이황의 견해는 왕복서한의 제2서를 기점으로 상당한 변화가 있는데, 이것은 「예운」의 7정과 『중용』의 4정을 같은 것으로 보는 기대승의 생각을 이황이 전면적으로 수용하면서 필연적으로 밟게 되는 길이기도 하다. 7정에 대한 이황의 생각이 바뀌어 가는 과정은, 「천명도설」과 「퇴계1서」→「퇴계2서」와 「퇴계3서」→「퇴계4서」와 「심통성정도설」의 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천명도설」에서 7정은 형기에 기원을 둔 것으로 인심과 동일시되면서 ‘사악함으로 흐르기 쉬운 것’으로 이해되었다. 이는 「예운」의 7정관을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부분적으로는 「퇴계 2서」부터, 더 명확하게는 「심통성정도설」 이후부터 7정은 본성에 기원을 둔 것으로 여겨지면서 ‘선하지 않음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것은 『중용』의 구조 안에서 7정을 설명하면서 생겨나는 변화이다. 이 때문에 7정은 처음에는 개인적인 것[私]이므로 인심과 같은 것이라고 간주되었다가, 최종적으로는 공적인 것[公]이라고 해석되면서 인심과도 구분되기에 이르렀다. 7정에 대한 생각이 바뀌면서, 전체적인 마음에 대한 이해도 변하였다. 「천명도설」에서는 4단과 7정의 서로 다른 기원이 강조되면서 본성과 형기가 인간 마음 안의 대등한 두 구성요소로 자리하고 있었다. 반면, 「심통성정도설」에서는 본연지성과 기질 사이에 명확한 위계가 설정되면서 인의예지의 본성은 확고한 마음의 본질로 인식되게 되었다. 따라서 마음의 성격 역시 가치중립적인 마음에서 본질적으로 도덕적인 마음으로 달리 이해되었으며, 마음의 주재 역시 상반된 지향 속의 선택이 아니라 자신의 본질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으로 역할이 바뀌었다. 마음 이해의 이런 변화를 이기론으로 옮겨 본다면, 「천명도설」에서 마음의 동력은 5상과 기질 둘이었으며 따라서 마음의 구조 역시 리기이원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심통성정도설」에서는 본성이라는 단일한 원천이 유일한 마음의 동력이 되면서 마음의 구조 역시 전체적으로 리일원적인 것이 된다. 따라서 「심통성정도설」 이후에도 이황의 사칠론은 형식적으로는 리발과 기발이라는 호발설의 형태를 유지하긴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사실상 리발일로설의 구조와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7정과 관련된 이황 이론의 이런 일련의 변화는 결국 「예운」의 7정 에서 『중용』의 4정으로 옮겨간 과정이라고 요약할 수 있겠다. In this paper, I illustrate 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ven emotions from the ‘Li Yun’ chapter of the Liji and the four emotions from the Zhongyong affects the construction of arguments in the Four-Seven debate, mainly in the case of Yi Hwang. From a starting point in his second letter to Ki Tae-Seung, Yi Hwang’s view of the seven emotions went through significant changes, as was logically necessary for him to accept Ki’s idea of equating the seven emotions mentioned in the Li Yun chapter and the four mentioned in the Zhongyong. In fact, Yi’s changing views of the seven emotions can be outlined in three stages: the first being the stage of his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Heavenly Mandate and his first letter to Ki Tae-Seung, the second being the stage of his second and third letters to Ki, and the third being the stage of his fourth letter to Ki and his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Mind Governing Nature and Emotion. In his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Heavenly Mandate, Yi Hwang understood the seven emotions to originate from the body, to be identical to the heart following human desires (in contrast to the heart following the Way), and consequently, to be something that easily becomes evil. This reflects his acceptance of the seven emotions as presented in the Li Yun chapter. However, his view that the seven emotions arise from the original nature and is therefore good is partially expressed in his second letter and more clearly in his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Heavenly Mandate. This is a change brought on by an attempt to explain the seven emotions within the structure of the Zhongyong. This is why the seven emotions which were considered what is personal (私si) and similar to the heart following human desires at the beginning, ended up being interpreted as what is public (公 gong) and distinguished from the heart following human desires. As his view of the seven emotions changed, his understanding of mind in general changed also. In his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Heavenly Mandate,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are two equal components in the human heart, since their separate origins are emphasized. In his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Mind Governing Nature and Emotion, however, the original nature and form and matter are placed in a clear hierarchical order, and the original nature of benevolence,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is firmly perceived as the essence of mind. Accordingly, his view of mind changed from characterizing it as what is morally neutral to what is essentially moral, and in the function of its ministry from choosing among opposing pursuits to performing the essence of mind faithfully. This change in his understanding of mind, as applied to the theory of principle (li) and material force (qi) in the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Heavenly Mandate, makes the motivating source of mind twofold, i.e. the five constants and form and material force, and therefore the structure of mind here can be said to be li-qi dualistic. In the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Mind Governing Nature and Emotion, however, the original nature is considered to be the single motivating source of mind, and the structure of mind turns out to be li-monistic. As a consequence, even after the Diagrammatic Treatise of the Mind Governing Nature and Emotion, Yi Hwang’s theory in the four-seven debate kept the dualistic form of mutual issuance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in which the four beginnings are the issuance of principle and the seven emotions are that of material force, but in reality it ha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theory of a single route of issuance of principle. The series of Yi Hwang’s theoretical changes concerning the seven emotions can b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his shift from the seven- emotion paradigm from the Li Yun chapter to the four-emotion paradigm from the Zhongyong.

      • KCI등재

        7정과 성악설

        정원재(Jeong, Weonja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7 No.-

        이 글에서는 『예기』 「예운」의 7정을 성악설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연구 시각이 과연 타당한 것인지를 두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7정’이 성립하는 과정을 고찰했다. 『좌전』에서 감정 일반을 지칭하는 말은 좋아함, 싫어함, 기쁨, 성냄, 슬픔, 즐거움[好惡喜怒哀樂] 등의 ‘6정’이었다. 여기서 6정이 근본적으로는 몸의 욕구[欲] 때문에 생겨난 것이라고 파악하고, 6정에 ‘욕구’를 보탬으로써 순자의 7정이 성립한다. 욕구에 따른 반응인 7정을 방치할 경우 무질서와 혼란이 생겨난다고 봄으로써 순자의 7정은 성악설의 주장을 함축하는 것이 된다. 한편, 「예운」의 7정은 감정을 나열한 순서가 순자의 7정과 일치하며, 7정 전체를 부정적으로 보면서 예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역시 성악설에 닿아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반면, 7정 중에서 욕구하고 싫어함[欲惡]이라는 두 가지 대립하는 감정이 다른 감정들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구절은 7정과 성악설을 관련짓기 어렵게 하는 점이다. 둘째, 「예운」의 7정에 대한 여러 유학자들의 해석을, 세 흐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공영달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유학자들은 「예운」의 7정은 육체적 욕구에 근거하여 나온 감정이며, 도덕적으로는 악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여겼다. 곧 「예운」의 7정을 성악설의 견지에서 바라보는 것은 유학사에서 매우 오래 이어져 온 생각이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예기』 「예운」의 7정을 성악설의 맥락에서 이해하는 기존의 연구는 상당한 정도로 타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valid to interpret the seven emotions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I approach the matter from two angles: how the concept of the seven emotions was formed and how scholars in the Confucian tradition understood it. Concerning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seven emotions: the term for human emotions in general that appears in the Zuozhuan is the ‘six emotions’, i.e. liking, disliking, happiness, anger, sadness and joy(hao wu xi nu ai le). The seven emotions that appear in the Xunzi are formed by adding desire(yu) to the six, based on Xunzi’s view that the six emotions fundamentally originate from bodily desire. Since the result of giving free rein to the seven emotions, which are reactions in accordance with desire, is considered to be disorder and confusion, the seven emotions in the Xunzi imply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The seven emotions that appear in the Li Yun chapter of the Liji, on the other hand, are also linked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in that the text enumerates the seven emotions in the same order as does the Xunzi and takes a negative view of all seven emotions while emphasizing the role of propriety(li). However, a clause in the Li Yun chapter which indicates that the desire-disliking(yu wu) pair among the seven emotions can be the core of other emotions poses a difficulty to linking the seven emotions in the text to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There are three distinct interpretations of the seven emotions in the Li Yun chapter. With the exception of Kong Yingda, the majority of Confucian scholars considered the seven emotions in the Li Yun chapter to originate from bodily desire and bring evil results in moral terms. In other words, it was a significantly long-standing view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to view the seven emotions in the Li Yun chapter in terms of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In conclusion, I reconfirm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ed scholarship that understood the seven emotions mentioned in the Li Yun chapter of the Liji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ev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