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on Local Recurrence of Rectal Cancer

        정웅기,안성자,남택근,나병식,김영진,Chung, Woong-Ki,Ahn, Sung-Ja,Nam, Taek-Keun,Nah, Byung-Sik,Kim, Young-Ji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2

        1982년 1월 부터 1990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95명의 직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소종양제어에 대한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95명의 환자중 72명은 수술만 받았으며 나머지 23명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았다. 환자의 성별 분포는 남자가 45명 여자가 50명으로 비슷하였으며 연령의 중앙치는 53세 였다. 최소 추적기간은 19개월(범위 : $19\~125$)이었으며 중앙치는 47개월이었다. 종양의 국소재발율과 생존율은 Kaplan-Meier 법으로 계산하였으며 두 군간의 비교는 Log-rank test에 의하였다. 전체 95명의 환자중 27명 ($28.4\%$)에서 국소 종양의 재발이 관찰되었으며 13명($17.3\%$)에서는 원격 전이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국소 종양 재발이 관찰된 27명중 24명 ($89\%$)이 수술 후 24개월이내에 재발되었으며 부위는 원발 병소 주위의 골반강내 조직에 가장 흔하였다. 수술만 받은 72명의 환자중 24명에서 국소 재발이 관찰되었다. 병기 A와 B1의 17명중 6명에서, B2와 B3 33 명중 7명 ($29.9\%$)에서, C2와 C3 19명중 11 명 ($54.7\%$)에서 각각 재발되었으며 병기에 따른 재발율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p<0.05).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23명의 환자중 병기 B2와 B3 10명중 1명 ($10\%$)에서, 병기 C2와 C3 10명중 2명($22.2\%$)에서 재발이 관찰되었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p<0.05). 한편 병기 B2와 B3에서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지 않은 군 보다 시행한 군에서 국소 종양 재발율이 낮았으나 통계학적 의의를 갖지 못하였으며 ($29.9\%$ vs $10.0\%$, p<0.05), 병기 C2와 C3의 경우는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에서 종양의 재발이 낮았으며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다($34.7\%$ vs $22.2\%$, p<0.05). Ninety five patients of rectal cancer treated with surgery with or without adjuvant radiation therapy since January 1982 to December 1990 at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garding local failure. Of these 95 patients 72 patients were treated with surgery alone and remaining 23 patients receive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to pelvis. There were 45 men and 50 women with 53 years of median ag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19 months and median was47 months (range, 19-125 months). Kaplan-Meier method was used to calculate actuarial risk of local recurrence and survival rat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was evaluated by Log rank test. Of total 95 patients twenty seven patients ($28.4\%$) developed local recurrence and 13 patients ($17.3\%$) developed local and distant metastasis concomitantly. Eighty nine percent (24/27) of patients developed local recurrence within 24 months. Pelvic organ adjacent to the primary tumor area was the most common site of initial local recurrence. Of 72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lone local recurrence developed in 24 patients. Of 17 patients with stage A and 81 (Gunderson-Sosin modification of Dukes' staging system) 6 patients experienced local recurrence ($31.2\%$). The local recurrence rate of B2 and B3 group was $29.9\%$ (7/33) and that of C2 and C3 was $54.7\%$ (11/19), respective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0.05). Of 23 patients treated with definitive surgery and radiation therapy $10\%$ (1/10) recurred in B2 and B3 patients. This was slightly lower than C2 and C3 patients ($22.2\%$, 2/10) of similar policy, but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patients of B2+3 local failure rate decreased when radiation therapy was added ($29.9\%$ vs $10\%$, p>0.05) and also similar results in C2+3 group ($34.7\%$ vs $22.2\%$, p<0.05). The local failure rate in relation to distance from the anal verg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SCOPUSKCI등재

        The Radiotherapy Result of Esophageal Cancer

        정웅기,안성자,나병식,Chung, Woong-Ki,Ahn, Sung-Ja,Nah, Byung-Si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Ninety patients of esophageal cancer treated with radiation since November 1985 to June 1990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regarding survival. Seventy five patients ($94.9\%$) revealed squamous cell carcinoma in its histologic type, and most of patients were in advanced stage with 25 patients ($27.8\%$) of T2 and 64 patients ($71.1\%$) of T3.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12 months and median was 5 months. Overall actuarial 2 year survival rate was $11.6\%$. Two 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parameters such as treatment aim, T stage, site, length, radiation dose and response were compared and resulted that survival by tumor length onl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urvival of esophageal carcinoma. 1985년 11월부터 1990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90예의 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율에 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직학적으로 75예 ($94.9\%$)가 편평상피 세포암으로 관찰되었으며, 병기는 25예 ($27.8\%$)가 T2, 64예 ($71.1\%$)가 T3로 대부분 진행된 암이었다. 최소 추적기간은 12개월 이었으며 중앙값은 5개월이었다. Kaplan Meier 법에 의한 2년 생존율은 $11.6\%$이었다. 치료목표, T병기, 병변부위, 병변길이, 방사선량, 관해정도에 따른 2년 생존율을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이들중 종양의 침범길이만 생존율에 영향을 미쳤다.

      • SCOPUSKCI등재

        Pelvic MRI Application to the Dosimetric Analysis in Brachytherapy of Uterine Cervix Carcinoma

        정웅기,나병식,안성자,Chung, Woong-Ki,Nah, Byung-Sik,Ahn, Sung-Ja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1

        목적 : 자궁경부암환자의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 성적을 보고하기에 앞서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궁강내치료기기의 선량투여 방법의 정확성을 평가해보고 각 장기의 흡수선량을 대변할수 있는 예측력이 어느정도인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조준필름의 측면사진에서는 본원에서 현재 사용중인 방광(SBD)과 직장(SRD)의 기준흡수점의 흡수선량을 확인 하였다. 골반강 자기공명상의 측면사진에서 종양의 두 횡축과 종축의 직경을 곱하여 종양부피(TV)를 측정하였고, 기본으로 사음되고 있는 등선량곡선을 그린후 선량기준점 A 의 등선량 곡선내에 자궁경부 종양이 포함되는지 대상 환자별로 확인하였으며, 방광(MBD)과 직장(MRD)에서 보여주는 최대흡수선량점의 값을 측정하였고, 또한 선량기준점 A의 등선량 곡선내에 포함되는 방광(HBV)과 직장(HRV)의 면적을 계산해 보았다. 결 과 : 45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중 53%(24/45) 에서만이 선량기준점 A의 등선량곡선내에 종양이 잘 포함되었다. 적절한 포함정도는 병기보다는 원발종양의 크기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었으며 종양의 측면지름의 크기가 3cm 이상인 종양은 불충분한 포함을 보여 주었다. 조준필름의 측면상의 방광과 직장의 기준흡수선량값은 자기공명사진상의 방광과 직장의 최대흡수값과 각각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했으나, 조준필름의 직장의 흡수선량값(SRD)은 HRV 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HBV 이나 HRV 은 오히려 자기공명사진상에서 측정한 종양의 크기(TV) 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 주었다. 결론 :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선량계산 방법은 개별적인 종양의 크기를 고려해주지 못하였으며, 특히 방광의 흡수선량계산에 있어서 실제 흡수선량을 대변할수 있는 예측도가 낮아서 이에 대한 환자 개개인의 종양의 특성을 고려한 선량계산이 필요하리라 사료되는 바이다. Purpose : Before we report the results of curative radiotherapy in cervix cancer patients, we review the significance and safety of our dose specification methods in the brachytherapy system to have the insight of the potential Predictive value of doses at specified points. Matersials and Methods : We analyze the 리5 cases of cervix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intracavitary brachytherapy in the lateral simulation film we draw the isodose curve and observe the absorbed dose rate of point A, the reference point of bladder(SBD) and rectum(SRD). In the sagittal view of Pelvic MRI film we demarcate the tumor volume(TV) and determine whether the prescription dose curve of point A covers the tumor volume adequately by drawing the isodose curve as correctly as possible. Also we estimate the maximum Point dose of bladder(MBD) and rectum(MRD) and calculate the inclusion area where the absorbed dose rate is higher than that of point A in the bladder(HBV) and rectum(HRV), respectively. Results : Of forty-five cases, the isodose curve of point A seems to cover tumor volume optimally in only 24(53%). The optimal tumor coverage seems to be associated not with the stage of the disease but with the tumor volum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BD/SRD and MBD/MRD, respectively. SRD has statistically margin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RV, while TV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HBV and HRV. Conclusion : Our current treatment calculation methods seem to have the defect in the aspects of the nonoptimal coverage of the bulky tumor and the inappropriate estimation of bladder dose. We therefore need to modify the applicator geometry to optimize the dose distribution at the position of lower tandem source. Also it appears that the position of the bladder in relation to the applicators needs to be defined individually to define 'hot spots'.

      • SCOPUSKCI등재

        이하선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정웅기(Woong-Ki Chung),안성자(Sung Ja Ahn),남택근(Taek Keun Nam),정경애(Kyung-Ae Chung),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하선 악성종양에서 국소 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부터 1995년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이하선 악성 종양으로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함께 받은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4세부터 72세까지였고 중앙값은 55세였다. 조직학적 유형별 분포는 10명이 점액표피양암종, 7명이 편평상피세포암, 4명이 포상세포암, 4명이 선양성낭종암, 1명이 선암이었다. 수술은 15명이 이하선 전절제술, 7명이 표재성 절제술, 4명이 아전절제술을 받았다. 안면신경이 절제된 경우는 5명 있었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잔존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4명, 절제연 양성이 4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광자선과 전자선속을 사용하였다. 26명 중 11명은 광자선만으로 치료하였고 전자선이 병용된 경우는 15명이었으며 전자선량은 900 cGy부터 3800 cGy (중앙값 : 1760 cGy)까지였다. 이하선종양 부위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5000 cGy부터 7560 cGy (중앙값 : 6020 cGy)까지였다. 대상 환자들의 최소추적기간은 2년이었다. 국소종양제어율의 산출은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단 변량분석에는 generalized Wilcoxon test,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 과 : 방사선 치료 후 국소종양의 재발은 26명 중 5명 (19%)에서 관찰되었으며 국소종양제어율은 5년에 77%였다. 환자의 5년 생존율은 70%였다. 성별, 연령 (>60세), 종양크기 (>4 cm), 수술소견상 경부림프절 침범과 신경 침범, 절제연 침범 여부 및 총방사선량 (>60 Gy)의 요인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미치는 영향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 종양 크기 (p=0.002), 절제연 침범 여부(p=0.011)에 따라 국소종양제어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차이를 보였다. 같은 요인들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종양 크기 (p=0.022)만이 국소 종양 제어율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주는 여러가지 예후 인자들의 다변량 분석에서 종양 크기만이 의의가 있었으나 앞으로 더욱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in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six patients were treated for malignant tumors of the parotid gland from 1986 to 1995 at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14 to 72 years (median : 55 years). Histologically 10 patient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7 of squamous cell carcinoma, 4 of acinic cell carcinoma, 4 of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1 of adenocarcinoma were treated. Total parotidectomy was performd in 15 of 26 patients, superficial in 7, subtotal in 4. Facial nerve was sacrificed in 5 patients. Postoperatively 4 patients had residual disease, 4 had positive resection margin. Radiation was delivered through an ipsilateral wedged pair of photon in 11 patients. High energy electron beam was mixed with photon in 15 patients. Electron beam dose ranged from 900 cGy to 3800 cGy (median : 1760 cGy). Total radiation dose ranged from 5000 cGy to 7560 cGy (median : 6020 cGy). Minimum follow -up period was 2 years. Local control and survival rate were calculated using Kaplan-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ere used to test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esults : Five (19%) of 26 patients had local recurrence. Five year local control rate was 77%. Overall five year survival rate was 70%. Sex, age, tumor size, surgical involvement of cervical lymph node, involvement of resection margin, surgical invasion of nerve, and total dose were analyzed as suggested factors affecting local control rate. Among them patients with tumor size less than 4 cm (p=0.002) and negative resection margin (p= 0.011) were associated with better local control rates in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only tumor size factor is associated with local control rate (p=0.022).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tumor size is important in local control of malignant tumors of parotid gland.

      • KCI등재후보

        후두암의 방사선치료 Patterns of Care Study를 위한 프로그램 항목 개발 : 예비 결과

        정웅기(Woong-Ki Chung),김일한(Il-Han Kim),안성자(Sung-Ja Ahn),남택근(Taek-Keun Nam),오윤경(Yoon-Kyeong Oh),송주영(Ju-Young Song),나병식(Byung-Sik Nah),정경애(Gyung-Ai Chung),권형철(Hyoung-Cheol Kwon),김정수(Jung-Soo Kim),김수곤(So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후두암 방사선 치료의 표준화를 위하여 후두암에 관한 기본적인 임상자료를 축적하고 필요한 조사항목을 결정하여 전국적인 웹 기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호서호남 지역에서 후두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 선정 기준은 18세 이상이며 과거력상 타 장기의 암 진단 병력이 없고 후두에서 기원한 원발성 상피세포암으로 과거 후두에 대한 다른 질환으로 치료력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후두암에 관한 조사항목 개발은 대한 방사선 종양학회 호서호남지회 소속 병원의 전문의들이 합의하여 일차적으로 선정한 항목에 대하여 각 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10.0을 이용하였다. 결 과: 자료가 수집된 총 증례수는 45예이었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28~ 88세(중 앙값: 61)이었고 남녀비는 10대 1로 대부분 남자에 발생하였다. 원발부위는 성문암이 28예(62%), 성문상부암이 17예(38%)이었다.병리소견으로는 편평세포암이 대부분이었다(44/45, 98%). AJCC (1997년도)병기 I+II는, 성문암 28예 중 24예(86%)에 비해 성문상부암의 경우는 16예 중 8예(50%)이었다(p=0.002). 증상은 애성이 40예(89%)로 가장 많았다.진단은 간접후두경이 전체환자에서, 직접후두경검사는 43예(98%)에서 각각 시행되었다. 치료로서 성문암 28예와 성문상부암 17예 중,방사선 단독치료는 21예(75%), 6예(35%)에서 각각 시행되었다. 또한 수술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병용은 각각 5예(18%), 8예(47%)이었고,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병용치료는 각각 2예(7%), 3예(18%)이었으나 두 원발 병소간에 병용치료 빈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0). 방사선 치료는 모두 선형가속기 6MVX-ray 를 이용하여 통상적 분할조사법으로 시행되었다. 분할선량은 성문암 환자의 86%에서 2.0 Gy를 사용한 반 면 성 문 상 부 암은 59%에서 1.8 Gy를 각각 사용하였다. 방사선단독치료를 완 료한 환자에서 원발 병소의 평균 총방사선량은 성문암에서 65.98 Gy, 성문상부암에서 70.15 Gy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후두암 방사선치료 형태 연구에 필요한 총 12개의 모듈과 90개의 항목을 개발하였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후두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필요한 연구항목을 개발하였다. 향후 웹 기반데이터 베이스시스템을 완성하고 전국의 방사선치료 자료를 축적하여 후두암에 대한 한국형 방사선치료의 표준화 및 적정화를 기하고자 한다. Purpose In order to develop the national guide-lines for the standardization of radiotherapy we are planning to establish a w eb-based, on-line data-base system for laryngeal cancer. As a first step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ccumulate the basic clinical information of laryngeal cancer and to determine the items needed for the data-bas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patients who w e re treated under the diagnosis of laryngeal cancer from January 1998 through December 1999 in the South-west area of Korea. Eligibility criteria of the patients are as follows : 18 years or older, currently diagnosed with primary epithelial carcin oma of larynx, and no history of previous treatments for another cancers and the other laryngeal diseases. The items were developed and filled out by radiation oncologist who are members of Korean South west Radiation Oncology Group. SPSS v10.0 softwar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Data of forty-five patients were collected.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ranged from 28 to 88 years (median, 61). Laryngeal cancer occurred predominantly in males (10 1 s ex ratio). Twenty-eight patients (62%) had primary cancers in the glottis and 17 (38%) in the supraglottis. Most of them were diagnosed pathologically as squamous cell carcinoma (44/45, 98%). Twenty-four of 28 glottic cancer patients (86%) had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stage I/II, b ut 50% (8/16) had in supraglottic cancer patients (p=0.02). Most patients (89%) had the symptom of hoarseness. Indirect laryngoscopy was done in all patients and direct laryngoscopy was performed in 43 (98%) patients. Twenty-one o f 28 (75%) glottic cancer cases and 6 of 17 (35%) supraglottic cancer cases were treated with radiation alone, respectively. The combined treatment of surgery and radiation was used in 5 (18%) glottic and 8 (47%) supraglottic patients. Chemotherapy and radiation was used in 2 (7%) glottic and 3 (18%) supraglottic patien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combined modality treatments between glottic and supraglottic cancers (p=0.20). In all patients, 6MV X-ray was used with conventional fractionation. The fraction size was 2 Gy in 80% of glottic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1.8 Gy in 59% of the patients with supraglottic cancers. The mean total dose delivered to primary lesions were 65.98 Gy and 70.15 Gy in glottic and supraglottic patients treated, respectively, with radiation alon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12 modules with 90 items wer e developed for the study of the patterns of care in laryngeal cancer. Conclusion The study items for laryngeal cancer wer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a web system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items investigated, and t h en a nation-wide analysis on laryngeal cancer will be processed for the standardization and optimization of radiotherapy.

      • SCOPUSKCI등재

        Comparison of Result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ethod in Maxillary Sinus Carcinoma

        정웅기(Woong Ki Chung),조재식(Jae Sik Jo),안성자(Sung Ja Ahn),남택근(Taek Keun Nam),나병식(Byung Sik Nah),박승진(Seung Jin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1

        목적 : 상악동암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알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 부터 1992년 12월 까지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치료받은 상악동에서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4명 여자가 9명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5세였다. 1988년에 제시된 AJCC 병기 분류법에 따른 종양의 병기는 T2 1명, T3 10명, T4 22명이었으며 경부임파절 전이는 5명에서 관찰되었다(N1;4명, N2b;1명). 치료방법에 따라 3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첫 군(FAR 군으로 명명, 16명)은 수술전 경동맥 항암화학요법(5-FU, 평균 3078mg)과 방사선치료(평균 3433cGy)및 비타민 A(50,000 IU, daily)를 병용하고 이어서 상악전적출술과 술후 방사선치료(평균 2351cGy)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총량은 5255cGy였다. 둘째군(SR 군으로 명명, 7명)은 상악전적출술과 술후 방사선 치료(평균 5920cGy)를 시행하였다. 셋째군(R 군으로 명명, 6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 치료(평균 7164cGy)만 시행하였다. 생존율 분석에는 Kaplan-Meier법을 이용하였고 두 군간의 차이에 대한 검정은 Mantel-Cox법으로 하였다. 결과 : 국소종양 제어율은 2년에 FAR, SR, R군에서 각각 100%, 50%, 27.7%로 나타났다. 무병생존율은 2년에 FAR, SR, R군에서 각각 88.9%, 33.3%, 0%였다. 전체적인 생존율은 2년에 FAR, SR, R군에서 각각 88.9%, 40%, 50%였다. FAR군과 SR군간에, 그리고 FAR군과 R군간에 국소종양 제어율, 2년 무병생존율, 2년 생존율에 있어서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SR군과 R군과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론 : 수술전 경동맥 5-FU와 비타민 A 그리고 방사선 치료를 병용 치료하여 종양의 부분적 관해를 유도한 후 상악전적출술과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FAR군이 상악전적출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군이나 방사선 단독치료군보다 더 좋은 성적을 보였다. 앞으로 이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per management of maxillary sinus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 Authors analysed 33 patient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treated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6 to December 1992. There were 24 men and women with median age of 55 years. According to AJCC TNM system of 1988 a patient of T2, 10 patients of T3 and 22 patients of T4 were available respectively.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was observed in 5 patients(N1;4/33, N2b;1/33). Patients were classified as 3 groups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The first group, named as "FAR" (16 patients), was consisted of preoperative intra-arterial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5-FU;mean of total dosage; 3078mg) through the superficial temporal artery with concurrent radiation(mean dose delivered;3433cGy, daily 180-200 cGy) and vitamin A(50,000 IU daily) and followed by total maxillectomy and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mean dose:2351cGy). The second group named as "SR"(7 patients) was treated with radiation alone(mean dose;7164cGy). Kaplan-Meier product limit method was used for survival analysis and Mantel-cox test was performed for significance of surviv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Results : Local recurrence free survival rate in the end of 2 year was 100%, 50% and 0% in FAR, SR and R group, respectively. Disease free survival rate in 2 years was 88.9%, 28.6% and 0% in FAR, SR and R group. respectively. Overall survival rate in 2years was 88.9%, 40% and 50% in FAR, SR and R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R and SR or FAR and R group in their local recurrence free, disease free and overall survival rates. But difference of each survival rate between SR and R group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 In this study FAR group revealed better results than SR or R group. In the future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s in need.

      • KCI등재후보

        방사선치료를 받은 근 침윤성 방광암의 예후 인자

        정웅기(Woong-Ki Chung),오봉렬(Bong-Ryoul Oh),안성자(Sung Ja Ahn),나병식(Byung Sik Nah),권동득(Dong-Deuk Kwon),박광성(Kwangsung Park),류수방(Soo-Bang Ryu),박양일(Yang-Il Par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0 No.2

        목 적 : 근 침윤성 방광암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예후 인자를 분석하고 방사선 치료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근 침윤성 방광암으로 진단 받고 계획된 치료를 완료한 2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28명 중 남자가 21명 여자가 7명이었으며 환자의 연령은 49세에서 84세로 분포하였고 중앙값은 72세였다. 조직학적으로 모두 이행상피암으로 확진되었으며 grade 1은 1명, grade 2는 15명, grade 3는 9명, 불명인 경우가 3명이었다. 방사선치료는 선행가속기의 6 MV 또는 10 MV X-ray를 이용하였으며 일회선량은 1.8 내지 2.0 Gy로 3문 내지 4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투여된 총방사선량은 59 내지 66.6 Gy였고 중앙값 61.24 Gy였다. 생존율은 Kaplan-Meier법으로 산출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는 Logrank teat를 이용하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Cox 비례위험모델로 다변량 분석하였다. 결 과 : 생존율은 1, 2, 3, 5년에 각각 76, 46, 33, 33%로 나타났다. 중앙 생존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가능성 있는 예후 인자로서 연령(70세 미만 대 이상), 성별, 당뇨병, 고혈압, 수신증 동반 여부, T-병기(T3a 대 T3b 이상), TUR, 항암화학요법 여부, 방사선치료기간, 방사선량(60 Gy 미만 대 60 Gy 이상), 방사선치료반응정도를 분석에 포함시켰으며, 이들 중 단변량분석에서 T-병기(p=0.078)와 방사선량(p=0.051)이 통계학적 의의에 접근하였으며 방사선치료반응 정도(p=0.011)가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게 나타났다. 그러나 다변량분석에서는 통계학적 의의를 가지는 인자가 없었다. 결 론 : 근 침윤성 방광암에서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 인자로 방사선량, 방사선치료반응 정도가 단변량분석에서 의미있게 나타났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확인되지 못하였으며 향후 더욱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이에 대한 전향적 무작위 임상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and evaluated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muscle-invading bladder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eight patients with bladder cancer who completed planned definitive radiotherapy in the Departments of Therapeutic Radiology and 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 1986 to Dec. 1998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reviews were peformed based on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There were 21 males and 7 females in this study. The median of age was 72 years old ranging from 49 to 84 years. All patients were confirmed as having transitional cell carcinoma with histological grade 1 in one patient, grade 2 in 15, grade 3 in 9, and uninformed in 3. Radiation therapy was peformed using a linear accelerator with 6 or 10 MV X-rays. Radiation was delivered daily with a 1.8 or 2.0 Gy fraction size by 4 ports (anterior-posterior, both lateral, alternatively) or 3 ports (Anterior and both lateral). The median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isocenter of the target volume was 61.24 Gy ranging from 59 to 66.6 Gy. The survival rate was calculated by the Kaplan-Meier method. Multivariate analysis was peformed on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Results : The survival rate was 76%, 46%, 33%, 33% at 1, 2, 3, 5 years, respectively, with 19 months of median survival. The potential factors of age (less than 70 years vs above 70), sex,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hydronephrosis, 1-stage (T3a vs T3b), TUR, chemotherapy, total duration of radiotherapy, radiation dose (less than 60 Gy vs above 60 Gy), and the treatment response were investigated with uniand multivariate analysis. In univariate analysis, the T-stage (p=0.078) and radiation dose (p=0.051) were marginally significant, and the treatment response (p=0.011)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on the survival rate.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Conclusion : The treatment response and radiation dose are suggested 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of 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A Further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se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한국인 후두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과정 및 내용에 관한 분석(1998∼1999년도)

        정웅기(Woong-Ki Chung),김일한(Il Han Kim),윤미선(Mee Sun Yoon),안성자(Sung-Ja Ahn),남택근(Taek-Keun Nam),송주영(Ju-Young Song),정재욱(Jae-Uk Chung),나병식(Byung-Sik Nah),나준규(Joon-Kyoo Lee),우홍균(Hong Gyun Wu),이창걸(Chang Geol L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7 No.4

        목 적: 한국인 후두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과정 및 방법(patterns of care)을 조사하고 병원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국의 23개 병원에서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년간 후두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37명(성문암, 144명; 성문상부암, 93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및 종양 특성, 진단방법, 치료방법의 선택, 방사선치료의 내용, 부작용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방사선치료의 내용에 관해서는 1998년도 연간 신환 발생수를 기준으로 참여병원을 A군(900명 이상), B군(400명 이상, 900명 미만) 및 C군(400명 미만)으로 나누어 차이 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결 과: 환자의 연령분포는 25∼88세(중앙값, 62세)였고 남자가 216명(91.1%)이었다. 임상적 병기는 성문암의 경우 I기 61.8%, II기 21.5%, III기 4.2%, IVa기 11.1%, IVb기 1.4%, 성문상부암은 I기 4.3%, II기 19.4%, III기 28.0%, IVa기 43.0%, IVb기 5.4%로 나타났다. 병기에 따른 치료방법의 선택, 방사선치료범위, 원발부위 방사선량에 있어서 병원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모의치료방법에서 선량계산방법, 방사선에너지, 조사면배열, 고정기구사용여부에서 병원군간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우리나라 후두암 환자의 방사선치료는 모의치료방법에서 병원군 간에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비교적 일정하게 시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방사선치료 표준화의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are patterns for radiation therapy and to determine inter-hospital differences for patients with laryngeal carcinoma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37 cases of laryngeal carcinoma (glottis, 144; supraglottis, 93) assembled from 23 hospitals, who underwent irradiation in the year of 1998 and 1999,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investigate inter-hospital differences with respect to radiotherapy treatment. We grouped the 23 hospitals based on the number of new patients annually irradiated in 1998; and designated them as group A (≥900 patients), group B (≥400 patients and <900 patients), and group C (<400 patients). Results: The median age of the 237 patients was 62 years (range, 25 to 88 years), of which 216 were male and 21 were female. The clinical stages were distributed as follows: for glottis cancer, I; 61.8%, II; 21.5%, III; 4.2%, IVa; 11.1%, IVb; 1.4%, and in supraglottic cancer, I; 4.3%, II; 19.4%, III; 28.0%, IVa; 43.0%, IVb; 5.4%, respectively.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3 groups with respect to the dose calculation method, radiation energy, field arrangement, and use of an immobilization devic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hospital groups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reatment modality, irradiation volume, and median total dose delivered to the primary site.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radiotherapy process and patterns of care are relatively uniform in laryngeal cancer patients in Korean hospitals, and we hope this nationwide data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standardization of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 SCOPUSKCI등재

        비인두암의 국소 종양 치유와 생존율에 관한 예후 인자 분석

        정웅기(Woong-Ki Chung),조재식(Jae-Shik Cho),박승진(Seung Jin Park),이재홍(Jae-Hong Lee),안성자(Sung Ja Ahn),남택근(Taek Keun Nam),최찬(Chan Choi),노영희(Young Hee Noh),나병식(Byung 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 적 : 비인두암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후 국소종양제어율, 생존율, 무병생존율에 미치는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7월부터 1996년 6월까지 약 10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서 비인두암으로 확진되어 근치적 목적으로 치료를 받은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16세에서 80세까지였고 중앙 값은 52세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33명(70%), 여자가 14명(30%)이었다. WHO의 기준에 의한 조직학적 유형은 제1형(케 라틴형성 편평세포암)이 3례(6%), 제2형(비케라틴형성 편평세포암)이 30례(64%), 제3형(미분화암)이 13례(28%)였고 나머 지 1례(2%)는 조직학적 유형이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암합동위원회(1997)의 병기분류법에 따라 후향적으로 다시 분류한 병기는 T1, T2a, T2b, T3, T4에서 각각 11례(23%), 6례(13%), 9례(19%), 7례(15%), 14례(30%)였다. 그리고 림프절 침범 상태는 N0, N1, N2, N3에서 각각 7례(15%), 14례(30%), 21례(45%), 5례(10%) 있었다. 병기군별 분포는 Stage I, IIA, IIB, III, IVA, IVB에서 각각 2례(4%), 2례(4%), 10례(21%), 14 례(30%), 14례(30%), 5례(11%) 있었다. 방사선치료 전에 항암제 치료를 받은 환자는 42례이며 5례는 항암제 치료가 시행되지 않았다. 방사선치료는 선형가속기의 6MV와 10MV X-ray 및 9 MeV 전자선을 사용하였으며 원발 병소에 조사된 총방사선량은 6120- 7920cGy(중앙값: 7020cGy)였다. 항암화학요법은 Cisplatin+5-Fluorouracil(25명), Cisplatin+Pepleomycin(17명)으로 1회에서 3회까지 시행하였다. 국소종양제어율, 생존율, 무병생존율을 Kaplan-Meier법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두 군간의 생존율의 차이는 Generalized Wilcoxon 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영향을 주는 인자의 다변량분석에는 Cox 모델을 이용하였다. 결 과 : 국소종양 제어율은 2년에 89%, 5년에 81%이었다. 5년 생존율은 60%(범위; 6-132개월, 중앙값; 32개월)이었다.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 연령, 성별, 두개신경침범, 병리조직학적 유형, 병기군,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 사이의 간격, 방사선량, 방사선치료기간을 다변량분석에 포함시켰다. 국소종양제어율에는 두개신경침범(P=0.004)만이 의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는 병기군(P=0.006, P=0.003)과 총방사선량(P=0.012, P=0.008)이 의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후 합병증은 구강건조증, 치아손상, 이증상 등이 많았으며 2례의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었다. 결 론 : 비인두암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국소종양제어율은 두개신경침범 여부가, 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는 총방사선량 과 병기군, 특히 N 병기가 의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용된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이 없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prognostic fac tors affecting local control,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in nasopharyngeal carcinomas treated with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sed 47 patients of nasopharyngeal carcinomas, histologically confirmed and treated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1986 and June 1996, retrospectively. Range of patients' age were from 16 to 80 years (median; 52 years). Thirty three (70%) patients was male. Histological types were composed of 3 (6%) of keratinizing, 30 (64%) of nonkeratinizing squamous cell carcinoma and 13 (28%) of undifferentiated carcinoma. Histological type was not known in 1 patient (2%). We restaged according to the staging system of 1997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Forty seven patients we re recorded as follows: T1; 11 (23%), T2a; 6 (13%), T2b; 9 (19%), T3; 7 (15%), T4; 14 (30%), and N0; 7 (15%), N1; 14 (30%), N2; 21 (45%), N3; 5 (10%). Clinical staging was grouped as follows: Stage I; 2 (4%), IIA; 2 (4%), IIB; 10 (21%), III; 14 (30%), IVA ; 14 (30%) and IVB; 5 (11%). Radiation therapy was done using 6 MV and 10 MV X- ray of linear accelerator. Electron beam was used for the lymph nodes of posterior neck after 4500 cGy. The range of total radiation dose delivered to the primary tumor was fro m 6120 to 7920 cGy (median; 7020 cGy). Neoadjuvant chemotherapy was performed with cisplatin+5-fluorouracil (25 patients) or cisplatin +pepleomycin (17 patients) with one to three cycles. Five patients have not received chemotherapy. Local control rate, sur 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 were calculated by Kaplan- Meier method. Generalized Wilcoxon 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urvival rates between groups. Multivariate analysis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done for finding prognostic factors. Results : Local control rate was 81% in 5 year. Five year survival rate was 60% (median survival; 32 months). We included age, sex, cranial nerve deficit, histologic type, stage group, chemotherapy, elapsed days between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total radiation dose, period of radiotherapy as potential prognostic factors in multivariate analysis. As a result, cranial nerve deficit (P=0.004)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local control rate. Stage group and total radiation dose were sig nificant prognostic factors in survival (P=0.006, P=0.012), and in disease free survival rates (P=0.003, P=0.008), respectively. Common complications were xerostomia, tooth and ear problems. Hypothyroidism was developed in 2 patients. Conclusion : In our study, cranial nerve deficit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local control rate, and stage group and total radiation dose were significant factors in both survival and disease free survival of nasopharyngeal carcinoma. We have concluded that chemothe rapy and radiotherapy used in our patients were effective without any serious complication.

      • KCI등재후보

        발육 중의 백서 태아 대뇌 피질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

        정웅기(Woong-Ki Chung),남택근(Taek-Keun Nam),이민철(Min-Cheol Lee),안성자(Sung-Ja Ahn),송주영(Ju-Young Song),박승진(Seung-Jin Park),나병식(Byung-Sik Na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4

        목 적: 발육 중인 백서 태아 대뇌 피질에서 방사선조사에 의한 아포토시스 반응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임신 백서의 태령 17내지 19일(E17˜E19)에 선형가속기의 X-ray를 이용하여 어미쥐의 복부에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량에 따른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1, 2, 3, 4Gy를 전후 조사면으로 방사선조사를 시행하고 5시간 후 백서 태아의 뇌를 획득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아포토시스를 보기 위하여 E17˜E19에 2 Gy의 방사선을 조사한 후 1, 3, 6, 12, 24시간에 각각 백서 태아의 뇌를 획득하였다.대조군은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임신 쥐를 같은 조건하에서 사육하여 각 군당 3마리씩 할당하였다.아포토시스 세포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법(TUNEL; In situ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결 과: 백서 태아 대뇌 피질에서 TUNEL 양성인 세포는 광학현미경하에서 전형적인 아포토시스의 형태학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는 대뇌 피질의 전 층에서 TUNEL 양성세포를 거의 발견할 수 없었다. 1 Gy의 방사선조사 후 5시간에 대뇌피질 전 층에서 미약하게 관찰되었으나 2 Gy에는 전 층에서 1 Gy 경우보다 더 증가하였고 그중 뇌실대와 중간대에서 피질대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조사된 1˜4 Gy 범위에서 방사선량이 증가할수록 TUNEL 양 성 세 포 가 더욱 증가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2 Gy의 방사선 조사 후 3시간부터 TUNEL 양성세포가 관찰되기 시작하여 방사선 조사 후 6시간에 최고점을 이루었으며 이는 24시간까지 지속되었다. 결 론: 발육 중인 백서 태아대뇌피질에서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의 전형적인 형태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아포토시스는 뇌실대와 중간대에서 피질대 보다 더 많이 나타났으며 이는 줄기세포와 초기의 분화세포에서 방사선조사에 대한 감수성이 더욱 민감함을 시사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poptosis by radiation in the developing fetal rat brain. Materials and Methods: Fetal brains were irradiated in utero between the 17th and 19th days of fetal life (E17-19) by linear accelerator. A dose of irradiation ranging from 1 Gy to 4 Gy was used to evaluate dose dependency. To test time dependency the rats were irradiated with 2 Gy and then the fetal brain specimens were removed at variable time course; 1, 3, 6, 12 and 24 hours after the onset of irradia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in situ TdT-mediated dUTP nick end labelling (TUNEL) technique was used for apoptotic cells. The cerebral cortex, including three zones of cortical zone (CZ), intermediate zone (IZ), and ventricular zone (VZ), was examined. Results: TUNEL positive cells revealed typical features of a poptotic cell sunder light microscope in the fetal rat cerebral cortex. Apoptotic cells were not found in the cerebral cortex of non-irradiated fetal rats, but did appear in the entire cerebral cortex after 1 Gy irradiation, and were more extensive at the ventricular and intermediate zones than at the cortical zone. The extent of apoptosi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of radiation. Apoptosis reached the peak at 6 hours after the onset of 2 Gy irradiation and persisted until 24 hours. Conclusion: Typical morphologic features of apoptosis by irradiation were observed in the developing fetal rat cerebral cortex. It was more extensive at the ventricular and intermediate zones than at the cortical zone, which suggested that stem cells or early differentiating cells are more radiosensitive t h an differentiated cells of the cortical z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