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학파 학자들의 『대학』 공부론 연구 - 부념(浮念)과 편념(偏念)에 관한 호론과 낙론 학자들의 견해를 중심으로 -

        정연수 ( Jung Yeon-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에서는 율곡의 『대학』 공부론을 기반으로 호론과 낙론 학자들이 부념(浮念)과 편념(偏念)에 관한 『대학』 공부론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는지 사상사적 맥락에서 살펴 보았다. 호론과 낙론 학자들은 악념을 제거하는 성의 공부 이후에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와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 공부까지 이루어야 성인의 마음을 온전히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율곡의 『대학』 공부론을 발전시킨다. 다만,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를 정시(靜時)로 보는 호론 학자들의 주장을 낙론 학자들이 비판하면서 『대학』 공부론에 관한 논쟁이 전개된다. 호론 학자들은 대체로 『대학』 정심장에 제시된 성찰의 방식이 동시(動時) 상으로 나아가 사려로 헤아리는 것이 아니라, 부념에 해당하는 네 가지 병통의 기미가 있다는 것을 포착하자마자 그 즉시 놓아버리는 것으로 요약되기 때문에 『대학』의 정심 공부가 마음의 본체를 존양하는 정시(靜時) 상의 공부라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낙론 학자들은 대체로 『대학』 정심장에서 말하는 심(心)은 마음의 전체를 말하는 것이지 정시(靜時)의 미발심(未發心)에 국한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심 공부를 동정(動靜)을 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율곡은 부념을 가볍게 비추어보자마자 그 즉시 놓아버리는 공부(輕輕照管·輕輕放退)와 같은 맥락에서 이연평의 미발체인(未發體認) 공부를 논한 바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자면, 호론 학자들과 같이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를 정시(靜時)의 미발 공부로 분속시켜 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율곡이 정심 공부를 미발과 이발을 아울러 존양과 성찰을 함께 논한 측면에서 보자면, 낙론 학자들과 같이 정심 공부가 동정(動靜)을 겸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대학』에도 정시(靜時)의 공부가 있다는 것은 호론이나 낙론 학자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다만, 호론 학자들이 대체로 『대학』의 정심 공부 자체를 『중용』의 미발 공부로 이해한다면, 낙론 학자들 중에서는 『대학』의 정심 공부가 동시(動時)에 해당하지만 체용일원(體用一源)의 논리에 의해 미발 공부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는 차이가 있다. 이처럼 율곡학파 학자들 사이에서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 공부와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 공부에 관한 문제는 단순하게 부념과 편념을 다스리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대학』과 『중용』을 하나의 공부 체계로 이해하는 논의로 발전된다고 하겠다. In this thesis, based on Yulgok's theory to study “Daehak”, it was examined how scholars of Horn and Nakron developed the theory to study “Daehak” regarding Bunyeom and Pyeonnyeom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ideas. The scholars of Horon and Nakron developed Yulgok's theory to study "Daehak" arguing that one could fully recover a saint's mind only after studying Seongeui(誠意, sincerity) to get rid of Aknyeom(惡念, an evil intention), Jeongsim(正心, an upright heart) to control Bunyeom, and Susin(修身, moral training) to control study and Pyeonnyeom. Yet, as scholars of Nakron criticized Horon scholars' argument considering the study of Jeongsim to control Bunyeom as Jeongsi(靜時, calm time), the controversy over the theory to study "Daehak" developed. The scholars of Horon generally insisted that because the method of Seongchal(省察, introspection) suggested in “Jeongsimjang(正心章, Chapter of Upright Heart)” of “Daehak” was not going into Dongsi(動時, dynamic time) and fathoming with Saryeo(思慮, consideration), but releasing it at the very moment of catching the indication of four troubles relevant to Bunyeom, the study on Jeongsim in "Daehak" should be the study of Jeongsi(靜時, calm time) for Jonyang(存養, developing good nature) of the main part of mind. On the other hand, the scholars of Nakron mostly contended that because Sim(心, mind) discussed in “Jeongsimjang” of “Daehak” referred to the whole mind and was not limited to Mibalsim(未發心, mind not manifested yet) of Jeongsi(靜時, calm time), the study on Jeongsim should include Dongjeong(動靜, movements). Yulgok once commented on Lee Yeon-pyeong(李延平)'s study on Mi-bal-che-in(未發體 認) in the same context of the study methods of release at the very moment of light reflection(輕輕照管·輕輕放退). In this respect, study on Jeongsim to control Bunyeom can be separated and belong to the study on Mibal of Jeongsi(靜時, calm time) as the scholars of Horon did. On the other hand, from the aspect that regarding the study on Jeongsim, Yulgok discussed both Jonyang(存養, developing good nature) and Seongchal(省察, introspection) with Mibal(未發, not manifested) and Yibal(已發, already manifested) together, it seems to have no problem to think of Jeongsim as the study including Dongjeong(動靜, movements). There were no different opinions between the scholars of Horon and those of Nakron regarding that there was study of Jeongsi(靜時, calm time) in “Daehak”, too. However, while the scholars of Horon usually understood the study of Jeongsim in “Daehak” itself as the study of Mibal in “Jungyong”, some scholars of Nakron thought that even though the study of Jeongsim of “Daehak” corresponded to Dongsi(動時, dynamic time), it included the study on Mibal because of the logic of Che-yong-il-won(體用一源). It can be said that the discussion over the study of Jeongsim to control Bunyeom and the study of Susin to control Pyeonnyeom were not limited to the proposal of the methodology to just control Bunyeom and Pyeonnyeom, but developed into the understanding of “Daehak” and “Jungyong” as one system of study.

      • KCI등재

        부념(浮念)과 편념(偏念)에 관한 한원진의 『대학(大學)』 공부론 연구

        정연수 ( Jung Yeon-s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대학』에 관한 율곡의 공부론을 기반으로 『대학』의 정심(正心)장에서 제기되는 부념(浮念)의 문제와 수신(修身)장에서 제기되는 편념(偏念)의 문제에 관한 한원진의 공부론을 고찰함으로써 율곡학파의 공부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율곡이 정심공부에서 부념의 문제를 제기한 이래, 한원진에 의해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론이 심화되었고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공부론이 새롭게 정립됨으로써 『대학』에 관한 내성공부론의 체계가 정밀하게 구축된다. 부념을 다스리는 한원진의 정심공부론은 정시(靜時) 상에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도래하는 미세한 부념의 기미를 경(敬)으로 성찰하자마자 성찰한 마음까지 즉시 놓아버림으로써 다시 정존(靜存)의 공부로 직입하여 미발의 본체를 보존하는 데 요지가 있다. 비록 도래한 부념을 성찰하는 순간은 이미 동시(動時)로 접어든 상태지만, 정심공부에서 성찰을 한다는 것은 정시(靜時) 상에서 도래하는 부념을 포착하기만 하는 것이지 동시(動時) 상에서 성찰해 나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한원진은 정심공부를 정(靜)한 마음의 일로 분속시킨다. 이러한 공부론은 한원진이 이연평의 미발체인(未發體認) 공부를 략략조고(略略照顧)의 공부법으로 이해하는 것과 맥락을 같이 한다. 편념을 다스리는 한원진의 수신공부론은 정심공부에 의한 정존(靜存)의 마음이 일에 응접하여 다시 동시(動時)로 나아감에 미세하게 치우친 의념을 살펴 감정을 검속함으로써 일신(一身)을 온전하게 주재하는 데 요지가 있다. 편념을 다스리는 수신공부는 동시(動時) 상에서 의념의 편정(偏正)을 중절(中節)하게 다스려 나가는 공부이기 때문에 한원진은 수신공부를 동(動)한 마음의 일로 분속시킨다. 한원진은 정심공부를 정(靜)에 분속시키고 수신공부를 동(動)에 분속시킴으로써 미발(未發)과 이발(已發)을 아울러 체용(體用)을 겸비한 『대학』의 공부론을 확립하게 되고, 중(中)과 화(和)를 이루는 『중용』의 공부론과 통일된 공부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정심공부와 수신공부는 마음의 기질을 변화시키는 공부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미발기질유선악(未發氣質有善惡)을 주장하는 한원진에 의하면, 범인이 잠시 미발한 마음에 이르렀다고 해서 탁박한 마음의 기질이 한 순간에 온전하게 변한다고 말할 수 없다. 이에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로 인해 전일(專一)하게 정존(靜存)의 중(中)을 함양해야 마음의 기질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응접하는 일마다 티끌만한 편벽된 의념도 용납하지 않고 중절(中節)하게 화(和)를 이루는 수신공부를 완성해야 비로소 기질이 온전하게 변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학』에 관한 한원진의 공부론은 선대 조선 유학자들의 공부론을 심화시키는 데 지대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후대 조선 유학의 공부론이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는 토대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에 후속연구에서 『대학』에 관한 한원진의 공부론이 후대 호론과 낙론의 학자들에게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율곡학파의 공부론에 관한 연구를 심화시켜 나가도록 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Han Won-jin`s theory of study regarding the matter of Bunyeom(浮念) raised in Chapter Jeongsim(正心) in Daehak and Pyeonnyeom(偏念) raised in Chapter Susin(修身) based on Yulgok`s theory of study on Daehak, and laying the ground for the in-depth study on the Yulgok school`s theory of study. Since Yulgok brought up the problem of Bunyeom in the study of Jeongsim, the theory of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had been deepened by Han Won-jin, and as the theory of Susin study to rule Pyeonnyeom was newly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 theory of Naeseong study on Daehak was precisely established. The point of Han Won-jin`s theory of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is to introspect with Gyeong(敬) the minute indication of Bunyeom arriving at Jeongsi(靜時) without one`s awareness, and at the very moment, to immediately let go of the reflected mind, directly enter the study on Jeongjon(靜存), and preserve the noumenon that has not been manifested. Even though the moment when the arrived Bunyeom is introspected is already the state to reach Dongsi(動時), reflection in Jeongsim study is just catching the arriving Bunyeom at Jeongsi(靜時), not introspection at Dongsi(動時), so Han Won-jin classified and assigned Jeongsim study in the matter of mind of Jeong(靜). This theory of study is in the same context as Han Won-jin`s understanding of Lee Yeon-pyeong`s study on Mibalchein(未發體認) as the study method of Ryakryakjogo(略略照顧). The point of Han Won-jin`s theory of Susin study to control Pyeonnyeon is to examines minutely biased Euinyeom when the mind of Jeongjon(靜存) by Jeongsim study receives a matter and proceeds to Dongsi(動時) again, and to preside a body wholly by exercising stric control over emotions. Susin study to control Pyeonnyeom is the study to rule `Pyeonjeong(偏正)` of Euinyeom with Jungjeol(中節) at Dongsi(動時), so Han Won-jin classified and allocated Susin study to the matter of mind of Dong(動). By classifying and allocating Jeongsim study to Jeong(靜) and Susin study to Dong(動), Han Won-jin established the theory of Daehak study that combines Cheyong(體用) bringing Mibal(未發) and Yibal(已發) together, and could build the theory of "Jungyong“ study forming Jung(中) and Hwa(和), and unified study structure. Jeongsim study and Susin study can be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tudy that changes the disposition of mind by a body. According to Han Won-jin who insisted Mibalgijilyuseonak(未發氣質有善惡), even though a mediocrity reaches an unmanifested mind for a moment, the disposition of mind with Takbak cannot be said to change in an instant. Accordingly, the disposition of mind can be changed when Jung(中) of Jeongjon(靜存) is intensively cultivated by Jeongsim study to rule Bunyeom, and disposition can be said to be changed wholly when all the matters to be received becomes appropriate with no biased Euinyeom is admitted, and one advances to Susin study to accomplish Hwa(和) with Jungjeol(中節). Han Won-jin`s theory of Daehak study not only played a crucial role to deepen the theories of study of Confucian scholars of Joseon, but also paved the way for the theory of study of Confucianism in later Joseon to come a turning point. Therefore, in the follow-up study, how Han Won-jin`s theory of "Daehak" theory was transmitted later to the scholars of Horon and Nackron will be examined.

      • KCI등재

        한국철학 : 한룡운(韓龍雲)의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에 관한 비평적(批評的) 고찰(考察)

        정연수 ( Yeon Soo J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0

        본 논문에서는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을 비평적 시각에서 살펴보고 그 철학적 의미와 현대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조선불교유신론』에서 한용운이 동서양의 종교와 철학에 관한 양계초의 학설에만 의존하여 타종교와 타학파의 철학보다 불교가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종교적으로나 철학적으로나 지혜를 기반으로 한 깨달음의 종교로서 불교 자체의 특수성을 부각시켰더라면 불교의 본질을 규명하는데 효과적이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조선불교유신론』에서 한용운이 제시한 12가지 승단개혁방안은 비현실적이고 과격한 측면이 있으나 당시 시대상황을 고려하자면 時宜에 맞지 않는 구습을 타파하기 위한 對症下藥의 처방전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승려의 금혼령 폐지를 주장하면서 일반 대중들에게 적용되는 논리를 근거로 제시하거나 승려의 금혼령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식색지욕을 부정하면서 寡慾이 아닌 無慾을 강제하는 것으로 여기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비록 위와 같은 문제가 있을지라도 『조선불교유신론』은 일제강점기에 조선불교의 정신적 독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던 한용운의 고뇌와 의지가 담겨있는 책으로서 앞으로도 한국불교계의 유신에 指南이 되는 소중한 유산이라는 데에는 異見이 없을 것이다. The study examined Han Yong-un`s “Joseon Buddhist Reformation” from a critical perspective and looked into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Han Yong-un argued, based solely on the Liang Qi-chao`s theory on the western and eastern religions and philosophies, that the Buddhist philosophy is superior to the philosophy of other religions and schools, which seems to be problematic. If he emphasized on the distinctiveness of Buddhism as a religion of awareness, it would have been efficient in identifying essence. Despite the unrealistic and radical aspects of Han Yong-un`s reform plans suggested in “Joseon Buddhist Reformatio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it can be viewed as a suitable prescription to put down old practices that weren`t proper in the time, However, from a philosophical view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is argument that allowing Buddhist monks to marry is beneficial, which is based on the logic applied to the general public, and his understanding that banning their marriage denies all human appetite cud lust and it compels unavariciousness against their will. Nevertheless, there would be no doubt that “Joseon Buddhist Reformation” will be a valuable asset that can be guidance far Korean Buddhist Reformation as a book containing Han Yong-un`s anguish and will, whose priority was spiritual independence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중용(中庸)」편과 「맹자(孟子)」편의 순차로 구성된 『주자언론동이고 (朱子言論同異考)』 체계에 관한 일고찰 - 한원진의 공부론을 중심으로 -

        정연수 ( Jung Yeon-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3 No.-

        본 논문에서는 「중용」편과 「맹자」편의 순차로 구성된 『주자언론동이고』의 구조적인 문제를 한원진의 공부론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율곡이 『성학집요』에서 『대학』, 『논어』, 『맹자』, 『중용』의 순서로 『사서』의 독법을 논한 주자의 공부론을 정리한 이래, 『사서』의 배치 순서에 대해 이견을 제시한 율곡학파의 학자는 없었다. 그런데 율곡의 사상을 계승한 적통이자 호론의 종주로 일컬어지는 한원진은 어떠한 부연 설명도 없이 이례적으로 「중용」편과 「맹자」편의 순서로 『주자언론동이고』를 구성하였다. 이에 필자는 한원진이 주로 미발에 관한 공부론으로 「중용」편을 구성하고 있으며 기질에 관한 공부론으로 「맹자」편을 구성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주자언론동이고』의 「중용」편과 「맹자」편의 체계를 한원진의 공부론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율곡이 거경(居敬)을 기반으로 궁리(窮理) 공부에 이어서 바로 역행(力行) 공부를 강조하였다면, 한원진은 거경을 기반으로 하되 궁리 공부에 이어서 미발심을 경으로 존양(存養)하는 공부를 주장한 이후에 기질변화의 역행 공부를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주자언론동이고』에서 「중용」편과 「맹자」편의 순서로 구성하게 된 것은 미발심을 존양하는 공부 이후에 기질변화의 역행 공부를 전개하는 한원진의 공부론과 개연성이 있다고 하겠다. In this thesis, the structural problems of Jujaeonrondongeego that consists of Jungyong and Maengja in order were examined based on Han Won-jin's theory of study. Since Yulgok in Seonghakjipyo organized Zhu Xi's theory of study which discussed the way of reading Saseo in the order of Daehak, Noneo, Maengja and Jungyong, there have been no scholars of Yulgok School holding a different view on the arrangement order of Saseo. Yet, Han Won-jin called as the main successor of Yulgok's ideas and the leader of Horon composed Jujaeonrondongeego exceptionally in the order of Jungyong and Maengja without any additional explanation. Accordingly, the structure of Jungyong and Maengja in Jujaeonrondongeego was examined based on Han Won-jin's theory of study from the understanding that Han Won-jin organized Jungyong mainly with the theory of study on pre-manifestation and Maengja with the theory of study on disposition. Whike Yulgok emphasized the study of retrogression(力行) directly following that of deliberation(窮理) based on the cultivation of virtues(居敬), Han Won-jin had the characteristics that he studied based on the cultivation of virtues, but emphasized the study on the retrogression of the changes in disposition after insisting on the study of the development(存養) of pre-manifested mind(未發心) with respect following the study of deliberation.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Jujaeonrondongeego in the order of Jungyong and Maengja can be said to be connected to Han Won-jin's theory of study insisting on the study on the retrogression of the changes in disposition after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manifested mind.

      • KCI등재

        지(志),의(意)(염,(念),려(慮),사(思))에 관한 율곡(栗谷)의 공부론(工夫論) 연구

        정연수 ( Yeon Soo Jung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고에서는 지(志)와 의(意)(염(念)·려(慮)·사(思))에 관한 개념을 율곡이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성(誠)과 경(敬)을 통해 선(善)에 뜻을 확고히 정립하는 입지(立志)공부와 선악(善惡)을 성찰하여 선을 추향함으로써 도심(道心)으로 나아가게 하는 성의(誠意)공부를 비롯하여 부념(浮念)을 다스리는 정심(正心)공부에 이르기까지 내성(內聖)을 회복하는 율곡의 공부론을 고찰하였다. 지(志)는 사유의 방향이 한 곳으로 정해진 의식을 의미하며, 입지(立志)는 의식의 방향을 선(善)으로 확정하고 이를 돈독하게 다지는 공부이다. 입지공부는 선악을 성찰하여 선일변의 지(志)를 성(誠)으로 확고하게 정립하고 경(敬)으로 전일하게 함양함으로써 불신(不信)과 부지(不智)와 불용(不勇)의 세 가지 병통을 극복하여 내성 공부의 초석을 다지는 데 요지가 있다. 의(意)는 경중(輕重)의 차이에 따라 염(念)·려(慮)·사(思)로 나뉘며 사유의 방향이 한 곳으로 정해지지 않고 전변(轉變)하는 의식이다. 이러한 의(意)가 형기(形氣)의 사사로움을 따르게 되면 인심(人心)이 되고 성명(性命)의 바름을 따르게 되면 도심(道心)이 된다. 성의공부는 의(意)에서 악을 제거하고 선을 추향하는 공부이다. 성의공부는 비록 형기의 사사로움에 의해 의(意)가 인심으로 나아간다고 할지라도 선악을 성찰하여 인심이 인욕을 유발시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정리(正理)에 위배되지 않게 하고, 의(意)가 성명의 바름을 추향하게 함으로써 인심을 도심으로 전환시키는 데 요지가 있다. 부념은 선과 악으로 판별하기도 어렵고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생멸(生滅)을 반복하는 은미(隱微)한 의식이다. 부념을 다스리는 공부는 선의지를 가지고 선을 추향하는 성의공부만으로 이루기 어렵고 정심공부로 나아가야 이룰 수 있다.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가 악념을 다스리는 성의공부보다 난해한 이유는 부념이 도래했음을 자각하기조차 어렵고 부념을 제거하려는 마음 자체가 또 다른 부념을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쉽기 때문이다. 경(敬)으로 수렴하여 마음을 지극히 평온한 상태로 이끌어야 비로소 부념이 도래했다는 것을 성찰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부념을 성찰하자마자 부념을 자각한 의식조차 그 즉시 놓아버려야 한다. 이에 율곡은 ‘경경방퇴(輕輕放退)’하고 ‘경경조관(輕輕照管)’하여 부념을 다스릴 것을 당부하는데, 이는 ‘경경조고(輕輕照顧)’하여 미발심을 회복하는 공부와도 직결된다. 부념을 다스리는 정심공부는 부념을 제거하려는 일념조차 용납하지 않고 전일하게 경(敬)으로 함양하는 데 요지가 있다. 위와 같은 율곡의 공부론은 송시열과 권상하를 거쳐 호론과 낙론의 공부론이 형성되는 토대가 되는데, 본 논문을 기반으로 추후에 율곡의 공부론이 후대에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In this paper, the concepts of Ji(志) and Eui(意)(Yeom念·Ryeo慮·Sa思) defined by Yulgok were examined, and Yulgok``s theory of study to recover Naeseong(內聖) including the study of Ipji(立志) which makes up one``s mind to pursue Seon(善) through Seong(誠) and Gyeong(敬), the study of Seongeui(誠意) that introspects on Seongak(善惡), seeks goodness and makes progress toward Dosim(道心), and the study of Jeongsim(正心) which controls Bunyeom(浮念). Ji(志) means the consciousness whose reasoning has been determined to one direction, and Ipji(立志) is the study that fixes the direction of consciousness toward Seon(善) and strengthens it firmly. The essence of Ipji study is overcoming three troubles of Bulsin(不信), Buji(不智) and Bulyong(不勇) and strengthening the basis of Naeseong study by reflecting on right and wrong, resolutely defining Ji(志) of Seonilbyeon as Seong(誠) and developing it into Gyeong(敬) with the whole mind. Eui(意) is classified into Yeom(念), Ryeo(慮) and Sa(思)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has both the adverse effect that its reasoning is not determined as one-direction of consciousness, and results in evil by being ordered by personal Hyeonggi(形氣), and the right function to follow the rightness of Seongmyeng(性命) and make a person pursue goodness. Seongeui study is the study to get rid of evil thoughts and seek goodness. Its point lies in reflecting on right and wrong and preventing Insim from cause selfish interests and desires so that Jeongri(正理) cannot be violated, and in helping Eui(意) to seek rightness of Seongmyeong(性命) so that Insim(人心) can be changed into Dosim(도심) even if Eui(意) develops into Insim due to personal nature of Hyeonggi(形氣). Bunyeom(浮念) is the Eunmi(隱微) consciousness which cannot be distinguished by right and wrong, and repeats Saengmyeol(生滅) in spite of oneself. The study to control Bunyeom cannot be easily accomplished through Seongeui study to pursue goodness with good will, but can be achieved only when it advances into Jeongsim study.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is more difficult than Seongeui study to control Aknyeom because it``s hard to realize that Bunyeom has come and the mind itself trying to eliminate Bunyeom can easily bring about the outcome of generating another Bunyeom. Only when it becomes convergent into Gyeong(敬) and leads the mind to a very calm state, the introspection that Bunyeom has come becomes possible. Above all, as soon as Bunyeom is self-examined, even the consciousness that has realized Bunyeom must be let go immediately. Accordingly, Yulgok requested that one should control Bunyeom through ‘Gyeonggyeongbangtoi(輕輕放退)’ and ‘Gyeonggyeongjogwan(輕輕照管)’,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tudy to recover not-aroused mind through ‘Gyeonggyeongjogo(輕輕照顧)’. The gist of Jeongsim study to control Bunyeom is that even the determination to remove is not approved and developed into Gyeong(敬) all equally. As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Yulgok``s theory of study was developed in the generations to come, the prospect of studying theory of Yulgok school is to be expanded.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 70년사 회고와 전망 ― 교양 교과 교육과정의 철학 및 종교학 과목과 연관하여 ―

        정연수 ( Jung Yeon-soo ) 동양철학연구회 2022 東洋哲學硏究 Vol.110 No.-

        본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오늘날까지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살펴보면서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도덕성을 함양하고 사회적 화합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정의 혁신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도덕 교과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고등학교 교양 교과의 철학과 종교학 과목의 변천사도 아울러 살펴보았다. 해방 직후 미군정에서 신교육방침이 마련되면서부터 2022 교육과정 개정에 이르기까지 큰 틀에서 총 13차례 교육과정이 수립되고 있으며, 140여 차례 이상 교육과정이 일부 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시대별 정치적 상황 및 교육과정 개정의 특징을 고려하여 ‘해방 직후 교과 형성 시기’, ‘유신 개헌 이래 군사정부 시기’, ‘교육개혁 시기’, ‘고교 선택과목 체제 전환 시기’, ‘통합교육 시기’, ‘고교학점제 및 미래형 서논술 대학입시제도 도입 시기’로 나누어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살펴보았다. 예절교육에 중점을 두고 형성되기 시작한 도덕 교과의 구성과 내용은 시대 상황에 따라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유신 개헌 이래 군사정부 시기에는 도덕 교과를 비롯한 모든 교과가 정치화되기도 하였다. 교육개혁 시기에는 인성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두 가지 기조 아래 명실상부한 도덕 교과군이 형성되면서 발전을 거듭하였다. 고교 선택과목 체제 전환 시기에는 과학기술과 경제가 강조되면서 도덕 교과가 사회 교과군으로 편입되어 위상이 크게 추락하였고 통합교육 시기에도 온전히 복원되지 못하였다. 한편, 교양 교과의 철학과 종교학 과목은 교육과정 개정을 거듭할수록 유명무실해져 역할과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도덕 교과군을 복원하고 교양 교과의 철학과 종교학 과목을 활성화하여 정신적 성숙을 기반으로 과학기술과 경제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the history of the changes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days right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to today was examined, and the ways to innovate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help develop moral sense and promote social cohesio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the future were sought. In addition, the history of the changes in the subjects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e high school liberal arts curriculum,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moral subject, was also investigated.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new educational policy during the military rule by the USA right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to the revision of the 2022 curriculum, curricula have been established 13 times in broad framework, and they have been partially revised as many as about 140 times. In this thesis, the history of the changes in the curricula was examined in the categories of ‘the period when the curriculum was establish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the period of the military government unde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by Yushin, the period of the educational reform, the period of the elective subject system in high schools, the period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period of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taking the political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of each period into consideration. The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have been formed focusing on etiquette instruction have gone through many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times. During the military government period unde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by Yushin, all subjects including the moral education became politicalized. During the period of educational reform, a substantial group of moral subjects was formed and developed repeatedly under the two keynotes of character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moving into the elective subject system in high schools, scientific technologies and economy were emphasized, the status of the moral subjects fell gravely after being included in the subject group of social studies, and its status hadn’t been recovered wholly even in the period of integrate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e liberal arts subjects have become nomial and lost their roles and functions with the repeated revision of the curriculum. It’s been a long time since Korea joined the ranks of advanced nations in terms of scientific techologies or economy, but it has still maintained its first position in the suicide rate among the OECD nations for many years, and hasn’t escaped from the dishonor that the number one reason for youth’s death is suicide. In the 2022 curriculum which needs to lea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roup of moral subjects should be recovered to be independent, the subjects of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e liberal arts subject group have to become vitalized, and therefore, the educational system to help Korea to be developed into the nation with strong scientific technologies and economy based on the mental maturity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을 위한 동료지원가 활동 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정연수(Jeong, Yeon Soo),김용탁(Kim, Young Tak),김민(Kim, Min),강수정(Kang, Soo Ju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21 職業再活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을 위한 동료지원가 활동 사업 운영의 어려움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사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동료지원가, 수행기관, 지자체 및 관련 전문가 등 29인을 선정하여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함으로써 사업운영의 의미와 어려움 그리고 사업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였다. 또한 중증장애인 취업지원 사업에 참여한 장애인 당사자 5인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당사자 입장에서 바라본 취업지원 사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참여자들은 동료지원가 활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사업에 대한 이해도, 동료지원에 대한 교육과 훈련의 부족으로 동료지원가 역량이 제한되어 사업운영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업운영과 관련하여 동료지원가 급여체계가 비현실적이며, 정부기관 및 사업 수행기관들 간 의사소통 부족이 문제로 나타났으며, 사업 성과인 취업연계가 모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현실적인 예산지원, 동료지원가의 지속적인 교육 및 훈련, 수퍼바이저 역할정립과 지원, 정부기관과 사업수행기관 간 협력적 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vitalization plan of the employment support business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hrough peer supporter activities. To this purpose, this study progressed FGI with 29 pers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5 person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participants positively perceived the activities of peer supporter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of peer supporters was limite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employment support projec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lack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peer supporert,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the project. Second, in relation to project operation, the pay system for peer supporters was unrealistic,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project execution organizations was found to be a problem, and the connection to employment, which is the project outcome, was found to be ambiguou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realistic budget support,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of peer supporters, establishment and supporter of supervisor roles, and establishment of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project execution agencies were necessary for smooth operation of the project.

      • KCI등재

        일반논문 : 선불교전통(禪佛敎傳統)에서 본 한용운(韓龍雲)의 불교관(佛敎觀)

        정연수 ( Yeon Soo Ju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8

        본고에서는 禪佛敎의 傳統 속에서 韓龍雲의 佛敎觀을 고찰하였다. 한용운은 元曉의 止觀雙運論과 知訥의 定慧雙修論의 전통 속에서 寂寂惺惺한 禪定의 본질을 강조한다. 한용운은 당시 禪客들이 중생들을 외면하고 산림에 은거하면서 처소와 몸가짐만을 寂寂하게 하려는 행태를 비판하면서, 중생들을 제도하는 수행자의 일상 속에서 적적성성한 선정을 이루어야 함을 강조한 사상적 특징이 있다. 한편, 한용운은 김시습 이래로 曹洞宗의 전통이 담긴 『十玄談』을 주해하면서 曹洞五位에 의거하지 않고 구세정신에 입각하여 臨濟禪風으로 일관하는 특성이 있다. 굳이 한용운의 『십현담주해』를 조동오위에 비춰보자면, 중생들의 偏位 속에서 眞人의 正位를 밝힌다는 偏中正에 비중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십현담주해』에서는 朝日佛敎同盟條約으로 조선불교의 정신까지 말살하려는 일본조동종 승려들의 만행을 질타하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인다. 한용운의 불교관을 종합해 보자면, 禪佛敎의 전통 속에서 愛國愛民의 정신을 담아내는 특징이 있다고 하겠다. In this paper, Han Yong-un`s view point of Buddhism was examined in the traditional Zen Buddhism. He emphasized the essence of calm and awakened Zen in Wonhyo`s theory of Jigwanssangun and Jinul`s theory of Jeonghyessangsu. He criticized the behaviors of Zen priests at that time who turned their back on common people, secluded themselves in mountains and tried to stay calm in their places, and ideologically stressed that calm and awakened Zen should be realized in disciplinants` daily lives while enlightening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he had consistently stuck to Imjeseonpung(臨濟禪風) based on the spirit of saving the world, rather than depending on Jodongowi(曹洞五位), when glossing "Sip-hyun-dam" with the traditional Soto Zen(曹洞宗) after Kim Si-seup Compared with Jodongowi, Siphyeondamjuhae(十玄談註解) emphasized Pyeonjungjeong (偏中正) where the right position(正位) of a true man(眞人) is founded in the middle of common people`s partiality(偏位). In Siphyeondamjuhae, he intended to rebuke Japanese Soto Zen priests` brutality of trying to annihilate even the spirit of Zen Buddhism through Treaty of Alliance of Korea-Japan Buddhism(朝日佛敎同盟條約). Considering Han Yong-un`s view point of Buddhism,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patriotism and love of the people in the traditional Zen Buddhism.

      • KCI등재

        유교와 불교에 관한 최치원의 인식 변화 - 사산비명병서(四山碑銘幷序)를 중심으로

        정연수 ( Jung¸ Yeon-s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3 No.-

        본 논문에서는 사산비명병서(四山碑銘幷序)의 완성 시기와 찬술 기간을 고려하여 『진감선사비명병서(眞鑒禪師碑銘幷序)』와 『대숭복사비명병서(大崇福寺碑銘幷序)』와 『대낭혜화상비명병서(大朗慧和尙碑銘幷序)』와 『지증대사비명병서(智證大師碑銘幷序)』의 순서대로 살펴보고, 사산비명병서에서 유교와 불교에 관한 최치원의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 고찰하면서 한국의 유불(儒佛) 교섭사를 재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사산비명병서에는 특히 유교와 불교에 관한 최치원의 견해가 많이 담겨 있다. 최치원은 왕명을 받들어 사산비명병서를 찬술하면서 기본적으로 유학(儒學)자의 본분을 견지하고 있으나, 유교와 불교를 바라보는 인식은 8년 이상 네 개의 비명병서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크게 달라진다. 처음 『진감선사비명병서』를 찬술할 때에는 본질적 측면에서 유교와 불교의 교의가 다르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지만, 『대숭복사비명병서』에서부터는 맥락과 관점을 달리하여 불교를 우위에 두기 시작한다. 『대낭혜화상비명병서』에서는 유교와 불교를 비교하기보다는 불교 내부의 선교(禪敎) 문제에 천착하는데, 『지증대사비명병서』에 이르러서는 불교를 최상위에 두고 유교를 통섭하면서 불교의 선(禪)을 더욱 강조한다. 무엇보다 최치원은 위와 같이 사산비명병서를 찬술하는 과정에서 우리 민족과 국가의 주체성을 강조하면서 유교와 불교를 통섭하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산비명병서를 통해 유교와 불교에 관한 최치원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추이를 살피면서, 주체적으로 유교와 불교를 교섭하는 최치원의 사상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한국의 유불(儒佛) 교섭사를 재탐색하면서 유교와 불교의 교의를 내함(內含)하는 한국사상의 특수성을 더욱 심층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In this thesis, “Jingamseonsabimyeongbyeongseo (眞鑒禪師碑銘幷序)”, “Daesungboksabimyeongbyeongseo(大崇福寺碑銘幷序)”, “Daenanghyehwasangbimyeongbyeongseo (大朗慧和尙碑銘幷序), and “Jijeungdaesabimyeongbyeongseo (智證大師碑銘幷序)” were examined in order taking the time of completion and the period of compilation of Sasanbimyeongbyeongseo (四山碑銘幷序) into consideration, and the changes in Choi Chi-won’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Sasanbimyeongbyeongseo were investigated. Sasanbimyeongbyeongseo covers particularly Choi Chi-won’s opinions about Confucianism and Buddhism considerably. Choi Chi-won basically held fast to his duty as a Confucian scholar while writing Sasanbimyeongbyeongseo in obedience to a royal command, but his viewpoint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changed a lot in the process of writing four Bimyeongseos for more than 8 years. When he first wrote “Jingamseonsabimyeongbyeongseo”, he emphasized that the purpose of Confucianism and that of Buddhism were not different in their essence, but in “Daesungboksabimyeongbyeongseo”, he began to regard Buddhism more superior in a different context and viewpoint. In “Daenanghyehwasangbimyeongbyeongseo”, he inquired into the matter of Seonkyo(禪敎) in Buddhism rather than compared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in “Jijeungdaesabimyeongbyeongseo”, he considered Buddhism more superior, converged Confucianism, and emphasized Seon(禪). In particular, Choi Chi-won had the characteristic of stressing the independence of Korean people and nation regardless of Confucianism or Buddhism in the process of writing Sasanbimyeongbyeongseo. In this thesis, the changes in Choi Chi-won’s recogni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studied through Sasanbimyeongbyeongseo, and Choi Chi-won’s ideological characteristics, who independently negotiated Confucianism and Buddhism, were examined. Based on this research, the way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Korean ideologies is expected to be paved through the reexamination of Korean history of negotiating Confucianism and Buddhism.

      • 학술상 : 학술상 (일반부인과학)

        정연수 ( Yeon Soo Jung ),( Soo Rim Kim ),( Yeo Jung Moon ),( Sei Kwang Kim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99 No.-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port subjective and objective outcomes and to compare complication and recurrence rate in patients undergoing surgery for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CS) stage 4 prolapse compared to ICS stage 2 or 3 prolaps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all patients having had surgical treatment for ICS Pelvic Organ Prolapse Quantification (POP-Q) stage 2-4 prolapse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0 at the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Only patients with ICS POP-Q stage 2-4 prolpase undergoing obliterative procedures or anti-incontinence surgery only were excluded. Results: Three hundred ninety nine patients met inclusion criteria, including 23 with stage 2, 239 with stage 3 and 137 with stage 4 prolapse. The postoperative recurrence rate of preoperative stage IV was 2.4 times higher than that of stage III.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rates of perioperative and long-term complications, compared to women with other stage prolapse. The mean operative time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tage 4 group compared to the stage 2, 3 group. Conclusion: The overall perioperative complication and recurrence rates in women undergoing surgery for pelvic organ prolapse are low. Women undergoing surgery for ICS POP-Q stage 4 prolaps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greater blood loss and higher incidence rates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compared with women of other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