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의 개발교육 사례분석

        박환보(朴桓甫),최정윤(崔禎允),김안나(金安?),길혜지(吉惠芝),정연내(鄭然內),우한솔(Woo, Hansol)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KOICA의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이하 이해증진사업)을 중심으로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개발교육 교육과정의 내용과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대학의 개발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관해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KOICA ODA 교육원의 내부 자료와 국가 수준의 고등교육 통계자료를 통해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교과목 개설 및 수강생 현황을 개괄하고, 2013년도 사업에 참여한 대학의 결과보고서를 토대로 각 대학 교육과정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강생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여, 수강생이 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해증진사업을 통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개발교육이 확대되어 왔으나, 여전히 대학 수준에서의 개발교육 기회는 부족하였으며, 특히 지방소재 대학일수록 교육기회의 격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해증진사업 교과목을 통해 학생들의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지만, 개발교육의 내용이 국제개발협력 인지제고 및 홍보에 편중되어 있고 다양한 개발교육의 이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셋째, 이해증진사업 교육과정은 대학별로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강의내용의 깊이와, 강사진의 역량, 해외현장활동과의 연계 정도 등에는 대학에 따라 편차가 존재했다. 이러한 개발교육 기회의 격차는 개발교육 관련 특강, 행사 및 기관 등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지방에는 이에 대한 정보의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별 교육과정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은 이해증진사업 교과목이 ODA재원으로 개설되어, 교과목 내용 구성 및 운영이 행·재정적 제약을 받는 태생적인 한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해증진사업 관계자와 교과목 담당교수는 개발교육의 분명한 철학과 장기적인 비전을 토대로 개발교육의 교과과정을 심화·발전시키고, 각 대학에서도 교양강좌의 개설을 통해 개발교육 기회와 저변을 확대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courses in development education offered by 57 Korean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wareness Program" of KOICA from 2009 to 2013, thereby suggesting how to improve development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analyzed the status of course offerings and enrollment in development education, using the KOICA ODA data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data of higher education. This research also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urricular of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drawn from the final reports prepared by 43 Korean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2013 KOICA program.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course offering including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development education as well. Findings from this research show that the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through the KOICA program have contributed to enhancing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Yet, learning opportunities are still limited, particularly a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are limited in that they do not fully address diverse issues of international develop cooperation. Lastly, while most of the curricula displayed high level of similarities, the depth of the courses and the level of expertise of lectures still vary across universities. These discrepancies among universities reflect limited funding resources and information available for th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Non-Seoul Metropolitan Area. These discrepancies also partly result from that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are offered at universities mostly through a limited channel including the KOICA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goals and visions of development education as well the curriculum of development education should be elaborated. It is also suggested that individual universities make efforts to expand learning opportunity of development education by opening new development education courses as a part of liberal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문화 ODA 실행전략 연구: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조계수,정연내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9 국제지역연구 Vol.23 No.3

        ‘문화’는 역사의 기저에 오랜 기간 축적되어온 한 사회의 결속과 통합의 토대가 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핵심적인 요소이다. 2015년, 향후 15년간 국제사회의 목표가‘지속가능한 발전’으로 상정된 이후, 개도국의 문화역량은 다음 세대를 위한 전 지구의 역량으로, 국제개발협력의 중요한 목표이자 방법이 되고 있다. ODA실행에 있어 크로스커팅이슈로서의 문화다양성을 존중하는 기본 자세에서 벗어나 교육, 농업과 같은 개발협력 섹터(Sector)로서 문화ODA 영역을 구축하기 위해 문화 ODA에 대한 그 ‘꼴’의 재정립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오랜 역사를 공유하고 뛰어난 역사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한국정부의 신북방정책의 주요 파트너인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국제사회와 한국의 문화 ODA의 전략과 그 현황을 살펴보고, 개발협력의 중요한 분야, 즉 영역으로서 문화 ODA의 실행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화 ODA의 개념을 재 정의하고, 문화 ODA 분야 선행연구, OECD 통계, 우즈베키스탄 현지실사를 통해 확보한 자료 등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와 한국의 對우즈베키스탄 문화 ODA 규모와 추진방향, 사업사례 등을 통해 문화 ODA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 ODA의 발전방안으로 문화 ODA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의 필요성, 사업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평가 프레임워크 수립의 필요성, 마지막으로 문화 ODA가 개발협력의 독자적 영역으로서 발전하기 위해 수원국의 문화 역량 분석을 기반으로 실행전략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신북방정책과 ‘궤’를 같이하는 한국형 문화 ODA의 목표와 전략이 재정립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ulture' is the foundation of solidarity and integration of a society that has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at the base of history, and it is a key factor to be consider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ince the goa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to b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e next 15 years in 2015, the cultural capacity of developing countries has become an important goal and metho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cusing on Uzbekistan, which shares a long history with Korea and possesses a cultural heritage with outstanding historical value, and suggested ways to develop cultural ODA as an important area of development cooperation. Especially, Uzbekistan is a key partner in the current administration's New Northern Policy, which is in the main direction of seeking new growth engines through stronger economic and policy cooperation ties with countries in the northern region. Therefore, if proper and timely culture ODA for Uzbekistan is sought, this study can derive the insight require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at can expand the policy to other countries. To do this, we first re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ODA, and based on data obta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cultural ODA, OECD statistics, and on-site inspection in Uzbekistan, the siz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ODA of Uzbekistan. In addition, based on thi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lear concept of cultural ODA,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evaluation framework for enhancing project effectiveness, and the necessity of concrete implementation plan for expanding cultural ODA project were suggested as development plan of Korean cultural OD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