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연, 감성, 그리고 생태건축 이야기

        정아영,Jung, A-Young 대한건축사협회 2012 建築士 Vol.2012 No.1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은 함께 존재하지만, 그 점유 방식과 목적은 서로 다르다. 공간은 인간에 의하여 창조되지만 결국에는 자연에 근거하며, 자연은 인간의 공간창조 행위에 의해 이미 변질되고 파괴된다. 가속화 된 도시화로 인하여 야기된 문제를 자연과 인간, 공간의 조화로운 공존이라는 측면으로 모색하기 위하여 생태건축(Ecological Architecture)을 그 방책의 하나로 주목하고자 한다. 본 글에서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공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한 건축적 측면으로의 대표적인 방법인 생태건축의 현실에 대하여 알아보고, 자연에 대한 태도를 담은 감성의 생태건축적인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생가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 공립도서관의 유형별 특성 분석 - 서비스내용과 서비스공간의 연계적 고찰을 중심으로 -

        정아영,Jung, A-Yo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이용목적 등이 점점 다양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내용과 서비스공간의 연계적인 고찰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공립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내용과 서비스공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공립도서관의 유형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일본 공립도서관의 유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 공립도서관의 서비스내용과 연계성 있는 서비스공간계획의 실현에 도움이 될 기초적인 데이터를 마련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조사는 일본 공립도서관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내용과 서비스제공에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공간에 관한 실태를 조사 하였으며, 조사된 데이터는 수량화III류 분석, 군집분석 등 다차원데이터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특성분석의 관점 추출을 진행한 결과, "제공하고 있는 정보의 분야, 정보제공의 방법, 서비스의 제공대상"의 관점으로 추출 할 수 있었다. 또한 44개 도서관의 유형은 (1) 집단을 대상으로 취업, 직업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서관, (2) 취업, 직업 정보를 대응서비스지원공간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 (3) 개인을 대상으로 교육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 (4)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 (5) 대응서비스공간을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 하고 있는 도서관, (6)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제공 중심의 도서관의 6가지로 특성 분류되었다. This study takes note on the need for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contents and service space which libraries provide, since at the moment the demands of library users, purpose of using it, etc. gradually become varied. In this study, type classification of public libraries was don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contents and service space, targeting Japanese public libraries. Through linking approach between service contents and service space, the analysis of Japanese public libraries' characteristics and type characteristics could be captured. This study has ultimately aimed to prepare for the basic data which will help Korean public libraries to make connection between service contents and service space in the future. The collected service contents and service space had been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Quantification Theory Analysis Type III" and "Cluster Analysis". After characters of librarie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views such as "the field of information provided, the method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the object of service provision." And types of 44 libraries are classified into those which have 6 kinds of characteristics as follows : (1) group-oriented libraries which provide the jobs and employment information, (2) libraries which provide the jobs and employment information through the counselling space, (3) individual-oriented libraries which provide the information of education-related fields, (4) group-oriented libraries which provide the information of education-related fields, (5) libraries which provide information focusing on the counselling space, (6) individual-oriented libraries which focused on the service provision.

      • KCI등재
      • KCI등재

        부부폭력을 목격한 자녀의 외상 후 성장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정아영(Jung, Ayoung),김명찬(Kim, Myeungcha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2

        이 연구는 부부폭력을 목격한 나의 외상 경험과 그 의미를 지금-여기에서 재해석하여 성장한 경험을 알아보고, 이러한 외상을 경험한 자들을 공감하고 이해하도록 돕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협력적 자문화기술지에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고등학생 시절부터 작성한 다이어리와 메모, 회상 기억,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들을 코딩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부부폭력을 목격함으로써 외상을 경험했음을 알게 되었고 외상 경험으로 인한 다양한 부적응적인 심리 작용들이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서 내․외현적으로 드러남을 알게 되었다. 나아가 외상 경험이 주는 의미 자체에 머물지 않고 삶의 주체로서 외상 경험을 재해석하여 비로소 선명한 자기(self)와 마주하는 성장을 하였다. 외상 경험을 연구하기로 선택한 이 용기가 부부폭력을 목격한 외롭고 불안한 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위로하며 이들의 상담에 개입할 때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my experiences of trauma of witnessing couple violence and its meaning, to find out my growth experiences, and to help those who have experienced such trauma by empathizing and understand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was applied and studied. Data from as diaries, memos, recall memories, and interviews written since I was a high school student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coding method, it was found that I experienced trauma by witnessing couple violence, and that various maladaptive psychological reactions caused by the trauma experience were revealed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daily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meaning of the trauma experience itself was not evaluated, but the trauma experience as the subject of life and growing up facing a clear self were reevaluated. I hope the courage to study trauma experiences will warm the hearts of the lonely and anxious who have witnessed couple violence and to help intervene in their counseling.

      • KCI등재

        세대간 교류공간 디자인의 감성공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정아영(Jung Ayoung),정현원(Jung Hyunw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감성적 측면의 가치를 공간디자인 분야에 적용하고자 하는 취지의 연구로서 공간디자인과정에 있어서 감성공학기법의 적용을 통해 실내공간분야에서 감성 공간디자인의 가능성과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디자인 대상공간은 복지관의 세대간 교류공간이다. 이에 감성공학기법을 활용하여 교류공간을 디자인 하고 디자인 결과물의 감성평가를 통해 디자이너의 감성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디자인의 목표를 설정하고 복지관 이용자와 시설운영자 대상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감성어휘 디자인 대상 공간 디자인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감성공학적 디자인과정을 통해 디자인된 교류공간은 4가지의 3D 이미지로 제작되었고 디자이너 그룹을 대상으로 감성평가실험을 진행하였다. 디자이너의 감성평가결과 세대간 교류공간 디자인에서는 바닥과 벽에 밝은 색을 사용하는 것이 쾌적성 건강성 친밀성 선호도 등에 있어서 긍정적인 감성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자이너는 조도 창의 크기 창의 위치 조명의 색온도 벽과 바닥의 색채 등의 공간개념을 구현하는 디자인요소에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바닥과 벽이 모두 밝거나 바닥은 어둡지만 벽이 밝은 디자인 안에 대해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apply a value of this emotional aspect to the space design field and has a meaning in suggesting the possibility and method of emotional space design in the interior space field through application of sensibility ergonomics techniques in a space design process. The design target space is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of a welfare center. Accordingly this research designed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by utilizing the sensibility ergonomics techniques and grasped emotional structure of a designer through sensibility evaluation of design results. This research carried out a literature survey and empirical study set a goal of design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selected an emotional vocabulary design target space and design element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argeting users of the welfare center and operators of the facility.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designed through this emotional design process was manufactured as 4 kinds of 3D images and the emotional evaluation was progressed with the target of a designer group. As a sensibility evaluation result of designers it appeared that what uses bright color in the floor and wall in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space design generates a positive emotional reaction in comfortable healthiness friendliness and preference etc. Also it appeared that designers concentrate the most interest on design elements realizing space concepts such as intensity of illumination size of windows position of windows color temperature of lighting and colors of the wall and floor and are satisfying a design plan that all the wall and floor are bright or the wall is bright even if the floor is d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