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 건설이 주변지역 지하수 흐름계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구민호,Jeong, Soo-Jeong,Koo, Min-Ho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2 지하수토양환경 Vol.17 No.3

        Visual MODFLOW, a three dimensional groundwater flow model,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a weir construction in an alluvial stream on the nearby groundwater flow system. A hypothetical conceptual model was developed to investigate how the groundwater level and the water budget could change after a weir construc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ributary streams. A site example, dealing with the Juksan weir installed in the Yeongsan River, was also demonstrated to predict the effects of the weir construction. Model results show that impacts of a weir construction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greatly vary depending on how far a tributary is located and whether it is located downstream or upstream from the weir. Therefore,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ributaries in planning the location of a weir could effectively minimize the impacts of a weir construction on the groundwater flow system. It is also demonstrated that model results are highly dependent upon how the model is dealing with small tributaries and agricultural drainage channels, which can be easily found nearby the main streams, acting as major water bodies for groundwater discharge. The model for the Juksan area shows that the weir construction will change the direction of groundwater flow in some areas, leading to changes of groundwater quality and interaction of the Yeongsan River to the aquifer from a gaining to a losing stream. The model also predicted the areas where rise of groundwater level caused by the Juksan weir could adversely affect plant growth, and thereby suggested installing new drainage channels as a countermeasure to drawdown the groundwater level.

      • KCI등재

        Light I-V 곡선을 이용한 결정질 태양전지의 이상계수와 직렬 저항 특성 분석

        정수정,김수민,강윤묵,이해석,김동환,Jeong, Sujeong,Kim, Soo Min,Kang, Yoonmook,Lee, Hae-seok,Kim, Donghwan 한국재료학회 2016 한국재료학회지 Vol.26 No.8

        With the increase in installed solar energy capacity,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hysical property values of solar cell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for production. Therefore, research on deter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is being actively pursued. In this study, a diode equation, which is commonly used to describe the I-V behavior and determin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values of solar cells, was applied. Using this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diod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light I-V measurements. Thus, using a commercial screen-printed solar cell and an interdigitated back-contact solar cell, we determined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with a modified diode equation method for the light I-V curves. We also used the sun-shade method to determine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of the samples. The values determined using the two methods were similar. However, given the error in the sun-shade method, the diode equation is considered more useful than the sun-shade method for analyz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determines the ideality factor (n) and series resistance ($R_s$) based on the light I-V curv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태도가 교과 성적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 ( Soo Jeong Jeong ),최나야 ( Na Ya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태도, 교과 성적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S시 초등학교 1곳의 2-6학년 전체 8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학년이 높을수록 읽기이해력이 높은 반면 읽기태도는 고학년 때 더 부정적이고, 여아가 남아에 비해 읽기이해력과 읽기태도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읽기이해력, 읽기태도, 교과 성적 간에 대부분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성적 모두에 대해 읽기이해력이 높은 설명력을 가지며, 그 다음으로 읽기태도가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일기이해력과 읽기태도는 초등학생의 교과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이므로, 학교현장에서 여러 교과와 연계하여 다양한 독서전략을 지도함으로써 읽기이해력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즐겁게 책을 읽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긍정적 읽기태도를 길러주어야 한다.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ttitudes toward rea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827 2nd to 6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ly, older students showed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and poorer reading attitude than younger students. And girls showed higher level of reading attitude and reading comprehension than boys. Secondly,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grades. Thirdly, reading comprehension was found to strongly influence upon students` grades of Korean language,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language. And their reading attitude also affected their achievement in all those subjects. In conclusio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attitude are two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 개발 연구

        정수정 ( Jeong Soo-jeong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읽기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객관화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읽기 연구자 및 현장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된 델파이 전문가 집단과 초등 고경력교사 7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읽기동기의 요인구성 및 정의를 내리고 측정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척도의 3범주, 13개 구성요인, 108문항에 대해 요인 및 문항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 8개 도 11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022명의 자료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범주 17요인 87문항을 추출하였다. 이후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3-6학년 1,022명과 1-2학년 513명, 총 1,53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구인타당도, 교차타당도 3가지 측면에서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모두 양호한 모델적합도 지수와 모델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최종 척도는 읽기 태도(효능감, 도전, 몰입, 불안), 읽기 목적(흥미, 호기심, 경쟁심, 도구적 가치, 인정, 기대순응, 성취), 읽기 환경(가정/부모, 학교/교사, 또래, 매체문해, 도서관 이용, 독서여건)의 3범주 17요인(3-6학년 총 77문항, 1-2학년 총 59문항)이며, 각 범주별로도 검사가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 개발 및 타당화한 초등학생 읽기동기 척도는 한국적 상황과 문화적 특성에 맞고, 변화된 읽기매체 현실과 다차원적 심리측정학적인 측면을 반영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bjective scale to measure read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Delphi expert group consisting of 15 field experts, and 7 elementary teachers verified content validit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ata from 1,022 students from 8 elementary schools, and 87 items were extracted. To validate the scale, data from 1,535 students were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scale was confirmed and multiple validity of the construct were verified. The final scale consists of 3 categories and 17 factors (totally 77 items for grades 3-6, 59 items for grades 1-2); reading attitude(efficacy, challenge, immersion, anxiety), purpose of reading(interest, curiosity, competition, instrumental value, approval, compliance with expectation, achievement), and reading environment(home/parents, school/teacher, peers, technology/digital literacy, library use, reading conditions). This scale reflects Korean cultural background, the trend of reading medium, and multidimensional psychometric aspects.

      • KCI등재

        만 5세 때의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수정(Jeong, Soo-Jeong),최나야(Choi, Na-Ya)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초등학교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가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적 구조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S시의 초등학교 3곳의 1학년 10개 학급 아동과 그 어머니 총 267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째, 여아가 남아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문해자료, 쓰기도구, 독서경험, 독서량, 어머니와의 책읽기 상호작용,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첫째 또는 외동 아동이 둘째 이하의 아동에 비해 취학 전년도의 가정문해환경 총점 및 아동도서, 문해공간, 독서경험 총점과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이해와 읽기동기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취업모의 자녀에 비해 비취업모의 자녀가 취학 전년도 문해공간, 독서경험, 독서량, 1학년 때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 독서경험과 1학년 때의 읽기능력, 읽기동기 간에 대부분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있다. 특히 하위요인 중 취학 전년도 아동도서, 독서량, 도서관 이용경험, 1학년 때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읽기동기 간에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과 독서경험, 1학년 때의 읽기능력과 읽기동기 간의 인과적 연구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평가되었다. 취학 전년도 가정문해환경은 같은 시기 독서경험에 직접적 효과를 미치고, 독서경험은 1학년 때의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문해환경은 독서경험을 매개로 하여 읽기동기와 읽기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고, 읽기능력에 대한 간접효과가 가장 큰 변수는 취학 전년도의 독서경험이며, 그 다음이 가정문해환경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experience before entering school and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y in the first grade. Survey data from 267 first graders in 3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irls showed higher level in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s and reading motivation than boys. Second, first-born children had richer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reading experiences, and showed highe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compared to later-born children. Third, children of unemployed mothers indicated better literacy environment and more reading experiences, and showed greater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than the children of employed mot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school home literacy environment, reading experience, and first grade reading motivation and abilities. Fifth, preschool home literacy environment affected preschoolers’ reading experiences which predicted their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ies after entering schoo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