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상녀(Jung, Sang-Ny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5

        본 연구의 목적은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12년 1학기(15주차) 동안이며, D대학교 유아교육과 3학년 68명(실험집단 34명, 통제집단 34명), 협력유치원 교사 3명 및 만 4, 5세 유아 79명이 연구를 위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은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은 유아교육현장을 이해하는 데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 예비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및 수업기술 지원, 교사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m teaching supervisions in the field on teaching skills and teaching efficac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duration was one semester of 2012 (15 weeks), and 68 junio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D University (3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4 in the control group), 4 teachers from the cooperating kindergarten as well as 105 children at ages 4 and 5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result, team teaching supervisions in the field were analyzed as having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skills and teaching efficacy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us, it is suggested that such team teaching supervisions in the field a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not only educational activities that integrate theories and practices fit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ut also a teaching-learning method appropriate for help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enhancing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an be used as an effective program for supporting teaching skills and promotion of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교구를 활용한 녹색성장교육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정서지능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상녀(Sang Nyu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녹색성장교육프로그램과 연계한 교구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 48명이 실험집단(24명)과 통제집단(24명)에 임의 배정 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교구를 활용한 녹색성장교육활동이 14회기 동안 사후활동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녹색성장교육활동 교구는 학습자 요구분석, 활동목표 설정, 교육활동 설계, 교육활동 실행, 평가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놀이 활동으로 투입되었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교구를 활용한 녹색성장교육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현장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al friendly attitudes are affected by the use of teaching material connected to green growth education activities. For this purpose, 48 five-year-old children a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the experimental group (n = 24) or the control group (n = 24); as extension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goes through 14 sessions of green growth education activities using teaching materials for young children. For the green growth education activities’ teaching material, the study prepares adequate teaching tools through the teaching material and a tool development procedure such as analyzing learners’ needs, setting the goals of an activity, designing education activities, carrying out education activities, and assessing. The tools are used in the pla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green growth education activities by using the studied teaching material has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s.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is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퍼포먼스 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상녀(Jung, Sang-Nyu),민순옥(Min, Soon-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유아 15명을 대상으로 퍼포먼스 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총 12회기의 퍼포먼스 미술 프로그램을 계획하였으며, 실험처치는 퍼포먼스 미술 전문가에 의해 7~8명의 소그룹을 나누어 주 2회씩 12회 실행되었다. 연구 결과, 퍼포먼스 미술 프로그램은 창의성 전체와 하위요인 중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향상에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기 표현력 전체와 하위요인 중 ‘다양한 색체의 사용’,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표상된 창의성’, ‘그림의 완성도’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퍼포먼스 미술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현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 Performance art activity program affected to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toward 15 children of 4 years old. 12 sessions of performance art activity program were organized for it, and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divided into seven or eight small groups and executed 12 times of two times per week by a performance art activity program expert. The performance art activity program was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it helped to improve creativity and sub-factors in parts of ‘fluency’, ‘originality’, ‘preciseness’ and also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sub-factors in parts of ‘use of color’, ‘detailed description’, ‘harmonious configuration’, ‘creative representation’, ‘completion of picture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erformance art activity program gives positive effects up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also is an effective program.

      • KCI등재

        지능형 로봇과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 유형 분석

        정상녀(Jung Sang-Nyu),유구종(Yoo Ku-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6명을 대상으로 약 6개월간 지능형 로봇과의 활동에서 관찰된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미, 놀이 유형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초기, 중기, 후기에 표집된 놀이상황 녹화 테잎 6개와 이에 대한 전사본 32쪽, 그리고 교사의 관찰 평정에 의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지 66쪽이다. 분석 결과, 제니보와의 활동에서 관찰된 유아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미소나 웃음’과 ‘또래에 대한 주도적 행동’, ‘친사회적 행동’이 초기에 비해 중기와 후기에 크게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그리고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과 ‘또래의 제안에 대한 긍정적 반응’은 중기에 감소되는 듯하였으나, 후기에는 증가된 범위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의미를 심층 분석한 결과, 긍정적 상호작용은 37개의 내용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정적 상호작용은 6개의 내용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들의 놀이 유형 변화는 초기에는 ‘서성이거나 쳐다보기’와 ‘병행놀이’가 높은 반면, 중기에는 ‘병행놀이’와 ‘연합놀이’의 지속이 높았으며, 후기로 갈수록 ‘협력놀이’와 ‘연합놀이’의 지속시간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유아-지능형 로봇과의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you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s and play patterns observed in 6 five-year-old children’s playing with intelligent robot for around 6 month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6 videotapes that recorded play situations in the early, middle and late periods, 32 pages of transcription from the videotapes, and 66 pages of observation sheet filled out by the teac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young children’s positive interaction observed in their play with Genib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miling and laughing,’ ‘initiative actions on peers,’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s compared to those in the early period. In addition, ‘positive verbal interactions’ and ‘positive responses to peers’ suggestions’ seemed to decrease in the middle period. But the increase during the late period was larger than the decrease in the middle period. As to changes in the children’s play patterns, the children often showed ‘hanging around or looking over,’ and ‘parallel play’ in the early period, but showed continuous ‘parallel play’ and ‘associative play’in the middle period, and long-lasting ‘cooperative play’ and ‘associative play’ in the late period. This suggests that young children’s play with an intelligentrobo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plays.

      • KCI등재

        3세 유아의 기본정서 인식 및 표현에 대한 내용 분석

        정상녀(Jung Sang-Nyu),김경숙(Kim Kyung-So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3세 유아들의 기본정서 인식과 표현에 대한 내용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본정서(기쁨, 슬픔, 분노, 공포)의 인식과 표현에 대한 유아들의 자료를 수집하고 범주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쁨’ 정서는 타인과의 끊임없는 능동적인 상호작용 속에서 긍정적으로 촉진되는 정서임을 확인하였고, 둘째, ‘슬픔’ 정서는 일종의 가족과 관련된 ‘상실감’이나 ‘좌절감’ 과 관련되어 일어나는 ‘슬픈 감정’으로 재해석 되었으며, 셋째, ‘분노’ 정서는 욕구좌절을 경험하고, 자기주장을 표현하기 위하여 성을 내기도 하고, 공격성으로 표출될 수 있으며, 넷째, ‘공포’ 정서는 두려움과 놀람, 그리고 화남 등이 포합된 혼합된 정서로 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세 유아의 기본정서에 대한 표현, 정서 유발 요인 그리고 정서의 대상 등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였음을 확인 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obtain specific information on how three year old children express their basic emotions in basic emotion exploration activities.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content analysis design method, which focuses more on deriving the common attributes of all the participants rather than their individual attribut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responses observed in basic emotion (joy, sadness, anger, fear) exploration activities were as follows. First, 'joy' emotion could be stimulated positively in continuous ac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Second, 'sadness' emotion was reinterpreted as 'sad emotion' arising in connection to 'loss' or 'frustration' related to the family. Third, 'anger' emotion appeared in connection to teasing and defiance, which are different forms of anger. In addition, 'fear' emotion was expressed compositely with surprise, terror, anger, etc.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ree year old children's emotion can be differentiated and developed through the situation of understanding, perceiving and expressing emotion in relations with others.

      • KCI등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언어접근 교수유형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컴퓨터 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상녀(Jung Sang-Nyu),유구종(Yoo Ku-J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6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의 활용과 언어접근 교수유형의 상대적 효과를 언어능력과 컴퓨터 활용능력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48명을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처치는 12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그 결과 유아의 언어능력 중 어휘력은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균형 잡힌 문해 접근 집단에서, 언어이해력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 접근 집단과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균형 잡힌 언어 문해 접근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언어표현력은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컴퓨터 활용능력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 접근과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균형 잡힌 문해 접근에서 상대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총체적 언어접근과 멀티미디어를 통합한 균형 잡힌 문해 접근은 언어능력의 어휘력과 언어이해력에서, 그리고 컴퓨터 활용능력에서 효율적인 언어접근 교수유형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whole language approaches utilizing play central integrated education activities and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 integrating multimedia. A total of 48 five year-old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eight week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hildren’s vocabularies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 integrating multimedia, and their verbal comprehension improved i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tilizing multimedia and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 integrating multimedia. However, verbal express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groups. The children’s computer application ability showed relative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whole language approach utilizing multimedia and balanced literacy instruction integrating multimed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aches utilizing multimedia in educational activities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at can enhance preschoolers’ vocabulary, verbal comprehension and computer application abilities, and stimulate their interest in learning.

      • KCI등재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에 관한 연구

        정상녀(Jung Sang-Nyu),박형신(Park Hyoung-Sh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성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J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유아의 언어능력과 음악성에 대한 하위요소 및 전체 점수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은 유아의 음악성을 증진시켰을 뿐만 아니라, 하위영역인 음감과 리듬감에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은 유아의 언어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인 어휘력, 언어이해력, 언어표현력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에게 동요를 활용하여 이야기 다시 말하기 활동으로 접근하는 것은 유아의 음악성과 언어능력의 신장에 효과적인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tory retelling activities using nursery rhymes to develop young children’s musicality and language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five?year?old children at J Childcare Center (with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in the control group). In data analysi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for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of language ability and musicality, and ANCOVA was performed using the two groups’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tory retelling activity using nursery rhymes improved young children’s musicality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sound and the sense of rhythm among the sub?factors of musicality. Second, story retelling activity using nursery rhymes had a significant effect also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ocabulary, verbal comprehension, and verbal expression among the sub?factors of language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roach to young children through story retelling activity using nursery rhyme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effective in enhancing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musicality.

      • KCI등재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및 콘텐츠 유형별 사례분석

        유구종(Ku-jong Yoo),정상녀(Sang-Nyu Jung),김민경(Min-Kyung Kim),양애숙(Ae-Sook 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에서 링크하고 있는 유아 교육관련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시하는 유아학습용 콘텐츠를 평가 분석하여 유아학습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이트의 콘텐츠에 대한 평가 자료를 마련하고, 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적인 콘텐츠를 찾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개의 포털사이트에서 링크하고 있는 학습용 콘텐츠 200개를 무작위로 수집하여 ‘유아대상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5개 영역별 평가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고, 콘텐츠 유형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 점수를 받았으나 영역별로 다른 결과를 보였으며, 교육성과 내용의 적합성 영역에서 콘텐츠 유형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유형별 사례분석에 있어서는 평가결과 상위?하위 점수를 얻은 콘텐츠를 선정해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콘텐츠 내용과 더불어 유아들의 상호작용 인터페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콘텐츠 유형별, 영역별 요소 등이 실제로 발현되는 양상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analyze internet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will provide students an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a better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educational internet contents for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200 internet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nternet portal sites. The criteria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used for evaluating and analyzing internet contents. This criteria was consisted of five consistent criteria: ease of use (9 items), interest (7 items), educational features (10 items), content appropriateness (5 items), and technical features (3 items). Adopting a case analysis method, this study first analyzed content of internet contents in five evaluating areas. In addition, using the sam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action interface process of contents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generally showed high points. 2. The results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were different by contents types in education and content suitability. 3. The context in which interaction appeared in the observed activity process was harmony and simplicity, interaction design technology, flexibility, organizational content and screen assignment.

      • KCI등재

        신문사진과 사진 찍기 통합 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리기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민순옥(Min, Soon-Ok),정상녀(Jung, Sang-Nyu)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유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대상으로 신문사진과 사진 찍기 활동을 통합한 교육활동을 적용하고, 유아의 창의성 및 그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에는 총 12회기의 신문사진과 사진 찍기 통합 교육 활동이 계획되었으며,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이야기나누기 중심의 교육활동이 전개되었다. 연구 결과, 신문사진과 사진 찍기의 통합 교육 활동은 창의성의 ‘독창성’과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성’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그리기 표현력 전체와 ‘기본 도형과 선의 병합’, ‘조화로운 구성’, ‘표상의 창의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 등의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사진과 사진 찍기 통합 교육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그리기 표현능력 신장에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pplying educational system that combined newspaper photographs and photography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y upon five aged 30 children (15 of experimental group, 15 of control group) and examining the effects on young child’s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12 sessions of a newspaper photograph and a photography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y have been scheduled on experimental group for it and they unfolds general storytelling centered educational activity on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study, newspaper photographs and photography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y are analyzed as that positive effects are not only on creativity’s sub-factors in parts of ‘originality’,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but also on whole drawing expression ability and sub-factors in parts of ‘basic figures and lines’, ‘harmonious configuration’, ‘creativity of representation’, ‘connection between representation and language’, Etc. These results imply that newspaper photographs and photography of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y are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drawing expression ability.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기관에서 멘토링 활동을 통한 반성적 수업활동의 과정과 의미

        유구종(Yoo Ku-Jong),정상녀(Jung Sang-Nyu),최옥련(Choi Ok-Ry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멘토링 활동을 통한 반성적 수업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동료 교사와 타 기관, 전문가와의 협력적이며 참여적인 관계에서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와 교육적 변화를 도모하고 그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구유치원 3명의 교사와 원장, 두 곳의 협력유치원 교사 2명, 연구보조 전문가 2인이 참여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수행된 활동들을 기록화하는 방법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멘토링 활동에 대한 반성적 수업활동은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활동을 유아교육현장의 다른 동료들과 공유하는 기회가 되었을 뿐 아니라 참여한 교사들에게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도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동료교사와의 소모임 활용, 온라인의 활용, 디지털 기록화 자료의 활용 등은 멘토링 활동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urposed to test whether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in kindergartens are adequat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ccording to their age by applying the activ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rough action research, and for this stud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ree kindergartens(one research kindergarten and two cooperative kindergartens). Data were collected from field application, action research, and recording, and the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were analyzed in three stages ? ‘making observation plans’(Stage Ⅰ), ‘performing actions and observing’(Stage Ⅱ), and ‘reflecting’(Stage Ⅲ) ? and the adequacy of revised and supplemented educational activities was tested through actions at the cooperative kindergarte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operation of monthly field workshops provided valuable opportunities to review the results of participatory research and to plan, execute, and evaluate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 teachers through mentoring activities, and these opportunities enhanced the teachers’ sense of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