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직 생검으로 확인된 측두동맥염 1 예

        송관규(Gwan Gyu Song),정문기(Moon Gi Chung),권오상(Oh Sang Kwon),박창규(Chang Gyu Park),백세현(Sei Hyun Baik),서홍석(Hong Seog Seo),오동주(Dong Joo Oh),이창홍(Chang Hong Lee),원남희(Nam Hee Won) 대한내과학회 1995 대한내과학회지 Vol.48 No.5

        N/A Temporal arteritis is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elastic artery with unknown etiology. It usually affects patients over the age of 50, and is often associated with polymyalgia rheumatica. We have experienced a 66-year-old female patient with temporal arteritis who presented as a new onset headache and temporal artery abnormalities. Temporal artery biopsy was performed, which showed typical findings of temporal arteriti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temporal arteritis in Korea. We hereby report a case of temporal arteriti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SCOPUSKCI등재

        급성 췌장염 회복기에 발생한 대장폐색

        정낙소 ( Nak So Chung ),김연석 ( Yeon Suk Kim ),박철희 ( Cheul Hee Park ),김성용 ( Sung Yong Kim ),이미라 ( Mi Ra Lee ),권광안 ( Kwang An Kwon ),정문기 ( Moon Gi Chung ),박동균 ( Dong Kyun Park ),김선숙 ( Sun Suk Kim ),권소영 ( So 대한소화기학회 200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5 No.3

        Complications of acute pancreatitis usually occur in pancreas and its contiguous organs. The prevalence of colonic invasion is rare, however, the consequence is fatal, with mortality above 50%. The initial symptoms and onset times are variable and major a

      • SCOPUSKCI등재

        S상 결장 염전증의 임상소견

        김지현 ( Ji Hyun Kim ),김진용 ( Jin Yong Kim ),권광안 ( Kwan An Kwon ),정문기 ( Moon Gi Chung ),연종은 ( Jong Eun Yeon ),박종재 ( Jong Jae Park ),김재선 ( Jae Seon Kim ),변관수 ( Kwan Soo Byun ),박영태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S상 결장 염전증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나 진단이 늦어지거나 재발할 경우에는 사망률이 높은 중한 질환이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임상상을 보고한 문헌이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의 우리나라의 S상 결장 염전증의 임상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고려대학교부속 구로병원, 안산병원, 안암병원,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S상 결장 염전증을 진단받은 11명에 대한 임상정보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연령은 34세(25-58세, 중간값 31세)였다. 남녀비는 6:5로 남녀가 비슷하였다. 첫 발병 시 치료방법으로 내시경적 정복술을 시행한 경우가 10명이었으며 이 중 4명에서 대기수술을 시행하였고 첫 치료로 응급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재발한 경우가 4명, 사망한 경우는 1명이었고 사인은 패혈증이었다. 결론: 증례수가 많지 않아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외국의 보고와는 달리 비교적 젊은 나이에 발생하였으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첫치료로 내시경적 정복술을 시행하였고 모든 예에서 정복 가능하였다. 사망률은 9%로 비교적 낮았다. Background/Aims: Sigmoid volvulus is a rare cause of large bowel obstruction, but can lead to significant morbidity, but there have been few recent studies in Kore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sigmoid volvulu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1 patients diagnosed as a sigmoid volvulus in Korea university Guro, Ansan, Anam hospital and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0 to February 2005 and investigated their demographics, clinical course and outcomes. Results: The mean age was 34 years (range 25-58) and the male:female ratio was 6:5. Endoscopic decompression was attempted in 10 of 11 patients and was successful in all of them. 4 of them were undergone elective surgery and 1 of them developed recurrent sigmoid volvulus. 1 patient died by sepsis and total 4 patients developed recurrent volvulus. Conclusions: The mean age was relatively young compared with previously reported cases. Initial endoscopic decompression resolves the acute obstruction in the all of cases and recurrent rate was 40% and mortality rate was 9%. (Intestinal Research 2005;3:117-120)

      • SCOPUSKCI등재

        조기대장암의 임상 양상 및 치료 결과

        권광안 ( Kwang An Kwon ),김유경 ( Yu Kyung Kim ),정문기 ( Moon Gi Chung ),박동균 ( Dong Kyun Park ),권오상 ( Oh Sang Kwon ),김선숙 ( Sun Suk Kim ),김연석 ( Yeon Suk Kim ),권소영 ( So Young Kwon ),구양서 ( Yang Suh Ku ),최덕주 ( Du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최근 조기대장암의 내시경 치료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대장암의 임상양상 및 치료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969명 중 117명(120병소)의 조기대장암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대장암 중 조기대장암의 빈도는 12.1%였고 점막암이 80예, 점막하층암이 40예였다. 조기대장암에서 병변의 평균크기는 1.8 cm, 암조직의 평균크기는 1.1 cm였다. 병변의 평균크기는 점막하층암이 2.2 cm로 점막암의 1.7 cm보다 컸다(p=0.03). 육안적 분류로 편평형에서 점막하층암이 30%로 점막암의 15%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 조직학적 분화도는 고분화선암이 77.5%였으며, 중등도 분화를 보인 경우는 점막하층암에서 63%로 점막암의 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조기대장암에 대한 치료는 점막암 80예중 초치료로 10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70예에서 내시경 절제를 하였으며, 이 중 2예에서 추가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점막하층암 40예에서는 초치료로 19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1예가 내시경 절제를 받았고 이 중 13예에서 추가 수술적 절제를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조기대장암의 빈도는 12.1%로 국내 과거 보고보다 증가하고 있으며, 조기대장암에서 내시경 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크기가 2 cm 이상이며 중등도 분화도를 보이는 편평형 조기대장암에서는 점막하층암일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Recently, it has been more interested in the early colorectal cancer (ECC) with possibility of endoscopic treatment. We evaluat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ECC. Methods: 120 cases of ECC from 969 patients with colon cancer were analyzed. The cases of concomitant advanced colon cancer were excluded. Results: 12.1% of total colon cancer was ECC. 80 and 40 cases were mucosal (M) and submucosal (SM) cancer, respectively. The size of lesion and cancer tissue of SM cancer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M cancer (lesion size, 2.2 vs. 1.7 cm, p=0.03; cancer size, 1.7 vs. 0.7 cm, p<0.001). The prevalence of flat type in SM cancer was higher than that of M cancer (30% vs. 15%, p=0.07). Moderately-differentiated type was more common in SM cancer than M cancer (63% vs. 3%, p<0.001). 15 cases received the additional operation (M cancer; 2, SM cancer; 13). The metastasis of lymph nodes was verified in 2 cases of SM cancer. Conclusions: The ECC with flat type, more than 2 cm in size and moderately-differentiated type had the possibility of SM cancer. Therefore endoscop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o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Intestinal Research 2005;3:133-139)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부딘 내성의 임상적, 바이러스적 특성

        김선숙,정문기,주기탁,박동균,권오상,구양서,김유경,최덕주,황유진,김주현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라미부딘은 초기 치료효과는 좋으나 장기간 사용시 내성으로 인한 간염의 재발이 문제이다. 본 연구는 라미부딘 치료 중인 만성 B형 간질환자에서 라미부딘 내성의 발생률, 예측인자, 임상 경과 및 약제 내성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polymerase 유전자의 변이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라미부딘을 1일 100 mg씩 12 개월 이상(평균 15.4개 월) 투여한 만성 B형 간질환자 170명(남녀비 3.6:1, 평균연령 38.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라미부딘 투여중 DNA breakthrough가 관찰된 군(이하 내성군)과 DNA breakthrough가 관찰되지 않은 군(이하 비내성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생화학적, 바이러스적 특징과 임상적 경과를 비교하였으며 내성군 중 혈청 보관이 가능했던 26예는 치료 전과 내성 발생후 혈청에서 직접 염기순서분석법과 RFLP을 시행하여 YMDD motif를 포함한 polymerase유전자의 변이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1) 라미부딘 약제 내성은 총 170예 중 32예(19%)에서 발생하였고 누적발생률은 12개월에 11%, 24개월에 34%였다. 2) 내성군의 평균연령이 35.6±9.4세로 비내성군의 39.4±9.4세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P<0.05). 평 균 투여기간은 내성군이 17.8±3.5개월로 비내성군 의 14.93.6개월에 비하여 긴 경향을 보였고 성별, 치료 전 ALT, HBV-DNA치, 알부민, 혈소판치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치료 전 HBeAg이 양성인 148예 중 32예(22%)에서 내성이 발생하였으나 치료 전 HBeAg이 음성인 경우에는 내성 발생이 한 예도 없었다(p<0.05). 치료 중 HBeAg이 음전된 47예 중 2예(4%)에서 내성이 발생하였으나 치료 중 HBeAg이 음전되지 않은 101예 중 30예(30%)에서 내성이 발생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약제내성과 관련된 예측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유의한 예측인자는 없었다(p>0.05). 4) 라미부딘 내성 발생까지의 평균 투 여기간은 12.4±3.7개월이었고 내성 발생 후 평균 투여기간은 5.9±3.5개월이었다. 5) 내성군의 임상경과는 ALT치가 치료전보다 높게 상승한 예는 17예 (53%)였고 낮게 상승한 예는 13예(41%)였으며 2예 (6%)는 ALT의 변화가 없었다. 내성 발생 후 ALT 치, HBV DNA치의 변화는 다양하였지만 황달이나 복수 등 비대상성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1예에서 라미부딘 내성과 함께 HBeAg이 음전되었다. 6) Polymerase 유전자의 YMDD motif 변이는 26예 중 19예(73%)에서 관찰되었는데 M552I가 13예, M552V + L528M가 2예, 야생형과의 혼재한 경우가 4예였고 이들은 치료 전 혈청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YMDD motif외의 다른 부위에서 L547V, I572V, L577W, E611D, V614I, L615Q, I617L등의 변이가 관찰되었는데 이들은 치료 전 혈청에서도 관찰되었다. 결론: 1) 라미부딘 내성의 누적발생율은 12개월 에 11%, 24개월에 34%였다. 2) 약제내성과 관련된 유의한 예측인자는 없었다. 3) 내성 발생 후 간염의 경과는 다양하였지만 황달이나 복수 등 비대상성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4) 라미부딘 내성 시 YMDD motif 변이는 약 73%에서 관찰되었으며, 내성에 관여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및 장기 추적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Aims: Lamivudine therapy in chronic hepatitis B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nhibiting HBV replication. However, lamivudine resistance has been developed with prolonged use. We studi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predictive factors, and clinical outcomes of lamivudine resistance. Mutations in YMDD motif of HBV polymerase, which have been associated with lamivudine resistance, were also assessed. Methods: 170 patients with HBV-associated chronic liver disease who have received lamivudine for at least one year, were studied. The clinical, biochemical, and virolog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presence (resistance group) or absence (non-resistance group) of DNA breakthrough. Their clinical outcomes were regularly followed. Stored sera before treatment and after DNA breakthrough were examined for detection of HBV polymerase mutation by direct sequencing and/or RFLP. Results: Cumulative rates of lamivudine resistance after one and two years of treatment were 11% and 34%, respectively. In the resistance group, as compared to the non-resistance group, age, the presence of HBeAg before treatment, and disappearance of HBeAg during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redi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lamivudine resistance were not found. ALT and HBV-DNA level after lamivudine resistance was variable, but jaundice or hepatic failure was absent. Mutation in YMDD motif was detected in 73% and other variable mutations were detected before treatment and after DNA breakthrough. Conclusions: Lamivudine resistance increases the longer the duration of treatment and clinical outcomes are variable. The mutation in YMDD motif was found in about 2/3 of cases. Other causes for lamivudine resistance may be considered.(Korean J Hepatol 2002;8:405-417)

      • 만성 간질환에서 혈중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2와 9)의 측정 의의

        권오상,임도윤,권광안,정문기,박동균,김선숙,김연석,권소영,구양서,김유경,최덕주,김주현,황유진,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

        목적: Gelatinase (MMP-2와 9)는 기저막의 주구성요인 type IV collagen을 분해하는 효소로, MMP-2는 간경변과 MMP-0은 간세포암의 진행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간질환과 MMP-2와 9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간기능이 정상이고 간질환이 없는 건강 대조군 10예, 만성 간염 15예, 간경변 18예, 그리고 간세포암 25예를 대상으로 혈장을 채취하여 MMP-2와 9의 활성을 보기 위해 zymography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p=0.009)과 만성 간염군(p=0.011)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경변군에서 건강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어 있었으나(p=0.035), 만성 간염군과 간세포암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간세포함이 없는 간경변군 15예와 간세포암을 동반한 간경변군 23예를 합친 총 간경변군 38예에서 MMP-2의 활성은 total bilirubin이 높을수록 (r=0.323, p=0.048) 그리고 Child-Pugh 점수가 높을수록(r=0.414, p=0.012) 증가되어 있었다. 총 간경변군에서 MMP-2와 MMP-9의 활성은 알코올 성 간경변군에서 HBV에 의한 간경변군 보다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각각 p=0.009, p=0.002). 결론: 혈장 MMP-2의 활성은 간경변의 진단과 중증도에 유용한 표지자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혈장 MMP-9의 활성은 간세포암에서의 유용성은 적으리라 생각되나 알코올성 간경변의 진단적 표지자로는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MMP-2와 MMP-9의 활성은 간경변의 원인 별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그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Gelatinase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2 and 9)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liver cirrhosis (LC)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of gelatinase to chronic liver disease. Methods: Four groups of subjects were examined; healthy control (10 cases), chronic hepatitis (18 cases), LC (15 cases), and HCC (28 cases). The plasma of each subject was obtained, and the equal quantification of plasma protein was done. The plasma activities of MMP-2 and 9 were measured by zymography. Results: The activities of plasma MMP-2 in patients with L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p=0.009)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p=0.011),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patients with HCC. The activities of plasma MMP-9 in patients with L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ntrols, but not different from those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or HCC. In patients with LC (regardless of having HCC), the activities of MMP-2 correlated with total bilirubin (r=0.323, p=0.048) and Child-Pugh score (r=0.414, p=0.012). The activities of MMP-2 and 0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LC (regardless of having HCC) caused by alcohol than caused by HBV (p=0.009 and 0.0002 for each one). Conclusions: The plasma activity of MMP-2 may be a useful marker for the diagnosis and determination of the severity of LC. The plasma activity of MMP-9 was not useful for HCC, but may be a marker for alcoholic LC.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why the plasma activity of gelatinase was higher in patients with LC caused by alcohol than by HBV.(Korean J Hepatol 2003;9:222-230)

      • SCOPUSKCI등재

        위 천공과 거대점막주름을 동반한 Gastritis Cystica Profunda 1 예

        김주현,윤명환,박동균,강동훈,김용일,이정선,이항진,정문기,김성권,정동해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1 Clinical Endoscopy Vol.23 No.3

        Gastritis cystica profunda (GCP) is a rare disease in which cystically dilated gastric foveolae or glands extend into the muscularis mucosae or below. The pathogenesis of GCP has been described as an interruption of the muscularis mucosae and migration of epithelial elements to submucosa caused by presence of suture materials after surgery or erosion of the gastric mucosa in chronic gastritis and ischemia. Macroscopically, GCP may present not only as a giant gastric mucosal folds but also as a submucosal tumor or as solitary or diffuse polyps. An endoscopic ultrasonographic (EUS) findings clearly differ from findings in the other disordes. The combination of EUS and mucosectomy appears to be very useful for the diagnosis of GCP. Therefore, all unnecessary surgical procedures should be avoided in cases of GCP. We report a case of GCP associated with gastric perforation which presented as diffuse giant gastric folds and clinically advanced gastric cancer was suspected.

      • SCOPUSKCI등재

        악성 변화를 동반한 십이지장 팽대부의 융모성 선종 1예

        박상훈,김진호,최상용,김재선,이창홍,박영태,김종극,원남희,정문기,조상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4 Clinical Endoscopy Vol.14 No.4

        Ampullary adenoma is a benign neoplasm with malignant potential that arises from the glandular epithelium of the ampulla of Vater. When the tumor is confined to the ampulla, abdominal sonogram and CT scan can show dilat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or pancreatic duct, but the mass itself may not be seen. And even biopsies are done, the confirmation of malignant change is frequently missed, and it may be impossible to assess the presence of carcinoma in situ or invasive carcinoma without complete exicision of the lesion. So complete surgical resection is recommended because of extensive growth of the ampullary adenoma and its malignant potential.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about 0.8 x 1.0 cm sized tumor of the ampulla of Vater that was diagnosed as villous adenoma on endoscopic biopsy, and malignant change was found on resected surgical speci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