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6년간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기후지대별 농업기후지수의 분포

        정명표,박혜진,안중배,Jung, Myung-Pyo,Park, Hye-Jin,Ahn, Joong-Bae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본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의 22개 농업기후지대별로 유효적산온도(GDD), 무상기간(FFP) 작물생육 기간(GSL) 등 3가지 농업기후지수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농업기후지수는 NASA의 MERRA-2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농업기후지수는 연도별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농업기후지대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GDD는 지역별로 531.7-1650.6 도일의 범위를 보였으며, FFP는 141.5-241.7일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GSL은 125.1-217.9일의 공간적 분포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ree agro-climatic indices among 22 agro-climatic zones in Northeast China area. Meteorological data produced by NASA (MERRA-2) was used to calculate growing degree days (GDD), frost free period (FFP), and growth season length (GSL) at this study sites. The three indices did not differ among 6 years (2011-2016). However, they showed statistical spatial difference among agro-climatic zones. The GDD ranged between $531.7^{\circ}C{\cdot}day$ (zone 22) and $1650.6^{\circ}C{\cdot}day$ (zone 1). The range of the FFP was from 141.5 day (zone 22) to 241.7 day (zone 1). And the GSL showed spatial distribution between 125.1 day (zone 22) and 217.9 day (zone 1).

      • KCI등재

        RCP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애멸구 월동 개체군의 성충 발생시기 및 연간 세대수 변화 예측

        정명표,박홍현,이상계,김광호,Jung, Myung-Pyo,Park, Hong-Hyun,Lee, Sang-Guei,Kim, Kwang-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Recently,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substituted by the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s (SRES) for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Using the RCP scenario, the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produced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Further, the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of Korea produced new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emergence time of small brown planthopper (SBPH), Laodelphax striatellus and the number of generations a year were estimated during climatic normal year (1981-2010)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y were predicted during 2050s (2045-2054) and 2090s (2085-2094) by means of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In comparison with $176.0{\pm}0.97$ Julian data in the climatic normal year, the emergence time of overwintering SBPH was predicted to be $13.2{\pm}0.18$ days ($162.8{\pm}0.91$ Julian date) earlier in 2050s and $32.1{\pm}0.61$ days ($143.9{\pm}1.08$ Julian date) earlier in 2090s. The SBPH was expected to produce an additional $2.0{\pm}0.02$ generations in 2050s and $5.2{\pm}0.06$ generations in 2090s. 최근 WMO는 온실가스 배출량 시나리오(SRES)를 대신하여 대표농도경로(RCP)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였으며 기상연구소는 RCP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관측값을 바탕으로 평년(1981-2010)의 애멸구의 우화시기와 세대수를 추정하였으며, RCP 8.5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2020년대(2015-2024), 2050년대(2045-2054)와 2090년대(2085-2094) 애멸구의 우화시기와 세대수를 예측하였다. 평년 애멸구 월동 1세대수의 우화일인 $176.0{\pm}0.97$일과 비교하여 2050년대에서는 $13.2{\pm}0.18$일($162.8{\pm}0.91$일), 2090년대에는 $32.1{\pm}0.61$일($143.9{\pm}1.08$일) 앞당겨질 것을 예측되었다. 그리고 애멸구의 연간 세대수는 2050년대에서는 현재보다 $2.0{\pm}0.02$세대, 2090년대에는 $5.2{\pm}0.06$세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중국 동북지역에서 옥수수 유효적산온도의 시공간적 분포

        정명표 ( Myung-pyo Jung ),박혜진 ( Hye-jin Park ),심교문 ( Kyo-moon Shim ),안중배 ( Joong-bae Ahn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5 No.4

        BACKGROUND: The northeast district of China, especially Liaoning province, Jilin province, and Heilongjiang province, is one of the largest agricultural production regions in China. These reg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suring food security. Accumulated temperature such as growing degree days (GDD) is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for plant growth and yield. Therefore, in this study,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GDD for maize was examined as a basis to estimate the growth and yield of maize in these regions. METHODS AND RESULTS: Meteorological date produced by NASA (MERRA-2) was used to estimate GDD of maize at this study sites. The GDD was calculated from sowing (May 1) to harvesting (Sep. 30). The average GDD of this region between 2010 and 2015 was 1323.0℃ day (595.3-1838.9).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DD showed a similar pattern during the different years surveyed. Double cropping for maize could be in only Liaoning province, northwestern Jilin province, and western and eastern Heilongjiang province where the GDD was over 1600℃day. However, The GDD in eastern Heilongjiang province was varied by year. CONCLUSION: The GDD of maize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was varied spatially, but similar among recent six years at the same region. This result can be used to predict growth stage and yield of maize at these regions.

      • 국내 농업기후지대별 기후요인과 기준증발산량의 관계 분석

        정명표 ( Myung-pyo Jung ),심교문 ( Kyo-moon Shim ),김용석 ( Youngseok Kim ),강기경 ( Ki Kyung Kang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증발산량(ET)은 토양 및 수면에서의 증발량과 농작물의 증산량을 합한 값으로, 농작물이 자라고 있는 농경지에서 날아간 총 물의 양을 나타낸다. 증발산량은 농경지에 필요한 물의 양을 결정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며, 물순환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하지만 증발산량은 지표면 환경, 기상환경 등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실재 증발산량을 추정하기는 힘들기 때문에 기준증발산량(ET<sub>0</sub>)이 물수지, 관개 일정, 물관리 등의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방재기상정보포탈서비스(http://metsky.kma.go.kr)에서 제공하는 1980-2015년 동안의 62개 지점의 기상자료(일평균기온(℃), 강수량(mm), 일조시간(h))를 사용하였다. 국내 농업기후지대별 ET<sub>0</sub>는 FAO-56 Penman-Monteith 방법을 이용하였다. 맨-켄달 추세테스트 및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농업기 후지대별로 ET<sub>0</sub>의 시공간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공간적으로 남동지역의 연간 ET0값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대관령 및 인근의 고랭지역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연간 ET0값은 시공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연간 ET<sub>0</sub>은 비교 기간 동안 모든 농업기후지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기간 연평균기온과 연누적강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연누적일조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온의 경우 대부분의 농업기후지대에서 연도별로 변화의 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강수량과 일조시간은 오히려 연도별로 변화의 폭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농업기후지대별로 ET<sub>0</sub>값의 연도별 및 공간적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후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LED 광원에 대한 갈색여치의 행동반응

        정명표 ( Myung Pyo Jung ),방혜선 ( Hea Son Bang ),김명현 ( Myung Hyun Kim ),한민수 ( Min Su Han ),나영은 ( Young Eun Na ),강기경 ( Kee Kyung Kang ),이덕배 ( Deog Bae Lee ) 韓國環境農學會 200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8 No.4

        효과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갈색여치를 방제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빛파장별 LED등에 대한 갈색여치의 광주성을 살펴보았다. 단일광원실험에서 모든 광원쪽으로 갈색여치가 이동하였고, 다중광원실험에서는 비록 특정광원에 대한 특이적 반응은 나타나지 않아 각 처리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무광원 지역보다는 광원지역으로 더 많이 이동하는 특징을 보였다. 즉 갈색여치는 특정 파장에 대한 선호성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빛에 대한 광주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LED유아등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포장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ototactic response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to different wavelength of light by the use of LEDs an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 improved trap with the longer trapping efficiency to control environment-friendly this katydid. P. ussuriensis were attracted to the single LED light source, especially, blue and white. For the multiple LED light sources, the movement of P. ussurien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LED-light bands. Overall, P. ussuriensis had a tendency to move to light source although they were not attracted to a specific wavelength of light. These methods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conducting a phototactic response of other insects.

      • KCI등재
      • KCI등재

        한반도의 기후학적 식물생육기간의 변화

        정명표 ( Myungpyo Jung ),심교문 ( Kyomoon Shim ),김용석 ( Yongseok Kim ),최인태 ( Intae Choi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4 No.3

        BACKGROUND: The growing season (GS) has been understood as a useful indicator for climate change due to high relationship with increasing temperature. Hea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the thermal GS over South Korea from 1970 to 2013 based on daily mean air temperature for assessing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in GS. METHODS AND RESULTS: Three GS parameters (starting date, ending date, and length) were determined at 19 stations throughout South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GS has been extended by 4.2 days/decade between 1970 and 2013 on average. The growing season start (GSS) has been advanced by 2.7 days/decade and the growing season end (GSE) has been delayed by 1.4 day/decade. Spatial variation in the GS parameters in Korea are shown. The GS parameters, especially GSS, of southeastern part of Korea have been changed more than that of northwestern part of Korea. The extension of GS may be more influenced on earlier onset in spring rather than later GSE. CONCLUSION: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the GS will be more extended due to delayed GSE as well as advanced GSS. And These are more notabl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Korea.

      • KCI등재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기후지대 구분

        정명표 ( Myung Pyo Jung ),허지나 ( Jina Hur ),박혜진 ( Hye Jin Park ),심교문 ( Kyo Moon Shim ),안중배 ( Joong Bae Ah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5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동북지역 기후자료를 수집하여 DB를 구축하고, 이들 기후자료를 활용하여 농업기후지대를 구분함으로써 대상지역의 농업기상특성 분석의 기초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국외의 주요 곡물 수출국의 기상관측정보를 수집, 분석,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중국 동북지역 농업기후지대를 구분하기 위하여 미국 항공우주국의 전 지구 모델링 및 동화 센터의 1979-2010년까지 32년 동안의 월별 기온 및 강수량 자료와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 모형의 동아시아 영역의 해발고도와 식물비 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 동북지역은 해발고도는 200m 이하, 200-800m, 800m 이상, 식물비 60%, 연평균 기온은 0oC, 최난월 기온은 22oC,연평균 강수량 700mm를 기준으로 22개 농업기후지대로 구분되었다. 22개 농업기후지대는 연평균기온은 3.4oC, 강수량 613.2mm, 일사량 4,414.2MJ/m2의 기후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ssify agro-climatic zones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For agroclimatic zoning,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from Global Modeling and Assimilation Office (GMAO) of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USA) between 1979 and 2010 (http://disc.sci.gsfc.nasa.gov/) were collected. Altitude and vegetation fraction of East Asia from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were also used to classify them. The criteria of agro-climatic classification were altitude (200 m, between 200-800 m, 800 m), vegetation fraction (60%), annual mean temperature (0oC), temperature in the hottest month (22oC), and annual precipitation (700 mm).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mean annual temperature, annual precipitation, and solar radiation were 3.4oC, 613.2 mm, and 4,414.2 MJ/m2 between 2009 and 2013, respectively. Twenty-two agro-climatic zones identified in Northeast district of China by metrics classification method, from which the map of agro-climatic zones for Northeast district of China was derived. The results could be useful as information for estimating ag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ng crop development and crop yield of Northeast district of China as well as those of North Korea.

      • KCI등재

        영동지역 갈색여치의 발생시기별 서식지의 변화 및 발육생태 특성

        방혜선,정명표,김명현,한민수,나영은,강기경,이덕배,이경열,Bang, Hea-Son,Jung, Myung-Pyo,Kim, Myung-Hyun,Han, Min-Su,Na, Young-Eun,Kang, Kee-Kyung,Lee, Deog-Bae,Lee, Kyeong-Yeol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충북 영동지역에서 대발생한 갈색여치의 서식지 변화 및 배자후발육의 특징에 관해서 2007년에서 2009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갈색여치의 월동알은 3월말에서 4월초까지 약 2주 동안 야산에서 부화하였으며, 이 기간의 지온은 $7{\sim}14^{\circ}C$로 측정되었다. 부화한 약충은 야산에 서식하며 참나무류의 잎을 가해하였으나 5월 초순경에 3-4령이 되면서 과수원으로 서식처를 이동하였다. 이 시기는 비탄리 일대 과수원 복숭아잎이 개엽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갈색여치는 복숭아 잎을 가해하면서 성충까지 발육하였고 6월 하순경에 다시 인근 야산으로 이동하였다. 갈색여치는 부화 후 성충이 되기까지 평균 7회 탈피를 하며, $25^{\circ}C$에서 그 기간은 평균 49.2일이었다. 야외에서 채집한 암컷 성충은 평균 26.2 mm의 긴 산란관을 가지며 앞가슴등판 및 뒷다리 퇴절의 크기가 수컷보다 컷다. Characteristics of habitat alteration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were investigated in the mountain region of Bitanri, Yeongdong county, Chungcheongbuk-do from 2007 to 2009. Overwintered eggs under the ground in the hillside were hatched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The soil temperature during this season was $7{\sim}14^{\circ}C$. Young nymphs lived mainly at the hillside by eating oak tree leaves but the 3rd or 4th instars switched their habitat to orchards near the hillside in early May, which is the time for sprouting of peach leaves. Old nymphs developed into the adult stage at the orchards in late May and moved back to the hillside in late June. Duration of post-embryonic development from the first instar nymph to adult was 49.2 days after 7 moltings at $25^{\circ}C$. Female adults collected from the field had long ovipositor (26.2 mm) and were slightly longer in the body length, hind femur, tegmen and pronotum than those of m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