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4세기 초․중반 慕容部․前燕과 高句麗의 유이민 수용

        정동민(Dong-Min 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3 역사문화연구 Vol.86 No.-

        본고에서는 4세기 초․중반의 慕容部․前燕과 高句麗의 유이민 수용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양국의 유이민 수용 배경과 수용 양상 그리고 유이민이 양국에 미친 영향 등을 살펴보았다. 모용부는 西晉에 대한 勤王을 내세운 중국적 지배질서의 구축을 통해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자고자 하였는데, 근왕정책의 방편 가운데 하나로써 적극적으로 한인을 수용하였다. 모용부는 한인의 주요 인사를 대거 중용하고 능력에 따라 관직에 임명하면서 이들과 함께 국정을 이끌어 나갔고, 僑郡을 설치하여 한인 이주민을 안집시켰다. 이와 같은 근왕정책에 의한 적극적인 한인 수용을 통해 모용부는 서진의 정치기구를 확립하였고 농업경제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었다. 반면 강제적으로 이주시킨 이인에 대해서는 도성 주변에 안치하여 철저한 통제와 관리를 가하면서 농업 생산에 종사시키거나 혹은 군사나 혹은 요역에 동원하였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위험요소로 대두되자 이들의 혈연조직을 해체하고 각 지역에 분산․배치시켰다. 고구려는 4세기 초반 화북의 국가들이 경쟁적으로 한인을 확보했던 상황에 편승하면서 한인을 수용하였다. 하지만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발적 이주를 기대하기 힘들었기 때문에 주로 중국 군현에 대한 약탈을 통해 한인을 확보하였고, 도성 근처에 안치하면서 강하게 통제․관리하였으며 요역 등에 동원하였다. 고구려는 한인 확보를 통해 국가적 발전을 이루고자 하였지만, 중국 군현 약탈을 통한 한인 확보는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었다. 이에 한인을 대신해 모용부인․전연인 확보에 나섬으로써 전연의 내부 와해와 군사력 제고를 꾀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s of Murong Bu, Former Yan, and Goguryo's acceptance of Wandering people in the early and mid-4th century, and uses this as a basis to examine the backgrounds and modes of acceptance, and the impact of the Wandering people on both countries. Murong Bu sought to seize hegemony in East Asia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Chinese ruling order that claimed loyalty to Xi Jin, and actively accepted Hanren as one of the measures of the loyalty policy. Murong Bu appointed a number of key Hanren figures to government positions based on their merit and led the country with them, and established the Qiao Jun to keep Hanren migrants in line. Through this loyalty policy and the active acceptance of Koreans, Murong Bu was able to establish the political organization of Western Jin and build the foundation of an agrarian economy. Goguryeo took advantage of the competitive acquisition of Hanren by the states of Huabei in the early fourth century to accommodate them. However,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t was relatively difficult to expect voluntary migration, so it mainly secured Hanren through plunder of Chinese counties (Junxian), and strongly controlled and managed them while locating them near the cities, and mobilized them for Yaoyi. Goguryeo wanted to achieve national development by securing Hanren, but securing Hanren through plundering Chinese counties was limited. Therefore, they sought to secure the people of Murong Bu and Former Yan on behalf of the Hanren to disrupt them internally and increase military power.

      • KCI등재

        高句麗 重裝騎兵의 特徵과 運用形態의 變化

        정동민(Jung Dong-min)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2

        본고에서는 고분벽화를 통해 고구려 重裝騎兵의 모습을 보다 세밀하게 살펴보고, 중장기병 모습 자체의 변화양상과 운용형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4세기 초~중반 경, 고구려에 중장기병이 처음 도입되었을 때에는 전투시적 대열의 측면 혹은 후면을 공격하는 등의 소극적인 참여에 그치거나, 호위병으로 운용되었다. 그러나 5세기 초~중반 경에 중장기병이 독립된 편대로 구성되면서 적의 정면을 향한 강력한 충돌작전을 펴는 전술로 변화하였다. 한편 5세기 초∼중반부터 고구려의 武器ㆍ武裝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투구에서 기존의 縱長板?와 彎曲縱長板? 외에 小札?가 새로이 등장하고, 小札로 이루어진 볼가리개 외에 細方形 철판으로 이루어진 볼가리개도 새로이 등장한다. 갑옷에 있어서도 기존의 세방형 철판을 이어붙인 頸甲 외에 방형소찰로 이루어진 頸甲이 나타난다. 그리고 기존의 상원하방형 소찰 외에 상부직선형 소찰로 이루어진 札甲이 등장한다. 馬甲에 있어서도 그 조립구성이 점점 세분화된다. 그리고 무기체계에서도 창 중심의 무기체계로 변화했는데, 위와같은 변화들은 무기ㆍ무장의 기술적인 변화와 진보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이 외에도 투구의 뿔장식, 垂下飾, 馬?의 三葉形 챙 등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군사지휘관의 위엄이나 권위를 상징한다고 추정되는데, 이를 토대로 군사조직의 체계화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양상들은 5세기 초~중반에 이루어진 중장기병의 기능확대과정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중장기병이 활성화됨에 따라, 무기ㆍ무장의 발전을 이루었고 군체계도 보다 조직화되고 있는 것이다. When armored cavalry was first introduced in Koguryo, it was mere passive participation in attacking the side of or behind enemy rank in battles, or used as guard. However, in the early-to-middle period of 5th century, it could undertake strong encountering tactics towards the front of enemy constituting an independent assault suits formation. Meanwhile, since early 5th century, there were c`hanges detected in Koguryo weapons and armaments. In helmet, sochalju appeared newly in addition to the preexisting Jongjang panjoo and Mangok jongjang panjoo and in late 5the century, cheek covers made with thin square iron plate appeared newly. For the suit of armor, square neck protector(Gyeonggap) appears other than the existing thin squared one on which iron plates are put together. And the suits of amors with scales(Chalgap) using straight lined top metal scales appear in addition to circle top and square bottom one. Also, in horse suits of armor, the assembly composition is subdivided. The weapon system becomes lance-centered, and the above changes show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dvancement of weapons and armaments Additionally, Sohasik and trefoiled visor in assault suits and horn ornament in helmet appear. This is assumed to symbolize military commander's dignity or authority and based on which we can see thesystematization of military organization. All the changing phases seems to be related to the process of functional expansion of the assault suits. That is, as the assault suits are revitalized, weapons and armaments aredeveloped and military structure is being systematized.

      • KCI등재

        高句麗-隋전쟁에 보이는 隋軍의 진군로와 접경 : 遼西를 중심으로

        정동민(Jung, Dong-Min)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본고에서는 고구려-隋 전쟁 당시 隋軍의 진군로를 검토하고 최전방 군수물자 보급기지의 위치를 파악해봄으로써 양국의 접경공간 즉, 遼西를 둘러싼 세력 관계의 양상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고구려 원정에 나섰던 수군은 涿郡에서 출발해 臨楡關을 통과한 후 古道인 遼西走廊을 이용하여 柳城으로 진군하였다. 하지만 당시 요서주랑이 주요 교통로로 활용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 구간을 이용하는 대신 도중에 六股河 계곡로를 따라 북상하여 유성에 도달하였다. 이후에는 유성-遼東城 도로와 遼河 도하로를 이용하면서 고구려 영역으로 진군하였다. 598년 고구려-수 전쟁 당시 수군은 요서 동부를 세력 범위에 두지 못함에 따라 유성을 최종 거점으로 삼았다. 하지만 612년 고구려-수 전쟁 때에는 요서 동부 인근을 세력 범위에 둠으로써 瀘河鎭과 懷遠鎭에 최전방 군수물자 보급기지를 설치할 수 있었다. 613년 고구려-수 전쟁 때에는 ‘요동의 옛 성(遼東古城)’ 즉, 武厲邏를 최전방 군수물자 보급기지로 삼았는데, 이는 612년 전쟁을 통해 요서 동부 전체를 세력 범위 안에 두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가 요서 전역을 세력 범위에 둠에 따라 요서는 더 이상 양국의 접경공간으로서 완충지대라는 성격을 가질 수 없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contact zones between the two countries (Liaoxi Region), by examining the advancing route of the naval forces during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ui and figuring out the location of the front-line military supply bases. The Sui forces on the Goguryeo expedition passed through Linyu Gateway at Zhuo Jun and then advanced to Liucheng using Liaoxi Corridor, the old road. However, at that time, the Liaoxi Corridor was not used as the main transportation route, so they headed north along the Liuguhe River valley road to reach Liucheng without using the entire section of the Liaoxi Corridor. After reaching Liucheng, they advanced into Goguryeo territory using the Ying Zhou-Liaodong Castle road and crossing the Liao River road. During the Goguryeo-Sui War in 598, the Sui army was unable to reach the eastern part of Liaoxi, so they used Liucheng as the last base for their advance. However, during the Goguryeo-Sui War in 612, they were able to set up front-line military supply bases at Luhe Zhen and Huaiyuan Zhen by placing the eastern part of Liaoxi under their control through a military clash with the Goguryeo. During the Goguryeo-Sui War in 613, Sui set up a front-line military supply base in Muryeo La, an ‘old castle of Liaodong’. It was possible because the entire eastern part of Liaoxi was under their control through the Goguryeo-Sui War in 612. In other words, as Sui had full control of Liaoxi region, Liaoxi could not play the role of a buffer zone as a bordering space between Goguryeo and Sui any more.

      • KCI등재

        遭遇와 衝突로 高句麗 後期를 이해하다 : 김진한, 2020,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

        정동민(Jung, Dong-Min)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5

        5~7세기 급변하는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 속에서 고구려는 제세력과 교섭하고 혹은 무력 충돌을 빚으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주도하는 한 축으로서 자리매김하였다. 그렇다면 5~7세기 고구려를 이해하는 데 가장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외교와 전쟁 등 대외 관계라고 볼 수 있다. 외교와 전쟁은 당시 국제 질서 그리고 각국의 외교 역량이나 집권 세력의 이해 관계가 반영되어 이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당시 대외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제 질서뿐만 아니라 각국의 내부 동향까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최근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서 김진한이 『고구려 후기 대외관계사 연구』를 출간하였다. 저자는 고구려의 국정(내정)과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외정)를 연동시키며 역학관계론적 시각에서 고구려 후기의 대외 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ㆍ정리하였다. 본고에서는 저서의 구성과 내용을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필자의 생각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저서는 고구려뿐만 아니라 고구려와 관계를 맺었던 제세력의 내정과 외정까지 고려함으로써 어느 일방에 치우쳐 고찰하지 않았다. 또한 특정 세력이 아닌 제세력을 연구대상으로 삼으며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를 체계ㆍ종합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고구려 대외관계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period of from the 5th to the 7th centuries, Goguryeo became one of the axises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with frequent diplomatic negotiations and armed conflict with various forces. Then,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we should note to understand Goguryeo in the 5th and 7th centuries is foreign relations such as diplomacy and war. Diplomacy and war take place by reflecting the international order of the times and the diplomatic capacity of each country or the interests of the ruling power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foreign relations at the tim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identify not only the international order at the time, but also the internal trends of each country. Recently, considering these factors, Kim Jin-han published 『A Study on the History of Foreign Relations in the Late Goguryeo』. The author systematically organized the foreign relations of the late Goguryeo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dynamic relations[Internal affair], inter-operating the state of Goguryeo with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Diplomatic affairs].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he book and show the ideas of the writer. The book deals with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of not only Goguryeo but also the other powers that had relations with Goguryeo. It studied all powers not just specific powers to describe the international relations systematically and generally in eastern Asia at that time. So it greatly contributed to the study of foreign relations of Goguryeo.

      • KCI등재

        고구려 騎乘用 馬具의 출토 양상과 계통

        정동민(Jung Dong 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4 No.-

        본고에서는 고구려시기 유적에서 출토된 기승용 마구를 살펴보고, 고구려에 마구가 유입된 그 계통과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고구려의 마구는 3세기 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중국 동북지역 혹은 부여와의 연관성이 강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4세기에 이르면 모용선비 및 전연과의 연관성이 두드러진다. 마구 가운데 장식구는 양 국 간에 긴장 관계가 형성되었던 4세기 초반에 고구려로 유입되었고, 제어구나 안정구는 전연이 멸망하는 370년 즈음의 혼란한 분위기 속에서 고구려에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전연으로부터 유입된 마구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변용을 추구하였다. 한편 마구 가운데 하나인 전마구의 출토는 곧 중장기병의 출현을 의미한다. 고구려는 4세기 초반에 친연관계에 있었던 후조로부터 중장기병을 처음 도입하였고, 이후 4세기 중반 전연계 인물들의 대거 망명 혹은 342년 고구려와 전연의 전쟁을 계기로 전연의 유형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마구는 마구이기도 하지만 무기라는 성격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즉 다른 마구와 별개로 하나의 무기로서 고구려로 도입․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In this article, it was tried to review harnesses excavated in remains of Goguryo and to identify the route they came to Goguryo and aspects of accommodation. The harnesses of Goguryo begin to appear in the 3rd century. It seems that until the 3rd century they had strong relations with Northeast area of China or Buyeo. However, in the fourth century, relationship with MoynongSeonbi and Qián-yān(前燕) Kingdom seems to be stronger. In early to mid-fourth century, Goguryo and Qián-yān(前燕) were in tension because of Liaodong. In 355 they made tribute-installation relationship and relatively friendly relationship was in place between two countries. It is thought that harnesses of Qián-yān(前燕) came to Goguryo in this period. Around 370 when Qián-yān(前燕) fell down, such harnesses were actively accommodated by Goguryoin the chaotic times. However, Goguryo did not simply import harnesses but it tried to develop them into their original styles. On the other hand, excavation of wartime harnesses in Goguryo remains means emergence of heavy cavalry. It is guessed that heavy cavalry in Goguryo was introduced in early 4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suppose that they were imported from Qián-yān(前燕) because two countries were in strained relations in early to mid-fourth century. Although war harnesses are a kind of harnesses, they have another characteristic, so to speak, as a strong weapon. In other words, they may be imported as a weapon.

      • KCI등재

        598년 高句麗-隋 전쟁의 배경과 충돌 양상 - 접경공간인 遼西地域을 중심으로 -

        정동민(Jung, Dong-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8 역사문화연구 Vol.67 No.-

        본고에서는 고구려와 隋의 접경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遼西地域을 주목하면서 598년 고구려- 수 전쟁의 발발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물 개개인의 활동을 기록한 列傳을 참고하면서 전쟁의 구체적인 전개 양상, 그리고 수군이 전쟁에서 패배한 요인에 대해 규명해 보고자하였다. 598년 고구려-수 전쟁은 양 국의 접경공간이면서 거란과 말갈이 자리 잡고 있는 遼西지역에 대해 서로 우위를 점하려고 했던 세력 다툼 속에서 일어났다. 고구려는 遼西지역을 선제 공격함으로써 遼西지역에서의 수의 세력 확대를 더 이상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그리고 속말말갈 기병 동원을 통해 속말말갈이 복속되었음을 수에 보임으로써, 수가 고구려 원정을 준비하기 전에 고구려 원정이 만만치 않음을 인식시켜 전면적인 전쟁을 막고자 하였다. 반면 수 문제는 고구려의 遼西 공격으로 인하여 遼西지역에 대한 영향력 확대에 제동이 걸리고, 돌궐과 고구려의 연계 가능성을 확인하면서 고구려 원정을 감행하였다. 수는 行軍元帥로 漢王 楊諒과 王世積, 元帥長史로 高熲, 그리고 水軍總管으로 周羅睺를 임명하고, 30만 병력을 동원하여 곧바로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 원정군의 최고 지휘관은 명목상 行軍元帥인 楊諒이었으나, 실제로는 高熲이 군 통수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王世積이 이끄는 군대는 6월 臨楡關을 출발해 柳城에서 楊諒의 군대와 만나 함께 遼水 및 평양성으로 진군하고자 하였는데, 柳城에 이르렀을 때 군량 부족 및 전염병의 유행 등 심각한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 때 高熲은 회군, 楊諒은 원래 계획대로의 진군을 주장하였는데, 高熲과 두터운 친분을 바탕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던 王世積이 高熲의 주장에 동조함으로써, 王世積의 군대는 회군하였다. 고구려로 진군한 楊諒의 군대는 遼水에 이르렀을 때 군량 부족과 전염병에 시 달렸다. 그리고 水軍 또한 거센 바람에 표류하고 침몰하는 등 어려운 상황을 맞이했다. 수 원정군이 수륙 양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고구려는 수에 사죄하는 표문을 올렸고, 수가 이를 명분으로 철군하면서 수의 고구려 원정은 막을 내리게 된다. 수의 고구려 원정 실패 요인으로는 전쟁 준비 부족, 원정시기의 오판 등을 들 수 있지만, 원정 실패의 피해를 키운 요인은 楊諒의 무능함과 욕심 때문이었다. This article reviewed the background of outbreak of the war between Goguryeo(高句麗) and Sui(隋) in 598 paying attention to Yoseo Region(遼西地域) which is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two nations. It tried to identify the detailed development of the war and the reason of loss of Sui referring to the biographies of the related individuals. The war between Goguryeo and Sui in 598 broke out in the struggle for power between two countries to get better position in Yoseo region, the contact zone between the two countries, where the Khitan(契丹) and the Mohe(靺鞨) resided. Goguryeo, by preemptively attacking the Yoseo Region, showed its determination that it would no longer tolerate the expansion of power of Sui in the Yoseo Region. It tried to prevent an all-out war by letting Sui know that the expedition to Goguryeo would not be an easy job before Sui prepared for the expedition to Goguryeo, by showing that Sokmalmalgal(粟末靺鞨) had been subjugated through the mobilization of the Sokmalmalgal cavalry. On the other hand, Emperor Wen of Sui(隋 文 帝) took the risk of Goguryeo expedition as his influence on Yoseo Region was braked due to the attack on Yoseo Region by Goguryeo and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on between Turk(突厥) and Goguryeo was confirmed. Sui appointed Hanwang Yangryang(漢王 楊諒) and Wangsejeok(王世 積) as Haenggunwonsu(行軍元帥), Gogyeong(高熲) as Wonsujangsa(元 帥長史), and Jurahu(周羅睺) as SugunChonggwan(水軍總管) and mobilized 300,000 soldiers to make an expedition to Goguryeo. The top commander of the expeditionary forces was Yangryang nominally but actually Gogyeong had the control of the army. The army led by Wangsejeok intended to leave Rimyugwan(臨楡關) in June and meet the army led by Yangryang to go to Yosu(遼水) and Pyongyang(平壤). However, they met severe problems such as shortage of provisions and epidemics. Here, Gogyeong addressed to retreat and Yangrauyng addressed to advancement according to the original plan. Wangsejeok, who were very close to Gogyeong, agreed on the opinion of Gogyeong, and his army retreated. On the other hand Yangryang advanced to Goguryo and they suffered from shortage of provisions and epidemics when they arrived at Yosu. Navy also had a difficult situation such as drifting and sinking in strong winds. When navy and army of Sui had difficulties on the land and on the sea, Goguryeo offered an apology letter to Sui, and Sui retreated in the name of forgiveness. The reasons for failure of Sui in the expedition to Goguryeo may include lack of preparations for war and misjudgment of the time of expedition, but the biggest reason to make the damages bigger was the inability and greed of Yangryang.

      • KCI등재

        612년 高句麗-隋 전쟁의 전개 양상

        정동민(Jung, Dong-M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0 한국고대사탐구 Vol.34 No.-

        본고에서는 인물 개인의 행적이 담겨 있는 列傳이나 墓誌銘, 고고학적 자료를 주로 검토하면서 군사사적 관점에서 612년 高句麗-隋 전쟁의 전개 양상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수는 고구려 원정을 위한 제반 준비를 하면서, 한편으로는 고구려와의 접경공간이었던 遼西 동부에서 고구려군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였다. 이로써 요서 동부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유리한 국면을 조성한 수는 612년에 113만 3800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고구려 원정에 나섰다. 육군 40개 군과 水軍 1개 군으로 편성된 수군은 1월에 涿郡을 출발하여 臨楡關을 지나 瀘河鎭 혹은 懷遠鎭에서 군수 물자를 보급받고 3월에 遼水에 이르렀는데, 고구려군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치면서 4월에 이르러서야 요수를 건널 수 있었다. 4월에 수군이 요수를 건넌 후부터는 성곽전이 전개되었다. 당시 수군 지휘부는 전투에 대한 모든 상황을 隋 煬帝에게 보고하고 지시를 따라야만 했는데, 4월부터 6월까지 수 양제는 臨海頓에 머물고 있었다. 이와 같은 공간적 거리의 형성으로 야기된 전투 지휘부와 수 양제 간 보고・지시의 신속성 결여, 수 양제가 受降使者를 통해 전투 지휘부의 보고를 받음에 따른 정확한 전황 파악의 실패, 그리고 쇠뇌등 우수한 원사무기를 활용한 고구려의 뛰어난 성곽 방어술 등으로 인해 수군은 遼東城을 포함한 성곽전에서 고전하게 된다. 이에 수 양제는 별동대를 편성하여 점령하지 못한 고구려 성들을 후방에 남겨둔 채 직접 平壤城으로 진군하고자 하였다. 노하진이나 회원진에서 출발하여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고구려로 진군하는 도중 갑작스럽게 별동대 임무를 부여 받은 12개 군은 鴨綠水 서쪽에서 만나 함께 평양성으로 진군하였다. 식량이 부족한 악조건 속에서 무리하게 평양성으로 진군하였던 수 별동대에 대해 고구려군은 압록강-평양 사이의 성 방어체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청야 전술, 후퇴유도 전술, 매복 전술 등을 구사하며 薩水에서 대파하였다. 그리고 평양성으로 진입한 수 水軍에 대해서도 매복 전술을 펴며 격파함으로써, 고구려는 결국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mainl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war between Goguryeo (高句麗) and Sui(隋) in 612 from the viewpoint of military history by examining the Liezhuan(列傳), a memorial inscription, and archaeological data that contain the traces of individual figures. After influencing the eastern part of Liaoxi(遼西) and creating an advantageous phase, Sui made its expedition to Goguryeo with the troop of 1,133,800 people, by winning an intermittent battle with Goguryeo in eastern Liaoxi, which was a contact zones with between Sui and Goguryeo, while making parious preparations for the Goguryeo expedition. The troops of Sui composed of 40 army troops and 1 navy troop arrived at the Liao River(遼河) in March after leaving Zhuojun(涿郡) in January through Linchuangguan(臨楡關), Luhezhen(瀘河鎭) or Huaiyuanzhen(懐遠鎭) to be supplied with military supplies. They faced strong resistance from the Goguryeo army and they could cross the river only in April. Since the Sui crossed the river in April, a siege broke out between Goguryeo and Sui. At that time, the command of Sui troops had to report the situation to their Emperor Yang of Sui(隋 煬帝), who stayed in Linhaidun(臨海頓) from March till June. The Sui troops had a hard time because of lack of promptness in reporting and instructions between the commanding division and the Emperor himself, failure of the Emperor to understand the exact situation of the war because he was informed through an Shouxiangshizhe(受降使者), and because of the excellent castle defense capabilities of Goguryeo utilizing excellent distant shooting armors such as crossbow. Accordingly, Emperor Yang of Sui tried to advance directly to Pyongyang Castle(平壤城), leaving the castles of Goguryeo that they could not defeat by organizing a detached force. The twelve army troops, that advanced to Goguryeo using different paths departing from Luhezhen or Huaiyuanzhen, suddenly received the assignment as a detached force tried to meet in the west of Amnoksu(鴨綠水) and advance to Pyongyang Castle together. However, as the soldiers who couldn"t handle the weight of the war supplies abandoned the food for military, the detached force suffered from food shortage. The detached force that tried to advance to Pyongyang Castle regardless of such difficulties, Goguryeo forces managed to defend against them in Salsu(薩水) commanding scorched earth policy, retreat induction tactics and ambush tactics while they were maintaining castle defense system between Amnok River(鴨綠江) and Pyongyang. Goguryeo troops could win the war by defeating Sui troops in Pyongyang Castle through ambush tactics.

      • KCI등재

        4세기 후반 高句麗의 南方 接境과 廣開土王의 對百濟戰 水軍 운용

        정동민(Jung, Dong-mi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8 No.-

        본고에서는 「광개토왕릉비」와 『삼국사기』를 검토하면서 고구려․백제의 접경 변화에 따라 광개토왕이 水軍을 동원․운용하여 백제를 공략하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4세기 후반 고구려와 백제는 멸악산맥을 중심으로 접경을 형성하였고 예성강 중하류 일대를 둘러싼 공방전을 펼쳤다. 그런데 백제가 멸악산맥과 마식령산맥을 따라 관방시설을 구축하면서 고구려는 백제 공략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392년 백제 공략에 나선 광개토왕은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려야 함을 절감하였는데,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리기 위한 전술로 전방으로는 육군을 동원하여 공격하되 한편으로는 해주만 연안에 수군을 신속․은밀하게 상륙시켜 후방을 기습 공격하는 수륙양면작전을 구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관방시설을 무너뜨린 후에는 해주만 일대에 수군 거점을 마련하면서 關彌城 전투에 수군을 투입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백제가 계속해서 영토 수복을 시도하자 광개토왕은 396년에 다시 대대적인 백제 공략에 나섰다. 기존에는 능비 永樂 6년조의 “王躬率□軍”에서 “□”를 “水”자로 판독하면서 ‘396년에 광개토왕이 직접 수군을 거느리고 백제 도성을 함락하였다’고 많이 이해하여 왔다. 하지만 능비의 원석 탁본을 보면 “水”자로 판독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다만 수군 지원 시 한강 도하가 용이하다는 점 그리고 392년 백제 공략 때의 수군 동원 사례를 감안하면 수군 편성은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광개토왕의 백제 공략 당시 수군은 백제의 관방시설을 무너뜨리고 관미성을 함락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육군의 한강 도하를 지원하고 경기만을 장악하여 서해 연안 일대를 점령함으로써 고구려군의 안정적인 백제 도성 진입과 남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수군의 활약 속에 광개토왕은 아신왕의 충성 맹세를 받고 58성과 700촌을 차지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I would try to reconstruct King Gwanggaeto’s naval operation, utilizing Monument of King Gwanggaeto and Samguksagi as primary sources. His naval operation aimed at attacking Baekje, after the changes of contact zones between both kingdoms. When King Gwanggaeto attempted to attack Baekje in A.D. 392, he was going to destroy Baekje’s defense installations built along the Myeorak Mountains and Masikryong Mountains, the contact zones between two nations at the time, and it is assumed that he carried out the amphibious operation mobilizing the army for combat in the front of the defense installations and quickly and sneakingly putting naval forces in the vicinity of Haeju Bay, making a surprise attack on the rear of the defense installations. And, it is also assumed that he carried out other naval operations like utilizing naval forces for the Gwanmi Castle Battle while setting up a naval base in Haeju Bay. King Gwanggaeto again attempted to attack Baekje in A.D. 396, and, in his existing Monument of King Gwanggaeto , ‘□’ was read as ‘水’ in ‘王躬率□軍’ of the 6th year of Youngrak, which has been widely understood that he personally led the naval forces and took the capital city of Baekje in A.D. 396. However, the above-mentioned orthodoxy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ad it as ‘水’ in the original rubbing of the Monument of King Gwanggaeto.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it becomes easier to cross the Han River with the naval forces deployed, and the fact that the naval forces were actually mobilized to attack Baekje in A.D. 392, it is believed that the naval forces were also mobilized along with the army. When King Gwanggaeto attacked Baekje in A.D. 392-396, the naval forces contributed to destroying Baekje’s defense installations in the contact zones of both nations and taking its Gwanmi Castle. In addition, the naval forces not only took control of Kyunggi Bay, but also took the coast of the area, which laid the groundwork for Goguryeo’s southward march in a stable way, allowing the Goguryeo army to enter Baekje’s capital city. King Gwanggaeto succeeded to have King Asin’s surrender, so that he could occupy 58 castles and 700 villages due to the naval forces’ great performances.

      •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법의 개선과 실질적인 화재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정동민(Dong Min Jung),이성일(Sung Ill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건설현장의 대부분은 효율적인 시공을 위해 지하 깊이가 깊어지고 지상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신축 및 재건축 건설현장에서 발생 할 수 있는 화재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며 화재예방 및 발생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건설현장은 화재가 발생 했을 때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초기대응이 미흡하여 소방차가 출동하여도 초기 및 신속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건설현장의 잇따른 화재사고로 인해 화재관련 법률 및 임시소방시설법의 화재안전기준을 개정하고 강화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건설현장의 화재로 인해 수많은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건설현장의 화재안전관리와 임시소방시설 설치 상태 및 실질적인 운용실태를 연구 하게 되었다. 연구방법은 건설현장을 규모별로 나누어 임시소방시설 설치 및 운용상태를 확인하고 건설현장에 종사하는 관리자 50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임시소방시설 설치 운용상태 및 실질적인 화재안전관리 등에 대해 조사한다. 결론적으로 화재안전 기준을 강화하고 임시소방시설법을 제정 및 개정하여 소화설비 설치 운용을 하여도 실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설현장의 관계자 및 근로자들이 초기 진화를 할 수 있어야 하며, 화재관련 비상 훈련, 교육, 홍보등을 강화하고 화기작업시에만 화재감시자를 의무배치가 아닌 화재감시단을 건설현장 규모에 따라 법적으로 선임하여야 하는 법 조항 등이 신설되어 건설현장에서의 더욱 실질적인 화재예방 관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KCI등재

        612년 고구려 원정 隋軍의 군단 편성과 兵種 구성

        정동민(Jung, Dong- Min)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2

        본고에서는 612년 煬帝의 1차 고구려 원정군으로 참전한 수나라 인물의 列傳이나 묘지명 등을 주목하면서, 수나라 원정군 전체의 군단 편성 및 병종 구성, 그리고 별동대의 군단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수나라 육군에 대해서 기존에는 煬帝의 조서 내용을 바탕으로 ‘24군 + 天子 6軍’ 등 모두 30개 군으로 편성되었다고 보았다. 하지만 30개 군 이외에 遂城道軍, 增地道軍, 險瀆道軍, 蓋牟道軍, 新城道軍, 盧龍道軍 등도 참전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수나라 육군은 30개 군이 아닌 40개 군으로 편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수나라 일반 육군 각군은 기병 4,000기·보병 8,000명·輜重戎車散兵 13,000명 등 총 25,000여명, 天子 6軍은 기병 5,000기·보병 10,000명·輜重戎車散兵 20,000명 등 총 35,000여명으로 구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水軍인 滄海道軍은 水手 10,000명·弩手 30,000명·排鑹手 30,000명 등 총 70,000명으로 편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煬帝는 공성전에서의 고전으로 인하여 별동대를 편성하게 된다. 별동대를 구성하고 있었던 각 군은 瀘河鎭이나 懷遠鎭에서 출발하여 각기 다른 경로로 고구려로 진군하는 도중에 별동대 임무를 부여받았고, 압록강 서쪽에서 같은 임무를 부여받은 군과 만나 함께 평양성으로 진군하려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별동대에 대해서 9개 군, 305,000명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肅愼道軍, 蹋頓道軍, 蓋牟道軍 등을 포함하여 12개 군으로 편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In this manuscript, expeditionary force organization of Sui Dynasty, army branch, and military strength of detached force was reviewed giving attention to fierce fight of Sui dynasty people who entered a war as primary Goguryo expeditionary force of Emperor Suiyangti in y612. Formerly, Based on the report of Emperor Suiyangti, army of Sui Dynasty was considered to be organized as 30 troops with 24 troops and Chun-ja 6 troops. Besides these 30 troops,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Susungdo troop, Jungjido troop, Humdokdo troop, Gaemodo troop, Sinsungdo troop, Noryongdo troop engaged in warfare. Then, it was highly assumed that army of Sui Dynasty was organized with 40 troops not 30 troops. It was estimated that General army of Sui Dynasty consists of 25,000 servicemen in total (4,000 cavalrymen, 8,000 infantrymen, 13,000 Chijungyunggusanbyung), Chun-ja in total 35,000 servicemen (5,000 cavalrymen, 10,000 infantrymen, 20,000 Chijungyunggusanbyung). There seemed to be a naval force, Changhaedo troop, consisted of 70,000 service men in total with Susu 10,000, Nosu 30,000 and Baechansu 30,000. Due to hard siege warfare, Emperor Suiyangti organized detached force. It was considered that each troop of detached force was given this new mission while they were marching to Goguryo departing separately from Nohajin or hoewonjin with different route, and tried to advance to Pyongyang castle after combining troops with same mission at west part of Aplok river. Though detached force was recorded that it consisted of 9 troops with 305,000 servicemen, including Sukshindo troop, Dapdon troop and Gaemodo troop, in total 12 troops seemed to be organized as this detached force in f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