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adix- 4,2 SIC FFT 프로세서 설계

        정기웅 ( Gi-woung Jung ),한창용 ( Chang-yong Han ),김규철 ( Kyu-cheo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제 4 세대 기술로 일컬어지는 변조 방식으로 최근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과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에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IEEE 802.11a 무선 LAN 및 디지털 가입자 라인 xDSL 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OFDM 모뎀 구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64-포인트 FFT(Fast Fourier Transform) 프로세서의 여러 가지 구조를 분석하고, 이들과 비교하여 성능 대 면적 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새로운 FFT 프로세서인 Radix-4,2 SIC (Single Instruction Computer) 구조를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SIC 구조는 버터플라이 연산의 재사용을 극대화하였으며 Radix-4,2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FFT 프로세서에서 면적의 80%를 차지하는 복소곱셈기의 수를 감소시켜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인 결과를 보여 준다.

      • KCI등재

        사료급여체계가 재래종 및 교잡종 흑염소의 영양소 이용율, 질소축적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정기웅(Gi Woung Jung),조익환(Ik Hwan Jo),황보순(Soon Hwangbo),이성훈(Sung Hoon Lee),송해범(Hai Bum S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8 No.4

        본 시험은 흑염소의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에 기여하기 위하여, 재래흑염소 10두(♂)와 교잡흑염소(재래흑염소×호주야생염소 교잡종; 50:50%) 10두(♂)를 공시하여, 시판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급여하는 관행사료와 TMR 사료를 각각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소화율, 질소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실험기간은 사료 적응기간 14일 예비기간 10일을 거친 후, 14일간의 본 실험 기간을 두어 총 38일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1일 두당 건물의 섭취량은 TMR을 급여한 교잡종이 가장 높았고 (p<0.05), 품종간에서는 재래종 보다 교잡종이, 사료급여체계간에는 관행구보다 TMR구가 높았다(p<0.05). 일당증체량은 재래종 관행구, 재래종 TMR구, 교잡종 관행구, 교잡종 TMR구의 순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p<0.05). 건물 소화율은 사료급여체계간에서는 TMR구가 관행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품종간에도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높았다(P<0.05). 질소축적량 및 질소축적율은 교잡종 TMR구가 가장 높았고, 재래종 관행구가 가장 낮았다(p<0.05). 혈중 glucose의 함량과 PUN (plasma urea nitrogen)은 교잡종이 재래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TMR형태의 사료급여가 재래종 보다는 교잡종에 흑염소의 생산성과 사료섭취량, 소화율, 질소축적율 및 혈액성장에 양호한 영향을 나타내어, 효율적인 사양관리체계의 확립과 함께 흑염소 생산농가에 경제적 이득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types of conventional or total mixed rations (TMR) provision o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metabolite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breeds of native and cross bred Korean black goats. Ten Korean native male goats and 10 Korean crossbred black male goats (Korean native×Australian feral crossbred, 50:50), average 18㎏ of BW, were used in this trial, and each breed of Korean black goats was separated into conventional and TMR diets treatments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Conventional diet was based on forages and commercial diet. All animals were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and were fed ad libitum. Water was available at all times. Experimental period totally lasted for 38 days, consisting of 14 days of adaptation, 10 days of preliminary period and 14 days of sample collection period. Daily dry matter intak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MR treatments of the crossbred goats. Within breeds, crossbred rather than native-bred consumed more highly, and within the feeding type, TMR diets were more fe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diet. Average daily gain ranked the highest in crossbred : TMR, followed by crossbred : conventional diet, native-bred : TMR, and native-bred : conventional diet (p<0.05).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 TMR than for conventional diets, and it was higher in crossbred than in native-bred Korea black goats. Nitrogen retention was highest in TMR treatments of crossbreed, whereas it was lowest in conventional diet of native breed (p<0.05). Plasma glucose and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rossbred than in native-bred Korean black goats.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eding total mixed ration to crossbred rather than native-bred Korean black goats had more favourable influences on their performances, intakes, digesti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metabolite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it is conceived that the results may contribute to economical benefit to farms producing Korean black goats together with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feeding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정기웅(Gi Woung Jung),조익환(Ik Hwan Jo),황보순(Soon Hwangbo),이성훈(Sung Hoon Lee) 韓國草地學會 2009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29 No.4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를 첨가한 TMR을 급여하였을 때,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일당 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동계사료작물의 사료가치 평가의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를 4 처리구(T1: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T2: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 T3: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T4: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 유기물 및 조단백질 섭취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및 ADF 가소화 섭취량 또한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p<0.05). 1일 증체량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 호밀 사일리지 첨가구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사일리지 첨가구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건물, 조단백질 및 섬유소 소화율은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질소섭취량과 질소축적율은 유채 사일리지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청보리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동계사료작물 중 유채 사일리지 첨가시 사료 섭취량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eed value of total mixed rations (TMR) containing different winter forage crop silages on feed intakes, daily gai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in Korean black goats. A total of 12 male goats were used in this study and each goat was housed in individual metabolism crates. The treatments were four diets, consisting of whole crop barley silage (T1), rape silage (T2), rye silage (T3), and Italian ryegrass silage (T4).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s a 4 × 4 Latin square arrangement in three replicates. Daily intakes for dietary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rude protein (CP) per head were highest in rape silage treatment, and lowest in whole barley silage (p<0.05). Digestible intakes for CP and acid detergent fiber were highest in rape silage treatment. The daily gain of rape, rye, and Italian ryegrass silag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whole crop barley silage. Digestibility of DM. CP, fiber were highest in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lowest in rape silage (p<0.05). Nitrogen (N) intake and N re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est in rape silage and lowest in whole crop barley silage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different winter forage crop silages, rape silage incorporation into TMR had the best performances indicating increases of feed intakes and N retention in Korean black goats.

      • KCI등재

        경북지역에서 파종시기가 춘파 귀리의 생육특성과 사료작물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박정현,최광원,정기웅,조익환,Park, Joung-Hyun,Choi, Gwang-Won,Jung, Gi-Woung,Jo, Ik-Hwan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6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6 No.4

        경북 지역에서 수요가 높은 사료작물 중 춘파 귀리(Avena sativa L., cv. High Speed)의 안정적인 종자생산을 위하여 2015년과 2016년 2년간 파종 시기별(2월 말일, 3월 10일, 20일)로 파종(130 kg/ha) 하였을 때 귀리의 생육 특성, 종자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였다. 출수기, 개화기 및 성숙기는, 매년 2월 말일 파종구와 3월 10일 파종구가 1~2일 차이로 거의 비슷하였다. 2월 말일 파종의 경우, 귀리의 초장이 타 파종구 대비 유의적으로 길었고 (p<0.05) 수장(穗長)은 2016년 최대 1cm 유의적으로 길었으며 단위 면적($m^2$)당 수수(穗數)도 2015년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다($416.7ea/m^2$). 이상, 파종 시기별 춘파 귀리는 2월 말 파종이 초장, 간장, 수장 및 단위 면적($m^2$)당 수수 등에서 비교적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1수립수(穗粒數)는,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56.3 및 63.3개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1수립중(穗粒重)도, 2월 말일 파종구가 2016년 및 두 해 평균 각각 1.72 및 2.00 g/spike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종실 수량의 경우, 2월 말일 파종구에서 3월 10, 20일 파종구 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두 해 평균 가장 높은 종자 생산성(6,243 kg/ha)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ADF, NDF 및 TDN 함량에서 파종기와 무관하게 귀리의 사료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경북 경주지역에서 춘파 귀리의 적절한 파종 시기는, 종자 생산성 면에서 2월 말일이 효과적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iciently produce forage crop seed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cultivar High Speed) in Gyeongbuk area. Forage crop oats (130 kg/ha) were sown with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y were sown in triplicates in 2015 and 2016 using basal fertilizer of 70 kg N, 74 kg P, and 39 kg K/ha. Agronomic traits and seed production of oa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s (February 28/29th, March 10th, and March 20th). Head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of these oats sown on February 28/29th and March 10th were almost close to each other with 1-2 days of difference for all test plots. For oats sown on the last day (28/29) of Feb., plant heights (111.6-122.6 cm)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sown in March each year. In addition, panicle number ($416.7per\;m^2$) and panicle length (17.3 cm)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sown in March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sow these oats on the last day of February to have better agronomic traits in terms of plant height, stem length, panicle length, and panicle number $per\;m^2$. Grain numbers (56.3 and 63.3) and kernel weights (1.72 and 2.00 g) per spike in plots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in other plots in 2016 and in the average of 2015~2016, respectively. The highest grain yield (6,243 kg/ha) was obtained when oats were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Feed value of harvested oats was good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cluding fiber contents and TDN contents. In conclusion, sowing on the last day of Februar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s in Gyeongbuk area of Korea.

      • KCI등재

        동계사료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 Silage 급여가 흑염소의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황보순(Soon Hwangbo),조익환(Ik Hwan Jo),정기웅(Gi Woung Jung),김원호(Won Ho Kim),임영철(Young Cheol Lim),김종덕(Jong Duk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동계사료 작물과 혼파한 총체보리사일리지를 흑염소에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일당증체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흑염소에 대한 혼파 총체보리의 사료가치 평가 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흑염소 12두 (♂)를 4처리구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 (T1), 헤어리베치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2), 사료용 완두 (forage pea)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T3)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사일리지 첨가구 (T4)}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개체별 대사케이지에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일 두당 건물과 유기물 섭취량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 및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조단백질 섭취량도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p<0.05). ADF와 NDF 섭취량은 IRG > HV > 총체보리 단파 >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일당증 체량은 IRG와 HV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총체보리 단파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건물과 유기물 소화율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와 총체보리 단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조단백질 소화율은 총체보리 단파사일리지 첨가구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p<0.05). 질소섭취량은 HV와 IRG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가 사료용 완두 혼파 사일리지 첨가구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총체보리와 헤어리베치 혹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혼파 사일리지 첨가가 사료섭취량,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 증가로 인해 흑염소의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nutritive value of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eeding mixed-sowing winter forage crop and whole crop barley in KBG (Korean black goat) on feed intake,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The 12 male KBG were 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groups - i.e. T1: barley silage added group, T2: mixed-sowing hairy vetch silage added group, T3: mixed-sowing field peas added silage, T4: mixed-sowing Italian rye grass added silage group. Three KBG per each treatment were allotted into individual metabolic cages by Latin-square desig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The DMI (dry matter intake) and organic matter intake in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and crude protein intake in T4 also recorded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The highest values in intakes of ADF and NDF were observed in T4 followed by T2, T1 and T3 in order. The average daily body weight gains in T4 and T2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The dry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in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1 and T3. The crude protein digestibility in T1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ose in T2 and T4. The nitrogen intakes in T2 and T4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in T3.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eeds supplemented with whole crop barley with hairy vetch and Italian rye grass mixture silage increased KBG productivity resulted from increases in feed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itrogen re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