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완전계열의 변화 방향 고찰

        정경재(Chung, kyeong-jae) 형태론 2008 형태론 Vol.10 No.1

        불완전계열(defective paradigm)은 의미적이거나 통사적인 이유 없이 조사나 어미와의 결합에 제약이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어휘를 공시적으로 기술하는 데 그쳤으며 몇몇 어휘에 대해서만 통시적인 변화의 결과로 설명하였다. 본고에서는 현대국어에서 불완전계열에 속하는 어휘들을 대상으로하여 통시적인 변화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완전계열의 어휘가 불완전계열로 변화하는 과정보다는 불완전계열에서 시작하는 단어의 존재 여부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이를 살피기 위해 국어사 문헌 자료와 외래어 정보 등을 참고하였다. 논의를 통해 불완전계열의 변화 방향은 일방향이 아니며 어휘 부류에 따라 변화 방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해당 단어가 불완전계열이 되는 원인이 서로 다른데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It is characteristic that defective paradigms have restriction on inflection and derivation without semantic or syntactic reasons. In former studies, these words have described just synchronically and only some words have explained diachronically. This paper examines the direction of diachronic change of defective paradigm words in modern Korean. Especially, I focused on whether words starting from defective paradigms exist rather than how words change from full paradigms to defective paradigms. I have investigated informations of loanwords and Korean textual materials between 15c and 19c.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the changing-direction of defective paradigms is not single but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words. These phenomena result from the fact that each type has a different reason why it becomes defective paradigms.

      • KCI등재

        분류사 자루가 수량화하는 범주의 변화

        정경재 ( Kyeong Jae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41 No.-

        This paper is aiming to clarify how objects demonstrated by jaru, an independent noun and the categories of quantification of jaru, a classifier are changed. Jaru prototypically means ``a hilt of a tool or a weap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words which have figurative similarities such as ``appendage which is elongated`` rather than the words with functional similarities like ``a hilt of an object``, a longish part attached to a leaf or a pileus can also be called jaru. On the other hand, the classifier jaru can prototypically quantify ``a tool or a weapon with a hilt.`` Even though an exact meaning of jaru signifies only a limited part of an object instead of a whole, human has repeatedly interacted with a hilt of an object and it helps the classifier jaru quantify a whole object. Therefore, the categories that could be quantified by the classifier jaru have been extended while ``functional features`` of jaru, an object handled by hands, are emphasized. Therefore, ``a pipe, a rod, or a cone``, an object without a hilt but handled by hands, can be quantified with the classifier jaru.

      • KCI등재

        『교주가곡집(校註歌曲集)』을 통해 살핀 전간공작(前間恭作)의 한국어사관의 일단면 ―전간공작(前間恭作) 인식 속의 ‘근대(近代)/근고(近古)’ 한국어―

        정경재 ( Chung Kyeong-jae ),스기야마유타카 ( Sugiyama Yutaka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3

        前間恭作(1868~1942. Maema Kyôsaku)의 『校註歌曲集』(1931)은 그 편찬의 구상 단계부터 한국어사 연구를 위한 의도가 작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저술은 오늘날까지 거의 문학사 연구 분야에서만 주목을 받아 왔을 뿐, 한국어사 연구의 관점에서는 검증, 평가를 받은 바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校註歌曲集』이 한국어사 연구사에서 지니는 의의를 재조명하기 위한 시론이다. 『校註歌曲集』에 실린 가곡 사설들을 살펴보면 그 언어가 표기, 음운, 형태 등 여러 차원에 걸쳐 꽤 일관된 원칙에 따라 통일성을 갖추도록 인위적으로 정리된 흔적을 알아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언어사실들 중 특징적인 몇가지를, 『韓語通』, 『⿓歌故語箋』을 중심으로 한 마에마의 여타 저술들과 비교함으로써, 『校註歌曲集』에 반영된 마에마의 한국어사관을 살피고 이 자료가 그의 한국어사 연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의를 부각시키려 하였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는 『校註歌曲集』 前·後集 도합 17권 중 前集과 後集 각각의 ‘流傳編’ 제1권만을 검토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하여 얻어진 가설은 다음과 같다. 『校註歌曲集』의 한국어는, 마에마 스스로가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20세기 전반에서 본) ‘200~300년 전’의 언어를 지향하여 정리된 것이다. 이는 『韓語通』에서 말하는 ‘近古’, 『⿓歌故語箋』에서 말하는 ‘近代’의 언어에 해당한다. 마에마의 기술 내용을 통해 그가 말하는 ‘近古/近代’란 대략 17세기 말부터 19세기 중엽쯤을 가리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마에마는 그가 살았던 동시대의 언어에 대해 『韓語通』, 오늘날 학계에서 흔히 칭하는 ‘중세어’에 대해 『⿓歌故語箋』이라는 논저가 있다. 한편 그 중간에 놓인 시기의 언어에 대해서는 이를 전문적으로 다룬 저술을 남긴 바가 없다. 『校註歌曲集』은 마에마가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전형적인 ‘근고/근대’어의 모습을 가곡의 자료집이라는 모습으로 구현해 내려 한 성과물이었다. 이것이 본고의 추론이다. 『校註歌曲集』은 비록 『韓語通』이나 『⿓歌故語箋』과 달리 문법서나 고문헌에 대한 문법 주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지 않으나, 그 편찬 태도에는 마에마가 ‘근고/근대’어를 바라보는 관점이 여실히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더 치밀하고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그의 한국어사 연구의 일단면이 더욱 빛을 볼 수 있기를 기대한다. Even from its planning stage, Maema Kyôsaku’s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1931) was intended as research material for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Despite this fact, this book has only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for literary history up to this day and never has been verified or considered as research material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gagok text in the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shows that the language was intentionally arranged to be consistent, following a fairly coherent principle across various dimensions, such as its notation, phonology, and form. This paper compared some of such characteristic linguistic facts with other publications of Maema Kyôsaku, such as Haneotong/Kangotû and Yonggagoeojeon/Ryûkakogosen, to highlight Maema’s position and significance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each of the first volumes, which concern the “works of unknown authors”, out of the 17 volumes that comprise the first and second editions of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As Maema disclosed in the book,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intended to describe the Korean language from 200 to 300 years before (as seen from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This is the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age’, as detailed in Haneotong/Kangotû, and ‘the early modern period’ as specified in Yonggagoeojeon/Ryûkakogosen. Maema’s description indicates that his definition of ‘the early modern age or period’ ranged from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Maema wrote Haneotong to focus on the contemporary language and Yonggagoeojeon/Ryûkakogosen to write about what today’s scholars call the ‘middle Korean language’. However, Maema did not leave any professional publications on the language between the two periods. This study posited that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was Maema’s attempt to realize the typical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age or period’ in the form of a sourcebook. While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may not take the form of a grammar book or a grammatical commentary as Haneotong/Kangotû and Yonggagoeojeon/Ryûkakogosen, Maema’s attitude of compiling the works for Gyoju Gagokjip/Kôtyû Kakyokusyû fully reflected his views on the language of the ‘early modern age or period’. Aspects of Maema’s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may be further revealed through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분류사 ‘점(點)’이 수량화하는 범주의 통시적 변화

        정경재 ( Chung Kyeong-jae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6 No.-

        본고는 한자어 분류사 ‘점(點)’을 통시적으로 살펴, 그것이 수량화할 수 있는 대상의 변화와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어에서 ‘點’은 분류사로 쓰인 초기에 ‘작은 얼룩이나 흔적’, ‘액체의 방울’ 등을 수량화할 수 있었다. 후에 은유에 의한 확장으로 ‘전체 배경의 아주 작은 일부’로 인지되는 ‘구름, 별, 눈송이’ 등도 셀 수 있게 되었다. 중세 한국어에서(15~16C) ‘점(點)’은 이러한 중국어의 용법을 차용한 데에 그쳤다. 그러나 근대 한국어에서(17~19C) ‘점(點)’은 중국어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독자적인 용법을 형성하여 ‘생강 조각, 고기 조각’ 등을 수량화할 수 있게 되었다. 현대 국어에서는(20C~) 일본어의 영향으로 ‘예술품’ 등을 수량화하는 용법도 지니게 되었다. 한자어 분류사 ‘점(點)’의 수량화 범주가 확장되는 과정에는 범주화에 관여하는 일반적 인지 기제뿐 아니라 한자 문화권에 속하는 한·중·일 삼국 간의 상호 영향 관계가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changes of subjects that "jeom(點)" can quantify and factors of the changes by studying "jeom" diachronically. When "jeom" was used as a classifier in Chinese in early days, it could quantify small spots, traces or drops of liquid. As its use was expanded metaphorically, it could quantify tiny parts of the a whole such as clouds, stars and flakes of snow. In Korean of medieval times(15-16C), "jeom" was used following the usage of it in Chinese. However, in Korean of modern times(17-19C), "jeom" could quantify pieces of ginger and meat, which can not be found in the usage of "jeom" of Chinese. In present Korean(20C-), "jeom" can quantify art works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expanding categories that "jeom" can quantify, we can find out not only its ordinary mechanism, but also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belong to the same cultural area of the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 KCI등재

        국어사전에서 ‘-어/-아’ 계열 어미의 결합 정보 기술에 대하여

        김양진(Kim Ryang jin),정경재(Chung Kyeong jae) 한국사전학회 2008 한국사전학 Vol.- No.1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flections according to conditions of stems and syntagmatic environments of endings beginning with '-ǝ/-α'. This papre would propose an alternative method which reflects these aspects on Korean unabridged dictionary. This paper examined the final vowel of stems and specifically presented syntagmatic environments of '-ǝ' and'-α'. We also totally adjusted inflections of endings beginning with'-ǝ/-α' according to patterns of the last syllable of stems. In many of former unabridged dictionaries, explanation about syntagmatic environments of ending beginning with '-ǝ/-α' is provided as 'the method of complementary classification'. And various inflectional aspects of endings are given in appendix. To offer more obvious and accurate informations on endings beginning with'-ǝ/-α', employing 'the method that describes syntagmatic environments' is better than employing 'the method of complementary classification', for there are difficulties in setting up a single and absolute criterion on choosing between '-ǝ' and '-α'. We also suggest it is more efficient way that various inflections of endings are provided in additional informations of an entry, not in appendix.

      • KCI등재후보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와 그 가치

        박부자(Pakh, Bu-ja),정경재(Chung, Kyeong-jae)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6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는 가장 많은 양의 다라니 필사본이 남아 있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를 재구해 낼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다라니에서 같은 다라니를 필사한 지편을 모두 모아 서로 비교하여 글자가 누락되거나 추가된 경우, 다른 글자로 잘못 쓴 경우 등의 필사 오류를 변별해 낸 후,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온전히 재구해보았다.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 재구를 통해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되었던 무구정광다라니의 온전한 형태가 재구된 셈이다. 재구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을 현전하는 다른 무구정광다라니와 비교한 결과,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저본이 석가탑 『무구정경』과 같은 계통이기는 하지만 동일본은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초기 사경과 대장경 계통의 차이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석가탑 『무구정경』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데에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이와 같은 본고의 논의를 바탕으로 화엄사 다라니의 필사 과정이나 통일신라시대 무구정경 관련 유물 간 시대의 선후 관계 등에 대해 학계에서 더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Mugujeonggwang Dharani excavated from the West Stone Pagoda at Hwaeom-sa Temple is the only material which can reconstruct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s the Dharani has the largest amount of transcriptions left. This paper, thus collected all transcription of the same Dharani from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compared them to distinguish transcription errors, such as missing, added or replaced letters, and aimed on reconstructing the entire transcribed manuscript of the Dharani found at Hwaeom-sa Temple. This reconstruction of the transcription of the Dharani of Hwaeom-sa, in effect, is a reconsruction of the intact form of the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A comparison of the reconstructed Dharani of Hwaeom-sa Temple and other existing Mugujeonggwang Dharanis showed that while the original manuscript of the Dharani of Hwaeom-sa Temple may share its stems with the Mugujeonggyeong found in Seokgatab, it is not identical to it. Moreover, the reconstructed transcription served as an important evidence for reconstructing the damaged parts of the Mugujeonggyeong of Seokgatab.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opefully become a basis for more in-depth academic discussions on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the Dharani of Hwaeom-sa or the historical order between the artifacts related to the Mugujeonggyeong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 KCI등재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의 "안" 부정법

        정연주 ( Yeon Ju Jeong ),정경재 ( Kyeong Jae Chung ),홍종선 ( Jong Seon Hong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5

        이 논문은 20세기 전기의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당시의 ‘안’ 계열 부정문이 보이는 형태적·분포적·기능적 특성을 살핀 것이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구형인 ‘아니’형이 동시기의 문어 자료에 비해 뚜렷하게 적은 비율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 또 ‘아니’형이 단형 부정보다 장형 부정에서 덜 쓰이고 있으며 장형 부정문에서 ‘아니’형이 쓰인 예 중 의문 어미가 이어지는 경우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 또장형 부정의 ‘아니’는 동사보다 형용사에서 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분포적 특성으로는 동사에 비해 형용사에서 단형 부정이 극도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 또 부정부사의 어근 분리 현상이 동시기 문어 자료에 비해 아주 드물게 보인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부정적 전제 확인 기능이 장형 부정 형식으로 실현된 비율이 오늘날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This thesis analyze the morphological, distribut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n`` type negative sentences in the first part of the twentieth century, based on the spoken language data. The data shows that morphologically, the old form ``ani`` was noticeably less frequently realized, compared its usage in the written language data of the era. Moreover, ``ani`` is less frequently used in the long-form negation than in the short-form negation. When ``ani`` is used in sentences with the long-form negation, it is not followed by interrogative endings and ``ani`` in sentences with the long-form negation are less frequently used in adjectival verbs than in action verbs. In terms of distribu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short-form negations are rarely used in adjectival verbs in comparison to action verbs and that root-separation of the negative adverb is seldom found in spoken language, when compared to written data. This study further shows that the confirmative function of the negative presupposition is realized more frequently through the long-form nega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