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만 4세반 교사의 학급규칙 적용전략에 나타난 사회화 과정 고찰

        정가윤(Kayoun Chu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2 No.-

        본 논문은 미국의 한 대학 병설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훈육을 통한 유아의 사회화 과정을 문화 기술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훈육은 유아사회교육의 일환으로 처음 단체 생활을 시작하는 유아가 공동체 생활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기술과 태도를 익혀가는 과정이다. 특히 학급의 규칙을 적용하는 과정은 사회적 가치와 신념이 직접적으로 상호작용 되어 사회화 과정을 잘 드러낸다. 연구결과 유아는 규칙들을 직접 실행하며 이들을 일상생활에서 당연한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따르는 내면화 과정을 거쳤다. 유아는 미세한 환경적 차이에 따라 규칙의 언어적 의미가 다를 수 있음을 배우게 되었고 때로는 명시적인 의미 외에 다른 의도가 언어적 상호작용에 내포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 나갔다. 유아들은 규칙의 명시적인 수준의 이해를 넘어서 규칙의 암묵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면서 소속 기관의 가치와 신념을 사회화하여 갔다. 교사는 질문하기, 상황을 다시 이야기하기 또는 정의하기, 직접적으로 제시하기, 유아와의 결정 이용하기, 의견 조정하기 등 규칙을 적용하는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교사의 규칙과 규칙 적용 전략들은 일관성 있게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유아의 독립성과 자기조절, 자기표현을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는 교사의 규칙 적용 전략에 내포되어 있었다. 즉, 교사의 훈육 과정은 지역의 사회와 문화적 가치와 신념을 전달, 상호작용하는 사회화의 과정이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ization process through classroom discipline in a 4-year-old classroom. The ethnographic study in a university affiliated child development lab in the U.S. reveals that children learn how to live appropriately in this institution by understanding and following the classroom rules. Through various strategies of the teacher like asking questions, restating the situation, defining, directly telling, using agreements, revoking and negotiating, children recognize the rules and internalize them in their daily lives. There was a loosely defined pattern of strategies to solve the teacher-child conflict. Through these classroom rules and various strategies, children are socialized to cultural beliefs and values of this community. Even though the classroom rules and strategies are different in explicit level, they implies similar cultural beliefs and values. The rules and strategies emphasize the belief that a child is also an independent individual who is responsible for their behavior and have an initiative to change his/her own behavior voluntarily. They are also based on the pragmatic belief that children’s behavior is evaluated according to something observable such as their verbal responses and concrete actions rather than their motivation or intention. The study stresses that classroom discipline is not only a teaching strategy but also a socialization process. The study suggests comparative study between U.S. and Korea about classroom discipline from socialization perspective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에 대한 고찰

        정가윤(Chung, Ka-youn),이영미(Lee, Young-mi),신정아(Shin, Jeong-ah)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을 중심으로 개발된 도구인 WIDA (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를 사용해 만 5세 유아의 영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전 영역에 걸친 종 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일과시간에 서로 다른 영어교육 프로그 램을 제공하고 있는 유치원 세 곳에 재원하는 만 5세 유아 91명이다. 1학기 후반에 검사한 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는 6단계 중 1단계에 속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만 5세 유아는 친숙한 물 건의 이름을 영어로 알고 간단한 영어 단어를 따라 말할 수 있는 수준의 영어능력을 보였다. 둘째, 유 아의 영역별로 영어 능력의 차이가 있어 영어 읽기?쓰기 능력인 문어 능력이 듣기?말하기 능력인 구 어 능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만 5세 유아의 종합적인 영어 능력 수준 및 영역별 영 어 능력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보여주면서, 앞으로의 유아 영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Korean 5-year-olds' overall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level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kill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91 children who received English lessons on a regular basis attending three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The children’s ability to speak, listen, read, and write in English was measured using World-class Instructional Design and Assessment (WIDA), which aims to assess English proficiency in children whose mother tongue is not English based on their developmental stag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hildren's overall English proficiency was Level 1, in which children are aware of the name of familiar objects in English and they can repeat words or simple phras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ir literacy proficiency (reading and writing ability) was one-level higher than their oral proficiency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low and unbalanced 5-year-olds' English proficiency, yielding insights on English programs in kindergarte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프로그램 적용 효과

        이진실(Lee Jin Sil),정가윤(Chung K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국악 음악성과 국악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K직장어린이집 만 5세반(실험집단 15명, 비교집단 15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4년 06월 23일부터 2014년 08월 28일까지 총 10주간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은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 유아국악교육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비모수검정의 맨 휘트니 검증을 통하여 동질성 검사를 하였고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척도항목에 대한 사전과 사후 차이점수에 대해 비모수검정의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던 실험집단의 경우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국악음악성 하위 항목인 이해영역, 표현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국악선호도 하위 항목인 궁정음악, 민속음악, 창작음악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작국악을 도입한 유아국악교육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국악 음악성과 국악 선호도를 향상시켰다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써 프로그램 효과를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programs on children s Korean Traditional Musicality and Korean music prefer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which introduced Creative Korean tradi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The comparative group conducted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 - and post - test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analyzed through the Korean musical performance scale. As a resul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area and expression area. Second, the results of pre - and post - test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rough the Korean music preference scal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rt music, folk music, and original music, which are sub items of Korean music preference. This study proved the program effectiveness of preference and musicality by introducing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program to the children of 5 - year - old children.

      • KCI등재

        만 4세반 미술놀이에서 유아의 배움에 관한 현상학적 의미 탐색

        김수연(Kim, Suyoun),정가윤(Chung, Kayo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미술놀이에서 유아의 배움에 대한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그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만 4세반 유아 20명과 누리보조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전사본 및 현장노트, 문서, 사진 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존체인 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몸을 통해 배우는 능동적인 존재로서 친구와 교사와 더불어 직면한 상황을 해결하고 수용하며 배워갔다. 이 과정에서 유아는 예술적 배움의 기호를 만나 역동적으로 전환하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였고, 가상적, 실제적 맥락에서 내러티브를 구성하며 새롭게 해석한 것을 시각화하며 배움을 이뤄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미술놀이에서 유아의 배움을 드러내어 유아를 바라보는 관점과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의 방향성을 제공한다. 미술놀이에서 교사는 유아가 몸을 통해 배워간다는 지평을 확장하고 유아가 역동적으로 실험하는 미술놀이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는 내러티브의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을 하고 유아의 개별성을 유념하며 기록 작업을 실시해야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children"s learning in art play and to explore the substantial meanings of the experiences. Based on van Manen’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earcher, who was also the classroom teacher, observed and interviewed 20 children and a sub-teacher in the class of 4-year-olds. Transcripts, fieldnotes, documents, and pictu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existential system-body, time, spac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actively learned through their body with their friends and teachers as they accepted and solved the problems in current situations. Throughout the process, the children generated new ideas as they met the artistic learning signs and participated in learning as they visualized new interpretations from the construction of narratives in both virtual and actual contex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children’s learning in art play as well as the perspectives toward young children and teachers’ rol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of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at children learn through their bodies and need to activate art play in which children make experiments dynamicall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interact with children based on the contexts of narratives and document children’s individual learning.

      • KCI등재

        장애 영유아 부모의 지역사회자원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 북부를 중심으로

        유정현 ( Jung Hyun Yu ),정가윤 ( Kayoun Chung ),서민경 ( Minkung Suh ) 대한가정학회 2019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7 No.2

        This study the presents survey results of a families liv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northern Seoul (Nowon-gu and Dobong-gu) that provides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usage and needs of community resourc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the families in the inclusive and segregated care as well as education centers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system. A total of 109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62 (57%) were returned. 44 families in the 14 inclusive care and education centers as well as 18 families in the 2 segregated care and education cen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report on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that include compulsory education, family support, medical treatment, counseling services, commuting support, ways to gain necessary information, current use, and further needs for community resources for their children.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families in two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s needed differentiated community services. Parents who use a segregated child care center demanded physical accessibility and increased numbers of highly qualified teachers; however, parents who use the inclusive child care center require the unified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mmunity resources. Survey findings are discussed related t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mplications for shar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through child care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비교

        박다솜(Park, Dasom),정가윤(Chung, Kayou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유아교사 286명과 중국 유아교사 234명 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Window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χ²검증과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관련하여 교실 내 비치된 그림책의 양과 교체 시기, 읽기 집단 구성, 자주 읽어주는 장르, 확장 활동에서 한국과 중국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하여 한국과 중국 교사들은 그림책 읽기를 모두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림책 읽기의 목적, 개별적 및 대․소집단 읽기 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대해서는 국가 변인 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 읽기 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총점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중국 교사가 한국 교사에 비해 풍부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현황과 이를 둘러싼 교사의 인식 및 상호작용의 세 요소를 통합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and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preschool teachers’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their perceptions on picture-book reading, and interactions for picture-books read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in preschools. Chinese teachers had larger amount of picture-books in their classroom than Korean teachers, but Korean teachers changed their books more frequently than Chinese teachers. Reading picture-books for a large group or small group is relatively common in Korea, but that for an individual is relatively common in China. Second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percep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Bot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considered picture-book reading as important. Many of Korea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However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ir linguistic abilities. As barriers to reading activity with picture-book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Korean teachers said that it was hard to have various types of picture-books in the classroom’s and they didn’t have enough time to read picture-books to their student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how to interact with children when they were reading.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interac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in China were more abundantly interacting with children in terms of both the total score of interaction and four kinds of sub-types than the teachers in Korea.

      • KCI등재

        유아들의 물질성 탐구를 통한 놀이의 의미 : 신문지 놀이를 중심으로

        문서연(Seoyeon Moon),정가윤(Kayoun Chung),김진욱(Jinwook Kim),강성은(Seongeun Kang),정동재(Dongjae Cheong),안세은(Seeun Ah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물질적 전환의 관점에서 만 5세 유아들이 신문지라는 물질과 만나 물질성을 탐색하며 몰입하는 놀이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해봄으로써 유아의 놀이를 바라보는 스펙트럼을 넓히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자료수집은 코로나19 확산 시기에 만 5세 반에서 2020년 6월 1일부터 9월 29일까지 4개월, 총 77일 동안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하는 것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사진 및 동영상, 현장노트, 연구일기, 배움공동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를 다각적으로 수집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유아들은 신문지와 자유롭게 마주쳐 다양한 물질성을 발현하며 놀이하며, 1차적으로 신문지 놀이 과정을 신문지 자체 놀이, 신문지 재현 놀이, 신문지 크게 놀이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신문지 놀이 과정에서 물질성이 가장 잘 발현되는 순간을 중심으로 ‘몸으로 물질을 느껴요-특개성’, ‘물질의 힘을 따라가요-확장성’, ‘물질과 하나되어 시공간을 창조해요-창조성’의 의미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들이 물질성을 탐색하는 놀이 과정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주목하는 진정한 유아 주도 놀이임을 시사하며, 물질성을 탐색하는 놀이의 가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물질성에는 유아가 감각을 통한 경험으로 자신만의 의미를 만들어내는 물질의 본질을 파악하는 능동적인 배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유아들의 물질성 탐색을 통한 유아 주도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의 지원에 대해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and the spectrum of children play by examining the appearance of 5-year-old children in terms of material transformation of posthumanism, exploring materiality, and finding out the meaning of it. Methods To this end, data collection is four months from June. 1st. 2020 to September. 29th. 2020 at the age of five class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A total of 77 days of observation of children’s play was conduct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in various ways through photography and video, field notes, research diaries, and interactions in the learning community.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children freely play by interacting with newspapers and revealing various materialit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newspaper play was newspaper play, newspaper reproducing, and bigger newspaper play. Finally, there were meanings such as “specificity-feeling material with the body,” “extensibility-following the power of matter,” and “creativity-creating space and time in one with matter,” focusing on the moments when materiality is most expressed in newspaper pla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lay process in which childhood explore materiality is truly children-led play, which is no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found the value of play in exploring materiality. It also suggests that there is an active learning in materiality in which children understand the essence of material that creates their own meaning by experience through the senses. It is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 for teachers’ as play volunteers to support children-led play through the exploring for materiality of children.

      • KCI등재

        학습공동체를 통해 살펴본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습지도에 대한 실천적 지식

        이진실(Lee, Jinsil),정가윤(Chung, Ka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학습공동체에서 예비보육교사 지도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기간은 2019년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로 이 기간 중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이 6개월 동안(2019년 6월~11월) 12회의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며 예비보육교사 지도과정에 대한 자신들의 실천적 지식을 탐색하며 이를 구성원들과 함께 공유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학습공동체를 통해 인식하게 된 연구 참여자들의 실천적 지식을 보육실습 지도교사의 특성에 맞게 분석하였고, 그 결과 지도교사들이 학습공동체를 통해 예비보육교사 지도과정에 대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에 대해 인식하고 재구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보육실습 지도교사들의 개별전문성과 더불어 보육교사들의 집단전문성까지도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look over how childcare practice teachers could perceive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raining courses by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To figure out what practical knowledge childcare practice teaches has, 4 training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raining courses had participate in this research. This research had been conducted for about 1 year and 5 months, from January 2019 to May 2020, which included approximately 6-months running period of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checking field dailies, and collecting other documentational evidence. And the analysis of research results had been conducted in the order of transcription, data integration, area analysis, data classification &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n classified data. The result shown at this research is as below. Childcare practice teachers could acquire the practical knowledge about him or herself, understanding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nvironment, teaching contents, curriculum, and its methods. To conclude, the researcher could find out that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y could be the chance of discussing with members, checking their teaching procedures, developing it. This process could make childcare practice teachers perceive practical knowledge abou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nd the contents and methods which is reorganized by childcare practice teachers could be helpful to develop effective childcare practice teaching methods. Not only that, learning community provide the chance of conversation sharing and learning.

      • KCI등재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소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Kim Ji yoon),정가윤(Chung Ka 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직 무만족도, 소진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에 위치한 보육 교사 18명(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10명)이었으며, 실험집단 교사에 게 주 1회 면대면 교육과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지원을 병행하여 지원하는 1 단계 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하였으며, SNS기반 지지모임을 단독으로 활용하여 지 원하는 2단계 프로그램을 주당 1가지 주제로 6주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보육교사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은 직무만족도 향상 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보육교사 긍정 심리 증진 프로그램은 소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보육교사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램은 교사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NS기반 지지모임을 활용한 긍정심리 증진 프로그 램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향상과 소진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ositive psychology enhancement program for childcare teachers a SNS-based support group and execute the program to verify its 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18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in the Seoul area(8 in the test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For them, the 1st phase program lasted for 8 weeks, with 1 task for each week. On the other hand, the 2nd phase lasted for 6 weeks, which also had 1 task for each week. Issues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ositive psychology enhancement program using a SNS-based support group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positive psychology enhancement program using a SNS-based support group was effective in reducing burnout among the teachers. Thirdly, the positive psychology enhancement program using a SNS-based support group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teacher-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