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자전거 교통사고 다발지역 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형의 적용

        전희정(Jun, Hee-Jung),강서윤(Kang, Seoyoon),강승엽(Kang, Seung Yeop),조철호(Cho, Cheol-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22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1

        A rising importance of bicycle as the paradigm shift in transportation has led to the need for an action to ensure the bicycle users’ safety by preventing bicycle collisions. This study aims to predict bicycle collision hot spots in Korea using collected Google Street View(GSV) images of bicycle collision hot spots and non-hot spots. We’ve conducted experiments with five deep learning models(VGG16, 19, ResNet50, 101, and Inception), and employed the CAM analysis to visualiz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bicycle collisions. The VGG19 model is turned out to be the best model for predicting bicycle collision hot spots, and the CAM analysis shows that roads with larger scale, and with more vehicles and physical facilities(such as crosswalks, traffic lights, pillars) are related to bicycle collision hot spots. This study indicatess the effectiveness of using GSV images and deep learning model, and suggests more concrete and specific political implications for building safer environment for bicycle users.

      • KCI등재

        교차소득 주거입지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미국 오하이오주 프랜클린 카운티의 사례

        전희정 ( Hee Jung Jun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5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가구소득수준과 이사간 지역의 소득이 일치하지 않는, 교차소득 주거입지결정 요인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미국 중서부, 오하이오 주에 위치한 프랜클린 카운티로서 1999년 오하이오 주립대학에서 자가거주 가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입지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에 참여한 가구와 프랜클린 카운티 내의 근린지구의 소득수준을 저, 중, 고소득으로 나눈 후 각 가구계층별로 교차소득주거입지결정 요인에 관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중산층 가구가 상위계층 지역으로 이주하는 이유는 학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소득계층 지역으로 이주하는 이유는 투자목적 때문인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why families move to neighborhoods at different levels of income. By analyzing a survey dataset of homeowners who sold and bought a house in 1999 in Franklin County, Ohio, in USA on their mobility deci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ross-income residential location decisions. I categorized both survey respondents and neighborhoods into low-, middle-, and highincome levels and ran multinomial logit analyses for each of the low-, middle-, and high-income family groups to examine why families moved to neighborhoods at different levels of income. The analysis suggests that middle-income families moved to high-income neighborhoods because of school reputation and moved to low-income neighborhoods because of investment purposes.

      • 유치원 방과 후 과정에서 만 5세 유아가 느끼는 행복의 의미

        전희정(Jun Hee-Jung),이유미(Lee You-Me)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18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방과 후 과정에서 만 5세 유아가 느끼는 행복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용인 소재 C유치원의 방과 후 과정을 이용하는 만 5세 유아 51명(남아 31명, 여아 2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방과 후 과정에서 만 5세 유아가 느끼는 행복의 의미는 첫째, 친구들과 함께 먹는 맛있는 간식, 둘째, 더 많은 놀이, 셋째, 나를 사랑해주시는 선생님, 넷째, ‘하고 싶은’ 것을 해도 되는 편안함, 끝으로, 잘하는 ‘나’를 확인하는 순간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동량이 많은 만 5세 유아들에게 맛있는 간식과 친구와 더 많이 놀 수 있는 시간과 공간 마련, 교사들이 유아를 사랑하고 안전하게 지켜주고 유아의 선택권을 존중하도록 돕는 지속적인 교사 교육, 유아에게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맞벌이 가정이 증가하는 오늘날,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임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을 증진을 위한 교육 환경과 교사 역할에 대해 만 5세 유아들의 목소리를 통해 직접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happiness as felt by 5-year-olds in a kindergarten all-day class. For this purpos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on a sample group of 51 5-year-olds (31 boys and 21 girls) in 2 all-day clas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happiness to a 5-year-old in a kindergarten all-day class is represented by five elements. Firstly, snacks shared with friends, secondly, fun activities, third, a teacher who loves us, fourth, the freedom to do as one liked, and lastly, the experience and confirmation of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classroom reforms such as allotment of time and space for children to play amongst peers, education of teachers with a focus on love and respect for the children, and a kindergarten curriculum designed to foster self-esteem. This study is notable in that it includes direct consideration and involvement of 5-year-old children in an attempt to look at the subject from a child’s viewpoint. Through this, the study seeks to promote child happiness through the in-depth investigation into the role of educato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ir impact on child educa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통근요인이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설형과 매입형 공공임대주택 간 비교연구

        정수영(Jung, Suyoung),전희정(Jun, Hee-Jung) 한국도시행정학회 2020 도시 행정 학보 Vol.33 No.3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사회취약계층은 거주지에 대한 공간적 선택의 제약이 크다. 따라서 사회취약계층일수록 직주불일치가 주거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구임대주택으로 대표되는 건설형 공공임대주택과 다가구매입임대주택으로 대표되는 매입형 공공임대주택의 직주불일치를 통근시간, 통근비용, 통근거리 세 가지의 통근 요인을 통하여 두 집단 간 차이와 거주민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SH서울주택도시 공사에서 실시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2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설문지 항목을 이용하여 통근시간과 통근비용, GIS 거리분석을 통해 거주지와 근무지간 통근거리를 계산하여 세 가지 다른 종류의 통근요인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두 공급유형별 공공임대주택 간 통근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를 활용하고 통근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에 비해 다가구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통근거리가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통근시간, 다가구매입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통근거리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다가구매입임대주택 정책이 저소득층의 직주불일치 문제 완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공공임대주택 정책에 있어 공급유형별로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통근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disadvantaged are restricted in residential location choice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Therefore, job-housing mismatch is more likely to affect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job-housing mismatc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the permanent rental housing (a concentrated type of public housing) and purchased multi-family rental housing (a dispersed type of public housing).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mmuting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the two different public housing.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used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Panel Survey」 data from Seoul Housing and Communities Corporation and employed t-test an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commuting distance is lower for those living in purchased multi-family rental housing than those living in permanent rental housing. Second,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multi-family rental housing is affected by commuting distance while that in permanent rental housing is affected by commuting time. Th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purchased multi-family rental housing has an effect of improving job-housing balance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effect of commuting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 KCI우수등재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정신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 성향점수매칭 및 이중·삼중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

        한수정 ( Hee-jung Jun ),전희정 ( Soojeong Han ) 한국정책학회 2018 韓國政策學會報 Vol.27 No.4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거주에 따른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임대주택의 입주를 선택하는 개인은 시장에서 보다 더 나은 주거의 질, 주택비 절약, 주거안정성 향상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하며 입주를 선택한다. 그러나 공공임대주택의 거주는 사회취약계층의 밀집으로 인한 지역슬럼화, 사회적 배제, 심리적 차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공공임대주택 입주 초기에는 주거안정 등의 기대를 가지고 입주하지만, 거주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기대효과가 줄어들고 새로운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질문은 “거주기간에 따른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정신건강은 차이가 있는가?”이다. 본 연구질문에 답하기 위해 ‘한국복지패널’ 제 4차, 8차, 12차 자료를 활용하여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삼중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 단기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 거주집단에서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공공임대주택 거주로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기간 거주한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5세 이상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공공임대주택에 단기간 거주한 집단의 경우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장기간 거주한 집단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50세 미만의 비고령층의 경우, 공공임대주택 거주집단은 비거주집단에 비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났으며, 장기간 거주 시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임대주택 정책 및 거주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ile public housing meets the housing needs of low-income households, it also results in problems such as slumming, social exclusion, and stigmatization. These problems can lead to mental health change among public hosing residents over time. In this regard, we ask if there is a difference i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depending on residence period. We analyzed the 4<sup>th</sup>, 8<sup>th</sup>, and 12<sup>th</sup>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and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 Difference-in-difference, and Difference-in-difference -in-difference methods. The empirical results as follows: first, overall,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second, there is a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women and men, respectively,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both the women and men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third,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ho lived in a longer period while there is a negative effect on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ho lived in a shorter period; and fourth, mental health among the non-elderly who lived in public housing in a shorter period got worse and it was further aggravated after living in public housing in a longer period.

      • KCI등재

        매입임대주택 입주민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정수영 ( Jung Sue-young ),전희정 ( Jun Hee-jung ) 한국행정연구원 2019 韓國行政硏究 Vol.28 No.1

        한국의 공공임대주택은 저소득층의 주거소요를 충족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지만, 도심 외곽 내 대단지 형태로 건설되어 저소득층의 직주분리, 사회적 배제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왔다. 정부는 이러한 대단지 및 신규건설 위주의 공공임대주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심 내주택을 매입하여 저소득층에게 제공하는 매입임대주택제도를 도입하였다. 매입임대주택은 사회적 배제 등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한 지역에 집중하지 않고 분산되어 위치하여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매입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입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관리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한국주택관리연구원에서 2017년 서울시 매입임대주택 입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이며, 총 87부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매입임대주택 입주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민원에 대한 해결과 민원처리 관리, 주변인식, 주택시설, 주거비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임대주택정책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in Seoul. Given that how to effectively manage purchased housing that is dispersed throughout the city has been an issue and social exclusion can be less problematic among purchased rental housing residents, we focus on the effects of housing management and social relationship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For the empirical study, we used a dataset that surveyed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in Seoul and ran a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both housing management and social relationship are associated with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public housing residents living in purchased rental ho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