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언어교육 방법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전홍주,Hong-Ju J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신문매체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기 문해교육에 대한 기사 분석을 통해 우리 사회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문해교육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논의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965년에서 2012년까지 신문기사를 분석하여 어떠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문해교육 담론이 구성되어 왔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일간지에 나타난 유아 한글교육, 언어교육, 문자교육 관련 기사들에서 주제어를 도출한 후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주제어간의 관계 및 중심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유아기 문해교육을 구성하는 주제어 621개 중 핵심 주제어 66개가 도출되었으며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핵심어는 ‘초등학교’, ‘조기교육’ 등이 있었다. 핵심어들 간의 연결 양상은 시기별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기 문해교육은 초등학교 준비, 조기교육 차원의 담론으로 구성되어 왔으며 유아기, 유아의 삶, 유아교육에 대한 담론은 배제되어 왔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meanings projected to early literacy education in our society through the analysis of articles in newspapers dealing with early literacy education. Specifically, articles from 1965 to 2012 was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key themes that the discourse of early literacy center around. Articles were collected using key words including early literacy education, language education, and reading and writing. Utiliz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 words and their connections were analyzed. Among the 621 key words in early literacy education, 66 key words including ‘elementary school’ and ‘early education’ that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iscourse were derived. Features of connection among key words differ according to the periods. It was discussed that while early childhood literacy has been discussed around ‘prepar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early education’, what is missing in the discussion was the discourse of childhood, lives of childre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홍주(Jun Hong-Ju),배소영(Pae So-Yeong),곽금주(Kwak Keum-Joo) 한국가족학회 2008 가족과 문화 Vol.20 No.3

          본 연구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를 다각적으로 조망하고자 필리핀과 일본 출신 결혼이민자 어머니 16명과 보육시설장, 보육 교사, 한국어 방문교사, 언어 치료사 등의 지원체계 종사자들 5명과의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결혼이 민자 어머니들은 교육이 자녀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가정에서 자녀 교육을 위한 심리적인 지원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교육에 대한 실제적 지원으로 자녀들의 한국어 습득을 위해서 가정에서 한국어만 사용하고, 교육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지원을 하고 있었으나 숙제를 도와주고 준비물을 챙겨주는 등 직접적으로 자녀를 지원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혼이민자 어머니들은 자신들의 한국어 능력의 한계와 그로 인한 심리적 위축으로 인해 자녀들의 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을 하는데 있어서 스스로 본인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practices and meanings of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that take place at horne of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living in Korea from multiple perspectives. Main data source of this study was interviews with 16 mothers who immigrated to Korea from the Philippines and Japan for marriage and the director of a child care center, 2 caregivers, a korean language teacher for the mothers, and a speech-language pathologi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mmigrant mothers provided their children with emotional support, reflecting their expectations that education would enrich their children"s future. The mothers also support their children"s education practically by using Korean language at horne in order to help their children"s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by providing material environment for education. In terms of providing direct support such as helping children"s homework, however, the mothers feel difficulties. In sum, the immigrant mothers gradually reduced their roles in children"s education, due to the fundamental problem of the limit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the related emotional passivity.

      • KCI등재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직인성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전홍주(Jun, Hong-Ju),권현조(Kwon, Hyun-Jo),변길진(Byeon, Gil-J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0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교직인성이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직윤리의식, 교직인성, 교직전문성 인식은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두 변인에 비해 교직전문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직윤리의식, 교직인성, 교직전문성 인식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위요인 간 상관도 대체로 유의하였다. 셋째, 교직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인성의 하위요인인 소명의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보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육교사 관련 요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teaching ethics and personality on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this purpose, 279 child care teachers working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ollected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thics of teaching, teacher personality, and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ere all high, but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other two variable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thics of teaching, teacher personality, and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was generally significant. Third, the factor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sense of vocation, the subfactor of teaching personality. The study is meaningful that it analyzes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between factor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suggests directions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 care teacher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

        전홍주(Jun, Hong-Ju),박선혜(Park, Seon-Hye),박신영(Park, Seen-You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제공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356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림책 제공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첫째, 교실에 제공된 그림책 수는 20권 이하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기관유형, 교육경력, 교사학력, 전공분야, 담당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급에 있는 그림책을 교체해 주는 시기에 대해서는 생활주제가 바뀔 때 모두 교체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지역 규모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제공할 때 고려하는 사항은 생활주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담당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림책 제공에 대한 교사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교실에 그림책을 제공할 때 교사들은 사실그림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인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그림책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책읽기에 대한 흥미 증진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해 교육을 위한 환경의 편차를 줄이기 위한 기준 도입이 필요하다는 것과 문해 환경으로서의 그림책의 중요성 및 활용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icture book is one of the major educational materials as well as a literacy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chance for children to meet prints in their everyday live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quality environment for literacy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regarding picture book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including institution types, educational level, major,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children’s age currently teaching.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 the practices of providing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2. How do the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picture books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and are th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literacy environment and finalized after pilot studie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56 early childhood teachers across Korea.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eaching practices, first, most teachers answered that number of picture books provided in the classroom was less than 20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teaching experience, major, and children’s age. Second,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y changed books when the themes are chang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location. Third, teachers considered themes of the class a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provide picture book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Regarding percep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First, teachers prefer real stories when they provide picture book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eacher variables regarding the expectation through picture books and most teachers expect to strengthen children’s interests on book read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e need for the common standard of educational environment in order to close the gap according to the types of institution. In addition, it also indicates that teacher education regard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picture books.

      • KCI등재

        특성화고교졸업자 전형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상업계열 특성화고교 출신자의 대학입학 전·후의 경험을 중심으로

        전홍주 ( Jun Hong-ju ),권현조 ( Kwon Hyun Jo ),조미숙 ( Jo Mi Soo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2

        본 연구는 특성화고교졸업자 전형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이 대학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상업계열 출신 여학생들의 대학생활을 이해하기 위해 상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에 소재한 한 여자대학교에 특성화고교졸업자 전형으로 입학하여 재학 중인 학생 7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현상학적 분석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학입학 이전의 경험과 대학입학 이후의 경험으로 구분되었다. 대학입학 전 경험으로는 이들의 특성화고등학교 진학이 전략적 선택이었으나 특성화고등학교에서의 학업이 예상만큼 수월하지 않았고, 이를 극복하고 보다 나은 취업조건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게 되는 내용이 도출되었다. 대학입학 후의 경험은 학업적, 정서적, 관계적 측면으로 분석되었으며 각 측면에서 이들은 다층적이며 복합적 경험을 하면서 적극적 성향을 활용해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정서적, 관계적 측면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 중심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전공에 대한 만족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특성화고교졸업자 전형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dapt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colleges through a special screening process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For this purpose, 7 students who had entered college though this special screening and were currently enrolled in a female university in Seoul were selected as l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utilizin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college entrance. In their pre-college experience, the decision to go to vocational high school was a strategic choice to enter college in an easier way. However, studying at a vocational high school was not as straightforward as the students expected.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ent to college to acquire better employment conditions. Their college experience was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emotional, and relational aspects. In each aspect, the students were trying to overcome difficulties using positive tendencies while experiencing multi-layered and complex contexts. The three aspects were closely connected, and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major played a key role in the process.

      • KCI등재

        부모들의 관점에서 본 유아 문해 교육

        전홍주(Jun, Hong-Ju),박은혜(Park, Eunhye),이지현(Lee, Jeehy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유아 문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를 둔 어머니 48명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들은 유아기 문해 교육은 초등학교 준비를 위한 것이라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초등학교 적응에 무리가 없을 정도의 문해 능력을 유아기에 갖추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문해 교육의 방법은 학습지였으며 그 과정에서 부모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기초로 심층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유아기 문해 교육의 기저에 깔린 것은 초등학교에 대한 불안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에 대한 불안감과 관련된 인식과 행위들은 유아기의 특수성 속에서 표출된 교육열의 양상이라는 것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ctations that Korean society place on children’s lives by analyzing perceptions that parents have regarding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48 parents of young children aged 3 to 5 residing in Seoul/Kyungki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the emerging categories of purposes, expectations, methods, and the main actor of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arents perceive the goal of early literacy education as to have children ready for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y expected young children to attain literacy level that their children can adapt to elementary school. Most popular methods that parents use to teach their children to be literate is a worksheet and they emphasize parents’ role in making use of the worksheets. In-depth meanings of early literacy education drawn from the results is that underlying discourse that circulate through all the practices and the perceptions is the anxiety regarding elementary school. In conclusion, it is discussed that perceptions and practices to relieve from the elementary school anxiety is a way in which education fever is expressed, reflecting the specific periods of childhood.

      • KCI등재

        아버지의 자녀가치, 양육신념, 양육참여가 영아발달특성 변인에 미치는 영향

        전홍주(Jeon, Hong-Ju),조수경(Cho, Su-Kyoung),김미정(Kim, Mi-Jeong),최항준(Choi, Hang-J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녀가치,양육신념,양육참여가 영아의 발달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의 설명력을 알아보는데 있다.연구대상은 2010년도에 출생한 영아 1,802명과 그의 아버지이며 이를 대상으로 한 육아 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자료의 분석은 SPSS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아버지의 자녀가치는 영아의 문제해결능력,소근육 활동에 영향을 미치고 영아의 대 근육 활동에는 아버지의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영아의 의사소통,개인-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아버 지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similar change to see what the value of the child's father give faith, grow, grow what kind of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ffected. 1,802 people infants born in 2010, the study is his father, I used the data for the next fiscal year 3 Panel Korea Policy Institute childcare children that target it. Analysis of the data, we have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18.0, The value of the infant's father a child problem-solving skills, fine motor activity been found to affect the activity. Muscle activity for the father of the infant did not influence variables are. And the infant's communication, personal-social variables that affect the independence turned out to be a father involved in parenting.

      • KCI등재

        자유놀이 흥미영역의 통합이 유아의 사회·인지 놀이에 미치는 영향

        전영아(Jun Young Ah),전홍주(Jun Hong Ju)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쌓기영역과 역할영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 흥미영역의 통합이 유아의 사회적, 인지 적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4세 2학급 50명의 유아로 쌓기영역과 역할영 역을 통합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두 영역을 구분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하여 각 학급에서 유아들의 사 회적 놀이와 인지적 놀이를 관찰하고 빈도를 산출한 후 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의 사회 적․인지적 놀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놀이에서 집단놀이는 실험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비놀이는 통제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놀이에서 역할놀이 행동은 실험집단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은 기능놀이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융통적인 흥미영역의 운영이 유아의 놀이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arning center integration in kindergarten on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play behavior, focusing on block area and dramatic play area. Children’s play behaviors in a physically integrated environment of block and dramatic-play area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ose in each separated area. Fifty 4-year-old children were allocated evenly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sub-category were calculated. The gender differenc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verified by t-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scores of group play behavior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hand, scores of non-play behavior of the comparis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experiment group. Second, scores of the cognitive play behavior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comparison group, while the score of function play behavior was higher in the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providing learning centers flexibly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play behavior.

      • KCI등재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팅에 대한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및 요구

        유선영(Yoo, Sun-Young),전홍주(Jun, Hong-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팅에 대한 어려움과 개선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 이해함으로써 가정어린이집의 질적 향상을 위한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팅의 지원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팅을 경험한 가정어린이집 원장 9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정어린이집 원장은 평가인증 준비를 위한 외부교육 참여의 한계와 지표의 혼란으로 인한 자체적 노력의 한계, 익숙함에서 오는 재확인과정의 한계로 인해 컨설팅을 신청하고자 하였다. 둘째, 가정어린이집 원장은 컨설팅이 보육시간에 협소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느꼈으며, 교사겸직원장역할 수행으로 인한 어려움, 컨설턴트의 역량과 자질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가정어린이집 원장은 제도적 개선으로 보조(대체)인력 지원, 교사와 영아 간의 상호작용 컨설팅, 가정어린이집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컨설턴트 파견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 평가인증 현장방문 컨설팅의 개선점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어린이집 시설 유형을 반영한 평가인증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home-based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have experienced onsite visit consulting for accreditation. The study eventually aims to improve quality of home-based childcare by seeking for better ways to support onsite consulting. To this e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home-based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experienced onsite visit consulting for accredit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ors participated into the onsite visit consulting due to limited chance of participating into off-site training to prepare for accreditation, confusion of the indicators, and the excessive familiarity of the accreditation process. Second, the directors faced difficulties in the onsite visit consulting process because the consulting was conducted in a confined space during working hours.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performing the role of both director and teacher, as well as in the various qualifications of the consultants. Third, the directors demanded support for assisting (substitute) staff, more focused consulting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consultants wh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home-based childcare centers well.

      • KCI등재

        어린이집 일반학급에 통합된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또래관계 행동

        서경희(Seo Kyoung Hee),전홍주(Jun Hong Ju)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일반학급에 통합된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이 또래 관계에서 보이는 사회적 관계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어린이집 일반학급에 재원하고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 3명으로 어린이집의 자유놀이 상황에서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통합학급 환경에서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은 또래와의 관계를 시도하기 위해 관찰, 접근, 놀이제안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관계는 언어발달지체 유아가 또래의 도움을 받거나 함께 비언어적 신체놀이나 언어놀이에 참여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관계는 언어발달지체 유아 의 과격한 행동, 일반유아의 무응답으로 인해 중단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유아들의 또래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이 효능감을 가질 수 있는 놀이 환경을 제공하고, 일반 유아들에게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상호작용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er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in the integrated classes. 3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from 2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ield observation during free time activities.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use observation, approaching, suggesting play in order to start peer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continues as the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get help from their peers, participate in physical play and language play. And the relationship stopped with the violent behavior of the language delay children and it results in ignoring behavior of peers. Based on the results, in improving the social behaviors of the language delayed children positively,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ir role is very important, they should provide familiar educational environment so that language delayed children could feel confidence, and they need to educate general children about how to respond to language delayed children appropriat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