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과 노년기 우울

        전혜정(Hey Jung Jun),김명용(Myoung Yong Kim)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라 구분되는 하위집단(잠재계층)의 수와 그 형태를 알아보고, 잠재계층과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생애과정 관점에 기초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른 잠재계층과 노년기 우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을 통제한 후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른 잠재계층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독립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차 조사에서 5차 조사까지에 해당하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자료에서 만 65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인간 중심적 접근법(person-centered approaches)의 하나인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적용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계층을 추출하고, 중다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잠재계층과 노년기 우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개의 잠재계층이 도출되었고, 그 형태에 따라 다중위기 집단, 낮은 사회적 지위 집단, 저위기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아동기에 어떤 잠재계층에 속하느냐는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 및 노년기 우울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중위기 집단과 다른 두 집단들 간의 노년기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는 현재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게 남아 있었다.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기요인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 연구는 건강한 노후를 위한 장기적이고 전생애적인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노년기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Guided by a life-course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and depression in old age by identifying subgroups among older adults according to socioeconomic risk factors in childhood. This study used the nationally longitudinal survey data (2006 to 2010)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sample included 3,779 older adults aged 65 or over. A latent class analysis, one of the person-centered approaches, was adopted to ident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Then,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latent classes and depression in old age. This study found three groups of latent classes, which were named as the multiple risk group, the low SES group, and the low risk group. The latent classes by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current SES variables and depression in old age.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ultiple risk group and the other two groups were still significant with current SES variables controlled. Our findings suggest that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maintain a connection with and have a predictive role in the depression of older ad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The strong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socioeconomic risk factors and depression in old age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arly life circumstances on elderly health. Early stage recognition, prevention and supportive measures against childhood socioeconomic disadvantages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prevent elderly depression and further diminish socioeconomic inequality in health in old age.

      • KCI등재
      • KCI등재

        노년기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전혜정(Hey Jung Jun),김명용(Myoung Y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4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2 No.-

        고령화 사회 및 정보화 사회로 대표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삶의 질 측면에서 정보기술의 발달과 활용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의 이용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노년기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단위 대규모 종단데이터인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데이터 중 1차, 6차, 7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차인 2011년 기준으로 60세 이상인 노인 3,933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차년도 인터넷 이용은 7차년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6차년도에 인터넷을 이용한다고 응답한 노인들이 이용하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7차년도 우울 점수가 더 낮았다. 노년기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미치는 이러한 영향은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지위 변인과 함께 종속변수의 사전점수인 6차년도 우울점수와 자료조사가 처음 이루어진 시점인 1차년도의 우울점수를 함께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인터넷과 같은 정보기술의 이용은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노인 정보화교육의 확대 등 노인들의 정보기술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Concerning the well-being and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aging socie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effect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This study used 3 waves data (T1, T6, T7) from the nationally longitudinal survey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The sample included 3,933 older adults aged 60 or older. On the basis of the lagged effects model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in old age. This study found that Internet use in old age had longitudinally positive effects on decrease of depres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Internet use in old age had a protective role in the depression of older adults. This study implies that mo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Internet use and informatization education are required to prevent elderly depression, and further diminish social inequality in the well-being in old age. The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혜정(Hey Jung Jun)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4

        본 연구는 노년기 사회적 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이 노인을 사회적 지원망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지원과 부양을 받기만 하는 존재로 간주함으로써 비공식적 지원제공활동을 통한 노인들의 사회적 기여가 그 동안 간과되어 왔음에 주목하여 경험적인 분석을 통해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의 현황과 그 관련 변인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0세 이상의 남녀노인 27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녀, 형제자매, 다른 친척, 친구ㆍ이웃, 동료에 대한 정서적ㆍ도구적 지원제공의 경험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주위 사람들에 대한 지원제공은 대다수의 노인들에게 있어 보편적인 경험이며 자녀나 친족뿐만 아니라 친구ㆍ이웃ㆍ동료에게까지 포괄적으로 제공되는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에 대한 지원제공은 노인들 사이에 매우 일반적인 경험으로서, 거의 대부분의 노인들(96.7%)이 어떤 형태로든 자녀에게 도움을 주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특성에 따라 지원제공경험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지원제공은 노인의 성별, 연령, 생활수준,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친족에 대한 지원제공은 노인의 연령, 배우자 유무, 생활수준에 따라, 비친족에 대한지원제공은 노인의 연령, 종교유무, 건강상태, 배우자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비공식적 지원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특정 변인이 노년기 지원제공에 일관성 있게 영향을 미친다기보다는,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자녀, 친족, 비친족)에 따라 지원제공을 결정하는 변인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형태(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에 따라서도 다소간의 결정변인의 차이가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지원형태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사회적 배경 변인 중에서는 노인의 성별과 생활수준이, 상황변인은 건강상태와 근무시간이, 심리적 변인 중에서는 주관적 종교성과 자존감이 노인의 지원제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노인들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사회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노년기 사회적 지원교환에 대한 균형적인 시각이 필요하며, 정책적 차원에서도 관점을 확대시켜 인구고령화에 대한 대책으로서 노인에게 지원을 제공해주는 사회적 지원망을 활성화시키는 방안뿐만 아니라, 노인을 자원으로 활용하여 다른 사람에 대한 비공식적 지원체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Much of the pa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in later life has focused on receiving help from others, reflecting the stereotype of older adults as burdensome and needy dependents. Following a gradual recognition that older adults have the capacity and ability to make significant conhibutions to others and society providing support to others in older adulthood has begun to receive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valence of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among older adults in Korea, and to identify older adults'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pport giv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272 Koreans over 60. Major findings are (1) among Korean elderly providing support not only to children or kins but also to non-kins is very prevalent. (2) The correlates of providing support vary due to differences in the type of the relationships with the recipient of support. Providing support to children was higher for older women with more self-esteem and in better health. Providing support to kins was higher for older women in better economic status, and providing support to non-kins was higher for older adults with more subjective religiosity and less work hours, and in better health.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의 비공식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전혜정(Hey Jung Jun) 한국노인복지학회 2004 노인복지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많은 노인들이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동시에 생산적 존재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비공식적 지원제공의 개인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노년층의 지원제공이 주변적인 사안으로 취급되어왔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년기 비공식적 지원제공이 노인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았다. 구체적으로 1)지원제공자의 성별, 2)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3)지원수혜자와의 관계(자녀, 친족, 비친족), 4)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지원제공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충청남도 천안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80세 미만의 노인 161명을 대상으로, 지원제공경험이 정신건강의 긍정적차원인 자기숙달감과 정신건강의 부정적 차원인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년기 지원제공 경험이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노인의 성별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따라,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에 따라, 그리고 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사회적 기원제공과 건강 간 관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경우 지원제공은 수혜자와의 관계나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상관없이 자기숙달감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6가지 지원유형 중 비친족에 대한 정서적 지원제공은 우울증을 낮추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노인의 경우에는 수혜자와의 관계나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상관없이 6가지 지원형태 모두에서 자기숙달감 또는 우울증과의 유의미한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Mo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in older adulthood has focused on how receiving help from other people may enhance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The potential benefits of elders providing help to others, however,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on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fluence of giving support varied due to 1)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providers of support, 2) differences in type of support given(instrumental or emotional support), and 3)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of support (children, kin, or nonkin). The respondents were 161 persons aged 60-79 residing in the community.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 controlling for physical health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is not always associated with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of Korean older adults. The benefits of providing support to others depend on the gender of the provider, the type of support given, and the typ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of support. The gender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modifying the association between giving support and mental health. Providing informal support was clearly associated with benefits for older women. In contrast, providing support to others was not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of older me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전혜정 ( Hey Jung Jun ),민성혜 ( Sung Hye Min ),이민영 ( Min Young Lee ),최혜영 ( Hye Young Choi ) 한국가족복지학회 2009 한국가족복지학 Vol.14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가족의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적으로 143명의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들을 대상으로 한국어수준, 사회적 지지, 부부관계만족도, 우울과 적응유연성, 가족건강성을 측정하였다.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어 수준이 가족건강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적응유연성과 결혼만족도를 통해 가족건강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수준은 사회적 지지, 결혼만족도를 통해 가족건강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볼 때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어수준은 결혼이주여성 가족의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h model about the family health of multicultural families. Migrant women (N=143)wer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on their Korean language level,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depression and resilience, and family health. Path analysis indicates three things. First, im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level directly affects family health, but indirectly affects family health through resilience and marital satisfaction. Immigrant women`s Korean language level indirectly affects family health through soci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Korean immigrant women`s Korean level is an important variable to a multicultural family`s health.

      • KCI등재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매개로 한 노년기 인터넷 이용과 우울 간의 구조모형 분석 : 서울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전혜정(Hey Jung Jun),김명용(Myoung Yong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3 No.-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관계 만족도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노인복지관에 다니는 60세 이상의 독거노인 123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관계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다시 우울로 연결되는 이론모형을 설정하고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하였던 이론모형은 우수한 적합도 지수들을 나타냈다. 둘째, 독거노인의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독거노인의 인터넷 이용과 우울 간의 관계를 완전하게 매개하였다. 즉 인터넷 이용은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독거노인의 인터넷 이용이 사회적 관계 만족도를 증진시키며 이러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만족도는 독거노인의 우울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음을 뜻한다. 본 연구는 아동기, 청소년기, 성인 기와 구분되는 노년기의 인터넷 이용의 효과를 연구했다는 것과 인터넷 이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는 앞으로 노인복지현장에서 노인, 특히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보화 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온라인을 통하여 사회적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는 것이 독 거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Seoul. This study consisted of 123 older adults living alone who were going to seniors welfare centers in Seoul. Based on previous research, a theoretical model was hypothesized for this study; Internet use has influences on depression, mediated by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is model.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model showed good goodness of fit indices. Secondly, Internet use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but had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satisfaction with social relationships. Our findings suggest that Internet us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contribute to their successful aging and provide evidence for the need for more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Internet use and informatiza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 KCI등재

        The Effects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in Korean Older Men :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solation

        전혜정(Hey Jung Jun),김명용(Myoung Yong Kim)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2

        이 연구는 남성노인의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및 신체적 건강과 취업상태로 측정된 사회적 고립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한국복지패널연구(KOWEPS)의 7차 및 8차 년도 조사에서 수집된 60세 이상 남성노인들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표본에서 7차 년도 인터넷 이용은 8차 년도 남성노인의 우울 수준 감소에 긍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신체적 건강과 취업상태에 따라 남성노인을 두 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우울 감소에 미치는 인터넷 이용의 긍정적 효과는 건강상태가 나쁘거나 미취업상태의 남성노인의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인터넷 이용이 남성노인, 특히 신체적인 건강이 나쁘거나 미취업 상태인 노인과 같이 사회적으로 고립될 수 있는 남성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에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Internet use on depression among older men in Korea, and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isolation measured by physical health and employment statu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ith lagged effects models, based on a sample of Korean older men aged 60 and over collected from the 7th and 8th wave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were conducted. As a result, for the entire sample, Internet use at the 7th wave had positive effects on lowering the depression level of older men at the 8th wave. However, when the sample was divided according to physical health or employment status, the positive effects of Internet use on lowering depression were significant only for older men who were unhealthy or unemployed. This study implies that Internet use may be important to the mental health of older men, especially those who are likely to be socially isolated, such as those who are unhealthy or unemployed.

      • KCI등재

        중ㆍ고령자의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 경험, 사회적 유대, 우울

        전혜정(Jun, Hey-Jung),조규영(Cho, Kyu-Yo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7

        본 연구는 일상생활의 제한이 있는 가족원을 돌보는 부양자 역할로의 전이가 부양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중재할 수 있는 요인으로 사회적 유대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유대는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 이웃(친구)과의 접촉 등의 세 가지 하위요인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2006년과 2008년 두 차례에 걸쳐 자료수집이 완료된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이며, 2006년 당시 만 45세 이상의 중?고령자 총 8,68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1차년도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그리고 기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시차내생변수를 포함하는 모델(Models with Lagged Endogenous Variables)’을 통해 분석한 결과, 부양자로의 역할 전이는 부양자의 우울 수준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양자로의 역할 전이가 이루어지기 전에 부양자가 배우자나 자녀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느냐에 따라 역할 전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지는 중재효과가 발견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longitudinal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transitions to the caregiver role of caring for family members with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limitations effected the depression level of middle aged and elderly caregivers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fluence due to the transitions to the caregiver role varied depending on the caregivers" social ties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a spous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teraction with friends and neighbors) and whether their social ties could moderate the depression level of the caregivers. Data from 2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2006-2008 were used for this analysis. A sample of 8,688 aged 45 years or older was selected(caregivers=121; non-caregivers=8,319).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lagged effect models) controlling for mental and physical health at time 1,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ed that the transitions to a caregiver role had an effect on the depression of caregivers. That is, the transitions to a caregiver role wer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depression. It was also shown that the satisfaction in the caregivers’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or children before the role transition took place influenced and moderated the amount of depression due to the transitions to the caregiver role.

      • KCI등재

        미국노인의 사회적 지원제공과 정신건강

        전혜정(Hey-Jung Jun)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1

        기존의 노년기 사회적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노인을 사회적 지원망으로부터 일방적으로 지원과 부양을 받기만 하는 존재로 간주함으로써 대다수 노인들의 보편적인 경험인 지원제공 경험에 대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왔다. 본 연구는 많은 노인들이 건강하고 활동적이며 동시에 생산적 존재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노년기 사회적 지원의 제공이 노인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1)지원제공자의 성별, 2)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정서적 지원, 도구적 지원), 3)지원수혜자와의 관계(자녀, 친족, 비친족), 4)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지원제공의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미국의 대단위 종단적 자료인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NSFH)를 이용하여 60세 이상 85세 이하의 노인 1658명을 대상으로, 지원수혜변수 그리고 주요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함께 제1차 조사시기에서의 정신 및 신체건강을 포함시킨 시차효과모델(lagged effect models)을 이용하여 제1시기(1987-88)에서의 지원제공경험이 제2시기(1992-93)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년기 지원제공 경험이 항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노인의 성별에 따라, 제공되는 지원의 유형에 따라, 지원수혜자와의 관계에 따라, 그리고 정신건강의 하위차원에 따라 사회적 지원제공과 건강간 관계의 정도와 방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경우 정서적 지원제공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도구적 지원제공은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반면에 남성노인의 경우 자녀에 대한 정서적 도구적 지원, 비친족에 대한 도구적 지원제공은 오히려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st research on social relationships in older adulthood has focused on how receiving help from other people may enhance the well-being of older adults. The potential benefits of elders providing help to others, however,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on the mental health of older adults in USA.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how the influence of giving support varied due to 1) gender differences among the providers of support, 2) differences in type of support given(instrumental or emotional support), and 3)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with recipients of support (adult children, kin or nonkin). Data from N=1,658 persons aged 60-85 who were respondents to two waves of the U.S. 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 1987-1993 were used for these analyses.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s(lagged effect models) controlling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t time 1, receipt of social support, and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were estimated.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informal support to others is not always associated with positive effects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older adults. The benefits of providing support to others depend on the gender of the provider, the type of support given, and the typ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recipient of support. Providing emotional support was clearly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benefits for older women; providing instrumental support was not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benefits for older women. In contrast, providing support to adult children and non-kin was clearly associated with detrimental effects on the well-being of older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